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는 가에타노 도니체티가 작곡한 오페라로, 1835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초연되었다.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가문의 원수 에드가르도와 사랑에 빠진 루치아가 오빠의 강요로 정략결혼을 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다룬다. 벨칸토 오페라의 대표작으로, 소프라노의 콜로라투라 기교가 돋보이는 아리아와 특히 '광란의 장면'이 유명하다. 1948년 한국 초연 이후 한국 오페라 무대에서 자주 공연되며, 개인의 자유와 사랑을 억압하는 봉건적 질서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칸토 오페라 - 노르마 (오페라)
《노르마》는 빈첸초 벨리니가 작곡하고 펠리체 로마니가 대본을 쓴 2막의 오페라로, 드루이드교 여사제 노르마와 로마 총독 폴리오네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리며, 벨칸토 오페라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 1835년 오페라 - 마리아 스투아르다
가에타노 도니체티가 작곡한 2막 오페라 마리아 스투아르다는 16세기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엘리자베스 1세와 메리 스튜어트의 갈등과 비극적 운명을 그리며, 초연의 어려움과 수정을 거쳐 재조명받아 현재 주요 극장에서 공연되는 표준 레퍼토리로 자리 잡고 있다. - 비극 오페라 - 폴리우토
폴리우토는 가에타노 도니체티가 피에르 코르네유의 비극을 바탕으로 작곡한 3막 오페라로, 로마 시대 아르메니아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로마인 폴리우토의 갈등과 순교를 다룬다. - 비극 오페라 - 안나 볼레나
가에타노 도니체티가 작곡하고 펠리체 로마니가 대본을 쓴 오페라 《안나 볼레나》는 헨리 8세의 두 번째 왕비 앤 불린의 삶을 그린 2막 비극으로, 1830년 밀라노 초연 이후 도니체티의 명성을 높였으며, 20세기 후반 재조명되어 유명 소프라노들의 공연과 녹음으로 이어졌다.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
2. 역사
이 작품의 원작은 스코틀랜드 작가 월터 스콧의 소설 《라머무어의 신부》(영''The bride of Lammermoor''영어, 1825년)이다. 이 소설은 마음에 들지 않는 약혼을 강요받은 신부가 신랑을 찌른 실제 사건(1669년)을 바탕으로 한다. 스콧은 무대를 18세기 초로 옮기고, 연인들의 이름을 루시와 에드가로 했다.
스콧의 여러 작품은 유럽에서 널리 읽혔으며, 로시니의 《호수의 여인》이나 비제의 《아름다운 퍼스의 아가씨》 등 다양한 오페라의 원작이 되었다. 도니체티 자신도 1829년에 스콧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Elisabetta al castello di Kenilworth''it를 작곡했다.
도니체티는 1835년에 《라머무어의 신부》를 원작으로 본작을 완성하여 7월 6일에 완성했다. 9월 26일부터의 상연은 대성공을 거두었다.
