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닌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닌봉은 파미르 산맥에 있는 7,134m 높이의 산으로, 여러 차례 이름이 변경되었다. 러시아령 투르케스탄 총독의 이름을 따 카우프만 산으로 명명되었다가, 1928년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름을 따 레닌봉으로 개명되었다. 타지키스탄에서는 아비센나 봉으로, 키르기스스탄에서는 레닌 봉으로 불리며, 키르기스스탄에서는 마나스 봉으로 개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928년 독일-소련 원정대에 의해 초등되었으며, 이후 여러 등반 시도가 있었고, 1974년에는 여성 등반대 전원 사망 사고, 1990년에는 지진으로 인한 눈사태로 많은 등반가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지키스탄의 산 - 이스모일소모니봉
타지키스탄 최고봉이자 파미르 고원에 위치한 이스모일소모니봉은 과거 스탈린 봉, 공산주의 봉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9~10세기 사만 왕조의 에미르인 이스마일 사마니를 기념하여 명명되었고 1933년 예브게니 아발라코프에 의해 초등되었다. - 타지키스탄의 산 - 코르제넵스카야봉
코르제넵스카야봉은 타지키스탄 파미르 고원에 위치한 7,000m 이상의 고산으로, 스노우 레오파드 상 대상이자 헬리콥터 접근이 용이하여 등반이 비교적 쉬운 봉우리이며, 1953년 초등 이후 일반적인 등반 경로와 1987년 동계 초등 기록이 있다. - 파미르고원의 산 - 이스모일소모니봉
타지키스탄 최고봉이자 파미르 고원에 위치한 이스모일소모니봉은 과거 스탈린 봉, 공산주의 봉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9~10세기 사만 왕조의 에미르인 이스마일 사마니를 기념하여 명명되었고 1933년 예브게니 아발라코프에 의해 초등되었다. - 파미르고원의 산 - 코르제넵스카야봉
코르제넵스카야봉은 타지키스탄 파미르 고원에 위치한 7,000m 이상의 고산으로, 스노우 레오파드 상 대상이자 헬리콥터 접근이 용이하여 등반이 비교적 쉬운 봉우리이며, 1953년 초등 이후 일반적인 등반 경로와 1987년 동계 초등 기록이 있다. -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국경 - 2022년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국경분쟁
2022년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국경분쟁은 오랜 국경 및 물 문제로 촉발된 양국 간 무력 충돌로, 9월에 격화되어 전면전 양상으로 확대되었으나 휴전 합의에는 실패했으며, 국경선 불확실성, 민족 구성, 지정학적 경쟁, 외부 세력 개입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여 발생했다. -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국경 - 2021년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국경 분쟁
2021년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국경 분쟁은 중앙아시아의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 간의 무력 충돌로, 국경선 획정 문제와 물 분배 갈등으로 인해 2021년 4월부터 7월까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며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았다.
레닌봉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이븐 시나 봉 |
위치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국경 |
산맥 | 트란스알라이 산맥 (파미르 산맥) |
좌표 | 39°20′33″N 72°52′39″E |
높이 | 7,134 m |
돌출 높이 | 2790 m |
첫 등정 | 1928년, 카를 빈, 오이겐 알바인, 에르빈 슈나이더 |
등반 경로 | 암벽/눈/얼음 등반 |
울트라 | 울트라 |
지리적 명칭 | |
키르기스어 | (레닌 초쿠수) |
러시아어 | (피크 레니나) |
타지크어 | (쿨라이 레닌) |
타지크어 (다른 이름) | (쿨라이 아부알리 이브니 시노) |
타지크어 (라틴 문자) | (쿨라이 아부알리 이브니 시노) |
2. 명칭
레닌봉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처음에는 러시아령 투르케스탄의 초대 총독 콘스탄틴 페트로비치 폰 카우프만의 이름을 따 카우프만 산으로 명명되었다. 1928년에는 소련의 초대 지도자인 블라디미르 레닌을 기리기 위해 레닌봉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현재 타지키스탄에서는 2006년 7월에 이름을 다시 변경하여,[2] 아부 알리 이븐 시나(아비센나)의 이름을 딴 이븐 시나 봉(Qullai Abuali ibni Sino|쿨라이 아부알리 이브니 시노tgk)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한다. 반면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여전히 레닌 봉(Lenin Chokusu|레닌 초쿠수kir)이 공식 명칭이다.
