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에타노 도니체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에타노 도니체티는 1797년 이탈리아 베르가모에서 태어난 오페라 작곡가이다. 그는 70여 편의 오페라를 포함하여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특히 오페라 세리아와 오페라 부파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대표작으로는 《안나 볼레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사랑의 묘약》, 《돈 파스콸레》 등이 있다. 도니체티는 벨칸토 오페라의 전성기를 이끈 작곡가 중 한 명으로, 극적인 표현과 아름다운 선율, 성악 기교를 강조하는 작품으로 후대 오페라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가모 출신 - 에르만노 올미
    이탈리아 영화 감독 에르만노 올미는 노동자 계층의 가톨릭 가정에서 성장하여 기업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시작,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에 대한 관심을 담은 영화들을 만들었으며, 《나무의 말뚝》으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성스러운 술꾼의 전설》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그리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 베르가모 출신 -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는 이탈리아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세리에 A 우승을 경험했고,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으로 7경기에 출전했다.
  •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 움베르토 조르다노
    움베르토 조르다노는 19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베리스모 오페라 대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안드레아 셰니에》를 통해 명성을 얻었으나 후기 작품은 베리스모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대담한 조옮김을 활용해 극적인 음악을 만들었지만 드라마 내용이 따라가지 못하는 한계도 존재하며, 《안드레아 셰니에》는 그의 대표작으로 남아있다.
  •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 주세페 베르디
    주세페 베르디는 19세기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로,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열망을 담은 오페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리골레토》, 《일 트로바토레》, 《라 트라비아타》, 《아이다》, 《오텔로》, 《팔스타프》 등의 대표작과 《레퀴엠》을 남겼고 이탈리아 통일 왕국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했다.
  • 1848년 사망 -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세륨과 셀레늄을 발견하고 규소 등을 분리했으며, 화학 용어 도입 및 근대적 원소 표기법 확립, 원자량 개념 발전에 기여하여 '근대 화학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린다.
  • 1848년 사망 - 베르나르트 볼차노
    베르나르트 볼차노는 프라하 출신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엄밀한 수학적 증명을 추구하고 객관주의적 논리학을 정립하려 했으며, 수학에서는 중간값 정리와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 철학에서는 『지식학』에서의 '명제 자체' 등의 개념으로 유명하고 후설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가에타노 도니체티
기본 정보
1835년경의 가에타노 도니체티
1835년경
본명도메니코 가에타노 마리아 도니체티 (Domenico Gaetano Maria Donizetti)
출생1797년 11월 29일
출생지치살피나 공화국, 베르가모
사망1848년 4월 8일 (향년 50세)
사망지롬바르도-베네토 왕국, 베르가모
국적치살피나 공화국
이탈리아
롬바르도-베네토 왕국
직업작곡가
서명
도니체티의 서명
도니체티의 서명
음악 경력
장르오페라
관련 인물
영향빈첸초 벨리니, 조아키노 로시니, 주세페 베르디

2. 생애

도니체티는 1797년 베르가모에서 가난한 집안의 세 아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마을 전당포의 관리인이었다.[8] 어린 시절, 베르가모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악장이었던 요한 지몬 마이어에게서 음악 수업을 받았다.[8] 마이어는 1805년 레치오니 카리타볼리 학교(현재 가에타노 도니체티 음악원)를 설립하여 음악 교육을 제공했고, 1807년 9세의 도니체티는 입학 허가를 받았다.[8]

요한 지몬 마이어


1807년 처음 3개월 동안은 합창단원으로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8] 마이어는 곧 도니체티가 "음악적 진보에서 다른 모든 사람을 능가한다"고 보고하며 그의 재능을 인정하고 계속 학교에 다니도록 설득했다.[8] 1811년, 마이어는 어린 도니체티를 위해 ''일 피콜로 콤포지토레 디 무지카''를 작곡하여 그가 음악 공부를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왔다.[9] 이 작품에서 도니체티는 "나는 광대한 정신, 빠른 재능, 준비된 상상을 가지고 있으며, 작곡에 있어서는 번개와 같다"고 노래했다.[10]

