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관등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관등제는 18세기 초 표트르 1세가 제정한, 군대, 문관, 황실 복무를 통해 귀족 사회의 지위를 결정하는 제도이다. 관등은 14등급으로 나뉘었으며, 실력에 따라 승진할 수 있었지만, 특정 등급 이상부터는 차르의 승인이 필요했다. 이 제도는 귀족의 지위를 개인의 봉사에 묶어 차르의 권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시작되었으나, 후대 차르에 의해 완화되었다. 관등제는 특정 등급에 도달하면 귀족 지위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며,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폐지될 때까지 러시아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귀족 -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는 류리크 왕조 출신으로 수즈달과 니즈니노브고로드의 공작을 지내며 모스크바 대공국과 블라디미르 대공 자리를 놓고 경쟁했고, 타타르족과의 관계를 통해 영지를 유지하려 했다. - 러시아의 귀족 - 웅게른슈테른베르크가
웅게른슈테른베르크 가문은 안나 도로테아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알렉산더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 에리히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미하엘 프라이헤어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배출한 가문이다.
러시아 관등제 | |
---|---|
개요 | |
유형 | 법률 |
분야 | 정부 |
제정 | 러시아 제국 |
시작일 | 1722년 1월 24일 |
폐지일 | 1917년 11월 10일 (소비에트 정부 법령) |
상세 정보 | |
목적 | 러시아의 군사, 정부, 궁정 계급의 위치를 공식화 |
창시자 | 표트르 1세 |
등급 수 | 14등급 ( гражданские, придворные и военные) |
계급 구조 | |
1등급 | 민간: 칸츨레르 (칸슬러) 군사: 게네랄-펠드마르샬 (원수) 해군: 게네랄-아드미랄 (해군 원수) |
2등급 | 민간: 데이스트비텔니 타이니 소베트니크 페르보고 클라사 (1등 실제 비밀 고문관) 군사: 제너럴 (General of the Infantry, Cavalry, Artillery or Engineers) 해군: 아드미랄 (제독) |
3등급 | 민간: 데이스트비텔니 타이니 소베트니크 (실제 비밀 고문관) 궁정: 오베르-카메르게르 (Ober-Kamerherr, 수석 시종장) 오베르-고프마르샬 (Ober-Hofmarschall, 수석 궁정 장관) 오베르-시탈메이스테르 (Ober-Stallmeister, 수석 마구 관리관) 오베르-체레모니메이스테르 (Ober-Zeremonienmeister, 수석 의전관) 오베르-셴크 (Ober-Schenk, 수석 음료 담당관) 오베르-포르슈네이더 (Ober-Vorschneider, 수석 조각관) 군사: 게네랄-레이테난트 (중장) 해군: 비체-아드미랄 (부제독) |
4등급 | 민간: 타이니 소베트니크 (비밀 고문관) 궁정: 고프메이스테르 (Hofmeister, 궁정 장관) 고프마르샬 (Hofmarschall, 궁정 관리관) 예게르메이스테르 (Jägermeister, 수렵 관리관) 시탈메이스테르 (Stallmeister, 마구 관리관) 군사: 게네랄-마이오르 (소장) 해군: 콘트르-아드미랄 (준장) |
5등급 | 민간: 데이스트비텔니 스타트스키 소베트니크 (실제 국가 고문관) 궁정: 카메르게르 (Kamerherr, 시종) 군사: 브리가디르 (여단장, 1798년 폐지; 1827년 재도입, 참모 직위) |
6등급 | 민간: 스타트스키 소베트니크 (국가 고문관) 군사: 팔코브니크 (대령) 해군: 카피탄 페르보고 란카 (1등 대령) |
