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카유 935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카유 9352는 밤하늘에서 고유 운동량이 네 번째로 큰 별로, 연간 6.9초각 속도로 움직인다. 분광형은 M0.5 V의 적색 왜성이며, 질량은 태양의 약 절반, 반지름은 약 46%이다. 2020년에는 라카유 9352를 공전하는 두 개의 슈퍼 지구 행성이 발견되었으며,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할 수 있는 세 번째 행성의 존재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쪽물고기자리 - HD 205739 b
HD 205739 b는 목성 질량의 1.37배인 외계 행성으로, 279.8일 주기로 0.896 AU 거리에서 HD 205739 주위를 공전하며 궤도 이심률은 0.27이다. - 남쪽물고기자리 - 포말하우트 b
포말하우트 b는 한때 외계 행성으로 여겨졌으나, 허블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두 소행성 충돌로 생성된 먼지 구름으로 밝혀졌으며, NASA 외계 행성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 국부 거품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국부 거품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적색왜성 - 카노푸스
카노푸스는 용골자리에 있는 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로, 태양보다 1만 배 이상 밝은 F형 초거성이며, 고대부터 항해와 우주 탐사에 활용되어 온 중요한 천체이다. - 적색왜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라카유 9352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남쪽물고기자리 |
겉보기 등급 | 7.34 |
절대 등급 | 9.8 |
분광형 | M0.5V |
B-V 색 지수 | +1.50 |
U-B 색 지수 | +1.18 |
변광성 여부 | 의심됨 |
![]() | |
위치 및 운동 | |
시선 속도 | +9.7 km/s |
고유 운동 (적경) | +6,765.995 mas/yr |
고유 운동 (적위) | +1,330.388 mas/yr |
연주 시차 | 304.1354 mas |
물리적 특성 | |
질량 | 0.479 ± 0.011 태양 질량 |
반지름 | 0.474 ± 0.008 태양 반지름 |
광도 | 0.0368 ± 0.0006 태양 광도 |
표면 온도 | 3,672 ± 36 K |
금속 함량 ([Fe/H]) | -0.22 ± 0.09 |
표면 중력 (log g) | 4.78 |
자전 속도 | 1 km/s |
나이 | 45억 7천만 년 |
식별 정보 | |
HD 번호 | 217987 |
CD 번호 | CD-36°15693 |
GCTP 번호 | 5584 |
GJ 번호 | 887 |
LHS 번호 | 70 |
SAO 번호 | 214301 |
LTT 번호 | 9348 |
LFT 번호 | 1758 |
Cordoba 번호 | 31353 |
NSV 번호 | 14420 |
HIP 번호 | 114046 |
UGPMF 번호 | 591 |
SIMBAD | NAME LACAILLE 9352 |
2. 특징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작성한 항성 목록에 포함된 적색왜성이다. 이 별은 밤하늘에서 관측되는 천체 중 고유운동이 네 번째로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특징은 1881년 미국의 천문학자 벤자민 굴드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되었다.[3] 라카유 9352는 질량과 반지름이 모두 태양의 약 절반 정도인 작은 별이며, 각지름이 측정된 최초의 적색왜성 중 하나라는 점에서 천문학적 의미를 갖는다.[4]
2020년에는 이 별 주위를 도는 슈퍼지구급 외계 행성 후보 두 개가 시선 속도법을 통해 발견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2. 1. 물리적 특징
이 별의 스펙트럼 분석 결과 분광형은 M0.5 V로 주계열성 단계의 적색왜성에 해당한다. 라카유 9352는 각지름이 최초로 측정된 적색왜성 중 하나이며,[4] 실제 반지름은 태양의 약 47%이다. 질량은 태양의 절반 정도이며, 외부 대기의 유효 온도는 약 3,670,000이다. 겉보기 밝기는 7등급으로, 육안으로는 관측할 수 없다. 이 별은 변광성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라카유 9352는 밤하늘 천체들 중 고유운동이 네 번째로 큰 별로 알려져 있다. 이 큰 고유운동은 1881년 미국의 천문학자 벤자민 굴드(Benjamin Gould)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3] 연간 6.9 초각의 속도로 하늘에서 위치를 바꾸고 있다. 하지만 1도가 3600 초각임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작은 움직임이다. 이 별의 우주속도 요소들은 (U, V, W) = (−93.9, −14.1, −51.4) km/s이다. 만약 시선속도 (''Vr'')가 +9.7 km/s라면, 이 별은 지금으로부터 약 2,700년 전에 태양에 약 10.63ly까지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라카유 9352에 가장 가까운 항성계는 약 4.1ly 떨어져 있는 물병자리 EZ별이다. 이 별은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작성한 항성 목록에도 포함되어 있다.