학교 소년 시절의 도니체티


이후 마이어는 도니체티의 부모를 설득하여 학업을 계속하게 하고, 베르가모의 콘그레가치오네 디 카리타로부터 2년간의 장학금을 확보해 주었다. 또한 조반니 리코르디와 볼로냐의 마르케세 프란체스코 삼피에리에게 추천서를 제공하여, 볼로냐 음악원에서 스타니슬라오 마테이에게 음악을 배울 기회를 얻게 했다.[11]

볼로냐에서 도니체티는 ''일 피그말리오네''(1816년), ''올림피아데''와 ''라 이라 다킬레''(1817년) 등을 작곡했다.[12] 1817년 마이어의 권유로 베르가모로 돌아와 "사중주 시대"를 시작하며 직업을 찾기 시작했다.[12]

1818년, 친구 바르톨로메오 메렐리의 제안으로 ''엔리코 디 보르고냐''의 음악을 작곡하여 베네치아의 테아트로 산 루카에서 상연했다.[12] 비록 큰 성공은 아니었지만, 추가적인 의뢰로 이어져 ''우나 폴리아''를 작곡했다. 1819년에는 ''일 팔레그나메 디 리보니아''를 작곡하여 베네치아의 테아트로 산 사뮤엘레에서 초연했다.

1822년, 나폴리의 산 카를로 극장 지배인 도메니코 바르바이아와 계약을 맺고 나폴리로 이주했다.[17] 이후 1838년까지 나폴리에서 활동하며 ''라 징가라'', ''라 레테라 아노니마'', ''에밀리아 디 리버풀''등 다양한 오페라를 작곡했다. 1828년에는 비르지니아 바셀리와 결혼하여 나폴리에 정착했다.

1830년, 도니체티는 《안나 볼레나》를 발표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25] 1832년에는 코미디 ''사랑의 묘약''을 발표하여 ''오페라 부파''의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1835년에는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를 공연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838년, 나폴리 당국의 검열에 반발하여 파리로 이주한 후, 《폴리우토》를 《순교자》로 개작하여 초연하고, 《연대의 딸》(1840) 등을 발표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1842년에는 궁정의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어 빈에서도 활동했다.

1843년 무렵부터 매독양극성 장애 증세를 보였고,[36] 1845년에는 뇌척수 매독 및 심각한 정신 질환 진단을 받았다.[43] 1846년 요양 시설에 수용되었다가, 1847년 가족과 친구들의 노력으로 파리의 아파트로 옮겨졌다. 이후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개입으로 프랑스 정부의 허가를 받아 1847년 10월 6일 고향 베르가모로 돌아왔다.[51]

베르가모에서 스코티 가문의 궁전에서 지내던 도니체티는 1848년 4월 8일 5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51]

2. 1. 초기 생애 (1797-1822)

도니체티는 1797년 베르가모의 보르고 카날레 구역에서 가난한 집안의 세 아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안드레아는 마을 전당포의 관리인이었다.[8] 어린 시절, 도니체티는 베르가모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악장이었던 요한 지몬 마이어에게서 음악 수업을 받기 시작했다.[8] 마이어는 1805년 레치오니 카리타볼리 학교(현재 가에타노 도니체티 음악원)를 설립하여 음악 교육을 제공했다. 1807년, 9세의 도니체티는 입학 허가를 받았다.[8]

1807년 처음 3개월 동안은 합창단원으로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8] 마이어는 곧 도니체티가 "음악적 진보에서 다른 모든 사람을 능가한다"고 보고하며 그의 재능을 인정하고 계속 학교에 다니도록 설득했다.[8] 1811년, 마이어는 어린 도니체티를 위해 ''일 피콜로 콤포지토레 디 무지카''를 작곡하여 그가 음악 공부를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왔다.[9] 이 작품에서 도니체티는 "나는 광대한 정신, 빠른 재능, 준비된 상상을 가지고 있으며, 작곡에 있어서는 번개와 같다"고 노래했다.[10]