이 외에도 현지 키르기스어 이름인 젤-아이다르("바람의 신")와 아치크-타쉬("열린 바위") 등이 있다.[6][7]
2. 1. 역사적 명칭
레닌봉은 원래 러시아령 투르케스탄의 초대 총독인 콘스탄틴 페트로비치 폰 카우프만의 이름을 따서 카우프만 산으로 불렸다. 1928년에는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초대 지도자인 블라디미르 레닌을 기리기 위해 레닌봉으로 이름이 바뀌었다.타지키스탄에서는 2006년 7월에 다시 이름이 변경되어,[2] 현재는 아부 알리 이븐 시나(아비센나)의 이름을 딴 이븐 시나 봉 또는 아비센나 봉(Qullai Abuali ibni Sino|쿨라이 아부알리 이브니 시노tgk, қуллаи Абӯалӣ ибни Сино|쿨라이 아부알리 이브니 시노tgk)으로 공식적으로 불린다.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여전히 공식적으로 레닌 봉(Lenin Chokusu|레닌 초쿠수kir, Ленин Чокусу|레닌 초쿠수kir)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하지만 2017년 10월, 당시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이었던 알마즈베크 아탐바예프는 마나스 서사시의 영웅 이름을 따서 봉우리 이름을 "마나스 봉"으로 바꾸자고 제안했다.[4] 그러나 "마나스 봉"이라는 이름의 봉우리는 이미 키르기스스탄 탈라스 지역의 탈라스 알라토 산맥에 4488m 높이로 존재한다.[5]
현지 키르기스어로는 젤-아이다르("바람의 신") 또는 아치크-타쉬("열린 바위")라는 이름도 있다.[6][7] 이 중 아치크-타쉬는 레닌봉으로 가는 인기 있는 북쪽 등반 경로 상에 있는 고원이자 베이스캠프(해발 3600m)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경로는 키르기스스탄 남부 도시인 오시에서 시작한다.[8] 그 외에 피크 카만("멧돼지", "수퇘지")이라는 이름도 제안되었으나, 이는 레닌봉 서쪽에 있는 공식 명칭이 없는 다른 봉우리를 가리킬 가능성이 있다.
2. 2. 현재 명칭
원래 이 봉우리는 러시아령 투르케스탄의 초대 총독인 콘스탄틴 페트로비치 폰 카우프만의 이름을 따서 '''카우프만 산'''으로 불렸다. 1928년에는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초대 지도자인 블라디미르 레닌을 기려 '''레닌봉'''으로 이름이 바뀌었다.타지키스탄에서는 2006년 7월 이 봉우리의 이름을 다시 바꾸었다.[2] 현재 타지크어 공식 명칭은 Qullai Abuali ibni Sino|쿨라이 아부알리 이브니 시노tgk (қуллаи Абӯалӣ ибни Сино|쿨라이 아부알리 이브니 시노tgk), 즉 '''이븐 시나 봉''' 또는 '''아비센나 봉'''이다. 이는 페르시아의 유명한 학자인 아부 알리 이븐 시나의 이름을 딴 것이다.
반면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여전히 공식적으로 Lenin Chokusu|레닌 초쿠수kir (Ленин Чокусу|레닌 초쿠수kir), 즉 '''레닌 봉'''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10월, 당시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이었던 알마즈베크 아탐바예프는 마나스 서사시의 영웅 이름을 따서 이 봉우리를 "마나스 봉"으로 바꾸자고 제안했다.[4] 하지만 이미 키르기스스탄 탈라스 지역의 탈라스 알라토 산맥에 높이 4488m의 "마나스 봉"이 존재하여[5] 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현지 키르기스어 이름으로는 '''젤-아이다르'''("바람의 신")와 '''아치크-타쉬'''("열린 바위")가 있다.[6][7] 특히 '아치크-타쉬'는 레닌봉으로 가는 인기 있는 북쪽 등반 경로 상에 있는 해발 3600m 지점의 고원이자 베이스캠프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경로는 키르기스스탄 남부 도시인 오시에서 시작하여 국경에서 북쪽으로 하루 거리에 위치한다.[8]
2. 3. 현지 명칭
현지 키르기스어 이름으로는 '''젤-아이다르''' ("바람의 신")와 '''아치크-타쉬''' ("열린 바위")가 있다.[6][7] '''아치크-타쉬'''는 레닌봉으로 가는 인기 있는 북쪽 등반 경로의 베이스캠프 이름이기도 하다. 이 베이스캠프는 해발 3600m 지점의 고원에 위치하며, 등반 경로는 키르기스스탄 남부 도시인 오시에서 시작하여 국경에서 북쪽으로 하루 거리에 있다.[8]또 다른 현지 이름으로 제안된 '''피크 카만''' ("멧돼지", "수퇘지")은 레닌봉 서쪽에 있는, 공식적으로 이름이 없는 봉우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3. 등반 역사
레닌봉이 위치한 중앙아시아의 알라이 산맥 지역은 18세기 후반부터 유럽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의 과학 탐험을 통해 트란스알라이 산맥과 그 최고봉(훗날 레닌봉)이 발견되었다.[10][11] 20세기 초까지 여러 지리 탐험이 이루어졌다.
