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파엘 렘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파엘 렘킨은 폴란드계 유대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만행을 목격하고 '제노사이드'라는 용어를 만들어 국제법상 범죄로 만들고자 노력한 법학자이다. 그는 1933년 국제 형사법 회의에서 '야만 행위의 범죄' 개념을 제시하고, 1944년 저서 《점령된 유럽의 추축국 통치》에서 '제노사이드'를 정의했다. 렘킨은 2차 세계대전 중 미국으로 망명하여 '제노사이드' 협약 채택을 위해 활동했으며, 1948년 유엔에서 '집단 학살 범죄의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이 채택되는 데 기여했다. 렘킨은 생전에 여러 상을 받았으며, 사후에도 그의 업적은 재조명되어 국제법과 인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온주의자 - 테오도어 헤르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 언론인이자 작가인 테오도어 헤르츨은 반유대주의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시온주의 운동을 창시하고 『유대인 국가』를 통해 이념적 기반을 다졌으며, 시온주의 회의를 개최하여 국제적인 운동으로 발전시켜 이스라엘 건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시온주의자 - 얀 스뮈츠
얀 스뮈츠는 보어 전쟁,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국제 연맹과 국제 연합 설립에 기여했으며, 전체론 철학을 발전시킨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군인, 정치가, 철학자였다. - 폴란드의 반공주의자 - 레흐 바웬사
레흐 바웬사는 폴란드의 노동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자유 노조 '연대'를 창립하고 1980년 그단스크 조선소 파업을 주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노벨 평화상 수상 후 폴란드 대통령을 역임하며 민주주의 체제 전환을 주도했으나, 공산 정권 협력 의혹과 보수적 입장으로 논란이 되기도 한다. - 폴란드의 반공주의자 - 레흐 카친스키
레흐 카친스키는 폴란드의 반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연대' 노동조합에서 활동한 후 바르샤바 시장을 거쳐 2005년부터 2010년 사망할 때까지 폴란드 대통령을 역임한 법과 정의당 출신의 정치인이다. - 폴란드 유대인 - 카지미에시 파얀스
카지미에시 파얀스는 폴란드 태생의 물리화학자로, 방사능 화학 및 무기화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프로트악티늄 발견, 파얀스-소디의 방사성 변위 법칙 공식화, 이온 결합 성질 예측 파얀스 규칙 제시 등이 주요 업적이다. - 폴란드 유대인 - 요아브 갈란트
요아브 갈란트는 이스라엘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이스라엘 해군 특수부대에서 복무하고 가자 사단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방부 장관을 거쳐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중 논란이 되어 국제형사재판소의 체포 영장이 발부되었다.
| 라파엘 렘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라파우 렘킨 |
| 출생일 | 1900년 6월 24일 |
| 출생지 | 베즈보드네, 볼코비스크현, 그로드노현, 러시아 제국 (현재 젤바군, 흐로드나주, 벨라루스) |
| 사망일 | 1959년 8월 28일 |
| 사망지 | 미국 뉴욕 |
| 국적 | 폴란드 |
| 직업 | 변호사 |
| 학력 | 리비우 대학교 |
| 알려진 업적 | 집단살해 용어 창안 집단살해죄의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 초안 작성 |
| 이름 | |
2. 생애
2. 1. 초기 생애 (1900-1926)
라파엘 렘킨은 1900년 6월 24일 당시 러시아 제국의 영토였던 베즈보드네(현재 벨라루스 그로드노현 볼코비스크군)에서 폴란드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0] 렘킨의 아버지는 농부였고, 어머니는 화가이자 언어학자로 문학, 역사, 철학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가진 지식인이었다.[10] 렘킨과 그의 두 형제는 어머니로부터 가정교육을 받았다.[10]어린 시절 렘킨은 역사 속 잔혹 행위에 관심을 가졌으며, 카르타고 약탈, 몽골의 침략과 정복, 위그노 박해 등에 대해 어머니에게 질문하곤 했다.[11] 12세 때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소설 《쿠오바디스》를 읽고 네로가 기독교인들을 사자에게 던져주는 부분에서 큰 충격을 받았다.[11] 렘킨은 동부 폴란드의 유대인들이 겪는 고통이 역사와 전 세계에 걸친 불의와 폭력의 더 큰 패턴의 일부라고 생각했다.[11]
제1차 세계 대전 중 렘킨 가족의 농장은 러시아군과 독일군 간의 전투 지역에 위치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11] 가족은 숲으로 피신했으나, 포격으로 집이 파괴되고 농작물과 가축을 잃었으며, 렘킨의 형제 사무엘은 폐렴과 영양실조로 사망했다.[11]
전쟁 후 렘킨은 비아위스토크의 직업 학교를 졸업하고 우크라이나 르비우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공부했다.[12] 그는 9개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14개 언어를 읽을 수 있는 다언어 구사자였다.[12] 1926년에는 하임 나흐만 비알리크의 히브리어 소설을 폴란드어로 번역하여 출판하기도 했다.[13][14][15] 이후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다가 1926년 르비우로 돌아와 법학을 공부했다.
