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폴트 요제프 폰 다운 백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폴트 요제프 폰 다운 백작은 18세기 오스트리아의 군인으로, 사국동맹 전쟁,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 뛰어난 지휘 능력을 보여 육군 원수로 승진했으며, 7년 전쟁에서는 콜린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을 상대로 승리했다. 호흐키르히 전투와 막센 전투에서도 승리했으나, 토르가우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건강 회복을 위해 빈으로 돌아갔다. 전후에는 오스트리아 군의 재편에 힘썼으며, 궁정 군사국 의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오폴트 요제프 폰 다운 백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레오폴트 요제프 마리아 폰 다운 |
| 로마자 표기 | Leopold Joseph Maria, Reichsgraf von und zu Daun |
| 출생일 | 1705년 9월 24일 |
| 출생지 | 오스트리아 빈 |
| 사망일 | 1766년 2월 5일 |
| 사망지 | 오스트리아 빈 |
| 묘지 | 빈 |
![]() | |
| 군사 경력 | |
| 소속 | 신성 로마 제국 제국군 |
| 복무 기간 | 1718년–1766년 |
| 최종 계급 | 육군 원수 |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4국 동맹 전쟁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러시아-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735-1739)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호투지츠 전투 호헨프리트베르크 전투 수어 전투 라우펠트 전투 7년 전쟁 콜린 전투 브레슬라우 전투 (1757년) 로이텐 전투 호크키르히 전투 막센 전투 토르가우 전투 부르커스도르프 전투 (1762년) |
| 훈장 |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 |
| 기타 이력 | 제국 군사회의 의장 |
2. 배경
위리치 필리프 폰 다운 백작의 아들로 빈에서 태어났다. 그는 성직자가 되려 했으나,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훌륭한 장군이었고, 자신 또한 천성이 군대에 맞았기에 군인의 길은 저항할 수 없는 운명이었다. 1718년 다운은 그의 아버지 연대에 들어가 시실리아의 사국동맹 전쟁 전역에 참가하였다.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1734-35년)의 이탈리아와 라인 전역에서 보여준 그의 뛰어난 활약에 빠른 승진을 거듭해 ''오베르스트''(Oberst;대령)가 되었다. 다운은 계속해 오스만 제국(1737-39년)을 상대로 한 전쟁에서 그의 우수성을 보여줘 어느덧 그는 ''Feldmarschallleutnant''(소장)의 지위에 도달했다.
2. 1. 가문과 초기 생애
레오폴트 요제프 마리아는 빈에서 위리치 필리프 폰 다운 백작의 아들로 태어났다.[2][3][4] 다운 귀족 가문은 라인란트 출신으로, 다운(High Eifel 산맥 남쪽)에 있는 가문의 옛 영지에서 이름을 따왔다.[2] 그는 훗날 저명한 포르투갈 정치가인 폼발 후작과 결혼한 엘레오노라 에르네스티나 폰 다운 백작 부인의 사촌이었다.[2]처음에는 성직자가 되려고 했으나,[3][4]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모두 훌륭한 장군이었고, 자신 또한 군대에 대한 천성이 강했기에 군인의 길을 택했다.[3] 1718년 아버지 연대에 들어가 사국동맹 전쟁의 시실리아 전역에 참가하였다.[3][4] 이후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1734-35년)의 이탈리아와 라인 전역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 ''오베르스트''(Oberst;대령)로 빠르게 승진했다.[3] 계속해 오스만 제국(1737-39년)을 상대로 한 전쟁에서 공을 세워 ''Feldmarschallleutnant''(소장)의 지위에 올랐다.[3]
2. 2. 초기 군 경력