2. 1. 초연과 성공
1835년 9월 26일, 도니체티의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가 나폴리의 산 카를로 극장에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4] 그러나 초연 이후 나폴리에서의 공연 횟수는 1836년 4회, 1837년 16회, 1838년 2회, 1847년과 1848년에 각각 2회로, 나폴리 레퍼토리에 빠르게 자리 잡지 못했다.[4]1838년 4월 5일, 런던에서 초연되었고, 1839년 8월 6일에는 도니체티가 직접 수정한 프랑스어 버전 《Lucie de Lammermoor》가 파리 르네상스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1841년 5월 28일에는 뉴올리언스에서 미국 초연이 이루어졌다.[5]
2. 2. 20세기 이후
20세기 중반, 마리아 칼라스와 조앤 서덜랜드 등 여러 소프라노들이 이 오페라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었다.[6] 조앤 서덜랜드는 1961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광란의 장면을 연기했을 때 12분 동안 박수를 받았다.[31] 1903년부터 1972년까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레퍼토리에 한 번도 빠진 적이 없었으며, 오페라 레퍼토리의 주류로 남아있다.[6]3. 등장인물
배역 | 성악 부분 | 초연 가수 (1835년 9월 26일) |
---|---|---|
루치아 | 소프라노 | 파니 타키나르디 페르시아니 |
엔리코 아시톤 (람메르무어의 지주, 루치아의 형제) | 바리톤 | 도메니코 코셀리 |
에드가르도 (라벤스우드의 지주) | 테너 | 길베르 뒤프레 |
아르투로 푸클라우 경 (루치아의 신랑) | 테너 | Balestrieri |
라이몬도 비데벤트 (칼뱅교 목사) | 베이스 | 카를로 오톨리니 포르토 |
알리사 (루치아의 단짝 친구) | 메조소프라노 | 테레사 자푸치 |
노르만노 (엔리코의 부하) | 테너 | 아나페스토 로시 |
하인들과 결혼식 하객들 |
프랑스어판에서는 알리사와 노르만노가 삭제되었고, 라이몬도의 출현 빈도는 줄어들었으며, 질베르라는 인물이 추가되었다.
이탈리아어판 | 프랑스어판 |
---|---|
루치아 | Lucie Ashton|뤼시프랑스어 |
에드가르도 | Edgard Ravenswood|에드가르프랑스어 |
애슈턴 경 엔리코 | Henri Ashton|앙리 애슈턴프랑스어 |
아르투로 | Arthur|아르튀르프랑스어 |
라이몬도 | Raymond|레몽프랑스어 |
Gilbert|질베르프랑스어 |
4. 줄거리
Lucia di Lammermoorit는 17세기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는 비극적인 오페라이다.[11] 엔리코 아스톤은 기울어져 가는 가문을 일으키고자 여동생 루치아를 부유한 아르투로와 정략결혼시키려 하지만, 루치아는 가문의 원수인 에드가르도와 이미 사랑하는 사이였다. 엔리코는 에드가르도가 루치아에게 보내는 편지를 가로채 내용을 바꾸는 등 둘의 사랑을 방해한다.
이런 사실을 모르는 루치아는 에드가르도의 마음이 변했다고 오해하고 오빠의 강요로 아르투로와의 결혼을 승낙한다. 결혼식 날, 루치아가 결혼 증서에 서명하자 에드가르도가 나타나 결혼을 방해한다. 에드가르도는 성에서 쫓겨나고, 루치아는 절망에 빠져 신랑을 찔러 죽이고 자신도 자살한다. 에드가르도 또한 이 비극에 슬퍼하며 루치아의 무덤에서 자결한다.
4. 1. 1막
가에타노 도니체티가 작곡한 3막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1막은 람메르무어 성의 정원과 성 옆 정원의 샘가,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엔리코 아스톤 경은 기울어져 가는 가세를 일으키기 위해 여동생 루치아를 부유한 아르투로와 정략결혼시키려 한다. 그러나 루치아는 집안의 원수인 에드가르도와 사랑하는 사이였다. 엔리코는 에드가르도가 루치아에게 보내는 편지를 가로채 내용을 바꿔 전달하는 등 두 사람의 사랑을 방해한다.
1장은 람메르무어 성의 정원에서 시작된다. 성의 경비대장 노르만도와 부하들은 숲에 숨어든 수상한 기사를 찾는다. 엔리코는 루치아가 아르투로와의 결혼을 거절한다며 분노하고, 가정교사 라이몬드는 루치아가 어머니의 죽음으로 슬퍼하기 때문이라고 변명한다. 그러나 노르만도는 루치아가 에드가르도와 밀회한다고 폭로한다. 엔리코는 격분하여 복수를 다짐한다.
