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량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량위성은 김용, 고룡과 함께 신파 무협 소설 3대 거장으로 불리는 작가이다. 1924년 중국 광시성에서 태어나, 홍콩의 신문사에서 기자로 활동하며 1954년 첫 무협 소설인 『용호투경화』를 발표하며 데뷔했다. 그는 1984년까지 35편의 무협 소설을 발표했으며,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작품에 결합하고, 협의와 정애를 다룬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작품으로는 『백발마녀전』, 『칠검하천산』 등이 있으며, 1987년 호주로 이주하여 2009년 시드니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량위성 - 백발마녀전
    《백발마녀전》은 명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강호의 전설적인 여검객 련예상과 무당파 제자 탁일항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무협 소설이며, 정치적 음모와 오해 속에서 파국을 맞은 후 백발마녀가 된 련예상을 되찾기 위한 탁일항의 노력이 주요 줄거리를 이룬다.
  • 중국에서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간 사람 - 노군홍
    노군홍은 중국에서 태어나 호주로 이민 후 불교 방송을 진행하고 관세음보살 정토법문을 설립하여 전 세계에 불교를 전파했으나, 일부 불교 단체로부터 비판을 받고 유사 종교 논란 속에 2021년 사망한 인물이다.
  • 중국에서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간 사람 - 샘 추이 (사진가)
    샘 추이는 항공 사진을 전문으로 촬영하며 보잉 747에 대한 애정을 가진 사진가로, 항공 관련 콘텐츠 제작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2023년 규정 위반 논란이 있었다.
  • 우저우시 출신 - 진옥성
    태평천국의 영왕 진옥성은 금전봉기에 참가하여 제2차 무창 공략전과 삼하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나, 안경 방어 실패 후 청군에 처형당하며 그의 죽음은 장강 이북 태평천국군의 붕괴를 초래했다.
  • 우저우시 출신 - 이수성 (태평천국)
    태평천국의 장군 이수성은 충왕이라고도 불리며, 강남 대영 격파 등 군사적 재능을 발휘했고, 진옥성과 함께 난징 방어에 기여했으며, 쑤저우에 궁궐이 남아있고 자서전 《충왕 이수성 자술》을 남겼으며, 그의 검은 중국 국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량위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량위성
량위성
본명천원퉁 (陳文統)
필명량위성 (梁羽生)
로마자 표기Liang Yusheng
인물 정보
출생지중화민국 광시 성멍산 현
사망지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 시드니
국적중국 → 오스트레일리아
직업무협 소설 작가
작품 활동
장르무협 소설
주요 작품백발마녀전
칠검하천산
평종협영록
기타 정보

2. 생애

량위성은 본명이 천원퉁(陳文統)이며, '원퉁(Wentong)'은 '문학적 전통'을 의미한다. 그는 자신의 필명으로 량(梁)을 선택했는데, 이는 남북조 시대에 진(陳) 왕조가 양(梁) 왕조를 계승한 것처럼 조상의 문학적 전통을 이어받는다는 의미였다.[1] 필명에 사용된 '위성(Yusheng)'은 그가 존경하는 작가 공백우에게서 따온 것으로, '백우에게서 태어났다'는 뜻을 담고 있다.[3]

그의 작품 중 ''백발마녀전'', ''운해옥궁연'', ''칠검하천산'', ''평종협영록'' 등은 널리 알려져 영화와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대표적으로 백발마녀전 (1993)과 칠검 (2005)이 있다. 무협 소설 외에도 "량호여", "봉우녕" 등의 필명으로 칼럼, 평론, 에세이도 집필했다. 김용, 고룡과 함께 무협 소설의 대가로 평가받는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량위성은 1924년 중화민국 광시 성 멍산 현 원위진 퉁즈 마을의 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고대 중국 고전과 대련에 정통했으며, 8세에 당시 삼백수를 암송할 수 있었다. 구이린에서 구이린 고등학교에 다니면서 시를 쓰는 것을 즐겼다.[1]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량위성은 구이린을 떠나 멍산 현으로 돌아갔다. 이 시기에 멍산 현에서 피난 생활을 하던 인접한 광둥 성 출신의 두 학자를 만나 그들의 지도 아래 역사와 문학을 공부했다. 그들은 태평천국 역사 전문가인 젠 유웬과 시, 인문학, 예술, 둔황 역사에 정통한 라우 종이였다.[1]

