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스 (브랜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럭스는 1899년 레버 브라더스(현 유니레버)가 출시한 세탁용 비누 '선라이트 플레이크'에서 시작하여, 1900년 '럭스'로 브랜드명을 변경했다. 럭스는 욕실용 비누, 바디워시, 샴푸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며 욕실 용품 브랜드로 성장했다. 1920년대부터 할리우드 영화 배우를 광고 모델로 기용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했으며, 1960년대에는 제품의 감각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광고 캠페인을 전개했다. 1980년대에는 스킨 케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중국 시장에 진출했고, 일본에서는 헤어 케어 제품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럭스는 현재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헐리우드 스타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누 - 비누화
비누화는 에스터와 염기의 반응으로 카복실산 염(비누)과 알코올을 생성하는 화학 반응으로, 트라이글리세라이드와 강염기를 사용하여 비누와 글리세롤을 만들며 위생 용품 생산, 소화기 작동 원리, 유화 손상 과정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유니레버 - 바세린
바세린은 화학자 로버트 체스브로가 개발한 상처 치료제에서 시작되어 스킨케어 제품으로 확장되었고, 유니레버에 인수된 후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피부 보습 및 윤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주의사항과 성분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유니레버 - 매그넘 (아이스크림)
매그넘은 칼리바우트와 올라 래버러토리의 협력으로 개발되어 1989년 독일에서 처음 출시된 막대 아이스크림으로,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초콜릿으로 코팅한 형태이며 다양한 맛과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여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고 유니레버의 아이스크림 사업 부문 매각으로 매각 대상에 포함되었다. - 영국의 브랜드 - 피어슨 (기업)
피어슨은 1842년 영국에서 설립되어 초기에는 다양한 분야에 진출했으나, 20세기 후반 이후 교육 출판 및 평가 사업에 집중하며 세계적인 교육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공교육 영향력과 세금 회피 논란 등 비판도 받고 있다. - 영국의 브랜드 - 테스코
테스코는 1919년 영국에서 설립된 다국적 식료품 소매업체로, 성장과 인수합병을 통해 세계적인 유통업체가 되었으나, 논란과 어려움 속에서도 다양한 매장 형태와 온라인 서비스, 자회사 운영을 통해 사업을 다각화하며 지속적인 비판과 경쟁에 직면해 있다.
럭스 (브랜드) | |
---|---|
제품 정보 | |
제품 종류 | 개인 관리 용품 |
제조사 | 유니레버 |
출시 | 1925년 |
브랜드 정보 | |
현재 소유자 | 유니레버 |
원산지 | 영국 |
주요 시장 | 전 세계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lux.com |
2. 역사
럭스(Lux)는 영국에서 탄생한 브랜드이다. 브랜드 이름은 영어로 고급, 호화, 사치 등을 의미하는 'Luxury(럭셔리)'에서 유래되었다.
초기에는 세탁용 비누였으나, 1925년 미국에서 화장 비누로 새롭게 출시되었다. 이후, 당대의 할리우드 스타들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는 전략을 통해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며 세계 100개국 이상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현재는 비누 외에도 바디 워시, 바디 로션,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등 다양한 퍼스널 케어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비누는 세계 판매량 1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어로는 '''력사'''(力士)로 표기한다.
2. 1. 기원 및 초기 역사 (1899년 ~ 1920년대)


럭스는 1899년 영국의 레버 브라더스(Lever Brothers, 현 유니레버)가 '선라이트 플레이크스'(Sunlight Flakes)라는 이름의 세탁용 비누로 처음 출시한 브랜드이다.[5] 1900년에는 브랜드 명칭을 라틴어로 '빛'을 의미하는 동시에, 영어로 고급, 호화, 사치 등을 의미하는 'Luxury(럭셔리)'를 연상시키는 Lux|럭스la로 변경하였다.
초기 럭스는 잿물이 포함되지 않아 새틴이나 견과 같은 섬세한 옷감을 손상시키거나 변색시키지 않는 부드러운 세탁용 비누로 홍보되었다. 당시의 광고 문구는 "기존 비누보다 잘 녹고 부드러운 사용감, 우리 집 세탁에"였다. 또한, 큰 덩어리 형태로 잘라서 판매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미리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포장하는 현대적인 판매 방식을 도입했다.