2. 2. 운동학적 특징
이 별은 밤하늘 천체들 중 고유운동이 네 번째로 크며, 이는 1881년 벤자민 굴드가 처음 발견했다. 연간 이동량은 6.9 초각이다. 1도가 3600 초각임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작은 움직임이다. 라카유 9352의 우주속도 요소는 (U, V, W) = (−93.9, −14.1, −51.4) km/s이다. 시선속도 (''Vr'')가 +9.7 km/s임을 고려하면, 이 별은 약 2,700년 전에 태양으로부터 약 10.63 광년(3.26 파섹)까지 접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3. 행성계
2000년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라카유 9352 주변에서 갈색 왜성이나 목성형 행성은 발견되지 않았다.[5] 당시 연구에서는 항성으로부터 약 0.22 AU 거리에 지구형 행성이 있다면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에 충분한 열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2020년 6월, 도플러 분광법(시선 속도법)을 이용한 관측 결과, 라카유 9352 주위를 공전하는 슈퍼 지구 크기의 행성 2개(라카유 9352 b, 라카유 9352 c)가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이 발견은 칠레의 HARPS와 하와이의 HIRES 관측 데이터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약 50.7일의 주기를 가진 세 번째 신호도 함께 보고되었는데, 이는 항성 활동에 의한 것일 수도 있지만, 만약 행성(가칭 라카유 9352 d)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이 행성은 생명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다.[6][7]
모항성인 라카유 9352는 다른 많은 적색왜성들과 달리 항성 활동이 비교적 온화한 편이다. 이 때문에 라카유 9352 행성계의 행성들은 모항성으로부터 강한 항성풍에 의해 대기가 우주 공간으로 소실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6][7]
아래는 라카유 9352 행성계의 주요 정보이다.[6]
행성 | 최소 질량 (MEarth) | 공전 주기 (일) | 궤도 장반경 (AU) | 이심률 |
---|---|---|---|---|
b | ≥4.2 ± 0.6 | 9.262 ± 0.001 | 0.068 ± 0.002 | 0.09 (+0.09/-0.06) |
c | ≥7.6 ± 1.2 | 21.789 (+0.004/-0.005) | 0.120 ± 0.004 | 0.22 (+0.09/-0.10) |
d (미확인) | ~8.3 | ~50.7 | ~0.21 | 0.25 (+0.20/-0.15) |
3. 1. 라카유 9352 b
2020년 6월, 시선 속도법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 라카유 9352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인 라카유 9352 b가 발견되었다.[6][7] 이 발견은 칠레의 HARPS와 하와이의 HIRES 망원경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루어졌다.라카유 9352 b는 지구보다 질량이 큰 암석 행성인 슈퍼 지구로 분류되며, 최소 질량은 지구 질량의 약 4.2 ± 0.6 배로 추정된다. 이 행성은 모항성 라카유 9352로부터 약 0.068 ± 0.002 AU 떨어진 거리에서 약 9.262 ± 0.001일의 공전 주기로 공전한다. 궤도 이심률은 약 0.09로, 비교적 원에 가까운 궤도를 가진다.