전쟁이 끝난 후 량위성은 광저우의 링난 대학교에 입학하여 1948년에 국제 경제학을 전공으로 졸업했다. 독서가의 집안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문학을 접하며 깊이 있는 교양을 쌓을 수 있었다.[1]

2. 2. 홍콩에서의 활동과 작가 데뷔

1949년, 량위성은 홍콩으로 이주하여 링난 대학교의 추천을 받아 신문 ''대공보''의 보조 편집자가 되었다. 이후 편집자로 승진했으며, 신문의 편집 집행 위원회 위원도 겸임했다. 1950년 말에는 ''신만보'' (''대공보''의 석간)로 자리를 옮겼다.[2]

1954년 1월 17일, 백학파의 진학부와 태극권의 오공의 두 무술가가 마카오에서 ''뇌대'' 시합을 벌여 홍콩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신만보''의 주필인 라부는 이 ''뇌대'' 시합의 선정성을 이용하고자 량위성에게 시합을 소재로 한 무협 소설을 써서 신문에 연재 소설로 게재하도록 했다. 이것이 량위성의 데뷔 무협 소설인 ''용호투경화''가 되었고, 이는 무협 장르에서 "신파"의 시작을 알렸다.[3] 이때 그는 ''신만보''에서 무협 소설을 쓰고 있던 김용을 만났다.

1954년부터 1983년까지 량위성은 총 35편의 무협 소설을 썼으며, 대부분 신문에 연재 소설 형식으로 발표되었다.

2. 3. 호주 이민과 사망

1987년, 첸은 가족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을 갔다.[4] 당시 그는 중국 작가 협회 회원이자 선전의 잉리안 중국 협회(YSC) 명예 회장직을 제안받았다.[2] 1994년 9월, 그는 기독교로 개종했다.[5]

2004년 11월 30일, 첸은 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홍콩 링난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6]

2006년 12월, 첸은 홍콩 코스모스 북스 30주년 기념 행사에 참석하던 중 뇌졸중을 겪었다.[2] 이후 오스트레일리아로 돌아가 뉴사우스웨일스 주 버우드의 버나드 첸 너싱 홈에서 요양했다. 2009년 1월 22일, 시드니에서 84세의 나이로 자연사했다.[4][7] 첸에게 추모사를 보낸 사람들 중에는 그의 멘토 라오 종이, 전 상사 뤄 푸, 동료 무협 작가 김용, 그리고 찬 야우남 교수가 있었다.[1]

3. 작품 세계

량위성은 1954년 마카오에서 열린 진학부와 오공의의 뇌대 시합을 소재로 한 ''용호투경화''를 통해 무협 소설 작가로 데뷔했다.[3] 이 작품은 무협 장르에서 "신파"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3] 그는 ''신만보''에서 무협 소설을 연재하며 김용을 만나기도 했다.

량위성은 자신의 필명에 문학적 전통을 잇고자 하는 의지를 담았다.[1] 남북조 시대의 양(梁) 왕조를 계승한 진(陳) 왕조처럼, 조상의 문학적 전통을 잇는다는 의미로 성을 '량(梁)'으로 정했다.[1] 또한, 존경하는 무협 작가 공백우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미로 '백우에게서 태어났다'는 뜻의 '우성(Yusheng)'을 이름으로 선택했다.[3]

그는 1954년부터 1983년까지 총 35편의 무협 소설을 창작했으며, 대부분 신문에 연재하는 방식으로 발표했다.[3] ''백발마녀전'', ''운해옥궁연'', ''칠검하천산'', ''평종협영록'' 등은 그의 대표작으로, 영화와 드라마로도 제작되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3] 량위성은 무협 소설 외에도 칼럼, 평론, 에세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3. 1. 주요 작품 목록