레닌봉에 대한 최초의 등정 시도는 1928년 독일-소련 알라이-파미르 원정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독일과 오스트리아 등반가 3명이 남쪽 사면을 통해 정상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 이는 당시 세계 최고 등정 고도 기록이었다. 같은 해, 이 봉우리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름을 따 '레닌봉'으로 명명되었고, 당시 소련 최고봉으로 여겨졌다.
이후 소련 시대에 여러 차례의 등반이 이어졌다. 1934년 소련 등반가들이 북쪽에서 접근하는 새로운 루트로 두 번째 등정에 성공했으며[12], 1937년 세 번째 등정이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에 네 번째 등정이 있었고[12], 1954년에는 현재 '클래식 루트'로 불리는 북서릉 루트가 개척되었다. 1960년에는 북벽 직접 등반에도 성공했다.[9]
레닌봉은 비교적 접근이 용이하고 다양한 루트가 있어 인기 있는 등반 대상지이지만, 여러 비극적인 사고의 역사도 가지고 있다. 1974년에는 정상 부근에서 조난된 소련 여성 등반대 8명 전원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13][14], 1990년에는 지진으로 인한 대규모 눈사태가 캠프를 덮쳐 43명의 등반가가 목숨을 잃는 등반 역사상 최악의 참사가 발생했다.[20]
한편, 1980년대에는 등반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기록들이 세워졌다. 1987년에는 12시간 만에 베이스캠프에서 정상을 왕복하는 고속 등반 기록이 세워졌고[15][16][17], 같은 해 아나톨리 부크레예프에 의해 최초의 단독 등반이 이루어졌다.[19] 1988년에는 혹한의 날씨 속에서 소련-카자흐스탄 합동 등반대가 최초의 동계 등반에 성공했다.[18]
현재 레닌봉에는 남북 사면에 걸쳐 총 16개의 등반 루트가 있으며[9], 북쪽 사면의 루트들이 기반 시설과 접근성으로 인해 더 많이 이용된다.
3. 1. 초기 탐험 (18세기 후반 ~ 20세기 초)
중앙아시아 이 지역에 대한 최초의 탐험은 1774년에서 1782년 사이에 이루어졌다. 이 지역을 통과한 최초의 기록된 여정은 부하라에서 노예 생활을 탈출한 러시아인 필리프 예프레모프의 이야기이다. 그는 페르가나 계곡을 건너 오시를 거쳐 치기리크 고개와 테레크다반 고개를 지나 카슈가르에 도착했으며, 이후 카라코룸 산맥을 넘었다. 그는 알라이 산맥을 건넌 최초의 유럽인으로 기록되었다.[10][11]알라이 산맥에 대한 과학적 탐험은 1871년에 시작되었다. 알렉세이 파블로비치 페드첸코는 트란스알라이 산맥(자알라이스키 산맥)과 그 주요 봉우리를 발견하며 이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문을 열었다. 20세기 초에는 니콜라이 레오폴도비치 코르제네프스키가 지리 탐험을 통해 훗날 레닌봉으로 불리게 될 봉우리의 기슭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2. 최초 등정 (1928년)
1928년 9월, 독일-소련 알라이-파미르 원정대의 일원으로 참가한 독일인 등반가 Eugen Allwein|오이겐 알바인de과 카를 빈, 그리고 오스트리아인 Erwin Schneider|에르빈 슈나이더de는 당시 '카우프만 봉'으로 불리던 트란스알라이 산맥 최고 지점 등정을 시도했다. 이들은 트란스알라이 산맥 남쪽 경사면의 사우크다라 강 상류에서 등반을 시작했다. 이후 그레이터 사우크다라 빙하를 따라 5820m 고도의 안부(훗날 크릴렌코 고개로 명명됨)까지 올랐다.1928년 9월 25일, 세 등반가는 이 안부에서 북동쪽 능선을 따라 등반을 시작하여 오후 3시 30분에 정상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당시 카우프만 봉 등정은 인간이 도달한 가장 높은 고도 기록이었다.