7등급 | 민간: 나드보르니 소베트니크 (궁정 고문관) 궁정: 카메르-푸리에르 (Kamer-Fourier, 궁정 하인) 군사: 파드팔코브니크 (중령) 해군: 카피탄 브토로고 란카 (2등 대령) |
8등급 | 민간: 칼레시스키 사베트니크 ( колле́жский сове́тник, 합의제 고문관) 군사: 마이오르 (소령) (1798년까지); 카피탄 3-고란가 (3등 대령) (해군) 해군: 카피탄-레이테난트 (대위) |
9등급 | 민간: 티툴랴르니 소베트니크 (명예 고문관) 궁정: 카메르-윤케르 (Kamer-Junker, 궁정 젊은이) 군사: 카피탄 (대위), 로트미스트르 (기병 대위) 해군: 레이테난트 (해군 중위) |
10등급 | 민간: 칼레시스키 세크레타리 ( колле́жский секрета́рь, 합의제 서기관) 군사: 시탑스-카피탄 (참모 대위), 시탑스-로트미스트르 (참모 기병 대위) 해군: 카피탄-파루치크 (대위-중위) |
11등급 | 민간: 코라벨니 세크레타리 (선박 서기관), 미치만 (해군 소위) 군사: 파루치크 (중위) |
12등급 | 민간: 구베른스키 세크레타리 (지방 서기관) 군사: 파드파루치크 (소위) 해군: 미치만 (해군 소위) |
13등급 | 민간: 카비네츠키 레기스트라타르 (내각 등록관) 군사: 운테르-레이테난트 (Unter-Lieutenant, 부사관) 해군: 미치만 (해군 소위) |
14등급 | 민간: 칼레시스키 레기스트라타르 ( колле́жский регистра́тор, 합의제 등록관) 군사: 프라포르슈치크 (준위), 코르네트 (기병 준위) 해군: 미치만 (해군 소위) |
기타 | |
중요 사항 | 8등급 이상은 귀족의 지위 획득 여성은 남편의 계급에 따라 동등한 지위 부여 |
2. 제정 배경 및 목적
러시아 관등제는 군대, 문관, 황실 복무를 귀족 사회 지위의 근본으로 인정하여 봉건 러시아 귀족 사회의 기초(''메스트니체스트보'')를 재편한 제도이다.[1] 표트르 1세는 14등급으로 관등을 나누고, 모든 귀족이 출신이나 재산에 관계없이 관등의 최하위부터 시작하여 차르에 대한 복무(''슬루즈바'')를 통해 승진하도록 했다.[1] 모든 등급은 실력에 따라 열려 있었지만, 승진에는 다음 관등에 대한 자격이 필요했고, 1등급부터 5등급까지는 차르 본인의 개인적인 승인이 필요했다. 초기에는 귀족들의 저항이 있었으나, 18세기에는 교육받은 귀족 관료 계급이 창출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표트르 대제가 개인적인 봉사를 통해 차르에게 묶인 귀족 계급을 만들려는 의도는 후임 차르들에 의해 약화되었다. 1762년 표트르 3세는 귀족에게 부과된 25년의 군 복무 또는 문관 복무 의무를 폐지했다.[2] 1767년 예카테리나 2세는 직위나 실적에 관계없이 7년 후 14등급으로 자동 승진하게 함으로써 관료들의 지지를 얻었고, 이로 인해 관료들은 시간만 때우는 사람들로 채워지게 되었다.[3]
관등에서 특정 등급을 달성하면 자동으로 특정 수준의 귀족 지위가 부여되었다. 14등급으로 승진한 문관은 개인 귀족(''드보랸스트보'') 지위를 얻었고, 8등급의 관직을 보유한 자는 세습 귀족 지위를 얻었다. 니콜라이 1세는 1845년 이 기준을 5등급으로 상향했다.[4] 1856년에는 세습 귀족 자격을 얻기 위한 등급이 문관의 경우 4등급, 군 복무의 경우 6등급으로 변경되었다.[5]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버지는 교육 행정에서 승진하여 4등급인 "현직 국가 자문관"(데이스트비텔니 스타츠키 소베트니크/действительный статский советникru)이 되어 세습 귀족의 특권을 얻었다.[5]
비귀족 문관들은 8등급 승진에서 자주 제외되었고, 평생 이 직위에 머무는 "영원한 명예 자문관"() 계급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들은 둔하고 창의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니콜라이 고골,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와 같은 작가들에게 풍자되었다.[6]
관등제는 몇 차례 개정을 거치면서 1917년 러시아 혁명까지 효력을 유지했다.
