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전보장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국가 안보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기구로, 1947년 미국에서 처음 설립되었다. 각 국가의 NSC는 명칭, 구성, 기능 등이 다르며, 대한민국 NSC는 대통령에게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일본은 '일본판 NSC'로 불리는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중국, 북한,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NSC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안전보장회의 -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1947년 냉전 시대에 창설되어 대통령을 보좌하여 외교 및 안보 정책을 결정하고, 국제 전략, 군사 옵션 등을 준비하며, 다양한 부처 간 조정을 통해 정책을 수립하는 기구이다. - 국가안전보장회의 -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는 총리 주도하에 외교 및 안보 정책 중앙 집중화를 목표로 2013년 설립된 내각의 비상근 기구로, 국가안전보장전략 등 주요 안보 정책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관저 주도의 의사결정과 군사력 강화에 대한 우려 등 논란도 있다. - 정부 기관 - 공공기관
공공기관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립·운영하며 공공 서비스 제공 및 국가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기관으로, 대한민국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산하에 다양하게 존재하나, 재난 대응에 관한 법적 체계는 일본과 대조를 이룬다. - 정부 기관 - 내각
내각은 국가 원수를 보좌하며 각료들이 정부 업무를 수행하는 행정부 구성원 집단으로, 국가별 명칭과 형태가 다양하고 정치 체제에 따라 구성원의 선발 방식과 의회와의 관계가 다르며, 기원은 고대 자문 기구에서 시작하여 영국의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에서 현대적으로 발전하였다.
국가안전보장회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국가 안보 정책 수립 및 조정 |
설립 국가 | 여러 국가에서 운영 |
주요 기능 | 국가 안보 정책 자문 국가 안보 전략 수립 위기 관리 정보 공유 정책 조정 |
국가별 국가안전보장회의 | |
미국 |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
대한민국 |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
일본 |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
영국 | 영국 국가안보회의(NSC) |
인도 | 인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
특징 | |
구성 | 대통령 또는 총리, 고위 정부 관료, 군 관계자, 정보기관 관계자 등으로 구성 |
역할 | 국가 안보 관련 중대 사안 논의 국내외 안보 정세 평가 관련 정책 제안 관련 부처 간 협력 및 조정 |
위기 관리 | 국가 안보 위기 발생 시 대응 방안 결정 |
정책 결정 | 대통령 또는 총리의 안보 관련 정책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 담당 |
정보 공유 | 관련 정보 기관에서 수집한 정보 공유 및 분석 |
기타 | |
참고 | 각 국가의 정치 체제와 안보 환경에 따라 조직 구성 및 운영 방식 다름 국가 안보의 핵심 기구 |
2. 역사
전 세계 최초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1947년 창설된 미국 NSC이다. 주로 백악관 지하에 마련된 백악관 상황실에서 소집된다. 대한민국의 NSC는 대한민국 헌법 91조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청와대 지하벙커에서 회의가 개최된다.
NSC의 의장은 보통 대통령이나 총리가 맡으며, 부통령, 부총리, 외교부 장관, 국방부 장관, 재무부 장관 등 주요 각료들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군주제 국가에서 군주의 권한이 강한 국가에서는 군주가 참여하기도 한다.
NSC는 일반적으로 국가 안보 및 외교 정책에 대한 대통령 또는 총리의 자문 역할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경우 대통령, 총리, 내각에 속하며, 외교·안보 정책에 관한 자문을 수행한다. 프랑스처럼 국가안보회의를 설치하지 않는 국가도 있으며, 일본의 경우 내각에 속하는 국가안보회의가 이에 해당한다. NSC는 외교, 안보 정책에 관한 자문 외에도 국가 안보와 관련된 긴급 상황에 대한 대응, 중장기적인 국가 안보 전략 수립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정책 조정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각국의 NSC는 해당 국가의 정치 체제와 안보 환경에 따라 명칭, 구성, 기능 등이 다양하다. 대부분의 경우 대통령이나 총리, 내각에 속하며, 외교, 안보 정책에 관한 자문 등을 수행한다. 프랑스처럼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설치하지 않는 국가도 있다.
미국 NSC는 대통령, 부통령, 국무장관, 국방장관, 백악관 비서실장, 백악관 안보수석, 백악관 안보부수석이 위원이며, 합참의장이나 정보부 책임자는 고문(advisor)이다.[1] 상급위원은 외무장관과 국방장관으로, 대통령, 외무장관, 국방장관 3명이 NSC의 핵심 3인방이다.[1] 미국 NSC는 대통령 지시에 대한 조언과 동의권을 갖는 반면,[2] 대한민국의 NSC는 대통령에 대한 자문 기관이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방위원회(현 국무위원회)는 주석궁 지하벙커가 아닌 지상에서 개최되는 평시 회의 기관으로, 대한민국 NSC와는 성격이 다르다.[3]
2013년 1월 말리 분쟁과 관련, 알제리에서 알카에다가 일본인 인질 12명을 살해한 사건 이후,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일본에 미국 NSC와 유사한 NSC 설치를 추진했다.[4]
대부분의 국가안전보장회의는 대통령이나 총리, 내각에 속하며, 외교·안보 정책에 관한 자문 등을 수행한다.[5] 프랑스처럼 국가안보회의를 설치하지 않는 국가도 있다.[5] 일본의 경우 내각에 속하는 국가안보회의가 이에 해당한다.[5]
의장은 대통령이나 총리 등이 맡는 경우가 많고, 부통령이나 부총리, 내무부 장관, 외교부 장관, 국방부 장관, 재무부 장관 등의 중요 각료가 구성원으로 참여한다.[6] 군주제 국가에서 군주의 권한이 강한 경우에는 군주가 참여하기도 한다.[6] 해군 장관이나 육군 장관 등 군 관계자가 의원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있지만, 표결 등에는 참여하지 않는 등 군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도 있다.