렘킨은 1921년 소고몬 테흘리리안이 아르메니아 학살의 주범인 탈라트 파샤를 암살한 사건을 접하고 전쟁 범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23] 그는 율리우스 마카레비치 교수에게 탈라트 파샤가 왜 독일 법원에서 자신의 범죄에 대해 재판을 받지 않았는지 질문했다.[24] 마카레비치는 국가 주권 교리에 따라 정부가 내부 문제를 자유롭게 처리할 권리가 있다고 답했지만, 렘킨은 주권이 수백만 명의 무고한 사람들을 죽일 권리로 여겨질 수 없다고 반박했다.[24][25] 1920년대에 렘킨은 시온주의 활동에 참여하여 바르샤바에 본부를 둔 이디시 시온주의 신문 ''치에니스티셰 벨트(Tsienistishe velt)''의 칼럼니스트로 활동했다.[26][27]
2. 2. 폴란드에서의 활동 (1926-1939)
렘킨은 브제자니(1945년부터는 우크라이나 베레자니)와 바르샤바 지방 법원의 검찰 보조원으로 일했으며, 이후 바르샤바에서 개인 변호사로 활동했다.[31] 1929년부터 1934년까지는 바르샤바 지방 법원의 검사였고, 1930년에는 브제자니 지방 법원 부검사로 승진했다. 검사 재직 중, 렘킨은 폴란드 형법전 편찬 위원회 비서로도 활동했다.[31] 이 시기 렘킨은 바르샤바의 종교 시오니스트 타흐케모니 칼리지에서 법을 가르치고,[26][27] 시오니스트 기금 모금에도 참여했다.[26] 듀크 대학교 법학 교수 말콤 맥더멋과 함께 폴란드 형법을 폴란드어에서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1933년, 렘킨은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형사법에 관한 국제 연맹 회의의 법률 위원회에서 국제법상 범죄로서 '야만 행위의 범죄'를 다룬 에세이를 발표했다.[31] 1934년, 마드리드 회의에서의 발언으로 폴란드 외무부의 압력을 받아 검사직에서 사임하고 바르샤바에서 개인 변호사로 복귀했다. 바르샤바에 있는 동안 자유 폴란드 대학교에서 에밀 스타니스와프 라파포트와 바츠와프 마코프스키/Wacław Makowskipl의 수업을 포함한 여러 강연에 참석했다.
1937년, 렘킨은 파리에서 열린 제4차 형사법 회의에 폴란드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하여 형사법을 통한 평화 옹호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시기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폴란드 형사 재정법 요약집 Prawo karne skarbowepl (1938)와 국제 무역법에 관한 프랑스어 저작 La réglementation des paiements internationaux프랑스어 (1939)가 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망명 (1939-1945)
1939년 9월 6일 바르샤바를 떠난 렘킨은 볼코비스크로 향했으나, 스탈린과 히틀러 간의 조약으로 폴란드의 독립이 사라지면서 독일군을 피해 리투아니아를 거쳐 1940년 초 스웨덴에 도착했다.[32][33]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나치 법령과 칙령을 수집, 분석하여 독일의 행동 패턴을 연구했고, 독일이 통제하는 국가들의 전면적인 파괴를 목표로 함을 간파했다.[34] 1941년, 전쟁 전 동료 맥더멋의 도움으로 미국에 입국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35][33] 그는 홀로코스트로 49명의 친척을 잃었지만, 그의 형제 엘리아스와 가족은 소련 강제 노동 수용소에서 살아남아 1948년 캐나다 몬트리올로 이민을 가도록 도왔다.