2. 1. 표트르 1세의 개혁
러시아 관등제는 군대, 문관, 황실 복무를 귀족 사회 지위의 근본으로 인정하여 봉건 러시아 귀족 사회의 기초(''메스트니체스트보'')를 재편한 제도이다.[1] 표트르 1세는 14등급으로 관등을 나누고, 모든 귀족이 출신이나 재산에 관계없이 관등의 최하위부터 시작하여 차르에 대한 복무(''슬루즈바'')를 통해 승진하도록 했다.[1] 모든 등급은 실력에 따라 열려 있었지만, 승진에는 다음 관등에 대한 자격이 필요했고, 1등급부터 5등급까지는 차르 본인의 개인적인 승인이 필요했다. 초기에는 귀족들의 저항이 있었으나, 18세기에는 교육받은 귀족 관료 계급이 창출되는 결과를 가져왔다.표트르 대제가 개인적인 봉사를 통해 차르에게 묶인 귀족 계급을 만들려는 의도는 후임 차르들에 의해 약화되었다. 1762년 표트르 3세는 귀족에게 부과된 25년의 군 복무 또는 문관 복무 의무를 폐지했다.[2] 1767년 예카테리나 2세는 직위나 실적에 관계없이 7년 후 14등급으로 자동 승진하게 함으로써 관료들의 지지를 얻었고, 이로 인해 관료들은 시간만 때우는 사람들로 채워지게 되었다.[3]
관등에서 특정 등급을 달성하면 자동으로 특정 수준의 귀족 지위가 부여되었다. 14등급으로 승진한 문관은 개인 귀족(''드보랸스트보'') 지위를 얻었고, 8등급의 관직을 보유한 자는 세습 귀족 지위를 얻었다. 니콜라이 1세는 1845년 이 기준을 5등급으로 상향했다.[4] 1856년에는 세습 귀족 자격을 얻기 위한 등급이 문관의 경우 4등급, 군 복무의 경우 6등급으로 변경되었다.[5]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버지는 교육 행정에서 승진하여 4등급인 "현직 국가 자문관"(действительный статский советник)이 되어 세습 귀족의 특권을 얻었다.[5]
비귀족 문관들은 8등급 승진에서 자주 제외되었고, 평생 이 직위에 머무는 "영원한 명예 자문관"() 계급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들은 둔하고 창의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니콜라이 고골,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와 같은 작가들에게 풍자되었다.[6]
관등제는 몇 차례 개정을 거치면서 1917년 러시아 혁명까지 효력을 유지했다.
