맨위로가기

땡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땡땡은 에르제가 창작한 벨기에 출신의 만화 캐릭터로, 전 세계를 모험하며 사건을 해결하는 기자이다. 1929년 《땡땡, 소비에트의 비밀》을 통해 처음 등장했으며, 둥근 얼굴과 독특한 헤어스타일, 그리고 충실한 반려견 스노위와 함께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땡땡은 정직하고 용감한 성격으로, 다양한 직업과 능력을 보여주며, 7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2억 부 이상 판매되는 등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땡땡은 연극, 영화, TV 시리즈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으며, 한국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땡땡의 모험 - 장충런
    장충런은 중국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벨기에 만화가 에르제에게 영향을 주어 《푸른 연꽃》 배경 묘사에 기여하고 작품 등장인물 모델이 되었으며, 문화대혁명 이후 재평가받고 프랑스 시민권을 취득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다.
  • 땡땡의 모험 - 벨기에 만화 센터
    벨기에 만화 센터는 빅토르 오르타가 설계한 아르누보 양식 건물에 위치한 만화 박물관으로, 벨기에 만화의 역사와 예술성을 기리고 대표 만화가들의 작품 전시, 만화 서점, 도서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2023년에는 마르크 슬린 박물관 컬렉션 일부를 통합할 예정이다.
  • 가공의 벨기에 사람 - 퀵과 플륍크
    퀵과 플륍크는 에르제가 르 프티 방티엠에 연재한 벨기에 만화 시리즈로, 브뤼셀을 배경으로 두 소년의 일상을 유머러스하게 그린 작품이며, 에르제 사후 채색되어 재발행되었다.
  • 가공의 벨기에 사람 - 에르퀼 푸아로
    에르퀼 푸아로는 애거서 크리스티가 창조한 벨기에 출신 소설 속 탐정으로, 논리적인 추리 방식을 통해 다양한 사건을 해결하고 말년에 사망하며, 여러 매체로 각색되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 가공의 아마추어 탐정 - 에도가와 코난
    에도가와 코난은 고등학생 탐정 쿠도 신이치가 검은 조직의 독약으로 인해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변한 후의 이름으로, 뛰어난 추리력으로 사건을 해결하며 검은 조직에 맞서는 동시에 소년탐정단, 모리 코고로, 하이바라 아이 등과 협력하고 괴도 키드와 경쟁하는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를 통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 가공의 아마추어 탐정 - 아르센 뤼팽
    아르센 뤼팽은 모리스 르블랑의 소설에 등장하는 신사이자 도둑, 사기꾼, 모험가로, 뛰어난 변장술과 대담함으로 귀족이나 자본가의 저택을 털고 약자를 돕는 의적의 면모를 보이며 쥐스탱 가니마르 경감, 셜록 홈즈 등과 얽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인기 캐릭터이다.
땡땡
기본 정보
에르제가 그린 땡땡과 스노위
땡땡과 그의 개 스노위, 에르제 그림
출판사카스테르만 (벨기에)
첫 등장땡땡, 소련에 가다(1929) 땡땡의 모험에서
창작자에르제
전체 이름해당사항 없음
동료주요 등장인물 목록
지지자해당사항 없음
인간
이름
한국어땡땡
프랑스어Tintin (텡텡)
일본어タンタン (탄탄)
관련 정보
등장 작품땡땡의 모험

2. 역사적 배경

땡땡의 탄생에는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에르제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학교에서 이름 없는 젊은이가 독일군과 싸우는 그림을 그리곤 했는데, 이는 땡땡 캐릭터의 초기 구상에 영향을 주었다.[1] 에르제의 동생 폴 레미는 땡땡의 외모와 몸짓에 영감을 주었고,[2] 스카우트 활동 경험은 땡땡의 정의감과 모험심에 영향을 주었다.[3] 에르제가 그린 보이스카우트 캐릭터 '토토르'는 땡땡의 전신으로 평가받는다.[4]