럭스의 초기 광고 캠페인은 주로 세탁 비누로서의 우수한 품질을 소비자에게 알리는 데 집중했으며, '레이디스 홈 저널'(Ladies' Home Journal)과 같은 여성 잡지에 게재되었다. 1916년에는 미국 시장에도 진출하였고, 1920년대 초반까지 매우 성공적인 브랜드로 성장했다.
1924년, 레버 브라더스는 소비자 조사를 통해 많은 여성들이 럭스 세탁 비누를 세안용 비누(pud soap)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이를 계기로 럭스는 제품 방향을 전환하여, 1925년 미국에서 화장 비누(Toilet Soap)를 공식 출시했다. 이는 세계 최초로 대량 생산되어 판매된 화장 비누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후 1928년에는 영국에서도 화장 비누가 출시되었다.
럭스 화장 비누는 프랑스에서 개발된 고급 제조법을 사용했다는 점과 사용 시 부드러운 피부를 가꿀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마케팅을 펼쳤다. 풍부한 거품과 향기를 특징으로 내세웠으며, 출시 초기 가격은 개당 0.1달러였다.
2. 2. 미용 비누로의 전환 및 헐리우드 마케팅 (1920년대 ~ 1950년대)
럭스는 원래 세탁용 비누로 출시되어, 초기 광고는 제품의 품질을 알리는 데 집중했고 레이디스 홈 저널과 같은 잡지에 게재되었다. 1920년대 초 이미 성공적인 브랜드였던 럭스는, 1924년 레버 브라더스가 실시한 콘테스트를 통해 많은 여성이 럭스를 미용 비누처럼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럭스는 1925년 미국에서 세계 최초의 대량 판매용 화장실 비누로 새롭게 출시되었다.[6] 레버 브라더스는 고급 프랑스 비누와 경쟁할 수 있으면서도 가격은 더 저렴한 미용 비누를 목표로 했다.[7] 럭스는 '프랑스 방식'으로 만들어졌다는 점과 풍부한 질감, 향기를 강조하며 부드러운 피부를 약속하는 광고를 통해 미용 비누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주력했다. 당시 럭스 화장실 비누는 개당 10센트에 판매되었다. 1926년에는 남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전국적인 광고 캠페인이 시작되었다.[7]
1928년에는 영국에서도 럭스 화장실 비누가 출시되었다. 같은 해, 광고 대행사 톰슨(Thompson)은 할리우드 여배우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425명의 여배우에게 럭스 비누 상자를 보내는 캠페인을 시작했고, 그 결과 414명의 지지를 확보하며 '할리우드 스타 10명 중 9명이 럭스 비누를 사용한다'는 유명한 광고 문구를 내세울 수 있게 되었다.[7][6] 이 캠페인에는 배우 루이스 브룩스 등이 참여했으며, 그녀의 광고는 1928년부터 1931년까지 게재되었다.[8][9]
1929년부터 럭스는 당대 가장 유명한 여성 스타 26명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며 본격적으로 영화계와의 연관성을 구축하는 데 집중했다. 이는 영화를 즐겨 보는 소비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이후 할리우드 영화 감독들도 광고에 등장했다. 이 시기 럭스는 인도, 아르헨티나, 태국 등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1931년, 럭스는 나이가 있는 스타들을 모델로 "저는 31살이 넘었습니다"라는 광고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광고 시리즈에서 스타들은 젊은 피부를 유지하는 비결을 이야기하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또한 스타들과의 인터뷰와 클로즈업 사진을 활용한 광고는 이후 '10명 중 9명' 캠페인의 아이디어를 제공하기도 했다. 1933년 광고에서는 694명의 유명 여배우 중 686명이 럭스 비누를 사용한다고 주장하며 할리우드와의 연관성을 더욱 강화했다.[10] 이러한 할리우드 마케팅 전략은 럭스가 세계적인 비누 브랜드로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6]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럭스 광고는 데버러 카와 같은 유명 여배우를 모델로 내세우면서도, 평범한 여성이 럭스를 사용함으로써 아름다움을 얻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소비자의 시선에서 아름다움을 바라보고 영화 배우를 역할 모델로 삼는 전략은 럭스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였다. 한편, 1920년대에 진출했던 짐바브웨와 같은 아프리카 시장에서는 1940년대부터 대규모 광고를 시작했다. 당시 광고는 럭스를 매력과 지성과 연관시키고, 유명 해외 스타들의 지지를 활용했으며, 백색 외에 다른 색상의 비누를 출시하고 지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는 슬로건을 사용했다.[11]
2. 3. 이미지 변화 및 글로벌 확장 (1960년대 ~ 현재)

1960년대에 들어 럭스의 광고는 제품 자체의 이야기와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을 통해 제품을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시기는 "영화 배우 느낌"과 "골든 럭스"라는 콘셉트를 내세웠으며, 다이애나 리그, 서맨사 에거 등이 광고 모델로 활동했다. 럭스 브랜드의 "환상적인" 이미지가 이 시기에 구축되었고, 브랜드는 중동 지역에도 출시되어 더욱 보수적인 시장으로 확장되었다.