이후 마이어는 도니체티의 부모를 설득하여 학업을 계속하게 하고, 베르가모의 콘그레가치오네 디 카리타로부터 2년간의 장학금을 확보해 주었다. 또한 조반니 리코르디와 볼로냐의 마르케세 프란체스코 삼피에리에게 추천서를 제공하여, 볼로냐 음악원에서 스타니슬라오 마테이에게 음악을 배울 기회를 얻게 했다.[11]

볼로냐에서 도니체티는 ''일 피그말리오네''(1816년), ''올림피아데''와 ''라 이라 다킬레''(1817년) 등을 작곡했다.[12] 1817년 마이어의 권유로 베르가모로 돌아와 "사중주 시대"를 시작하며 직업을 찾기 시작했다.[12]

1818년, 친구 바르톨로메오 메렐리의 제안으로 ''엔리코 디 보르고냐''의 음악을 작곡하여 베네치아의 테아트로 산 루카에서 상연했다.[12] 비록 큰 성공은 아니었지만, 추가적인 의뢰로 이어져 ''우나 폴리아''를 작곡했다. 1819년에는 ''일 팔레그나메 디 리보니아''를 작곡하여 베네치아의 테아트로 산 사뮤엘레에서 초연했다.

젊은 도니체티


바르톨로메오 메렐리, 1840

2. 2. 나폴리에서의 활동 (1822-1838)

1822년, 도니체티는 나폴리의 산 카를로 극장 지배인 도메니코 바르바이아와 계약을 맺고 나폴리로 이주했다.[17] 3월 말, 도니체티는 새로운 오페라를 작곡하는 계약을 제안받았고,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을 준비하는 책임도 맡게 되었다.[17] 5월 12일, 첫 번째 새로운 오페라 《라 징가라》가 누오보 극장에서 "뜨거운 열정으로" 공연되었다.[16] 이 오페라는 28일 연속 공연되었고, 7월에는 20일 더 공연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17] 이 공연을 통해 도니체티는 당시 21세였던 음악 학생 빈첸초 벨리니를 만나게 되었다.[18]

6월 29일에는 두 번째 작품인 1막 파르사 《라 레테라 아노니마》가 공연되었다. 학자 윌리엄 애쉬브룩은 도니체티가 "음악적 공식의 기계적인 실행보다는 오페라의 극적 본질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27]

나폴리로 돌아온 도니체티는 오페라 세미세리아인 《에밀리아 디 리버풀》을 시작하여 1824년 7월 누오보 극장에서 단 7회만 공연했다.[22] 1825년에는 로마의 성년과 나폴리 페르디난트 1세의 죽음으로 인해 오페라 제작이 제한되었다.

1825/26 시즌 동안 도니체티는 팔레르모의 카롤리노 극장에서 음악 감독으로 활동하며 《그라나다의 알라호르》를 상연했다.[43] 그러나 극장 관리 문제와 가수들의 질병으로 인해 《알라호르》 초연은 1827년 1월까지 지연되었다.[28]

1827년 여름, 도니체티는 《돈 그레고리오》를 성공적으로 상연하고, 단막 멜로드라마 《엘비다》를 상연했다.[38]

1827/28년, 도니체티는 대본 작가 도메니코 질라르도니를 만나 1833년까지 11편의 대본을 함께 작업했다.[23] 또한, 나폴리 기획자 바르바자는 그에게 3년 동안 12편의 오페라를 쓰도록 계약했고, 1829년부터 나폴리 왕립 극장 이사로 임명되어 1838년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23] 1828년 7월, 도니체티는 비르지니아 바셀리와 결혼하여 나폴리에 정착했다. 두 달 후, 질라르도니의 대본으로 《칼레의 지아니》를 썼고, 나폴리와 로마에서 성공을 거두었다.[24]

1830년, 도니체티는 《안나 볼레나》를 발표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25] 1830년에서 1834년 사이에 이탈리아 전역과 유럽의 수도에서 공연되었다.[25]

1832년에는 코미디 ''사랑의 묘약''을 발표하여 ''오페라 부파''의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이후, 《프란체스카 디 포와》(1831), ''라 로만지에라 에 루오모 네로''(1831), ''파우스타''(1832) 등 여러 오페라를 나폴리에서 발표했다.