2. 2. 봉건 귀족 사회 재편
러시아 관등제는 군대, 문관, 그리고 황실에서의 복무를 귀족의 사회적 지위의 근본으로 인정함으로써 봉건 러시아 귀족 사회의 기초(''메스트니체스트보'')를 재편했다. 이 제도는 14등급으로 관등을 나누었으며, 모든 귀족은 출신이나 재산에 관계없이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관등의 최하위부터 시작하여 차르에 대한 복무(''슬루즈바'')를 통해 승진했다.[1] 모든 등급은 실력에 따라 열려 있었지만, 승진에는 다음 관등에 대한 자격이 필요했고, 1등급부터 5등급까지는 차르 본인의 개인적인 승인이 필요했다. 귀족들의 초기 저항에도 불구하고, 18세기에는 여전히 문맹이었고 문관의 서류 작업 생활을 기피했던 귀족들이 많았지만, 관등제의 최종적인 효과는 교육받은 귀족 관료 계급을 창출하는 것이었다.표트르 대제가 개인적인 봉사를 통해 차르에게 묶인 귀족 계급을 만들려는 의도는 후임 차르들에 의해 약화되었다. 1762년 표트르 3세는 귀족에게 부과된 25년의 군 복무 또는 문관 복무 의무를 폐지했다.[2] 1767년 예카테리나 2세는 직위나 실적에 관계없이 7년 후 14등급으로 자동 승진하게 함으로써 관료들의 지지를 얻었다. 따라서 관료들은 시간만 때우는 사람들로 채워지게 되었다.[3]
관등에서 특정 등급을 달성하면 자동으로 특정 수준의 귀족 지위가 부여되었다. 14등급으로 승진한 문관은 개인 귀족(''드보랸스트보'') 지위를 얻었고, 8등급의 관직을 보유한 자는 세습 귀족 지위를 얻었다. 니콜라이 1세는 1845년 이 기준을 5등급으로 상향했다.[4] 1856년에는 세습 귀족 자격을 얻기 위한 등급이 문관의 경우 4등급, 군 복무의 경우 6등급으로 변경되었다.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버지는 교육 행정에서 승진하여 4등급에 도달, "현직 국가 자문관"(데이스트비텔니 스타츠키 소베트니크/действительный статский советникru)이 되었고, 이를 통해 그는 세습 귀족의 특권을 얻었다.[5]
실제로 비귀족 문관들은 8등급으로의 승진에서 자주 제외되었고, 평생 이 직위에 머무는 "영원한 명예 자문관"() 계급을 만들었다. 그들은 둔하고 창의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조롱의 대상이 되었으며, 니콜라이 고골과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와 같은 작가들에 의해 풍자되었다.[6]
가끔의 개정을 거치면서, 관등제는 1917년 러시아 혁명까지 효력을 유지했다.
3. 내용 및 구성
러시아 관등제의 요약된 버전[7]과 승진에 설정된 기간은 다음과 같다.
계급 (K) | 문관 (정부) 계급 | 군 계급 | 궁정 계급 | 승진에 설정된 기간 | 호칭 | 성직자 계급 | rowspan="2" | | |
---|---|---|---|---|---|---|---|---|
... 육군에서 | ... 해군에서 | |||||||
K-1 | 야전 원수 | 해군 대원수 | 없음 | Ваше высоко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о (Vashe vysokoprevoskhoditel’stvo) (각하) | Metropolit | 흑색 성직자 | ||
K-2 | 제독 | 지정되지 않음 | 대주교 | |||||
K-3 | 비밀 고문관 (Tayny sovetnik) | 중장 | 부제독 | 지정되지 않음 | Ваше 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о (Vashe prevoskhoditel’stvo) (각하) | 주교 | ||
K-4 | 현직 국가 고문관 (Deystvitelny statsky sovetnik) | 소장 | 소장 | 지정되지 않음 | 대수도원장 | |||
K-5 | 국가 고문관 (Statsky sovetnik) | 준장 (1722–1796) | 해군 준장 | rowspan="2"| | 지정되지 않음 | Ваше высокородие (Vashe vysokorodie) (귀족) | 이구멘 | |
원로 사제 | 백색 성직자 | |||||||
K-6 | 참의관 (Kollezhsky sovetnik) | 1급 대위 | K-5까지 4년 | Ваше высокоблагородие (Vashe vysokoblagorodie) (귀하) | 사제 | |||
K-7 | 궁정 참의관 (1745–) (Nadvorny sovetnik) | 2급 대위 | 없음 | K-6까지 4년 | 이에레우스 | |||
K-8 | 참의관 (Kollezhsky assessor) | 명목상의 실내관 (–1771) | K-7까지 4년 | 부제 | ||||
K-9 | 명목상의 참의관 (Tituljarny sovetnik) | K-8까지 3년 | 부제 | |||||
K-10 | 참의관 (Kollezhsky sekretar) | 없음 | K-9까지 3년 | Ваше благородие (Vashe blagorodie) (귀하) | ||||
K-11 | 해군 서기 (Korabelny sekretar) | 없음 | 해군 서기 (Korabelny sekretar –1764) | 없음 | ||||
K-12 | 지방 서기 (Gubernsky sekretar) | 없음 | K-10까지 3년 | |||||
K-13 | 지방 등록관 (Kabinetsky redistrator) | 없음 | ||||||
K-14 | 미치만 (1732–1796) | 없음 | K-12까지 3년 |
"폐하의 모든 총애자"의 경우, 다음 상위 계급으로의 승진에 설정된 기간이 1년 단축될 수 있다.