미국에 도착한 후, 1941년 듀크 대학교 법학부에 합류했고,[36] 1942년 여름 버지니아 대학교 군정 학교에서 강의했다. 1943년에는 미국 경제전 위원회 및 외국 경제 관리국의 컨설턴트, 국방부의 외교 특별 고문으로 임명되었다.[37] 1944년 11월, 카네기 국제 평화 기금은 그의 대표작이 될 ''점령된 유럽의 추축국 통치''를 출판했다. 이 책에는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나치 독일이 점령한 국가에 대한 독일 통치에 대한 광범위한 법적 분석과 함께 ''대량 학살''이라는 용어의 정의가 포함되었다.[38] 국제법에 대한 범죄로서의 렘킨의 대량 학살 개념은 국제 사회에서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의 법적 근거 중 하나가 되었다. 1945년부터 1946년까지 렘킨은 미국 대법원 판사이자 뉘른베르크 재판 수석 변호사인 로버트 H. 잭슨의 고문이 되었다.[39]
2. 4. 제노사이드 협약 채택 노력과 이후 활동 (1945-195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라파엘 렘킨은 미국에 남아 제노사이드 협약 채택을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40] 1948년부터 예일 대학교에서 형법을 강의했고, 1955년에는 럿거스 로스쿨의 법학 교수가 되었다.[40] 렘킨은 1933년 마드리드 회의 이후 집단 학살을 정의하고 금지하는 국제법 제정을 지속적으로 옹호해왔다.[41]렘킨은 여러 국가에 집단 학살 협약 조약 초안을 제출하고, 미국의 지원을 받아 유엔 총회에 상정하여 심의를 받도록 했다. 레바논 대표들이 그의 지지자였으며, 특히 카림 아즈쿨을 동맹으로 여겼다.[42] 집단 학살 범죄의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은 1948년 12월 9일 유엔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43] 1951년, 20번째 국가가 조약을 비준하면서 집단 학살 범죄의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이 발효되어 렘킨의 목표는 부분적으로 달성되었다.[44]
렘킨은 시온주의자였지만, 유엔에서 아랍 및 무슬림 대표들이 유엔 집단 학살 협약을 지지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자신의 시온주의적 동정을 축소했다.[26][47] 1953년부터 1957년까지 렘킨은 이집트와 같은 여러 정부의 대표들과 직접 협력하여 이러한 국가의 국내 형법에 따라 집단 학살을 불법화했다. 또한 유엔의 아랍 대표단 변호사 팀과 협력하여 알제리에서 프랑스 관리를 집단 학살 혐의로 기소하기 위한 사건을 구축했다.[48] 렘킨은 1953년 뉴욕시에서 "우크라이나의 소련 집단 학살"이라는 연설을 통해 '집단 학살'이라는 용어를 적용하기도 했다.[49]
2. 5. 사망과 유산
렘킨은 말년에 뉴욕의 한 아파트에서 가난하게 살았으며,[53] 1959년 59세의 나이로 심근 경색으로 뉴욕에서 사망했다.[54] 그의 장례식에는 리버사이드 교회에서 몇몇 가까운 사람들만 참석했으며,[55] 플러싱 (퀸스)에 있는 마운트 헤브론 묘지에 안장되었다.[56][57] 렘킨은 사망 당시 ''대량 학살 연구 입문''과 3권으로 구성된 ''대량 학살의 역사'' 등 여러 미완성 저작물을 남겼다.[58]렘킨은 집단 학살 방지 협약 제정을 위해 노력했지만, 정작 그가 입양한 미국은 그가 살아있는 동안 협약을 비준하지 않았다.[59] 그는 자신의 노력이 실패했다고 믿었지만, 1990년대 옛 유고슬라비아와 르완다에서 발생한 잔혹 행위를 계기로 국제적인 집단 학살 기소가 시작되면서 그의 업적이 재조명받기 시작했다.[60]
렘킨은 국제법과 전쟁 범죄 예방에 기여한 공로로 1950년 쿠바의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 훈장 대십자장, 1951년 미국 유대인 회의의 스티븐 와이즈 상, 1955년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등 여러 상을 받았다.[61] 유엔 사무총장은 협약 발효 50주년을 기념하여 렘킨을 "도덕적 참여의 고무적인 본보기"라고 칭송했으며, 그는 노벨 평화상 후보로 10번이나 지명되었다.[61] 1989년에는 사후에 예배의 자유를 위한 4개의 자유상을 수상했다.[62]
렘킨은 캐서린 필루의 연극 ''렘킨의 집''(2005)[63]과 로버트 스클루트의 연극 ''전체가 죽으면: 라파엘 렘킨과 집단학살 방지 조약''(2006)의 주제가 되었다.[64] 그는 또한 2014년 미국 다큐멘터리 영화 ''하늘의 감시자들''에서도 다루어졌다.