같은 해인 1928년, 이 봉우리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름을 따 '레닌봉'으로 명명되었으며, 당시 소련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여겨졌다.
3. 3. 소련 시대 등반 (1934년 ~ 1990년)
1928년 독일-소련 원정대의 첫 등정 이후, 소련의 등반가들이 레닌봉 등정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934년 9월 8일 16시 20분, 카시안 체르누하, 비탈리 아발라코프, 이반 루킨으로 구성된 소련 원정대가 레닌봉 두 번째 등정에 성공했다. 이들은 알라이 계곡의 아치크-타쉬 협곡에서 출발하여 레닌 빙하 서쪽 얼음 사면과 북벽의 나중에 립킨 바위로 명명된 바위를 거쳐 북동릉(NE 능선)을 통해 7134m 정상에 도달했다. 등반에는 4일이 소요되었으며, 3개의 캠프(5,700m, 6,500m, 7,000m)를 설치했다.[12]3년 후인 1937년, 레프 바르크샤가 이끄는 8명의 소련 등반대가 같은 경로로 세 번째 등정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 시기는 소련 내 대숙청이 시작되던 때로, 바르크샤를 포함한 많은 저명한 등반가들이 정치적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등반은 1950년에 재개되었다. 8월 14일, 블라디미르 라세크가 이끈 12명의 소련 등반가(V. 악세노프, K. 자포로이첸코, Y. 이스라엘, V. 코발레프, A. 코르미시코프, Y. 마슬로프, E. 나겔, V. 나리쉬킨, V. 니코노프, V. 노즈드류힌, I. 로즈코프)가 북동릉 경로를 통해 네 번째로 정상에 올랐다.[12]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클래식 루트, 즉 라즈델나야 봉과 북서릉(NW 능선)을 경유하는 경로는 1954년 V. 코발레프가 지휘한 소련 등반가 팀(P. 카르포프, E. 나겔, V. 나리쉬킨, V. 노즈드류힌)에 의해 처음으로 개척되었다.
1960년 8월 15일에는 8명의 소련 등반가 그룹이 북벽을 직접 오르는 데 성공했다.[9]
레닌봉은 비교적 접근이 쉽고 등반 루트가 다양하여 인기가 높지만, 비극적인 사고도 여러 차례 발생했다. 1974년 8월, 엘비라 샤타예바가 이끌던 8명의 소련 여성 등반대가 정상 부근에서 강력한 폭풍으로 조난당해 전원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13] 샤타예바는 동료들이 차례로 숨지는 상황에서도 베이스캠프와 교신을 유지했으며, 그녀의 마지막 말은 "이제 혼자 남았어요... 몇 분밖에 살지 못할 것 같아요... 영원에서 만나요."였다고 전해진다.[14]
1987년에는 두 차례의 주목할 만한 등반이 있었다. 발레리 크리슈차티가 이끈 팀(G. 루냐코프, Z. 할리토프, 아나톨리 부크레예프, V. 수비가, Y. 모이세예프, A. 첼리셰프)은 ABC 베이스 캠프(4400m)에서 정상까지 등반하고 다시 베이스 캠프로 돌아오는 데 단 12시간이 걸리는 고속 등반 기록을 세웠다.[15][16][17] 같은 해, 고산 등반가 아나톨리 부크레예프는 레닌봉 최초의 단독 등반에 성공했다.[19]
1988년에는 레닌그라드와 카자흐스탄 출신 등반가 19명으로 구성된 팀(레오니드 트로쉬첸코 지휘)이 레닌봉 최초의 겨울 등반에 성공했다. 당시 기온은 -45°C까지 떨어지는 혹독한 환경이었으며, 발레리 크리슈차티, 세르게이 아르센티예프, 발렌틴 데디, 유리 모이세예프, 이고르 툴라예프, 블라디미르 발리베르딘 등 6명만이 정상에 도달했다.[18]
1990년 7월 13일, 레닌봉 참사로 알려진 비극적인 사고가 발생했다. 지진으로 촉발된 거대한 눈사태가 해발 5300m 지점에 위치한 캠프 2를 덮쳐, 당시 캠프에 머물고 있던 45명의 등반가 중 43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는 레닌봉 등반 역사상 최악의 참사로 기록되었다.[20]
3. 4. 주요 등반 루트

레닌봉에는 총 16개의 정해진 등반 경로가 있으며, 남쪽 사면에 9개, 북쪽 사면에 7개가 있다. 이 봉우리는 중앙아시아의 다른 7000m급 봉우리에 비해 접근이 용이하고 일부 기술적으로 덜 복잡한 루트가 있어 등반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그러나 높은 고도와 급변하는 날씨로 인해 상당한 위험이 따르며, 과거 여러 차례 큰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북쪽 루트 (키르기스스탄 방면)'''
현재 베이스 캠프(BC)와 전진 베이스 캠프(ABC)의 위치 및 기반 시설을 고려할 때, 북쪽에서 주로 이용되는 경로는 다음 세 가지이다.[9]
- '''립킨 바위 루트와 북동(NE) 능선''': 1928년 독일-오스트리아 합동 원정대가 남쪽에서 접근하여 크릴렌코 고개를 넘어 북동 능선을 통해 최초로 등정한 루트이다. 이후 1934년 소련 원정대가 알라이 계곡의 아치크-타쉬에서 출발하여 북벽의 립킨 바위(Lipkin's rockseng)를 거쳐 이 능선으로 오르면서 북쪽에서의 주요 루트 중 하나가 되었다.