1970년대에는 변화하는 미용 트렌드를 반영하여 광고 모델 전략을 수정했다. 기존의 화려한 스타 이미지에서 벗어나, 평범한 소비자들이 공감하고 닮고 싶어 할 만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가진 모델을 내세웠다. 광고는 모델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과 일상 속 모습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1980년대에 럭스는 스스로를 스타와 아름다운 여성들이 선택하는 유일한 미용 비누로 자리매김하며, 아름다움의 첫 단계로서 스킨 케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시기에는 중국 시장에도 진출했으며, 소피아 로렌, 라켈 웰치, 셰릴 래드 등이 광고 모델로 기용되었다.
1990년대에는 일반적인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는 것에서 나아가, 제품의 특정한 장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마케팅 전략을 전환했다. 제품의 기능성이나 다양한 피부 타입에 맞는 효과 등을 구체적으로 내세웠으며, 홍보 활동 역시 더욱 지역화된 특성을 보였다.
일본 시장 진출 및 확장일본에서는 1972년에 선물용 비누 판매를 시작으로 럭스 브랜드가 소개되었다. 이후 헤어 케어 제품을 출시하며 일본 내 주요 브랜드로 성장했으며, 헤어 스타일링 제품과 바디 케어 제품도 판매하고 있다.
연도 | 주요 내용 |
---|---|
1989년 | 헤어 케어 브랜드로서 "실크처럼 아름다운 머리"를 내세우며, 데미지 케어 기능을 갖춘 럭스 슈퍼 리치 출시. |
1997년 | 긴 머리, 파마 머리 유행과 모발 손상에 대한 관심 증가를 배경으로, 일본 최초로 보수 효과를 강조한 제품 출시 성공. |
1998년 | 헤어 케어 제품 전체 연간 판매 금액에서 시장 점유율 1위 달성 (1998년 ~ 2008년 유지).[12] |
1999년 | 광고 모델로 캐서린 제타 존스 기용. |
2001년 | 일본 최초로 손상된 부분을 찾아 맞춤 케어하는 선택적 보수 기능을 내세운 제품 출시. |
2003년 | 광고 모델로 나탈리 포트만 기용. 광고 삽입곡 LOOKIN FOR LOVE IN YOU' (AiMEE)가 인기를 얻어 CD로 발매됨. |
2006년 | 다양해지는 데미지 케어 요구에 맞춰 슈퍼 리치 샤인, 슈퍼 데미지 리페어 2개 시리즈로 확장. |
2012년 | 3월, 로즈 오브 제리코 성분을 함유한 LUX BIOFUSION 출시. 8월, 연령에 따른 모발 고민(뿌리 탄력, 곱슬거림, 푸석거림)에 주목한 뷰티 리파인 시리즈 출시. |
2014년 | 9월, 루미니크 시리즈 출시. 샴푸는 럭스 브랜드 최초로 논 실리콘 처방 채용. |
2015년 | 2월, 슈퍼 리치 샤인과 슈퍼 데미지 리페어 처방을 개선하여 슈퍼 리치 샤인 시리즈로 통합 리뉴얼. 미용액 스타일링 시리즈 전면 쇄신. |
2016년 | 8월, 스트레이트 헤어용 신규 라인 슈퍼 리치 샤인 스트레이트 & 뷰티 시리즈 출시. (모이스처, 데미지 리페어와 함께 3라인 체제 구축) |
2017년 | 2월, 루미니크 시리즈 처방 개선 및 트리트먼트 제품 추가. 3월, 루미니크 시리즈에 파라벤·합성 착색료 무첨가 설계의 보태니컬 퓨어 라인 출시. 8월, 프리미엄 보태니피크 시리즈 출시. |
럭스 브랜드는 1899년 영국에서 '선라이트 플레이크스'라는 세탁용 비누로 처음 시작되었으며, 1900년 '럭스(Lux)'로 브랜드명을 변경했다. 초기에는 섬세한 옷감용 세탁 비누로 명성을 얻었으나, 1924년 미국에서 미용 비누인 '럭스 화장실 비누(Lux Toilet Soap)'를 출시하며 본격적으로 미용 제품 브랜드로 전환했다. 이후 핸드워시, 샤워 젤, 크림 목욕 비누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며 욕실 용품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다졌다.[1][2][3][4][5]