레오폴트 요제프 폰 다운 백작은 위리치 필리프 폰 다운 백작의 아들로 빈에서 태어났다.[4] 그는 성직자가 되려 했으나,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훌륭한 장군이었고, 자신 또한 군대에 맞는 천성을 타고나 군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1718년 다운은 아버지 연대에 들어가 시실리아에서 벌어진 사중동맹 전쟁 전역에 참가하였다.[3][4]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1734-35년)에서 이탈리아와 라인 강 전역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 빠른 승진을 거듭해 ''오베르스트''(Oberst;대령)가 되었다.[3] 다운은 계속해 오스만 제국(1737-39년)을 상대로 한 전쟁에서 그의 우수성을 보여줘 ''Feldmarschallleutnant''(소장)의 지위에 도달했다.[3]
3.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레오폴트 요제프 폰 다운 백작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1740-48년)에서 신중한 리더쉽을 보여주며 군사적 자질을 드러냈다.[3] 그는 코투지츠와 프라하에 참가했고, 1743년 다뉴브 전역의 승리에서 케벤휠러 군의 전위부대를 맡았다.[3][4] 1744년 케벤휠러의 후임자인 트라운 백작은 다운의 재능을 높이 사 오스트리아 군대의 후위를 맡겨 프랑스와 프리드리히 대왕의 공격으로부터 도망칠 수 있도록 했다.[3][4] 다운은 호헨프리드베르크와 수어에서 중요한 지휘를 맡았고,[3][4] 1745년 중장으로 승진했다.[3] 이후 네덜란드 공화국으로 보내져 발 전투에 참전했다.[3] 마리아 테레지아는 다운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빈 사령관에 임명하고 황금 양모 기사단 훈장을 수여했으며,[3][4] 1754년에는 육군 원수로 승진시켰다.[3][4]
4. 7년 전쟁
7년 전쟁에 앞서 평화 기간 동안 다운은 오스트리아 군의 재편성 계획에 고심하며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것에 매달리고 있었다. 이것은 주로 그의 노력으로 1751년 비너노이슈타트(Wiener-Neustadt)에 설립된 테레사 사관 학교(Theresian Military Academy)에서 진행되었다.[4] 다운은 전쟁의 첫 전역에서 소극적으로 움직였지만 1757년 프라하를 구제하면서 군의 우두머리로 떠오르는 위치가 되었다. 다운은 1757년 6월 18일 콜린 전투에서 필사적으로 싸워 그의 경력에 첫 번째로 프리드리히 대왕을 패배시켰다. 이 찬란한 공훈을 축하하기 위해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은 즉시 그녀의 이름을 새긴 군사 훈장을 제정해 다운은 첫 대십자 훈장의 수여자가 되었다. 브레슬라우의 승리와 프로이센에 대한 추격을 맡을 자격이 되어 지휘관으로써 2번째 위치에 있게 된 다운은 부담을 줄이기 위해 프라하에서 카를 대공의 군대와 함께 군을 안정시키기 위해 합세하였다.[3]
프리드리히 대왕은 로이텐에서 그 시대 가장 찬란한 승리를 얻어 다시 한번 영광을 재현했다. 다운은 야전에 보내졌으나, 대참사에 대한 책임은 없었다. 곧 카를 공은 자신의 지휘권을 사임하고, 그 자리에 다운을 지명하게 되었다. 다운은 1758년 전역의 시작과 함께 전쟁의 작전행동에서 프로이센을 궤멸시킬 수많은 기회를 지나친 조심 때문에 놓쳤음에도 불구하고, 프리드리히 대왕의 불 같은 공격에 차갑게 저항하면서 가장 안정되게 유지하였다. 1758년 소장 라우돈은 다운의 명령에 따라 행동해 올뮈츠(돔마소프 전투)의 공방전에서 왕의 군대를 상대로 급부상해 이후 그 해 다운 자신도 놀란 호크키르히 전투에서 라우돈은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심각한 패배를 안겨 주었다.[3] 호흐키르히에서 다운이 달성한 전술적 성공과 많은 군수품과 보급품을 노획했음에도 불구하고, 울창한 산림 지역을 통해 프리드리히 대왕을 추격하지 못함으로써 프로이센군이 실레시아로 가는 그의 길을 막았고, 그의 승리는 거의 무의미해졌다.
다음해 전쟁의 작전 행동은 계속되어 11월 20일과 21일 막센에서 핑크 장군의 전군이 포위당해 결국 프로이센군은 다운에게 항복했다. 이 같은 성공은 다음해 리그니츠에서 라우돈이 패배 할때까지 균형을 유지하였다. 전투의 패배는 다운의 꾸물거림이 원인이었고, 이후 토르가우 전투에서 대패배도 다운의 문제였다. 이곳에서 다운은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건강 회복을 위해 빈으로 돌아왔다.[3] 그러나 다운과 그의 군대는 프로이센군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질서정연하게 후퇴할 수 있었다.
