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종일 (194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종일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관으로, 194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희대학교 교수를 거쳐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직 인수위 행정실장, 국가안전기획부 1차장, 국가정보원 1차장 등을 역임했다. 주영국 및 주일본 대사를 지냈으며, 우석대학교 총장과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전쟁》, 《아웅산 테러리스트 강민철》, 《장성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합신당 당원 - 나상기 (1949년)
    전라남도 나주 출신인 나상기는 교육계와 사회단체, 정계에서 활동하며 대학교 겸임교수, 참여연대 사회복지행정교육위원, 새천년민주당 지방자치행정연대위원을 지냈고, 서울 종로구청장, 동작구청장, 마포구청장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 후 여러 정당에서 정치 경력을 쌓았다.
  • 통합신당 당원 - 최재승
    최재승은 김대중 총재 보좌관, 새천년민주당 창당 발기인, 국회 문화관광위원장을 역임하고 제14, 15, 16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국제관계학자 - 한승주
    한승주는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후 미국에서 정치학 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외무부 장관과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관이다.
  • 대한민국의 국제관계학자 - 강창일
    강창일은 1952년 제주 출생으로 서울대 국사학과 졸업 후 도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 17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4선 의원,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지냈으며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일 관계 개선에 힘썼고 旭日大綬章을 수훈, 독도 및 위안부 관련 발언에 대한 논란도 있는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다.
  • 대한민국의 국가안전기획부 차장 - 이학봉
    이학봉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7 쿠데타에서 신군부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징역형을 선고받고 사면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국가안전기획부 차장 - 이병기 (1947년)
    이병기(1947년)는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인, 공무원으로,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 대통령비서실 의전수석비서관,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주일본 대사, 국가정보원장, 대통령비서실장 등을 역임하며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체결에 관여했으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유용 혐의로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라종일 (194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라종일
원어명나종일
출생일1940년 12월 5일
국적대한민국
직업정치학자, 공무원, 외교관
학력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PhD)
경력
직책안기부2차장

2. 생애

서울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78년부터 1998년까지 경희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97년 김대중 대통령 당선 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참여하여 행정실장을 맡았다. 1998년 국가안전기획부 1차장과 2차장을 거쳐 1999년 국가정보원 1차장이 되었다.

2000년 9월 4일에는 1년 계약직 국정원장 외교특보에 임명되었으며,[5]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를,[1]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를 역임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우석대학교 총장을 지냈고, 2011년 한양대학교 석좌교수가 되었다.

2. 1. 학력

2. 2. 경력

연도직함
1969년 11월 29일서울대학교 교양과정 부교수
1972년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정치문제연구소(Institute of Political Studies) 객원교수
1972년 ~ 1998년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1978년 ~ 1998년경희대학교 교수[5]
1980년경희대학교 정경대학 학장
1980년5공헌법준비위원회 위원
1980년유네스코주최 인권과 평화교육에 관한 태평양 지역회의 한국대표
1983년 ~ 1998년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원장
1988년 ~ 1993년경희대학교 대학원 원장
1989년유럽연구협회 부회장
1992년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거캠프 참여
1994년한국유럽학회 회장
1995년새정치국민회의 총재 외교안보특보
1995년 ~ 1998년새정치국민회의 중앙당 지도위원
1997년새정치국민회의 통일, 국제특별위원장
1997년제15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행정실 실장
1998년 3월 10일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1998년 3월 28일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1998년국제 평화전략연구원 원장
1999년국가정보원 해외,북한담당 제1차장
1999년 - 2000년새정치국민회의 외교안보담당 총재특별보좌역
1999년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1999년국제평화전략연구원 원장
2000년새천년민주당 총재외교안보특보
2000년시큐어소프트 고문
2000년국가정보원 특별보좌관
2000년 9월 4일국가정보원 외교담당 특별보좌역[5]
2001년 ~ 2003년주영국 대한민국 대사[1]
2003년 - 2004년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 보좌관
2003년 - 2004년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겸 사무처장
2004년 ~ 2007년주일본 대한민국 대사[1]
2007년 3월제10대 전주 우석대학교 총장
2011년한양대학교 석좌교수
2016년가천대학교 석좌교수
2019년 6월 -한·일 의회외교포럼 자문위원


3. 주요 활동 및 관점

라종일은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안보 분야의 핵심적인 직책을 맡아 대한민국의 대북 정책 및 외교 정책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지지하며 대화를 통한 남북 관계 개선을 강조했고, 국가정보원 1차장 재직 시절에는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하기도 했다.[1] 참여정부 시절에는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동북아시아 지역의 다자 안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자주 외교 노선을 지지했다.[1]

1992년 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거캠프에 참여한 이후,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총재 외교안보특보를 역임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행정실 실장, 1999년 국가정보원 해외·북한담당 제1차장, 2000년 국가정보원 특별보좌관을 거쳐 2001년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 2003년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 보좌관 및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겸 사무처장을 지냈다. 2004년에는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했다.