럭스의 헤어 케어 제품 향은 많은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만화 노다메 칸타빌레에서는 주인공 노다메가 럭스 슈퍼 리치 샤인(LUX Super Rich Shine)을 애용하는 듯한 치아키의 향기를 맡고 "아, 선배, 좋은 냄새"라며 황홀해하는 장면이 등장하기도 한다(10권 98쪽).
현재 럭스는 화장 비누 외에도 바디 워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등 다양한 욕실 용품을 출시하며 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판매되는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일본에서는 유니레버 재팬이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등을 주로 판매해왔으며, 수입품으로만 유통되던 고형 비누도 현재는 정식 출시되고 있다.
3. 제품
현재 럭스는 크게 헤어 케어 제품과 바디 케어 제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일본 시장에서는 1989년 헤어 케어 제품 출시 이후 손상 모발 관리, 보수 효과 등을 내세운 다양한 시리즈를 출시하며 주요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12] 바디 케어 제품 역시 다양한 향과 기능의 바디 소프를 중심으로 꾸준히 출시되고 있다. 각 제품 라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초기 제품
럭스 브랜드는 1899년 영국의 레버 형제(현 유니레버)가 '선라이트 플레이크스'라는 이름으로 처음 출시한 세탁용 비누에서 시작되었다. 1900년에는 브랜드 이름을 '럭스(Lux)'로 변경했는데, 이는 라틴어로 '빛'을 의미하며 동시에 '사치품(luxury)'을 연상시키는 이름이었다. 초기 럭스는 세탁용 비누였으며, 1916년에는 미국 시장에도 진출했다. 당시 "기존 비누보다 잘 녹고 부드러운 사용감, 우리 집 세탁에"라는 문구를 내세워 홍보했다.
그 당시의 일반적인 비누에는 잿물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새틴이나 견과 같은 섬세한 옷감을 세탁할 경우 변색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럭스는 잿물 성분이 없어 옷감 손상 없이 부드럽게 세탁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내세워 섬세한 옷감용 세탁 비누로 인기를 얻었다. 초기 광고 캠페인 역시 이러한 세탁 품질을 소비자에게 알리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레이디스 홈 저널》과 같은 잡지에 광고를 게재했다. 1920년대 초까지 럭스는 매우 성공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판매 방식도 기존의 큰 비누 덩어리를 잘라 파는 방식에서 벗어나, 미리 사용하기 편리한 작은 조각 형태로 만들어 판매하는 현재와 같은 방식을 도입했다.
1924년, 레버 형제는 여성 소비자들이 럭스 세탁 비누를 미용 비누(pud soap)처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이를 계기로 럭스 브랜드를 미용 제품으로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같은 해 미국에서 럭스 화장실 비누(Lux Toilet Soap)를 출시하며 세계 최초로 대량 생산된 미용 비누 시대를 열었다. 미국 출시 후 2년 동안 럭스는 미용 비누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집중했다. 광고에서는 부드러운 피부를 가꿀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프랑스에서 개발된 제조법으로 만들어진 고급 미용 비누를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한다는 점을 내세웠다. 풍부한 거품과 향기를 특징으로 내세운 최초의 럭스 화장실 비누는 개당 10센트에 판매되었다. 이후 1928년에는 영국에서도 럭스 화장실 비누가 출시되었다.