2장은 성 옆 정원의 샘가이다. 루치아는 시녀 알리사에게, 질투에 눈이 먼 레이븐스우드 가문의 한 남자가 사랑하는 여인을 죽였다는 샘에 그 여인의 유령이 보인다고 말한다. 알리사는 불길한 징조라며 사랑을 포기하라고 하지만, 루치아는 에드가르도를 향한 사랑을 노래한다. 에드가르도는 프랑스로 떠나기 전 루치아와 만나 결혼반지를 교환하며 영원한 사랑을 맹세한다.
4. 1. 1. 1장: 라벤스우드 성의 정원

엔리코 아스톤 경은 기울어져 가는 가문을 바로잡기 위해 그의 여동생인 루치아를 돈 많은 아르투로와 결혼시키려 한다. 그러나 루치아는 가문 대대로 원수지간인 에드가르도와 이미 사랑하고 있는 사이였다. 이를 눈치챈 오빠 엔리코는 에드가르도로부터 오는 사랑의 편지를 중간에서 가로채 내용을 바꿔 전달하는 등 방해한다.[12]
루치아는 에드가르도의 마음이 변했다고 원망하며 오빠가 강요하는 아르투로와의 결혼을 승낙한다. 사냥을 알리는 전주와 함께 레이븐스우드 성의 지휘관 노르만도와 사냥복을 입은 신하들이 나타난다. 신하들은 말을 탄 이상한 기사가 숲에 숨어 있는 것을 의심하여 숲속을 수색하러 간다. 성주인 엔리코는 루치아의 가정교사인 라이몬드를 데리고 등장하여,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위해 루치아를 아르투로와 정략 결혼시키려 한다고 말한다.[12]
엔리코는 라이몬드에게 루치아가 아르투로와의 결혼을 거절했다고 화를 내고, 라이몬드는 루치아가 어머니의 죽음을 슬퍼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변명한다. 그 소리를 듣고 있던 노르만도는 루치아가 원수 가문의 에드가르도와 비밀리에 만난다는 사실을 폭로한다. 엔리코는 "너는 무서운 꿈에도 있을 수 없는 일로 내 가슴의 눈을 뜨게 했도다(Cruda funesta smania)"라며 격분한다.[12]
이때 부하들이 돌아와 숲에 들어온 기사는 에드가르도라고 보고하고, 엔리코는 라이몬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복수를 맹세한다.[12]
4. 1. 2. 2장: 성 옆 정원의 샘가
루치아는 에드가르도를 기다린다. 그녀의 아리아 "Regnava nel silenzio|고요 속에 군림했었네it"에서, 루치아는 하녀 알리사에게 질투심에 눈이 먼 레이븐스우드 조상이 바로 그 자리에서 죽인 소녀의 유령을 보았다고 말한다.[12] 알리사는 유령이 경고라며 에드가르도에 대한 사랑을 포기해야 한다고 말한다.[12] 에드가르도가 나타나 정치적인 이유로 즉시 프랑스로 떠나야 한다고 알린다.[12] 그는 엔리코와 화해하고 루치아와 결혼하기를 바라지만, 루치아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12] 대신 그들은 결혼 서약을 하고 반지를 교환한 후 에드가르도는 떠난다.[12]4. 2. 2막
람메르무어 성 안의 호화로운 홀에서 아르투로를 환영하는 파티가 열리고, 기사와 귀족들이 그를 칭송하는 노래를 부른다. 아르투로는 "비통의 그늘은 사라지고 별빛은 빛난다(Per poco frale tenebre......)"라고 화답한다.결혼식에서 신부 차림을 한 루치아가 시녀 알리사와 가정교사 라이몬도의 부축을 받으며 등장한다. 엔리코는 루치아에게 결혼 서약서에 서명할 것을 강요하고, 루치아는 갈등하다 결국 서명한다.
이때 검은 망토를 입은 에드가르도가 나타나 결혼식을 방해하려 한다. 라이몬도가 중재에 나서지만 엔리코와 에드가르도는 칼을 맞대고, "나를 붙드는 것은 누구인가(Chimi frenain tal momento......)"로 시작하는 유명한 6중창이 펼쳐진다.