매년, 인권 랍비 협회(''T’ruah'')는 그의 유대교적 가치를 활용하여 인권 지도자가 된 평신도에게 라파엘 렘킨 인권상을 수여한다.[65]
2015년 11월 20일, 렘킨의 논문 ''우크라이나의 소련 집단학살''은 러시아에서 배포가 금지된 "극단주의 출판물" 목록에 추가되었다.[66][67]
2018년 9월 15일, 우크라이나계 캐나다 시민 자유 재단과 미국의 지지자들은 렘킨이 홀로도모르를 인정한 것을 기리는 명판을 뉴욕시의 미국 우크라이나 연구소에 공개했다.
3. 제노사이드 개념
3. 1. 제노사이드 개념의 창안
렘킨은 1933년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형사법 회의에서 '야만 행위의 범죄'(crime of barbarity)와 '반달리즘'(vandalism)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특정 집단을 파괴하려는 의도를 가진 행위를 국제법으로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44년에는 저서 《점령된 유럽의 추축국 통치》에서 '제노사이드'(genocide)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이 개념을 민족, 종교, 인종 집단을 의도적으로 파괴하는 행위로 정의했다.3. 2. 제노사이드의 정의와 구성 요소
3. 3. 제노사이드 협약
4. 비판과 논쟁
4. 1. 제노사이드 개념의 확장과 적용
4. 2. 소련의 우크라이나 대기근(홀로도모르)에 대한 입장
5. 한국에의 시사점
5. 1. 한국 사회와 제노사이드 문제
5. 2. 북한 인권 문제
5. 3. 역사 교육과 화해
참조
[1]
웹사이트
Raphael Lemkin and the Genocide Convention | Facing History & Ourselves
https://www.facinghi[...]
2020-05-12
[2]
웹사이트
Coining a Word and Championing a Cause: The Story of Raphael Lemkin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21-09-23
[3]
문서
γένος
https://www.perseus.[...]
[4]
뉴스
Polish Jew gave his life defining, fighting genocide
http://www.cnn.com/2[...]
CNN
2008-12-02
[5]
웹사이트
Coining a Word and Championing a Cause: The Story of Raphael Lemkin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21-09-23
[6]
간행물
What is Genocide?
https://www.ushmm.or[...]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17-02-07
[7]
웹사이트
Raphael Lemkin and the Genocide Convention | Facing History & Ourselves
https://www.facinghi[...]
2020-05-12
[8]
웹사이트
Coining a Word and Championing a Cause: The Story of Raphael Lemkin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21-09-23
[9]
웹사이트
Raphael Lemkin and the Genocide Convention | Facing History & Ourselves
https://www.facinghi[...]
2020-05-12
[10]
서적
The Historiography of Genocide
Palgrave MacMillan
2008
[11]
문서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
[12]
웹사이트
NAPF Programs: Youth Outreach: Peace Heroes: Raphael Lemkin, by Holly A. Lukasiewicz
http://www.wagingpea[...]
2005-02-10
[13]
논문
Bialik's Prose, and His Poetry Too
https://www.jstor.or[...]
2001
[14]
문서
Khayim-Nakhmen Byalik (Chaim Nachman, Hayim Nahman Bialik)
http://yleksikon.blo[...]
[15]
서적
East West Street
Penguin Randomhouse
2016
[16]
서적
The Banality of Denial: Israel and the Armen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04
[17]
서적
Genocide in international law: the crimes of crim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8]
문서
Genocide and settler society: frontier violence and stolen indigenous children in Australian history
http://sydney.edu.au[...]
Berghahn Books
2004
[19]
웹사이트
Coining a Word and Championing a Cause: The Story of Raphael Lemkin
http://www.ushmm.org[...]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USHMM), Holocaust Encyclopedia.
[20]
웹사이트
Genocide Background
http://www.jewishwor[...]
Jewish World Watch.