량위성은 1954년 ''용호투경화''를 시작으로 1983년까지 총 35편의 무협 소설을 발표했다.[3] 대부분 신문에 연재 소설 형식으로 발표되었으며, ''백발마녀전'', ''운해옥궁연'', ''칠검하천산'', ''평종협영록'' 등은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졌다.[3]

제목발표 연도역사적 배경다른 작품과의 연관성
용호투경화(Longhu Dou Jinghua)1954龍虎鬥京華|용호투경화중국어청나라
초망룡사전(Caomang Longshe Zhuan)1954–1955草莽龍蛇傳|초망룡사전중국어청나라
새외기협전(Saiwai Qixia Zhuan)1956–1957塞外奇俠傳|새외기협전중국어청나라천산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
칠검하천산(Qijian Xia Tianshan)1956–1957七劍下天山|칠검하천산중국어청나라천산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
강호삼녀협(Jianghu San Nüxia)1957–1958江湖三女俠|강호삼녀협중국어청나라천산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
백발마녀전(Baifa Monü Zhuan)1957–1958白髮魔女傳|백발마녀전중국어명나라천산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
평종협영록(Pingzong Xiaying Lu)1959–1960萍蹤俠影錄|평종협영록중국어명나라평종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
환검기정록(Huanjian Qiqing Lu)1959–1960還劍奇情錄|환검기정록중국어명나라평종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
빙천천녀전(Bingchuan Tiannü Zhuan)1959–1960冰川天女傳|빙천천녀전중국어청나라천산 시리즈의 여섯 번째 작품.
산화녀협(Sanhua Nüxia)1960–1961散花女俠|산화녀협중국어명나라평종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
여제기영전(Nüdi Qiying Zhuan)1961–1962女帝奇英傳|여제기영전중국어무주 / 당나라
연검풍운록(Lianjian Fengyun Lu)1961–1962聯劍風雲錄|연검풍운록중국어명나라평종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
운해옥궁연(Yunhai Yugong Yuan)1961–1963雲海玉弓緣|운해옥궁연중국어청나라천산 시리즈의 일곱 번째 작품.
빙포한광검(Bingpo Hanguang Jian)1962冰魄寒光劍|빙포한광검중국어청나라천산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
대당유협전(Datang Youxia Zhuan)1963–1964大唐游俠傳|대당유협전중국어당나라대당 삼부작의 첫 번째 작품.
빙하세검록(Binghe Xijian Lu)1963–1965冰河洗劍錄|빙하세검록중국어청나라천산 시리즈의 여덟 번째 작품.
용봉보채연(Longfeng Baochai Yuan)1964–1966龍鳳寶釵緣|용봉보채연중국어당나라대당 삼부작의 두 번째 작품.
광협·천교·마녀(Kuangxia Tianjiao Monü)1964–1968狂俠·天驕·魔女|광협·천교·마녀중국어송나라천교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
풍뢰진구주(Fenglei Zhen Jiuzhou)1965–1967風雷震九州|풍뢰진구주중국어청나라천산 시리즈의 아홉 번째 작품.
비봉잠룡(Feifeng Qianlong)1966飛鳳潛龍|비봉잠룡중국어송나라천교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
혜검심마(Huijian Xinmo)1966–1968慧劍心魔|혜검심마중국어당나라대당 삼부작의 세 번째 작품.
협골단심(Xiagu Danxin)1967–1969俠骨丹心|협골단심중국어청나라천산 시리즈의 열 번째 작품.
한해웅풍(Hanhai Xiongfeng)1968–1970瀚海雄風|한해웅풍중국어송나라천교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
명적풍운록(Mingdi Fengyun Lu)1968–1972鳴鏑風雲錄|명적풍운록중국어송나라천교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
유검강호(Youjian Jianghu)1969–1972遊劍江湖|유검강호중국어청나라목야류성 4부작의 첫 번째 작품.
풍운뢰전(Fengyun Leidian)1970–1972風雲雷電|풍운뢰전중국어송나라천교 시리즈의 여섯 번째 작품.
광릉검(Guangling Jian)1972–1976廣陵劍|광릉검중국어명나라평종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
무림삼절(Wulin Sanjue)1972–1976武林三絕|무림삼절중국어명나라
목야류성(Muye Liuxing)1972–1975牧野流星|목야류성중국어청나라목야류성 4부작의 두 번째 작품.
절새전봉록(Juesai Chuanfeng Lu)1975–1978絕塞傳烽錄|절새전봉록중국어청나라목야류성 4부작의 네 번째 작품.
검망진사(Jianwang Chensi)1976–1980劍網塵絲|검망진사중국어청나라환검령기의 자매 작품.
탄지경뢰(Tanzhi Jinglei)1977–1981彈指驚雷|탄지경뢰중국어청나라목야류성 4부작의 세 번째 작품.
무림천교(Wulin Tianjiao)1978–1982武林天驕|무림천교중국어송나라천교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
환검령기(Huanjian Lingqi)1980–1981幻劍靈旗|환검령기중국어청나라검망진사의 자매 작품.
무당일검(Wudang Yijian)1980–1983武當一劍|무당일검중국어명나라