4. 2. 1. 1장: 아시톤 경의 저택
엔리코 아스톤 경은 기울어져 가는 가세를 바로잡기 위해 누이동생 루치아를 돈 많은 아르투로와 결혼시키려 한다. 그러나 루치아는 집안의 원수인 에드가르도와 사랑하는 사이였다. 엔리코는 에드가르도로부터 오는 편지를 가로채 내용을 바꾸는 등 방해한다. 루치아는 에드가르도가 변심했다고 오해하여 오빠의 강요로 아르투로와의 결혼을 승낙한다.엔리코는 심복 노르만도와 함께 루치아를 속이기 위한 계략을 꾸민다. 프랑스로 간 에드가르도가 변심했다는 내용의 거짓 편지를 루치아에게 보여주기로 한 것이다. 루치아가 나타나자 엔리코는 에드가르도와의 사랑을 포기하라고 하지만, 루치아가 듣지 않자 거짓 편지를 건넨다. 루치아는 편지를 보고 슬픔에 빠진다. 엔리코는 루치아에게 아르투로와의 결혼을 거절하면 정치적 생명을 잃고 사형당할 것이라며 압박한다.
라이몬도는 루치아에게 에드가르도의 답장이 오지 않는 것을 보면 편지가 중간에 가로채진 것 같다며, 이제는 양보할 수밖에 없다고 설득한다.[13]
4. 2. 2. 2장: 성의 홀
아르투로가 결혼을 위해 도착한다. 루치아는 괴로운 듯 보이지만, 엔리코는 이것이 어머니의 죽음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아르투로는 결혼 계약서에 서명하고, 루치아가 마지못해 뒤따른다.[13] 그때 에드가르도가 갑자기 홀에 나타나 유명한 6중창 ''그 순간 나를 막는 자는 누구인가''(Chi mi frena in tal momento)가 이어진다.[13] 라이몬도는 싸움을 막고, 에드가르도에게 루치아가 결혼 계약서에 서명한 것을 보여준다. 에드가르도는 그녀를 저주하며 서로 반지를 돌려줄 것을 요구한다. 그는 반지를 땅에 짓밟고, 성에서 쫓겨난다.[13]4. 3. 3막
3막은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울프크래그): 엔리코가 에드가르도를 찾아와 결투를 신청하고, 두 사람은 레이븐스우드 가문의 묘지에서 만나기로 한다.
- 2장 (라벤스우드 성의 홀): 결혼 축하연 도중 라이몬도가 루치아가 아르투로를 살해했다는 소식을 전한다. 광란의 아리아를 부르는 루치아는 에드가르도와의 행복한 결혼을 상상하지만, 결국 쓰러진다.
- 3장 (라벤스우드가의 묘지): 에드가르도는 엔리코의 칼에 죽기로 결심하지만, 루치아의 죽음 소식을 듣고 자결한다.