2015-04-11
[21]
문서
Raphael Lemkin
https://web.archive.[...]
2001-06-22
[22]
뉴스
Raphael Lemkin: 'The Unofficial Man'
1989-06
[23]
뉴스
Operation Nemesis
https://www.npr.org/[...]
NPR
2021-09-23
[24]
서적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25]
서적
Justifying Genocide: Germany and the Armenians from Bismarck to Hitle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26]
논문
Becoming Cleopatra: the forgotten Zionism of Raphael Lemkin
https://www.tandfonl[...]
2017-07-03
[27]
서적
The Biographical Landscapes of Raphael Lemki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
[28]
간행물
The Many Types of Destruc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29]
서적
The Problems of Genocide: Permanent Security and the Language of Transgres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30]
웹사이트
Discussion: Revision to Genocide
https://hazmanhazeh.[...]
Van Leer Jerusalem Institute
2024-06-23
[31]
문서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
[32]
문서
East West Street
[33]
문서
Modern Genocide: The Definitive Resource and Document Collection
[34]
문서
Sands
[35]
서적
East West Street: On the Origins of "Genocide" and "Crimes Against Humanity"
Alfred A. Knopf
2016-05-27
[36]
웹사이트
The Man Who Criminalized Genocide
http://www.dukemagaz[...]
Duke Magazine
2014-01-11
[37]
웹사이트
Coining a Word and Championing a Cause: The Story of Raphael Lemkin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21-09-23
[38]
서적
Axis Rule in Occupied Europe: Laws of Occupation – Analysis of Government – Proposals for Redress
https://books.googl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Division of International Law
[39]
문서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0]
서적
THE LIFE AND WORKS OF RAPHAEL LEMKIN: A POLITICAL HISTORY OF GENOCIDE IN THEORY AND LAW
https://rucore.libra[...]
Rutgers University
2021-10-28
[41]
문서
Eshet
[42]
웹사이트
https://academic.oup[...]
2024-11-03
[43]
간행물
Citation The Genesis Of Genocide
History.Net
[4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e on Genocide Prevention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https://www.un.org/e[...]
[45]
웹사이트
"Axis Rule in Occupied Europe,'' Chapter IX: Genocide, by Raphael Lemkin, 1944 – – Prevent Genocide International"
http://www.preventge[...]
2017-04-30
[46]
웹사이트
Sec. II of Chap. IX from "Axis Rule in Occupied Europe," by Raphael Lemkin, 1944 – – Prevent Genocide International
http://www.preventge[...]
2017-04-30
[47]
서적
Raphael Lemkin and the Struggle for the Genocide Conven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
[48]
문서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9]
간행물
Raphael Lemkin, Culture, and the Concept of Genocide
http://dx.doi.org/10[...]
2012-09-18
[50]
문서
Soviet Genocide in the Ukraine
https://willzuzak.ca[...]
[51]
간행물
Legal Accountability for the Holodomor-Genocide of 1932–1933 (Great Famine) in Ukraine
2015-11-03
[52]
간행물
The United Nations Resolution on Genocide
http://dx.doi.org/10[...]
Palgrave Macmillan UK
2021-10-22
[53]
문서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4]
웹사이트
Raphael Lemkin Collection
https://archives.cjh[...]
[55]
웹사이트
'In the Beginning, There Was No Word …'
https://academic.oup[...]
2023-02-24
[56]
문서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7]
서적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05-23
[58]
문서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9]
문서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0]
문서
Raphael Lemkin and the Concept of Genoci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1]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 Raphael Lemkin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4
2015-04-13
[62]
웹사이트
Four Freedoms Awards | Roosevelt Institute
http://www.roosevelt[...]
2015-03-25
[63]
웹사이트
Catherine Filloux – Playwright
http://www.catherine[...]
2017-04-30
[64]
웹사이트
"If The Whole Body Dies: Raphael Lemkin and the Treaty Against Genocide'' by Robert Skloot"
http://parallelpress[...]
2017-04-30
[65]
웹사이트
awards | T'ruah
https://www.truah.or[...]
[66]
웹사이트
Федеральный список экстремист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дорос до п. 3152
http://www.sova-cent[...]
2015-11-28
[67]
웹사이트
ФЕДЕРАЛЬНЫЙ СПИСОК ЭКСТРЕМИСТ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http://minjust.ru/ru[...]
2017-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