대본가 살바도레 카마라노


1833년 ''루크레치아 보르지아''의 성공 이후, 도니체티는 조아키노 로시니와 벨리니의 뒤를 이어 파리를 방문하여 ''마리노 팔리에로''를 공연했지만, 벨리니의 ''청교도''에 비해 부진했다.

1835년 9월 26일, 도니체티는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를 공연했다. 살바도레 카마라노가 쓴 대본을 바탕으로 한 이 오페라는 월터 스콧 경의 소설 ''람메르무어의 신부''를 기반으로 했으며,[26] 그의 가장 유명한 오페라 중 하나가 되었다.

도니체티, 1835년경


조아키노 로시니의 은퇴와 빈첸초 벨리니의 사망으로 도니체티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유일한 지배적인 천재"로 남게 되었다.[27]

도니체티는 튜더 시대 영국 역사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엘리자베타 알 카스텔로 디 케닐워스''(1829), ''마리아 스투아르다''(1835), ''로베르토 데베뢰''(1837) 등을 작곡했다.

1837년, 도니체티는 파리 오페라로부터 제안을 받아 그랜드 오페라를 쓰게 되었다.[28]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아내, 비르지니아 바셀리, 1820년경


도니체티는 1837년 7월 30일, 아내 비르지니아 바셀리를 잃었다.[21]

2. 3. 파리 및 유럽에서의 활동 (1838-1845)

1838년, 도니체티는 나폴리 당국의 검열에 반발하여 파리로 이주했다.[35] 파리에서 그는 《폴리우토》를 《순교자》로 개작하여 초연했다.[35] 또한 《연대의 딸》(1840) 등을 발표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1840년 6월 파리를 떠난 후, 도니체티는 스위스를 거쳐 고향인 베르가모를 방문하고 밀라노에 도착하여 《연대의 딸》의 이탈리아어 버전을 준비했다.[35] 그 후 파리로 돌아와 1839년 초연되지 않은 리브레토 ''L'Ange de Nisida''를 프랑스어 버전 ''라 파보리타''로 각색하여 1840년 12월 2일에 초연했다.[35]

궁정의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어 빈에서도 활동했다. 1842년 봄, 모차르트가 역임했던 왕실 예배당의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었다.[30] 빈에서 1842년 5월에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둔 ''린디 디 샤무니''의 리허설에 참여했다.[30]

2. 4. 말년 (1845-1848)

1843년 무렵, 도니체티는 매독양극성 장애 증세를 보였다.[36] 1845년 8월, 뇌척수 매독 및 심각한 정신 질환 진단을 받았다.[43] 두 명의 의사는 도니체티에게 일을 그만두고 이탈리아 기후에서 요양할 것을 권고했다.

1846년 1월, 도니체티는 의사들의 권고에 따라 파리 근교 이브리 쉬르 센의 요양 시설에 수용되었다.[45][46] 이곳에서 도니체티는 좋은 치료를 받았으나, 가족과 친구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편지는 전달되지 않았다.[46]

1847년, 가족과 친구들의 노력으로 도니체티는 파리의 아파트로 옮겨졌다.[51] 이후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개입으로 프랑스 정부의 허가를 받아, 1847년 10월 6일 고향 베르가모로 돌아왔다.[51]

베르가모에서 도니체티는 스코티 가문의 궁전에서 지냈다.[51] 그는 거의 말을 하지 않고 주위와 단절된 상태였으나, 자신의 오페라 아리아를 들을 때는 약간의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51] 1848년 4월 1일, 뇌졸중 발작으로 상태가 악화되었고, 4월 8일 오후에 5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51]

도니체티는 처음에 발테세 묘지에 묻혔으나, 1875년 베르가모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으로 이장되어 그의 스승 지몬 마이어의 무덤 근처에 안치되었다.