4. 3. 1. 1장: 울프크래그
밖에는 무서운 천둥이 치는 폭풍우가 몰아치는 밤이다. 막이 오르면 램프 불빛 아래 에드가르도가 앉아 실연을 회상하며 슬픈 운명을 한탄하고 있다. 그때 결혼식 침입에 격분한 엔리코가 망토를 입고 찾아와 내일 해 뜰 무렵 레이븐스우드 가문의 묘지에서 결투를 신청한다.[12] 그는 루치아가 이미 신혼 침대에 들었다고 말한다. 에드가르도는 그와 싸우기로 동의한다. 그들은 늑대 절벽 근처 레이븐스우드 가문의 묘지에서 만나기로 한다.4. 3. 2. 2장: 라벤스우드 성의 홀
결혼 축하연이 진행되는 도중, 라이몬도가 나타나 루치아가 신랑 아르투로를 칼로 찔러 죽였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전한다.[14] 이때, 흰 잠옷 차림에 머리를 헝클어뜨린 루치아가 나타나, 유명한 아리아 Il dolce suono|님의 목소리가it (일명 광란의 아리아)를 부른다.[14] 그녀는 이 아리아에서 에드가르도와의 행복한 결혼을 상상하며 노래한다.[14]처음에 루치아를 위협하던 엔리코는 그녀의 상태를 깨닫고 후회하며, 라이몬도는 이 비극의 원인이 엔리코에게 있다고 비난한다.[14] 결국 루치아는 쓰러진다.[14]
4. 3. 3. 3장: 라벤스우드가의 묘지
에드가르도는 엔리코의 칼에 죽기로 결심한다. 그는 루치아가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라이몬도가 와서 그녀가 이미 죽었다고 말한다.[15] 에드가르도는 단검으로 스스로를 찔러 하늘에서 루치아와 재회하기를 바란다.[15]에드가르도는 「내 조상의 무덤이여! 불행한 집안에 남겨진 최후의 이 몸도 들여 보내 주소서」라면서 엔리코의 칼에 죽는 것을 각오하고 있다. 계속해서 「세상과 마지막 작별이오. 저 무덤은 나를 맞아 주고 덮어 주리라」라는 아리아를 부른다. 성에서 나온 기사들이 지나가며 루치아가 죽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에드가르도는 루치아의 얼굴을 한 번이라도 보러 가려는데 라이몬드가 와서 그녀의 죽음을 알린다. 그는 자기의 얕은생각이 이 같은 불행을 낳게 되었다고 슬퍼하며 「날개를 펴고 하늘로 간 그대여」를 노래한다. 그리고 애인의 죽음과 자기의 비운을 탄식하며 자결하고 만다. 이때 에드가르도의 죄를 용서하라는 일동의 합창이 끝난 후 막이 내린다.
5. 음악적 특징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는 벨칸토 오페라의 대표작 중 하나로, 아름다운 선율과 화려한 기교가 특징이다. 특히 소프라노의 콜로라투라 기교가 돋보이는 아리아들이 많다.
5. 1. 벨칸토 양식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는 벨칸토 오페라의 대표작 중 하나로, 아름다운 선율과 화려한 기교가 특징이다. 특히 소프라노의 콜로라투라 기교가 돋보이는 아리아들이 많다. 대표적인 아리아는 다음과 같다.- 황홀한 기쁨에 젖었을 때 Quando rapito in estasi (소프라노)
- 광란의 장면 Scena della pazzia (소프라노)
- 저 무덤은 나를 맞아 주고 덮어 주리라 Fra poco a me ricovero (테너)
5. 2. 광란의 장면
3막 2장의 "광란의 장면"은 오페라 역사상 가장 유명한 장면 중 하나이다.[15] 이 장면에서 루치아는 결혼식 도중 신랑 아르투로를 칼로 찌르고, Il dolce suono|일 돌체 수오노it를 부르며 에드가르도와의 행복한 결혼을 상상한다.[14] 이어지는 카발레타 Spargi d'amaro pianto|스파르지 다마로 피안토it는 콜로라투라 소프라노의 기교와 표현력을 보여주는 곡으로, 조앤 서덜랜드와 같은 소프라노에게 큰 성공을 안겨주었다.[15]도니체티는 이 곡을 F장조로 작곡했지만, E-플랫 장조로 조옮김되어 불리는 경우가 많다.[15] 마리아 칼라스와 같은 일부 소프라노는 원곡 그대로 연주했지만, 대부분은 벨칸토 전통에 따라 화려한 장식을 추가하여 기교를 뽐냈다.[15]
원래 이 장면은 유리 하모니카와 소프라노를 위해 작곡되었으나, 현대에는 주로 플루트가 유리 하모니카를 대신한다.[19] 하지만 최근에는 유리 하모니카 연주자 사샤 레커트, 필리프 알렉산더 마르게르,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케른 등이 원본 악보를 복원하여 연주하기도 한다.[21]
넬리 멜바를 위해 마틸데 마르케시가 작곡한 카덴차는 특히 유명하며, 이 카덴차를 추가하기 위해 10주간의 리허설이 필요했고, 오페라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5] 1961년 조앤 서덜랜드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이 장면을 연기했을 때는 12분 동안 기립 박수가 이어지기도 했다.[31]
5. 3. 주요 아리아
참조
[2]
서적
Mackerras, p. 29
[3]
서적
Mackerras, p. 30
[4]
서적
Black, pp. 34—35
[5]
뉴스
New Orleans Picayune, May 28, 1841, p. 2, col. 1
[6]
웹사이트
Performance statistics
http://operabase.com[...]