벤자민 라비에와 프레드 이슬리의 "''Tintin-Lutin''", 가스통 르루의 조셉 루르타빌 등 문학 작품 또한 땡땡에게 영향을 주었다.[5] [6] 에르제는 알베르 롱드레스와 같은 탐사 저널리즘 기자들에게서도 영향을 받았으며,[7] 1928년 세계 여행을 한 팔레 훌드 역시 땡땡 캐릭터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8]

땡땡은 에르제가 《20세기》의 어린이 부록 《르 프티 방티엠》에서 일하며 창작한 캐릭터로,[9] 1929년 1월 10일 《땡땡, 소비에트의 비밀》 연재를 통해 처음 등장했다.[10] 초기에는 미숙한 면모를 보였지만, 점차 성숙하고 정의로운 캐릭터로 발전해 나갔다.

2. 1. 초기 영향

에르제제1차 세계 대전 중 학교에서 이름 없는 젊은이가 독일군과 싸우는 그림을 그리곤 했는데, 이것이 땡땡 캐릭터의 초기 구상에 영향을 주었다.[1] 에르제의 남동생 폴 레미는 둥근 얼굴과 쿼프 헤어스타일을 가진 인물로, 땡땡의 외모와 몸짓에 영감을 주었다.[2] 에르제가 어린 시절 가입했던 스카우트 활동 경험은 땡땡의 정의감과 모험심에 영향을 주었으며,[3] 에르제가 그린 보이스카우트 캐릭터 '토토르'는 땡땡의 전신으로 여겨진다.[4]

잘생긴 젊은이 팔레 훌드의 역사적인 사진으로, 고전적인 러시아 건축물 앞에 서 있다
1928년 세계 여행을 한 팔레 훌드는 에르제가 땡땡을 만드는 데 거의 확실하게 영향을 미쳤다.


문학적인 영향도 있었다. 벤자민 라비에와 프레드 이슬리는 1898년에 "''Tintin-Lutin''"이라는 삽화가 있는 이야기를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둥근 얼굴과 쿼프를 가진 땡땡이라는 작은 고블린 소년이 등장했다. 에르제는 라비에가 동물을 그리는 방식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 동의했지만, 독자 중 한 명이 유사점을 알려주기 전까지 ''Tintin-Lutin''의 존재를 전혀 몰랐다고 한다.[5] 1907년, 가스통 르루(''오페라의 유령''의 저자)는 젊은 기자이자 아마추어 탐정인 조셉 루르타빌이라는 캐릭터를 만들었다. 1910년에는 Marcel Priollet가 쓴 라는 일련의 모험이 있었다.[6]

열렬한 뉴스 독자였던 에르제는 벨기에에서 잘 알려진 인기 기자들, 특히 조셉 케셀뿐만 아니라 특히 알베르 롱드레스(탐사 저널리즘의 창시자 중 한 명)의 활동을 알고 있었을 것이다.[7] 거의 확실하게 또 다른 영향은 1928년에 세계 여행을 하고 이듬해 자신의 모험에 대해 글을 쓴 15세 덴마크 보이스카우트인 팔레 훌드였다.[8]

2. 2. 초기 발전

땡땡은 에르제가 사진 기자 겸 만화가로 일하던 가톨릭 신문 《20세기》의 어린이 부록 《르 프티 방티엠》을 위해 창작한 캐릭터이다.[9] 1929년 1월 10일, 《땡땡, 소비에트의 비밀》이 연재되면서 땡땡은 처음으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10]

The Adventures of Tintin mural painting by Hergé
브뤼셀의 벽에 묘사된 땡땡, 스노위, 해독 선장


에르제의 전기 작가인 브누아 페테르스는 초기 땡땡을 "모순적...사르트르식 캐릭터", "그 용어가 만들어지기도 전에 실존주의자"로 여기며, 땡땡은 오직 그의 행동을 통해서만 존재한다고 평했다. 초기 땡땡은 다소 미숙한 면모를 보였으나, 점차 성숙하고 정의로운 캐릭터로 발전해 나갔다.