아래 표에는 근위대 (보병 및 기병)의 군 계급이 1722년부터 1917년까지 포함되어 있다.[8]
계급 | 보병 | 기병 | ||||||
---|---|---|---|---|---|---|---|---|
1722 | 1730 | 1748 | 1884–1917 | 1730 | 1748 | 1798 | 1884–1917 | |
1 | – 미정 – | |||||||
2 | ||||||||
3 | 대령 | 대령 | ||||||
4 | 대령 | 중령 | 중령 | |||||
5 | 중령 | 주요 메이저 | 주요 메이저 | |||||
6 | 소령 | 2등 메이저 | 대령 | 2등 메이저 | 대령 | |||
7 | 대위 | 대위 | 대위 | 대위 | 리트마이스터 | 리트마이스터 | 리트마이스터 | 리트마이스터 |
8 | 대위 중위 | 대위 포루치크 | 참모 대위 | 세군드리트마이스터 | 참모리트마이스터 | |||
9 | 중위 | 포루치크 | 포루치크 | |||||
10 | 소위 | 부포루치크 | 부포루치크 | 코르넷 | ||||
11 | – 미정 – | |||||||
12 | 펜드릭 | 프라포르시크 | 코르넷 | |||||
13 | – 미정 – | |||||||
14 |
표트르 1세는 다음과 같이 규정했다.
- "우리와 관계가 있거나 우리 공주와 결혼한 왕자는 항상 우선 순위를 가진다."
- 육군과 해군의 장교가 같은 계급일 경우 "해군 장교는 육군 장교보다 해상에서 우위에 있으며, 육상에서는 육군 장교가 해군 장교보다 우위에 있다."
- 더 높은 계급을 허위로 주장하거나 자격 없이 계급을 얻는 사람에게 두 달치 봉급의 벌금을 부과해야 한다.
- 외국 군주와의 복무는 차르의 승인을 받을 때까지 자동으로 계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가 우리 또는 국가에 유용한 봉사를 할 때까지 누구에게도 계급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 여성은 "남편과 함께 계급을 높여야" 한다.
3. 1. 14등급 체계
러시아 관등제의 요약된 버전[7]과 승진에 설정된 기간은 아래와 같다.계급 (K) | 문관 (정부) 계급 | 군 계급 | 궁정 계급 | 승진에 설정된 기간 | 호칭 | 성직자 계급 | rowspan="2" | | |
---|---|---|---|---|---|---|---|---|
... 육군에서 | ... 해군에서 | |||||||
K-1 | 야전 원수 | 해군 대원수 | 없음 | Ваше высоко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о (Vashe vysokoprevoskhoditel’stvo) (각하) | Metropolit | 흑색 성직자 | ||
K-2 | 제독 | 지정되지 않음 | 대주교 | |||||
K-3 | 비밀 고문관 (Tayny sovetnik) | 중장 | 부제독 | 지정되지 않음 | Ваше 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о (Vashe prevoskhoditel’stvo) (각하) | 주교 | ||
K-4 | 현직 국가 고문관 (Deystvitelny statsky sovetnik) | 소장 | 소장 | 지정되지 않음 | 대수도원장 | |||
K-5 | 국가 고문관 (Statsky sovetnik) | 준장 (1722–1796) | 해군 준장 | rowspan="2"| | 지정되지 않음 | Ваше высокородие (Vashe vysokorodie) (귀족) | 이구멘 | |
원로 사제 | 백색 성직자 | |||||||
K-6 | 참의관 (Kollezhsky sovetnik) | 1급 대위 | K-5까지 4년 | Ваше высокоблагородие (Vashe vysokoblagorodie) (귀하) | 사제 | |||