3. 주요 작품

도니체티는 다작 작곡가로, 오페라 작품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교회 음악, 다수의 현악 사중주, 관현악곡 등 다양한 형태의 음악도 작곡했다. 그는 총 75편의 오페라, 16개의 교향곡, 19개의 현악 사중주, 193개의 가곡, 45개의 2중창, 3개의 오라토리오, 28개의 칸타타, 기악 협주곡, 소나타, 기타 실내악 작품을 작곡했다. 대표적인 오페라로는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안나 볼레나, 사랑의 묘약 등이 있다.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주요 작품
종류작품명
오페라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오페라 목록 참조)(75편의 오페라 목록은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오페라 목록 참조)
합창 작품아베 마리아, 그란데 오페르토리오, 일 소스피로, 메사 다 레퀴엠, 메사 디 글로리아 에 크레도, 미제레레(시편 50)
관현악 작품현악을 위한 알레그로 다 장조, 라르게토, 테마와 변주 다 장조, 교향 협주곡 라 장조(1817)[17], 교향곡 가 장조, 교향곡 다 장조, 교향곡 라 장조(1818)[20], 교향곡 라단조
협주곡클라리넷을 위한 콘체르티노 내림 나 장조, 잉글리시 호른을 위한 콘체르티노 사 장조(1816), 플루트와 실내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티노 다단조(1819), 플루트와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티노 다 장조, 플루트와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티노 라 장조, 오보에를 위한 콘체르티노 바 장조,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콘체르티노 라단조,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협주곡 라단조, 두 대의 클라리넷을 위한 협주곡 "마리아 파디야"
실내악 작품오보에와 하프를 위한 안단테 소스테누토 바단조, 현악을 위한 서주 라 장조, 바이올린과 하프를 위한 라르게토와 알레그로 사단조,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라르고/모데라토 사단조, 목관악기와 현악을 위한 녹턴(4곡), 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소나타,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다 장조, 오보에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바 장조, 목관악기를 위한 교향곡 사단조(1817), 기타와 현악을 위한 2중주 2번 다 장조, 클라리넷을 위한 연습곡 1번 내림 나 장조, 플루트, 바순, 피아노를 위한 3중주 바 장조
현악 사중주현악 사중주 라 장조, 3번 다단조: 2악장, 아다지오 마 논 트로포, 4번 라 장조, 5번 마단조, 5번 마단조: 라르게토, 6번 사단조, 7번 바단조, 8번 내림 나 장조, 9번 라단조, 10번 사단조, 11번 다 장조, 12번 다 장조, 13번 가 장조, 14번 라 장조, 15번 바 장조, 16번 나단조, 17번 라 장조, 18번 마단조, 18번 마단조: 알레그로
피아노 작품아다지오와 알레그로 사 장조, 알레그로 다 장조, 알레그로 바단조, 푸가 사단조, 그랜드 왈츠 가 장조, 라르게토 가단조 "[Una furtiva lagrima]", 라르게토 다 장조, 파스토랄 마 장조, 프레스토 바단조, 교향곡 가 장조, 교향곡 1번 다 장조, 교향곡 1번 라 장조, 교향곡 2번 다 장조, 교향곡 2번 라 장조, 소나타 다 장조, 소나타 바 장조, 소나타 사 장조, 변주곡 마 장조, 변주곡 사 장조, 왈츠 가 장조, 왈츠 다 장조, 왈츠 다 장조 "초대"


  • 포실리포의 여름 밤 (Nuits d'ete a Pausilippe), 비엔나의 인상 (Ispirazioni viennesi) - 가곡집 (이중창 포함).