- '''북벽 클래식 루트''': 1960년 소련 등반대가 북벽을 직접 등반하여 개척한 경로이다.[9]
- '''라즈델나야 루트와 북서(NW) 능선''': 현재 '클래식 루트'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많은 상업 등반대가 이용하는 경로이다. 1954년 소련 등반대가 처음 등반했으며, 아치크-타쉬 협곡의 베이스 캠프에서 시작하여 레닌 빙하 서쪽을 거쳐 라즈델나야 봉(Раздельнаяrus)을 지나 북서 능선을 따라 정상에 이른다.
'''남쪽 루트 (타지키스탄 방면)'''
남쪽 사면에는 9개의 등반 경로가 존재한다. 1928년 최초 등반 시 남쪽 사면의 사우크다라 강 상류에서 접근했지만, 현재는 기반 시설과 접근성 문제로 북쪽 루트에 비해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레닌봉 등반은 1974년 여성 등반대 8명 전원이 폭풍으로 사망한 사고[13][14]나, 1990년 지진으로 인한 대규모 눈사태로 캠프 2에 있던 43명의 등반가가 사망한 사고[20] 등 비극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어, 충분한 준비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Peaklist.org
http://www.peaklist.[...]
2011-09-21
[2]
웹사이트
Government Resolution No. 297, July 4, 2006, Dushanbe
http://www.president[...]
[3]
웹사이트
Lenin Peak on summitpost.org
http://www.summitpos[...]
2011-09-21
[4]
뉴스
Зачем Атамбаев придумал Дни истории и памяти предков
https://kaktus.media[...]
[[Kaktus Media]]
2017-10-27
[5]
웹사이트
Manas Peak
http://gokg.asia/man[...]
GoKG
2017-11-05
[6]
논문
Place Names as an Ecotourism Resource for the Alai Valley of the Kyrgyz Pamir
https://www.research[...]
2013
[7]
간행물
Tourism in the Pamir-Alai Mountains, southern Kyrgyz Republic
2008
[8]
웹사이트
Achik-Tash camp in Kyrgyzstan on the way to Lenin Peak
http://kyrgyzstan-to[...]
[9]
웹사이트
Lenin Peak Expedition. Climb Lenin Peak
http://climberca.com[...]
[10]
서적
Девятилетнее странствование и приключения в Бухарии, Хиве, Персии и Индии и возвращение оттуда через Англию в Россию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1786
[11]
웹사이트
Ефремов (филипп Сергеев)
http://mirslovarei.c[...]
[12]
웹사이트
http://www.skitalets.ru/books/pik_lenina/
http://www.skitalets[...]
[13]
웹사이트
The 1974 Russian wom tragedy on Peak Lenin
http://www.mountever[...]
2020-03-05
[14]
서적
Wanda Rutkiewicz: A Caravan of Dreams
Carreg
[15]
웹사이트
Andrey Puchinin - Skyrunner
http://www.russiancl[...]
[16]
웹사이트
Я остаюсь человеком Гор, а не беговой дорожки
https://risk.ru/blog[...]
[17]
웹사이트
Забег на Хан-Тенгри в 1993 году
http://alp.org.ua/?p[...]
[18]
웹사이트
Pik Lenina, First Winter Ascent
http://publications.[...]
American Alpine Club Publications
[19]
웹사이트
Hero of Everest Tragedy Was Climbing Prodigy
https://www.adventur[...]
2021-01-31
[20]
뉴스
Avalanche Kills 40 Climbers in Soviet Central Asia
https://query.nytime[...]
1990-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