K-7 | 궁정 참의관 (1745–) (Nadvorny sovetnik) | 2급 대위 | 없음 | K-6까지 4년 | 이에레우스 | |||
K-8 | 참의관 (Kollezhsky assessor) | 명목상의 실내관 (–1771) | K-7까지 4년 | 부제 | ||||
K-9 | 명목상의 참의관 (Tituljarny sovetnik) | K-8까지 3년 | 부제 | |||||
K-10 | 참의관 (Kollezhsky sekretar) | 없음 | K-9까지 3년 | Ваше благородие (Vashe blagorodie) (귀하) | ||||
K-11 | 해군 서기 (Korabelny sekretar) | 없음 | 해군 서기 (Korabelny sekretar –1764) | 없음 | ||||
K-12 | 지방 서기 (Gubernsky sekretar) | 없음 | K-10까지 3년 | |||||
K-13 | 지방 등록관 (Kabinetsky redistrator) | 없음 | ||||||
K-14 | 미치만 (1732–1796) | 없음 | K-12까지 3년 |
"폐하의 모든 총애자"의 경우, 다음 상위 계급으로의 승진에 설정된 기간이 1년 단축될 수 있다.
아래 표에는 '''근위대''' (보병 및 기병)의 군 계급이 1722년부터 1917년까지 포함되어 있다.[8]
계급 | 보병 | 기병 | ||||||
---|---|---|---|---|---|---|---|---|
1722 | 1730 | 1748 | 1884–1917 | 1730 | 1748 | 1798 | 1884–1917 | |
1 | – 미정 – | |||||||
2 | ||||||||
3 | 대령 (연대장) | 대령 | ||||||
4 | 대령 | 중령 (부연대장) | 중령 | |||||
5 | 중령 | 주요 메이저 (Premer-mayor) | 주요 메이저 | |||||
6 | 소령 | 2등 메이저 (Skund-mayor) | 대령 | 2등 메이저 | 대령 | |||
7 | 대위 (Kapitan) | 대위 | 대위 | 대위 | 리트마이스터 (Rotmistr) | 리트마이스터 | 리트마이스터 | 리트마이스터 |
8 | 대위 중위 (Kapitan-leytenant) | 대위 포루치크 (Kapitan-poruchik) | 참모 대위 (Stabs-kapitan) | 세군드리트마이스터 (Sekund-rotmistr) | 참모리트마이스터 (Stabs-rotmistr) | |||
9 | 중위 (Leytenant) | 포루치크 | 포루치크 | |||||
10 | 소위 (Unter-leytenant) | 부포루치크 | 부포루치크 | 코르넷 (Kornet) | ||||
11 | – 미정 – | |||||||
12 | 펜드릭 (Fendrik) | 프라포르시크 | 코르넷 | |||||
13 | – 미정 – | |||||||
14 |
표트르 1세는 다음과 같이 규정했다.
- "우리와 관계가 있거나 우리 공주와 결혼한 왕자는 항상 우선 순위를 가진다."
- 육군과 해군의 장교가 같은 계급일 경우 "해군 장교는 육군 장교보다 해상에서 우위에 있으며, 육상에서는 육군 장교가 해군 장교보다 우위에 있다."
- 더 높은 계급을 허위로 주장하거나 자격 없이 계급을 얻는 사람에게 두 달치 봉급의 벌금을 부과해야 한다.
- 외국 군주와의 복무는 차르의 승인을 받을 때까지 자동으로 계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가 우리 또는 국가에 유용한 봉사를 할 때까지 누구에게도 계급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 여성은 "남편과 함께 계급을 높여야" 한다.