2013-11-13
[7]
웹사이트
The Fifth Element (1997) - Trivia - IMDb
https://www.imdb.com[...]
[8]
간행물
"Lucia di Lammermoor"
Fondazione Teatro La Fenice di Venezia
[9]
웹사이트
Lucia di Lammermoor (Donizetti, Gaetano) - IMSLP/Petrucci Music Library: Free Public Domain Sheet Music
http://imslp.org/wik[...]
2018-03-19
[10]
뉴스
Lucia di Lammermoor - Glass Harmonica - Opera
https://www.nytimes.[...]
2018-03-19
[11]
서적
Osborne, p. 240
[12]
문서
original stage direction from the Ricordi score
[13]
웹사이트
Lucia di Lammermoor musical highlight: The Act II sextet and finale
https://www.roh.org.[...]
2019-12-29
[14]
문서
original stage direction in the Ricordi score
[15]
웹사이트
'This synopsis by Simon Holledge was first published on Opera japonica (www.operajaponica.org) and appears here by permission.'
http://www.operajapo[...]
[16]
Youtube
Mado Robin sings Bb over high C!!!
https://www.youtube.[...]
2012-12-31
[17]
뉴스
Obituary: Ruth Welting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9-02-06
[18]
Youtube
Mariella Devia - Lucia di Lammermoor Mad Scene (Original version) - 1990
https://www.youtube.[...]
2018-03-19
[19]
뉴스
Resonance Is a Glass Act for a Heroine on the Edge
https://www.nytimes.[...]
2018-10-14
[20]
웹사이트
Nel nome di Lucia
http://uniromanetwor[...]
2015-04-20
[21]
웹사이트
Lucia di Lammermoor
http://teatrocultrec[...]
[22]
웹사이트
Ensemble
http://sinfoniadivet[...]
[23]
웹사이트
New York, Metropolitan Opera: "Lucia di Lammermoor" {{!}} GBOPERA
http://www.gbopera.i[...]
2018-09-21
[24]
뉴스
Celestial harmony: The glass harmonica in "Lucia di Lammermoor"
http://www.santafene[...]
2018-09-21
[25]
웹사이트
Lucia di Lammermoor - From Bergamo to Benjamin Franklin
https://www.operaphi[...]
2018-09-21
[26]
웹사이트
Pugliese, p. 32
https://www.jstor.or[...]
2023-02-03
[27]
웹사이트
LUCIE DE LAMMERMOOR Festival d'Aix-en-Provence
https://festival-aix[...]
2023-02-03
[28]
웹사이트
BBC - Music - Review of Donizetti - Lucie de Lammermoor
https://www.bbc.co.u[...]
2023-02-03
[29]
웹사이트
Lucie and Jerry: Music in Cincinnati - Classical Music Journalism by Mary Ellyn Hutton (reviews_2008)
http://www.musicinci[...]
2023-02-03
[30]
웹사이트
"Lucia di Lammermoor'' Discography"
http://www.operadis-[...]
[31]
뉴스
Joan Sutherland, Flawless Soprano, Is Dead at 83 Newyork Times
http://www.nytime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