4. 1. 콜린 전투와 이후의 활약
다운은 7년 전쟁에 앞서 평화 기간 동안 오스트리아 군대의 재편을 위한 계획을 수행했으며, 1751년 비너노이슈타트(Wiener-Neustadt)에 테레사 사관 학교(Theresian Military Academy)가 설립된 것은 주로 그의 노력 덕분이었다.[4] 제3차 실레시아 전쟁이 발발했을 때 그는 전쟁 초기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지만, 1757년에는 프라하를 구원하기 위해 창설된 군대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 1757년 6월 18일, 콜린 전투에서 격렬하게 싸워 프리드리히를 그의 경력에서 처음으로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이 공훈을 기념하여 여왕은 즉시 그녀의 이름을 딴 군사 훈장을 제정했고, 다운은 그 훈장의 첫 번째 대십자훈장을 수여받았다.[3] 프라하에서 구원군과 로렌의 샤를 알렉상드르 공의 군대가 합류하면서 다운은 부사령관의 지위로 격하되었고, 그 직책으로 프로이센군을 추격하고 브레슬라우에서 승리하는 데 참여했다.[3]로이텐에서 프리드리히는 그 시대 가장 빛나는 승리를 거두었다. 다운은 그 전투에 참전했지만 재앙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았고, 샤를 공이 그의 지휘권을 사임했을 때 다운이 그의 자리를 계승했다. 1758년 전투는 다운이 지나친 신중함으로 프로이센군을 섬멸할 기회를 놓쳤지만, 적어도 프리드리히의 맹렬한 전략에 대해 꾸준하고 침착한 저항을 유지한 기동전의 시작이었다. 1758년 다운의 지시를 받은 에른스트 기데온 폰 라우돈은 국왕이 올뮈츠 공성전(돔슈타틀 전투)을 해제하도록 강요했고, 같은 해 후반 다운 자신은 호흐키르히 전투에서 프리드리히를 기습하여 그에게 심각한 패배를 안겨주었다(10월 14일).[3] 호흐키르히에서 다운이 달성한 전술적 성공과 많은 군수품과 보급품을 노획했음에도 불구하고, 울창한 산림 지역을 통해 프리드리히를 추격하지 못함으로써 프로이센군이 실레시아로 가는 그의 길을 막았고, 그의 승리는 거의 무의미해졌다. 이듬해 기동전이 계속되었고, 11월 20일과 21일 그는 막센에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핀크 장군의 전체 부대를 포위하여 프로이센군의 항복을 강요했다.
이러한 성공은 이듬해 리그니츠에서 라우돈의 패배로 상쇄되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다운의 지연 때문이었고, 이어서 다운은 한스 요아힘 폰 치텐의 대담한 공격으로 대규모 토르가우 전투에서 패배했다. 이 전투에서 다운은 심각한 부상을 입어 회복을 위해 비엔나로 돌아가야 했다.[3] 그러나 다운과 그의 군대는 프로이센군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질서정연하게 후퇴할 수 있었다. 다운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지휘를 계속했고,[4] 그 후 제국군의 개편에 온 힘을 기울였다. 1762년 다운은 호프크리에그라스트(Hofkriegsrath;제국 군사회의)의 의장에 지명되었다.[4]
4. 2. 호크키르히 전투와 막센 전투
다운은 1758년 전역에서 프로이센군을 궤멸시킬 수많은 기회를 놓쳤지만, 프리드리히의 공격에 침착하게 저항했다. 그해 소장 라우돈은 다운의 명령에 따라 올뮈츠 공방전(돔마소프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상대로 급부상했고, 이후 다운은 호크키르히 전투에서 프리드리히에게 큰 패배를 안겨 주었다.[3] 그러나 호흐키르히에서 다운이 달성한 전술적 성공과 많은 군수품 및 보급품을 노획했음에도 불구하고, 울창한 산림 지역을 통해 프리드리히를 추격하지 못함으로써 프로이센군이 실레시아로 가는 길을 막는 데 실패하여 승리가 거의 무의미해졌다.다음 해 11월 20일과 21일, 막센에서 핑크 장군의 전군을 포위하여 항복시켰다.[3] 이러한 성공은 이듬해 리그니츠에서 라우돈의 패배와 토르가우 전투에서 다운의 대패로 이어진다. 토르가우 전투에서 다운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빈으로 돌아왔다.[3]
4. 3. 리그니츠 전투와 토르가우 전투
다운은 7년 전쟁의 작전 행동에서 프로이센을 궤멸시킬 수많은 기회를 지나친 조심 때문에 놓쳤음에도 불구하고, 프리드리히의 불 같은 공격에 차갑게 저항하면서 가장 안정되게 유지하였다.[3] 1758년 소장 라우돈은 다운의 명령에 따라 행동해 올뮈츠(돔마소프 전투)의 공방전에서 왕의 군대를 상대로 급부상해 이후 그 해 다운 자신도 놀란 호크키르히 전투에서 라우돈은 프리드리히에게 심각한 패배를 안겨 주었다.[3] 호흐키르히에서 다운이 달성한 전술적 성공과 많은 군수품과 보급품을 노획했음에도 불구하고, 울창한 산림 지역을 통해 프리드리히를 추격하지 못함으로써 프로이센군이 실레시아로 가는 그의 길을 막았고, 그의 승리는 거의 무의미해졌다.다음해 전쟁의 작전 행동은 계속되어 11월 20일과 21일 막센에서 핑크(Finck) 장군의 전군이 포위당해 결국 프로이센군은 다운에게 항복했다. 이 같은 성공은 다음해 리그니츠에서 라우돈이 패배 할때까지 균형을 유지하였다. 전투의 패배는 다운의 꾸물거림이 원인이었고, 이후 토르가우 전투에서 대패배도 다운의 문제였다. 이곳에서 다운은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건강 회복을 위해 빈으로 돌아왔다.[3] 그러나 다운과 그의 군대는 프로이센군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질서정연하게 후퇴할 수 있었다.