3. 2. 승진 및 귀족 지위
표트르 1세는 "우리와 관계가 있거나 우리 공주와 결혼한 왕자는 항상 우선 순위를 가진다"고 규정했으며, 육군과 해군의 장교가 같은 계급일 경우 "해군 장교는 육군 장교보다 해상에서 우위에 있으며, 육상에서는 육군 장교가 해군 장교보다 우위에 있다"고 규정했다.[7] 그는 더 높은 계급을 허위로 주장하거나 자격 없이 계급을 얻는 사람에게 두 달치 봉급의 벌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규정했다.[7] 그는 외국 군주와의 복무는 차르의 승인을 받을 때까지 자동으로 계급을 부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7] "우리는 그가 우리 또는 국가에 유용한 봉사를 할 때까지 누구에게도 계급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이며, 여성은 "남편과 함께 계급을 높여야" 한다.[7]러시아 관등제의 요약된 버전과 승진에 설정된 기간은 다음과 같다.[7]
계급 (K) | 문관 (정부) 계급 | 군 계급 | 궁정 계급 | 승진에 설정된 기간 | 호칭 | 성직자 계급 | rowspan="2" | | |
---|---|---|---|---|---|---|---|---|
... 육군에서 | ... 해군에서 | |||||||
K-1 | 야전 원수 | 해군 대원수 | 없음 | Ваше высоко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о (Vashe vysokoprevoskhoditel’stvo) (각하) | Metropolit | 흑색 성직자 | ||
K-2 | 제독 | 지정되지 않음 | 대주교 | |||||
K-3 | 비밀 고문관 | 중장 | 부제독 | 지정되지 않음 | Ваше 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о (Vashe prevoskhoditel’stvo) (각하) | 주교 | ||
K-4 | 현직 국가 고문관 | 소장 | 소장 | 지정되지 않음 | 대수도원장 | |||
K-5 | 국가 고문관 | 준장 (1722–1796) | 해군 준장 | rowspan="2"| | 지정되지 않음 | Ваше высокородие (Vashe vysokorodie) (귀족) | 이구멘 | |
원로 사제 | 백색 성직자 | |||||||
K-6 | 참의관 | 1급 대위 | K-5까지 4년 | Ваше высокоблагородие (Vashe vysokoblagorodie) (귀하) | 사제 | |||
K-7 | 궁정 참의관 (1745–) | 2급 대위 | 없음 | K-6까지 4년 | 이에레우스 | |||
K-8 | 참의관 | 명목상의 실내관 (–1771) | K-7까지 4년 | 부제 | ||||
K-9 | 명목상의 참의관 | K-8까지 3년 | 부제 | |||||
K-10 | 참의관 | 없음 | K-9까지 3년 | Ваше благородие (Vashe blagorodie) (귀하) | ||||
K-11 | 해군 서기 | 없음 | 해군 서기 (Korabelny sekretar –1764) | 없음 | ||||
K-12 | 지방 서기 | 없음 | K-10까지 3년 | |||||
K-13 | 지방 등록관 | 없음 | ||||||
K-14 | 미치만 (1732–1796) | 없음 | K-12까지 3년 |
아래 표에는 근위대 (보병 및 기병)의 군 계급이 1722년부터 1917년까지 포함되어 있다.[8]
계급 | 보병 | 기병 | ||||||
---|---|---|---|---|---|---|---|---|
1722 | 1730 | 1748 | 1884–1917 | 1730 | 1748 | 1798 | 1884–1917 | |
1 | – 미정 – | |||||||
2 | ||||||||
3 | 대령 | 대령 | ||||||
4 | 대령 | 중령 | 중령 | |||||
5 | 중령 | 주요 메이저 | 주요 메이저 | |||||
6 | 소령 | 2등 메이저 | 대령 | 2등 메이저 | 대령 | |||
7 | 대위 | 대위 | 대위 | 대위 | 리트마이스터 | 리트마이스터 | 리트마이스터 | 리트마이스터 |
8 | 대위 중위 | 대위 포루치크 | 참모 대위 | 세군드리트마이스터 | 참모리트마이스터 | |||
9 | 중위 | 포루치크 | 포루치크 | |||||
10 | 소위 | 부포루치크 | 부포루치크 | 코르넷 | ||||
11 | – 미정 – | |||||||
12 | 펜드릭 | 프라포르시크 | 코르넷 | |||||
13 | – 미정 – | |||||||
14 |
3. 3. 경칭
러시아 제국의 정부, 궁정, 군대 및 성직자 계급은 러시아 제국의 젠트리 계급을 대표하는 방식이었다. 귀족 작위와 마찬가지로, 각 계급 보유자는 고유한 경칭을 사용했다.[9]계급 | 문관, 궁정 및 군 계급 | 성직자 계급 | 계급 | |||
---|---|---|---|---|---|---|