3. 2. 작품의 특징

량위성은 김용, 고룡과 함께 신파 무협 소설 3대 거장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작가이다.[8] 김용과 마찬가지로 역사적인 사건과 인물을 솜씨 있게 창작 세계에 엮어 격조 높은 작품 스타일로 알려져 있으며, 협의와 정애 사이에서 흔들리는 남녀의 연애 이야기를 얽히고설킨 필치로 그려낸 점, 그리고 민족성을 담아낸 일종의 애국주의적 요소가 보이는 점이 특징으로 꼽힌다. 서양 소설의 영향을 받은 김용에 비해 더 고전적인 풍미가 있다.[8]

그의 소설은 항상 시로 시작하며, 이는 그의 시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다. 또한 그의 소설의 주인공들은 다재다능하고, 다방면에 능하며, 박식한 경향이 있다. 그 외에도 그는 소설에 중국 역사의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는 무협 작가 김용 또한 채택한 스타일이다. 그러나 김용 및 다른 무협 작가들과 달리 그는 소림사무당파를 ''강호''(무술가들의 사회)의 주요 정통 문파로 여기지 않는다. 대신 그는 특히 명나라청나라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천산'' 연작 소설에서 천산파를 ''강호''의 주도적인 문파로 설정한다.[8]

명대에서 청대에 걸쳐 천산파의 탄생과 흥망을 그린 일련의 작품군은 "천산 계열"이라고 불리며, 량위성의 대표작이 되었다.

4. 각주

[1] [2] [3] [4] [5] [6] [7]

참조

[1] 서적 He's Still Alive: A Glimpse of the Australian Chinese Literary Circles Showwe Information 2010
[2] 웹사이트 Wuxia novelist Liang Yusheng dies in Sydney on 22 January http://news.sohu.com[...] 2009-01-26
[3] 웹사이트 Liang Yusheng's debut http://paper.wenweip[...] 2015-05-19
[4] 뉴스 "Seven Swords'' novelist dies" 2009-01-28
[5] 웹사이트 Three male writers who became Christians: Bo Yang, Ni Huang and Liang Yusheng https://www.christia[...] 2013-09-12
[6] 웹사이트 Press release: Lingnan University awards honorary doctorates to four https://www.ln.edu.h[...] 2004-08-17
[7] 웹사이트 Martial arts novelist Liang Yusheng dies http://www.danwei.or[...] 2009-01-27
[8] 웹사이트 梁羽生 (Liang Yusheng) http://edu.ocac.gov.[...]
[9] 웹사이트 探秘梁羽生故乡:亲属后代多“梁粉” 侠义仁心代代传 https://www.chinanew[...] 2018-08-19
[10] 웹사이트 梁羽生氏死去(中国の著名な武俠小説家) - MSN産経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09-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