3. 구성
해군 장관이나 육군 장관 등 군 관계자가 의원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있지만, 표결 등에는 참여하지 않는 등 군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미국 NSC의 경우, 대통령, 부통령, 국무장관, 국방장관, 백악관 비서실장, 백악관 안보수석, 백악관 안보부수석이 위원이며, 합참의장이나 정보부 책임자는 고문(advisor)일 뿐이다. 상급위원은 외무장관과 국방장관이다. 즉, 대통령, 외무장관, 국방장관 3명이 NSC의 핵심 3인방이다.[1] 대한민국의 경우, NSC 자체가 대통령에 대한 자문(advice)기관이다.[1]
4. 기능
의장은 대통령이나 총리 등이 맡는 경우가 많다. 부통령이나 부총리, 내무부 장관, 외교부 장관, 국방부 장관, 재무부 장관 등의 중요 각료가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군주제 국가에서 군주의 권한이 강한 국가에서는 군주가 참여하기도 한다.
해군 장관이나 육군 장관 등 군 관계자가 의원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있지만, 표결 등에는 참여하지 않는 등 군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도 있다.
5. 국가별 NSC
의장은 대통령이나 총리 등이 맡는 경우가 많다. 기타 구성원은 부통령이나 부총리, 내무부 장관, 외교부 장관, 국방부 장관, 재무부 장관 등의 중요 각료가 취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군주제 국가에서 군주의 권한이 강한 국가에서는 군주가 참여하기도 한다. 해군 장관이나 육군 장관 등 군 관계자가 의원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있지만, 표결 등에는 참여하지 않는 등 군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도 있다.국가 NSC 명칭 국가안전보장회의 연방안전보장평의회 러시아 안전보장회의 타타르 안전보장회의 루마니아 최고국방위원회 말레이시아 국가안전회의 멕시코 국가안전보장회의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베트남 보안국방위원회 프랑스 국가안전보장방위회의 브라질 국방위원회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안전보장회의 스리랑카 국가안전보장회의 스페인 국가안전보장회의 국가안전보장위원회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가입안전보장회의 에스토니아 국방위원회 에콰도르 국가안전보장회의 엘살바도르 국가안전보장회의 우루과이 국가안전보장회의 우크라이나 국가안전보장방위회의 영국 국가안전보장회의 이란 최고국가안전보장회의 이스라엘 국가안전보장회의 이집트 국가안전보장회의 인도 국가안전보장회의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조지아 국가안전보장회의 압하지야 안전보장회의 중화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국가안전위원회 칠레 국가안전보장회의 카자흐스탄 안전보장회의 크로아티아 국가안전보장회의 타이 국가안전보장회의 터키 국가안전보장회의 파키스탄 국가안전보장회의 피지 국가안전보장회의 필리핀 국가안전보장회의
5. 1. 아시아
대한민국의 국가안전보장회의는 대통령실 벙커에서 회의를 개최하며, 대통령에게 국가 안보 관련 자문을 제공한다.[1]
일본의 국가안전보장회의는 내각에 설치되어 국가 안보에 관한 중요 사항과 중대한 긴급사태 대응을 심의한다. '일본판 NSC'라고도 불린다.[2] 2013년 1월 말리 분쟁과 관련, 알제리에서 알카에다가 일본인 인질 12명을 살해했을 때,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미국 NSC와 유사한 NSC를 일본에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국가안전위원회, 중화민국의 중화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가 있으며, 이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였다. 대한민국의 NSC가 대통령궁 지하벙커에서 열리며, 전쟁에서 실질적인 전시 작전권을 행사하는 "긴급비상회의" 성격인데 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NSC인 국방위원회는 주석궁 지하벙커가 아닌 지상에서 개최되는 평시 공식 회의 기관이라서 "실질적인 의미"가 다르다.
이 외에도 인도의 인도 국가안전보장회의, 이란의 이란 최고국가안전보장회의, 이스라엘의 이스라엘 국가안전보장회의, 말레이시아의 말레이시아 국가안전회의, 파키스탄의 파키스탄 국가안전보장회의, 필리핀의 필리핀 국가안전보장회의, 사우디아라비아의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안전보장회의, 스리랑카의 스리랑카 국가안전보장회의, 타이의 타이 국가안전보장회의, 베트남의 베트남 보안국방위원회가 있다.
5. 2. 유럽
5. 3. 아메리카
5. 4. 오세아니아
피지 국가안전보장회의
5. 5. 아프리카
المجلس الأمن القومي المصري|알마즐리스 알람 알카우미 알미스리ar
5. 6. 독립국가연합(CIS)
Содружество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소드루제스트보 네자비시미흐 고수다르스트프|독립국가연합ru
참조
[1]
웹사이트
Home
http://www.nsc.gov.m[...]
[2]
뉴스
National Security and Intelligence role created
http://www.scoop.co.[...]
2014-10-07
[3]
웹사이트
Outline of security portfolio responsibilities
http://img.scoop.co.[...]
2014-10-07
[4]
웹사이트
(Title not available in provided text)
https://www.regering[...]
[5]
웹사이트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national security at the centre of government
http://www.institute[...]
Institute for Government & King's College London
2014-11-06
[6]
웹사이트
National Security Council
https://www.gov.uk/g[...]
Gov.uk
2014-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