3. 특징



땡땡은 흰색 폭스테리어를 옆에 두고 달리는 둥근 얼굴의 젊은이로, 20세기 대표적인 시각적 아이콘 중 하나이다.[9][10] 땡땡의 이름은 에르제가 이전에 사용했던 캐릭터 토토르의 이름에서 사용한 두운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마이클 파는 다른 캐릭터들이 땡땡을 "땡땡 씨"라고 부르는 것을 근거로 땡땡이 성(姓)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17] 반면 피에르 아슬린은 땡땡에게 가족이 없다는 점을 들어 성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에르제가 "영웅적이고, 명확하고, 쾌활하게 들린다"는 점과 기억하기 쉽다는 이유로 이 이름을 채택했다고 보았다.

땡땡의 나이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7] 50년이 넘는 연재 기간 동안 땡땡은 젊음을 유지했다.[17] 에르제는 "내 생각에 땡땡은 나이를 먹지 않았다. 몇 살이라고 해야 할까? 모르겠다... 17살? 처음 만들었을 때 14살이나 15살, 소년 스카우트였고 거의 변하지 않았다. 40년 동안 3, 4살 정도 나이를 먹었다고 가정하면... 15 더하기 4는 19살이다."라고 말했다.[17]

3. 1. 외모

땡땡은 둥근 얼굴에 퀴프(quiff)라고 불리는 솟아오른 앞머리가 특징이다. 처음에는 긴 여행용 코트와 모자를 착용했으나, 몇 페이지 후 니커보커(플러스 포) 바지, 체크무늬 정장, 검은 양말, 이튼 칼라를 착용한 모습으로 바뀌었다.[1] 이 모습은 땡땡의 상징처럼 굳어져 이후 작품에서는 외모나 복장이 바뀌는 일이 없어졌다.[2] 다만, 후반 작품 《땡땡과 피카로들》에서는 니커보커 대신 청바지를 입기도 했다.

에르제는 인터뷰에서 "땡땡의 외모는 처음부터 거의 변하지 않았다. 그의 얼굴은 단순한 스케치이며, 기호 표현이다."라고 언급했다.[3]

3. 2. 직업

땡땡은 초기에는 보도 기자로 활동하며 전 세계를 누볐다.[1] 첫 모험에서는 소비에트 연방에 파견되어 편집장에게 특별 전보를 보내기도 했다.[1]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땡땡은 탐정으로서의 면모가 강해졌으며, 셜록 홈즈처럼 변장술을 선보이고 숙적을 가지기도 한다.[2] 라브라도 거리 26번지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탐사 저널리즘을 펼치기도 한다.[2] 후반부에는 보도 기자라는 설정을 넘어 모험가로서의 역할이 두드러진다.[3] 해독 선장이 물랭사르 성을 얻은 후에는 비커 교수와 함께 성에 기거하며 해저, 산 정상, 달 표면 등 다양한 장소에서 모험을 펼친다.[3]

3. 3. 능력

땡땡은 자동차, 오토바이, 비행기, 전차 등 다양한 탈것을 운전하고 수리하는 데 능숙하다.[1] 달 착륙차를 운전한 적도 있으며, 모스 부호 해독 능력도 갖추고 있다.[1]

뛰어난 운동 신경과 사격 실력을 갖추고 있으며, 장거리 걷기나 수영도 거뜬히 해낸다. 필요할 때는 악당에게 강력한 펀치를 날리기도 한다.[2] 에르제는 땡땡을 "두려움 없고 흠 잡을 데 없는 영웅"이자[3] 자신이 되고 싶었던 만능 재주꾼으로 묘사하며, 땡땡에게는 약점이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4]

3. 4. 성격

땡땡은 정직하고 예의 바르며, 동정심이 많고 친절하며 겸손하고 소탈한 성격을 지녔다. 친구들에게는 누구보다 충실하다. 한편, 《깨어진 귀》에서 총살대에 직면하기 전에 술에 취하거나, 《달나라 탐험》에서 하독 선장 때문에 모두가 죽음의 위기에 처했을 때 그를 꾸짖는 면모도 보인다. 그러나 땡땡은 "매우 넓은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땡땡, 티베트에 가다》에서는 그에 걸맞은 "그레이트 하트"라는 이름을 받았다.