5. 종전 이후와 사망
전후 다운은 오스트리아 군의 재편에 혼신의 힘을 쏟았다. 1762년 궁정 군사국장에 취임하였으며, 1766년 2월 5일 사망했다.
6. 평가
다운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 지휘를 맡았고, 그 후 황실군의 재편성에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 1762년 그는 궁정전쟁평의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3] 마리아 테레지아의 명령에 따라,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비가 발타사르 페르디난트 몰에 의해 아우구스티누스 교회에 세워졌으며, 그에게 "그녀의 국가의 구원자"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3] 1888년에는 오스트리아 보병 제56연대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3]
오스트리아의 파비우스 쿤크타토르라 불린 다운은 작전의 지연에 대해 비판을 받았지만, 프리드리히 2세와 같이 빠르고 예측 불가능한 장군을 상대할 때 신중함은 잘못된 것이 아니었다.[3][4] 반면, 그의 승리를 활용하지 못한 것은 그렇게 쉽게 변명할 수 없을 것이다.[3][4] 그의 용감한 장군 에른스트 기돈 폰 라우돈과의 관계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했다.
7. 가족 관계
레오폴트 요제프 폰 다운 백작은 노스티츠-리네크 백작 부인이었다. 이들 부부 사이에는 두 자녀가 있었다. 다운 백작 부인 마리아 테레지아(Maria Theresia von Daun) (1745-1777)는 에르되드의 팔피 백작 레오폴트(Leopold Pálffy von Erdöd) (1739-1799)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다운 백작 프란츠 카를(Franz Karl von Daun) (1746-1771)은 아우어스페르크 공주 마리아 프란치스카(Maria Franziska von Auersperg) (1745-1818)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참조
[1]
서적
Militär-historisches Kriegs-Lexikon (1618–1905)
https://archive.org/[...]
C. W. Stern
2023-09-11
[2]
간행물
Europäische Stammtafeln
J.A. Stargardt Verlag
[3]
백과사전
Daun, Leopold Josef, Count von
[4]
백과사전
Daun, Leopold Josef, Count von
[5]
간행물
폼발 후작의 아내는 실제로 그의 첫 번째 사촌이고, 그의 딸이 아니다. 그라핀 엘레오노라 폰 운드 주 다운(Gräfin Eleonora von und zu Daun)은 그라프 하인리히 라인하르트 로렌츠 폰 운드 주 다운(Graf Heinrich Reichard Lorenz von und zu Daun)과 그라핀 마리아 요제파 비오란테 폰 포이문드 운드 페이스베르크(Gräfin Maria Josepha Violante von Poymund und Payersberg)의 딸이다. 하인리히는 그라프 빌헬름 요한 안톤 폰 운드 주 다운(Graf Wilhelm Johann Anton von und zu Daun )과 그라핀 안나 마리아 마그다레나 폰 알탄(Gräfin Anna Maria Magdalena von Althann)의 아들이다. 레오폴트 요제프의 아버지 티아노 공, 리볼리 후작 그라프 위리히 필리프 로렌츠 폰 다운(Graf Wirich Philipp Lorenz von Daun, Marchese di Rivoli, Principe di Teano)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