3. 1. 오페라

도니체티는 70여 편의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오페라 세리아오페라 부파 양쪽 모두에서 뛰어난 작품들을 남겼다.[2] 대표적인 오페라 세리아로는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안나 볼레나』, 『루크레치아 보르자』가 있으며, 오페라 부파로는 『사랑의 묘약』, 『연대의 딸』, 『돈 파스콸레』 등이 인기가 있다.[2] 비극과 희극 모두에 대표작을 여러 개 남긴,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나 재평가 이후의 로시니 등과 함께 비교적 드문 유형의 작곡가이다.[2]

  • 주요 오페라 작품

제목년도비고
피그말리온1816년(습작, 1960년 10월 13일 초연)
아킬레스의 분노1817년(습작, 미상연)
부르고뉴의 엔리코1818년
어리석은 행위1818년(분실)
러시아 황제 표트르1819년
마을 결혼식1821년
그라나다의 조라이다1822년
징갈라(집시의 여자)1822년
익명의 편지1822년
키아라와 세라피나1822년
알프레드 대왕1823년
행복한 실수1823년
당황한 가정교사1824년
리버풀의 에밀리아1824년
그라나다의 아라홀1826년
엘비라1826년
베르지의 가브리엘라1826년(미상연, 1838년 개정)
올리보와 파스콸레1827년
2시간으로 8개월1827년
사르담의 시장1827년
극장의 사정1827년
추방된 로마인1828년
리버풀의 은신처1828년(『리버풀의 에밀리아』 개작)
곤다의 여왕 아리나1828년
칼레의 잔니1828년
팔리아1829년
카니발의 목요일1829년
케닐워스 성의 엘리자베타1829년
미친 척하는 사람들1830년
대홍수1830년(1834년 개정)
람베르타치의 이멜다1830년
안나 볼레나1830년
극장의 호불호1831년(『극장의 사정』 개작)
파리의 잔니1831년
포아의 프란체스카1831년
여류 소설가와 도둑1831년
파우스타1832년
파리의 우고 백작1832년
사랑의 묘약1832년
카스티야의 산차1832년
산 도밍고 섬의 광인1833년
파리지나1833년
토르콰토 타소1833년
루크레치아 보르자1833년
잉글랜드의 로스몬다1834년
마리아 스투아르다1834년
부온델몬테1834년
베르지의 젬마1834년
마리노 페리에로1835년
람메르무어의 루치아1835년
Belisario영어1836년
밤의 초인종1836년
베트리1836년
칼레의 포위1836년
피아 데 트로메이1837년
로베르토 데브뢰1837년
루덴츠가의 마리아1838년
폴리우토1838년
연대의 딸1839년
니시도의 천사1839년(미완)
Les martyrs영어1840년(『폴리우토』 개작)
라 파보리타1840년
아델리아1841년
Rita (opera)영어1841년
마리아 파디야1841년
Linda di Chamounix영어1842년
돈 파스콸레1843년
로앙가의 마리아1843년
Dom Sébastien영어1843년
Caterina Cornaro (opera)영어1844년