럭스 비누는 이후 핸드워시, 샤워 젤, 크림 목욕 비누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며 욕실 용품 브랜드로 점차 변화해 갔다.
3. 2. 헤어 케어 제품 (일본 시장 중심)
일본에서는 1972년 선물용 비누 판매를 시작으로 사업을 전개했다. 이후 헤어 케어 제품을 출시하며 일본 내 최고 브랜드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 그 외에도 헤어 스타일링 제품과 바디 케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럭스는 일본 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연혁을 가지고 있다.
럭스는 일본인의 모발 특성을 연구하여 현지 소비자를 위한 제품 개발을 진행하는 동시에, 다국적 기업의 강점을 살려 영국 등 세계 각국의 연구소와 협력하며 최첨단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또한, 여러 차례 일본 내 소비자 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요구와 트렌드를 파악하고 이를 제품 개발에 반영한다. 마무리감과 보수 효과는 물론, 사용감과 향기까지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18,000개에 달하는 시제품을 제작하기도 한다.
주요 제품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3. 3. 바디 케어 제품
4. 마케팅 및 광고 전략
럭스(Lux)는 영국에서 시작된 브랜드로, 이름은 '고급', '호화' 등을 의미하는 Luxury|럭셔리eng에서 유래했다. 1925년 미국 시장에 처음 소개될 때는 고급 프랑스 비누에 버금가면서도 가격은 더 저렴한 제품으로 자리매김했다.[6][7]
럭스의 마케팅은 초창기부터 할리우드 유명 여배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1928년 광고 대행사 톰슨(Thompson)은 400명이 넘는 여배우들에게 제품을 보내 지지를 얻어냈고, 이를 바탕으로 "할리우드 스타 10명 중 9명이 럭스 비누를 사용한다"는 유명한 광고 문구를 내세웠다.[7][6] 이러한 할리우드 스타 마케팅은 럭스가 세계적인 비누 브랜드로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6]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광고의 초점이 할리우드 스타에서 점차 일반 여성으로 옮겨가자 판매량이 감소했고, 1990년대에는 미국 시장에서 판매가 중단되기도 했다. 당시 제조사였던 레버 브라더스는 도브(Dove) 브랜드에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6]
한편, 럭스는 진출하는 지역의 특성에 맞춰 마케팅 전략을 조정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1920년대 영국 식민지였던 짐바브웨에 진출했을 때는 초기에는 인지도가 낮았으나, 1940년대부터 대대적인 광고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해외 유명인을 내세웠지만[11],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현지 모델과 가수를 기용하여 화려함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주었다.[11]
현재 럭스는 비누 외에도 바디 워시, 바디 로션,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등 다양한 제품 라인을 갖추고 있으며, 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판매되고 있다. 중국어로는 '''력사'''(力士)로 표기된다.
4. 1. 헐리우드 스타 마케팅
럭스는 초기에 제품 자체보다는 영화 배우와 그들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할리우드 영화계와의 연관성을 구축하는 데 주력했다. 1928년, 광고 대행사 톰슨(Thompson)은 할리우드 여배우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425명의 여배우에게 럭스 비누 상자를 보내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그 결과 414명으로부터 지지를 얻어냈고, 이를 바탕으로 "할리우드 스타 10명 중 9명이 럭스 비누를 사용한다"는 유명한 광고 문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7][6] 이 캠페인에는 배우 루이스 브룩스 등도 참여했다.[8][9] 1933년에는 694명의 유명 여배우 중 686명이 럭스 비누를 사용한다고 광고하며 캠페인을 이어갔다.[10]럭스는 마릴린 먼로, 브리지트 바르도와 같은 당대 최고의 할리우드 스타들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며 여성들에게 아름다움에 대한 열망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할리우드 스타 마케팅은 럭스가 비누 판매에서 세계적인 리더가 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6]
일본 시장에서는 헤어 케어 제품 광고 모델로 브룩 쉴즈를 초대 모델로 기용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 제니퍼 코넬리, 캐서린 제타존스[15], 페넬로페 크루즈, 나탈리 포트만 등 세계적인 스타들을 꾸준히 광고 모델로 발탁했다. 이들 중에는 럭스 광고 출연 이후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배우도 있어, 럭스 광고에 출연하면 유명해진다는 이야기가 생기기도 했다. 2015년 8월 하순부터는 스칼렛 요한슨을 모델로 기용했다.