라카유 9352 b는 또 다른 슈퍼 지구인 라카유 9352 c와 함께 발견되었으며, 약 50.7일 주기의 세 번째 행성 후보 신호도 감지되었으나 이는 항성 활동에 의한 것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모항성인 라카유 9352는 다른 많은 적색왜성에 비해 항성 활동이 상대적으로 조용하여, 행성 b가 강한 항성풍에 의해 대기를 잃어버릴 대기 손실 위험이 비교적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6][7]
3. 2. 라카유 9352 c
2020년 6월, 도플러 분광법(시선 속도법)을 이용한 관측 결과, 라카유 9352 항성 주위를 도는 슈퍼 지구 크기의 행성 라카유 9352 c가 확인되었다. 이 발견은 칠레의 HARPS와 하와이의 HIRES 관측 데이터를 통해 이루어졌다. 라카유 9352 c는 함께 발견된 라카유 9352 b보다 바깥쪽 궤도를 공전한다.라카유 9352 c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매개변수 | 값 |
---|---|
최소 질량 | ≥7.6 ± 1.2 MEarth |
공전 주기 (P) | 21.789 ± 0.005 일 |
궤도 장반경 (a) | 0.120 ± 0.004 AU |
이심률 (e) | 0.22 ± 0.10 |
모항성인 라카유 9352는 다른 많은 적색 왜성들과 달리 항성 활동이 비교적 온화한 편이다. 이 때문에 라카유 9352 c는 모항성으로부터 받는 빛의 양이 지구보다 많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항성풍에 의해 행성 대기가 우주 공간으로 소실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6][7]
3. 3. 라카유 9352 d (미확인)
2020년 6월, 라카유 9352를 시선 속도법으로 관측한 결과, 약 50.7일의 주기를 가진 세 번째 신호가 보고되었다. 이 신호는 항성 활동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지만, 만약 행성(가칭 라카유 9352 d)에 의한 것이라면, 이 행성은 생명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다.[6][7] 관측에는 칠레의 HARPS와 하와이의 HIRES 장비가 사용되었다.아직 존재가 확인되지 않은 이 행성 후보의 추정되는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6]
물리량 | 추정값 |
---|---|
최소 질량 | 지구 질량의 약 8.3배 이상 |
공전 주기 | 약 50.7일 |
궤도 장반경 | 약 0.21 AU |
이심률 | 약 0.25 (추정 범위 0.10 ~ 0.45) |
라카유 9352는 다른 많은 적색왜성과 달리 항성 활동이 비교적 온화하여, 만약 행성 d가 생명 가능 영역에 존재한다면 항성풍에 의한 대기 손실의 위험이 적을 수 있다.[6][7]
4. 추가 연구
2000년에 발표된 허블 우주 망원경을 사용하여 수행된 연구에서는 라카유 9352 주변에서 갈색 왜성이나 목성형 행성은 발견되지 않았다.[5] 항성으로부터 약 0.22 AU 떨어진 위치에 지구형 행성이 있다면,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에 충분한 열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020년 6월, 도플러 분광법 관측을 통해 라카유 9352 주위를 공전하는 슈퍼 지구 크기의 행성 2개가 발견되었다. 각각의 공전 주기는 9.3일과 21.8일이며, 약 50일 주기로 공전하는 또 다른 슈퍼 지구의 존재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아직 확인되지 않은 이 세 번째 행성 후보는 항성의 생물권 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라카유 9352는 다른 많은 적색왜성과 달리 항성 활동이 비교적 온화한 편이다. 따라서 이 행성들은 지구보다 더 많은 빛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항성에서 방출되는 항성풍에 의해 대기가 우주 공간으로 소실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6][7]
행성 | 최소 질량 ( M⊕ ) | 공전 주기 ( 일 ) | 궤도 장반경 ( AU ) | 이심률 |
---|---|---|---|---|
b | ≥4.2 ± 0.6 | 9.262 ± 0.001 | 0.068 ± 0.002 | 0.09 (+0.09/-0.06) |
c | ≥7.6 ± 1.2 | 21.789 (+0.004/-0.005) | 0.120 ± 0.004 | 0.22 (+0.09/-0.10) |
d (미확인) | ~8.3 (가정) | ~50.7 | 자료 없음 | 0.25 (+0.20/-0.15) |
참조
[1]
Gaia EDR3
[2]
웹사이트
Solstation and ChView
http://www.solstatio[...]
2010-04-20
[3]
간행물
Corrigenda in the Uranometria Argentina. Star with large proper motion
https://zenodo.org/r[...]
[4]
웹사이트
Giant Eyes for the VLT Interferometer First Scientific Results with Combined Light Beams from Two 8.2-m Unit Telescopes
https://www.eso.org/[...]
ヨーロッパ南天天文台
2001-11-05
[5]
간행물
A Search for Faint Companions to Nearby Stars Using the Wide Field Planetary Camera 2
[6]
웹사이트
Compact System of Super-Earths Found around Lacaille 9352
http://www.sci-news.[...]
2020-06-26
[7]
웹사이트
11光年彼方の恒星にスーパーアースの惑星系を発見
https://www.astroart[...]
2020-07-02
[8]
웹인용
Solstation and ChView
http://www.solstatio[...]
2010-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