3. 2. 기타 작품

도니체티는 오페라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16개의 교향곡, 19개의 현악 사중주, 193개의 가곡, 45개의 듀엣, 3개의 오라토리오, 28개의 칸타타, 기악 협주곡, 소나타, 기타 실내악 작품 등이 있다.[8] 빈첸초 벨리니를 추모하기 위해 작곡한 《레퀴엠》(1837)도 유명하다.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기타 작품
오페라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오페라 목록 참조)
합창 작품
아베 마리아그란데 오페르토리오일 소스피로메사 다 레퀴엠메사 디 글로리아 에 크레도미제레레(시편 50)
관현악 작품
현악을 위한 알레그로 다 장조라르게토, 테마와 변주 다 장조교향 협주곡 라 장조(1817)[17]교향곡 가 장조교향곡 다 장조교향곡 라 장조(1818)[20]교향곡 라단조
협주곡
클라리넷을 위한 콘체르티노 내림 나 장조잉글리시 호른을 위한 콘체르티노 사 장조(1816)플루트와 실내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티노 다단조(1819)플루트와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티노 다 장조플루트와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티노 라 장조오보에를 위한 콘체르티노 바 장조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콘체르티노 라단조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협주곡 라단조
두 대의 클라리넷을 위한 협주곡 "마리아 파디야"
실내악 작품
오보에와 하프를 위한 안단테 소스테누토 바단조현악을 위한 서주 라 장조바이올린과 하프를 위한 라르게토와 알레그로 사단조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라르고/모데라토 사단조목관악기와 현악을 위한 녹턴(4곡)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소나타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다 장조오보에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바 장조
목관악기를 위한 교향곡 사단조(1817)기타와 현악을 위한 2중주 2번 다 장조클라리넷을 위한 연습곡 1번 내림 나 장조플루트, 바순, 피아노를 위한 3중주 바 장조
현악 사중주
현악 사중주 라 장조3번 다단조: 2악장, 아다지오 마 논 트로포4번 라 장조5번 마단조5번 마단조: 라르게토6번 사단조7번 바단조8번 내림 나 장조
9번 라단조10번 사단조11번 다 장조12번 다 장조13번 가 장조14번 라 장조15번 바 장조16번 나단조17번 라 장조
18번 마단조18번 마단조: 알레그로
피아노 작품
아다지오와 알레그로 사 장조알레그로 다 장조알레그로 바단조푸가 사단조그랜드 왈츠 가 장조라르게토 가단조 "[Una furtiva lagrima]"라르게토 다 장조파스토랄 마 장조
프레스토 바단조교향곡 가 장조교향곡 1번 다 장조교향곡 1번 라 장조교향곡 2번 다 장조교향곡 2번 라 장조소나타 다 장조소나타 바 장조
소나타 사 장조변주곡 마 장조변주곡 사 장조왈츠 가 장조왈츠 다 장조왈츠 다 장조 "초대"


  • 포실리포의 여름 밤 (Nuits d'ete a Pausilippe), 비엔나의 인상 (Ispirazioni viennesi) - 가곡집 (이중창 포함).

4. 도니체티의 형: 주세페 도니체티

주세페 도니체티


가에타노의 형인 주세페 도니체티(Giuseppe Donizetti, 1788년 - 1856년)는 처음에 군인이었고, 이후 오스만 제국 군악대의 서양 음악 교사가 되었다. 주세페는 오스만 제국의 사실상 국가가 된 행진곡 등을 작곡하여 파샤 칭호를 받았다.[10] 그는 1828년 오스만 제국 황제 마흐무트 2세(1808–1839)의 궁정에서 제국 오스만 음악의 일반 강사가 되었다.

5. 도니체티의 영향과 유산

도니체티는 벨칸토 오페라 전성기를 이끈 주요 작곡가 중 한 명으로, 그의 작품은 후대 오페라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의 극적인 표현과 아름다운 선율, 그리고 가수들의 기교를 최대한 살린 작품들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빈첸초 벨리니가 사망한 후, 도니체티는 베르디 이전까지 가장 중요한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였다.[52] 그의 명성은 부침을 겪었지만,[53] 1940년대와 1950년대 이후 그의 작품은 점점 더 많이 공연되었다.[54] 오늘날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오페라는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연대의 딸》, 《사랑의 묘약》, 《돈 파스콸레》이다.

6. 도니체티와 한국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대 이후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오페라들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했다.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사랑의 묘약》, 《돈 파스콸레》 등이 자주 공연되며, 한국 성악가들의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자리 잡았다.

6. 1. 도니체티 오페라의 한국 초연

도니체티는 빈에서 5월에 시작하는 케른트너토어 극장에서 열리는 연례 이탈리아 시즌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37]

6. 2. 한국 성악가와 도니체티

소프라노 조수미는 도니체티의 오페라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특히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광란의 아리아는 그녀의 대표적인 레퍼토리 중 하나이다. 테너 박세원은 2023년 도니체티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주역으로 발탁되어 유럽 무대에 데뷔하여 호평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Donizetti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8-16
[2] 웹사이트 Donizetti, Gaetan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Donizetti 2019-08-16
[4] 웹사이트 Donizetti, Gaetano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09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문서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웹사이트 Gaetano Donizetti https://www.eno.org/[...]
[53] 웹사이트 Donizetti Society Donizetti Works Page http://www.donizetti[...]
[54] 웹사이트 Composers Inspired by Donizetti http://www.interlude[...] 2018-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