4. 2. '아름다운 여성' 이미지 전략
럭스는 초창기부터 할리우드 유명 여배우를 광고 모델로 활용하여 대중 영화계와의 연관성을 구축하는 데 집중했다. 1928년에는 425명의 여배우에게 제품을 보내 414명의 지지를 얻었고, 이를 바탕으로 "할리우드 스타 10명 중 9명이 럭스 비누를 사용한다"는 유명한 캠페인을 시작했다.[7][6] 이 캠페인에는 루이스 브룩스와 같은 당대 유명 배우들이 참여했으며,[8][9] 1933년에는 참여 배우 수가 694명 중 686명에 달한다고 홍보할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10] 이러한 전략은 럭스가 세계적인 비누 브랜드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1931년에는 "저는 31살이 넘었습니다"라는 캠페인을 통해 상대적으로 나이가 있는 스타들이 어린 피부를 유지하는 비결에 대해 이야기하며 스킨 케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스타 인터뷰와 클로즈업 사진을 통해 소비자들이 이들을 역할 모델로 삼도록 유도하며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였다. 스타를 활용하면서도 광고의 초점은 점차 소비자와 그들의 삶 속에서 럭스가 하는 역할로 옮겨갔다. 예를 들어 데버러 카와 같은 유명 배우를 등장시키면서도 평범해 보이는 여성을 함께 보여주기도 했다.
1960년대에는 제품의 스토리와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을 부각하여 브랜드를 낭만적으로 만드는 데 주력했다. "영화 배우 느낌", "골든 럭스"와 같은 콘셉트로 다이애나 리그, 서맨사 에거 등이 모델로 활동했으며, 럭스 특유의 '환상적인' 이미지가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
1970년대에는 변화하는 미용 트렌드를 반영하여 광고 모델들이 보다 친근하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이는 평범한 소비자들이 모델에게 공감하고 그들처럼 되기를 열망하게 만들기 위한 전략이었다. 광고는 모델들의 일상 속 한 장면을 연출하여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강조했다. 이러한 '아름다운 여성' 이미지 전략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변형되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1960년대와 1970년대 짐바브웨에서는 해외 스타 대신 현지 모델과 가수를 기용하여 화려함을 강조하는 광고를 진행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Lux
https://www.hul.co.i[...]
2021-04-10
[2]
웹사이트
Lux launches Star Soap Collection
https://www.unilever[...]
2021-04-10
[3]
웹사이트
Lux
https://www.unilever[...]
[4]
웹사이트
Lux – personal care brand of Unilever
http://www.unilever.[...]
[5]
문서
Our approach to sustainability
unilever.com
2015-03-21
[6]
서적
The clean body : a modern history
McGill-Queen's Press - MQUP
2019
[7]
서적
Stronger than dirt : a cultural history of advertising personal hygiene in America, 1875–1940
https://www.worldcat[...]
Humanity Books
2001
[8]
웹사이트
Louise Brooks & Lux Soap - United States and Canada
https://www.pandoras[...]
2024-07-25
[9]
웹사이트
Louise Brooks & Lux Soap - Elsewhere Around the World
https://www.pandoras[...]
2024-07-25
[10]
서적
Endorsements in advertising : a social history
https://www.worldcat[...]
McFarland & Co
2005
[11]
서적
Lifebuoy men, lux women : commodification, consumption, and cleanliness in modern Zimbabw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1996
[12]
문서
輝く美しい髪のために
Unilever
[13]
뉴스
"ラックス ボディソープ」と美少女戦士セーラームーンが期間限定でコラボレーション!2020年3月2日(月)より順次新登場
https://prtimes.jp/m[...]
2020-02-25
[14]
뉴스
美少女戦士セーラームーンとLUXボディソープがコラボレーション!期間限定でコラボパッケージの商品が発売
https://news.ganma.j[...]
2020-02-25
[15]
문서
캐서린・제타=존스
[16]
웹사이트
初音ミクが「LUX」CMに出演、ツインテールほどき新しい一歩を歌う
https://natalie.mu/m[...]
2016-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