러시아어 | 영어 번역 | 러시아어 | 영어 번역 | |||
K-1 | Ваше высоко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о | 각하 | Ваше высокопреосвященство, владыко | 존경하는 주교님 | 검은 성직자 | K-1 |
K-2 | K-2 | |||||
K-3 | Ваше 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о | 각하 | Ваше преосвященство, владыко | 존경하는 주교님 | K-3 | |
K-4 | Ваше высокопреподобие | 존경하는 신부님 | K-4 | |||
K-5 | Ваше высокородие | 고귀하신 분 | K-5 | |||
Ваше высокоблагословение | 존경하는 축복이 있으시기를 | 백색 성직자 | K-5 | |||
K-6 | Ваше высокоблагородие | 고귀하신 분 | K-6 | |||
K-7 | Ваше благословение | 축복이 있으시기를 | K-7 | |||
K-8 | Ваше высокоблаговестие | 존경하는 복음전파자님 | K-8 | |||
K-9 | Ваше благородие | 고귀하신 분 | Ваше благовестие | 복음전파자님 | K-9 | |
K-10 | colspan="3" rowspan="5" | | K-10 | ||||
K-11 | K-11 | |||||
K-12 | K-12 | |||||
K-13 | K-13 | |||||
K-14 | K-14 |
이 표 외에는 명예 칭호이며 군 계급이 아닌 대원수 계급과 총대주교 칭호가 있다. 총대주교는 이론적으로 러시아 황제와 동등한 지위였지만, 표트르 대제는 1700년에서 1720년 사이에 이 자리를 비워두었고, 결국 가장 신성한 시노드의 집단 이사회로 대체하여 교회를 사실상 국가의 부서로 만들었다.[9]
4. 변천 과정
4. 1. 후대 차르들의 수정
4. 2. 혁명과 폐지
5. 영향 및 평가
5. 1. 긍정적 영향
5. 2. 부정적 영향
6. 한국사와의 비교
6. 1. 조선의 과거 제도
6. 2. 신분제 사회의 한계 극복 노력
7. 현대적 의의
7. 1.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참조
[1]
서적
Theatre and Identity in Imperial Rus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owa Press
2009-05-01
[2]
서적
Origins of the Russian intelligentsia: the eighteenth-century nobility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 World
1966-05-18
[3]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https://books.google[...]
Penguin
[4]
서적
Russia: People and Empire, 1552-1917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Life of Lenin
https://books.google[...]
Phoenix
[6]
논문
"Why Titular Councilors? A History of Russia's Most Stubborn Literary Type"
https://scholar.colo[...]
University of Colorado
2023-11-04
[7]
웹사이트
Mark Conrad’s Russian Military History - Table of Ranks
http://marksrussianm[...]
[8]
웹사이트
'Table of ranks, section infantry and cavalry 1722 to 1917'
http://akunin.ru/ist[...]
2017-05-07
[9]
웹사이트
'"Табели о рангах"…'
https://culturelands[...]
2019-02-25
[10]
서적
A First Complete Translation into English of Peter the Great's Original Table of Ranks: Observations on the Occurrence of a Black Hole in the Translation of Russian Historical Documents.
http://lea.vitis.usp[...]
LEA Working Paper Series, no. 1
2016-11
[11]
웹사이트
Mark Conrad’s Russian Military History - Table of Ranks
http://marksrussian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