때로는 천진난만하며, 정치적 운동을 추진하거나 현실 도피주의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냉소적인 면이 강하다. 에르제는 "땡땡이 도덕가라고 해도, 사물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도덕가이다. 그래서 그의 만화에서 유머가 사라지는 일이 없다"고 말했는데, 이는 땡땡이 선한 척을 할 때도 있지만 까다롭지는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땡땡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것은 바로 이 유머 감각 덕분이다.

초기 땡땡의 성격은 일관성이 없었다. 어리석을 때도, 박식할 때도 있었으며, 지나치게 경건하거나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공격적이기도 했다. 또한 초기에는 인류에 대한 동정심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땡땡은 독신주의를 고수하고, 행동이 훌륭하며, 예의 바르고, 용감하고, 약자와 억압받는 자의 편에 서며, 항상 문제에 휘말리는 재치가 뛰어나고 결단력 있으며 사려 분별이 있는 인물로 묘사되었다.

땡땡은 비교적 중립적인 성격이기 때문에, 자신을 둘러싼 악과 어리석음, 무분별한 일에 침착하게 반응한다. 만화 전문가 스콧 맥클라우드는 땡땡의 상징적이고 중립적인 성격과, 에르제 특유의 "뚜렷하게 사실적인" 명확한 선(리그 클레어(Ligne claire)=클리어 라인) 스타일의 조합 덕분에 독자는 땡땡에게 자신을 투영하여 이야기를 따라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4. 평가 및 유산

땡땡의 모험》은 20세기에 가장 인기 있었던 유럽 만화 중 하나로, 7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2억 부 이상 판매되었다.[12] 땡땡은 단순한 만화 캐릭터를 넘어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으며, 샤를 드 골 전 프랑스 대통령은 땡땡을 자신의 유일한 국제적 경쟁자로 언급하기도 했다.[12]

"땡땡학"이라는 용어가 생겨날 정도로 땡땡 연구는 많은 문학 평론가들의 연구 주제가 되었다. "벨기에의 헤르제 전문가"인 필립 고딘은 ''헤르제와 땡땡, 기자들''과 Hergé: lignes de vie프랑스어를 포함하여 이 주제에 관한 수많은 책을 저술했다. 1983년 브누아 페테르스는 Le Monde d'Hergé프랑스어를 출판했으며, 1988년 영어로 ''땡땡과 헤르제의 세계''로 출판되었다. 기자 마이클 파는 ''땡땡, 60년간의 모험''(1989), ''땡땡: 완전한 동반자''(2001), ''땡땡 & 컴퍼니''(2007) 및 ''헤르제의 모험''(2007)과 같은 작품으로 땡땡 문학 비평을 영어권에 소개했으며, 영국의 각본가 해리 톰슨도 ''땡땡: 헤르제와 그의 창조물''(1991)을 저술했다.

마이클 파는 "에르제는 인간적인 자질과 미덕을 구현했지만 결점이 없는 영웅을 창조했습니다. ''땡땡의 모험''은 지난 세기를 반영하는 반면, 땡땡은 미래를 위한 탁월함의 등불을 제공합니다."라고 평가했다.[12] 톰슨은 땡땡이 "거의 특징이 없고, 나이도 없고, 성별도 없는" 인물이며, 개성에 얽매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하면서, 바로 이러한 익명성이 땡땡의 거대한 국제적 성공의 열쇠로, 누구든지 그와 동일시하고 그의 모험을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12] 스티븐 스필버그, 앤디 워홀, 빔 벤더스, 프랑수아즈 사강, 해럴드 맥밀런 등 수백만 명이 땡땡을 통해 그의 모험을 함께 했으며, 샤를 드 골 장군은 땡땡을 자신의 유일한 국제적 경쟁자로 여기기도 했다.[12]

땡땡은 벨기에 브뤼셀의 그랑 사블롱 광장, 브뤼셀 남역 등 여러 곳에 동상과 벽화로 기념되고 있다.[12]

땡땡은 연극, 영화, TV 시리즈, 라디오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실사 극장 영화


  • 1961: ''땡땡과 황금 양털'' (장자크 비에른 감독)
  • 1964: ''땡땡과 파란 오렌지'' (필리프 콩드루아예 감독)