정치, 외교 분야에서 대북, 외교 정책 관련 서적과 논문을 저술하였다.

3. 1. 대북 정책

라종일은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지지하며, 대화를 통한 남북 관계 개선을 강조했다.[1] 국가정보원 1차장 재직 시절에는 북한과의 막후 접촉 및 정보 수집을 담당하며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연도직책
1998년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1]
1999년국가정보원 해외, 북한 담당 제1차장[1]
2000년국가정보원 특별보좌관, 외교담당 특별보좌역[1]


3. 2. 외교 정책

라종일은 참여정부 시절 대한민국의 외교 정책에 깊이 관여했다.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동북아시아 지역의 다자 안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자주 외교 노선을 지지했다.[1]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하며 영국과의 양자 관계 증진에 힘썼으며, 2004년부터 2007년까지는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하며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1]

3. 3. 저술 활동

제목출판사출판년도
《현대서구정치론》경희대학교출판보1982
《한국전쟁》예진기획1991
《증언으로본 한국전쟁》예진기획1991
《끝나지 않은 전쟁》전예원1994
《유럽연구》예진출판사1994
《사람과 정치》상경사1995
《끝나지 않는 의문》남지1997
《세계의 발견: 라종일이 보고 겪은 한국 현대사》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2009
《낙동강》형설라이프2010
《아웅산 테러리스트 강민철》창작과비평2013년 10월 10일



2013년, 아웅산 테러 사건의 범인 강민철에 관한 책을 출간했다. 라종일은 강민철을 "두 개의 한국 사이의 오랜 경쟁에서 희생되고 잊혀진 수많은 젊은이 중 한 명"이라고 묘사했다.[2]

2016년 저서 《장성택: 반역적인 아웃사이더가 걸어온 길》에서는 김정일이 사망 후 자신의 아들 김정은에게 권력을 승계할 의도가 없었다는 주장을 담았다.[3]

4. 수상 경력


  • 라종일은 2006년에 옥조근정훈장을 받았다.

5. 저서


  • 《정치이론 입문》
  • 《현대서구정치론》 (경희대학교출판보, 1982)
  • 《한국전쟁》 (예진기획, 1991)
  • 《증언으로본 한국전쟁》 (예진기획, 1991)
  • 《끝나지 않은 전쟁》 (전예원, 1994)
  • 《유럽연구》 (예진출판사, 1994)
  • 《사람과 정치》 (상경사, 1995)
  • 《끝나지 않는 의문》 (남지, 1997)
  • 《세계의 발견: 라종일이 보고 겪은 한국 현대사》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 《낙동강》 (형설라이프, 2010)
  • 《아웅산 테러리스트 강민철》 (창작과비평, 2013년 10월 10일)

: 2013년, 라종일은 1983년 대한민국 대통령 암살 시도와 연루되었음을 인정한 유일한 인물인 강민철에 관한 책을 출간했다. 라종일은 강민철을 "두 개의 한국 사이의 오랜 경쟁에서 희생되고 잊혀진 수많은 젊은이 중 한 명"이라고 묘사했다.[2]

  • 장성택: 반역적인 아웃사이더가 걸어온 길》 (2016년)

: 김정일이 사망 후 자신의 아들 김정은에게 권력을 승계할 의도가 없었다는 주장을 담았다.[3]

6.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나용균
부인홍재자
장인홍경섭
나연수
나영수
나한수
아들나경수


참조

[1] 웹사이트 Jongyil Ra http://dis.hanyang.a[...] Hanyang University
[2] 웹사이트 Forgotten Killer Among the Korean 'Erased' //www.nytimes.com/20[...] 2013-11-23
[3] 웹사이트 Kim Jong‑un's father wanted to end hereditary rule, top spy reveals https://www.telegrap[...] 2016-01-23
[4] 웹사이트 [프로필]나종일 안기부2차장 https://www.joongang[...] 1998-03-09
[5] 뉴스 국정원장 외교특보 나종일씨..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000-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