애니메이션 영화

  • 1947: ''황금 갈고리 게'' (클로드 미손 감독)
  • 1964: ''칼큘러스 사건'' (레이 고센스 감독)
  • 1969: ''땡땡과 SGM(Tintin et la SGM)'' (레이몽 르블랑 감독)
  • 1969: ''땡땡과 태양의 신전(Tintin et le Temple du Soleil)'' (에디 라테스트 감독)
  • 1972: ''땡땡과 상어의 호수'' (레이몽 르블랑 감독)
  • 2011: ''땡땡: 유니콘 호의 비밀''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텔레비전 시리즈

  • 1957-1961: ''에르제의 땡땡의 모험'' (애니메이션 시리즈)[18]
  • 1992: ''땡땡의 모험'' (애니메이션 시리즈, 각 13개 에피소드로 구성된 3개의 시즌)


1983년 에르제가 사망하기 직전, 그는 스티븐 스필버그의 작품을 존경하게 되었으며, 그가 자신의 땡땡을 성공적으로 스크린에 담을 수 있는 유일한 감독이라고 생각했다.[12] 그 결과는 2011년 모션 캡처 장편 영화 ''땡땡의 모험''으로, 세 권의 ''땡땡'' 책의 줄거리를 합쳐서 만들었다.

컴퓨터로 묘사된 틴틴의 온건하게 현실적인 모습의 이미지, 그의 새 영화의 스크린샷
스티븐 스필버그(Steven Spielberg)의 2011년 모션 캡처 장편 영화 ''땡땡: 유니콘호의 비밀''(The Adventures of Tintin: The Secret of the Unicorn)에 등장하는 틴틴의 모습, 제이미 벨(Jamie Bell)이 연기함

4. 1. 한국에서의 땡땡

1960년대부터 땡땡의 모험이 한국에 소개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문공부(현 문화체육관광부) 추천도서, 서울대학교 추천도서 등으로 선정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번역 출간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령층의 독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땡땡의 모험은 한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접할 기회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땡땡의 모험이 가진 교육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며,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권장할 만한 작품으로 보고 있다.[12]

참조

[1] LPD 3
[2] 웹사이트 The essentials about Tintin and Hergé https://www.tintin.c[...] 2022-08-18
[3] 웹사이트 Tintin — Tintin.com https://www.tintin.c[...] 2022-08-18
[4] 웹사이트 Devotion and Debate: Tintin's legacy 90 years on https://www.rfi.fr/e[...] 2019-01-10
[5] 웹사이트 https://web.law.duke[...]
[6] 뉴스 Tintin and the figure of mysterious inspirati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0-12-07
[7] video Tintin's Adventure with Frank Gardner https://www.youtube.[...] 2011-10-30
[8] 뉴스 Writer tracks down Tintin's real life inspiration https://www.theguard[...] 1999-05-17
[9] 웹사이트 Coming to Terms With Tintin https://www.theatlan[...] 2024-04-25
[10] 웹사이트 Tintin — Tintin.com https://www.tintin.c[...] 2024-04-25
[11] 웹사이트 Tintin and Alph-Art https://www.tintin.c[...] Tintin.com 2022-09-07
[12] 웹사이트 Field Report: Tintin and Hergé in Brussels http://www.a113anima[...] A113 Animation 2014-03-03
[13] 웹사이트 Magritte and Tin Tin Fun http://nick-n-charli[...] Honeymoon world tour 2014-03-03
[14] 웹사이트 Tintin in Brussels https://maps.google.[...] Moulinsart and Studios Hergé 2014-03-03
[15] 뉴스 Tintin Tracking in Comic-Crazy Brussels https://www.huffingt[...] The Huffington Post 2011-12-21
[16] 웹사이트 In Brussels http://cheungsabbati[...] Blog – Cheung family 2012-01-17
[17] 웹사이트 Belgium's Euro 2024 kit tributes to comic book legend Tintin https://www.nbcmiami[...] 2024-05-02
[18] 웹사이트 Planète Jeunesse - Les Aventures de Tintin (1957) http://www.planete-j[...]
[19] Forvo Tintin pronunciation in French https://forvo.com/w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