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리 분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일리 분포는 척도 매개변수를 갖는 연속 확률 분포로, 확률 밀도 함수와 누적 분포 함수를 통해 정의된다. 이 분포는 기대값, 분산, 최빈값 등의 성질을 가지며, 최대 우도 추정 및 난수 생성을 위한 공식이 존재한다. 정규 분포, 카이 제곱 분포 등 다른 확률 분포와 관계가 있으며, 자기 공명 영상, 영양학, 탄도학, 물리 해양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레일리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2]
레일리 분포는 여러 가지 유용한 성질을 가진다. 확률 변수의 관측값이 로 주어질 때, 파라미터 의 최우 추정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레일리 분포의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에는 최대우도추정과 신뢰 구간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최대우도추정값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2. 정의
:
여기서 는 분포의 척도 매개변수이다. 누적 분포 함수는 다음과 같다.[1]
:
().
확률 변수를 실수 ''x'' (''x'' ≥ 0)로 할 때 레일리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
기대값은 , 분산은 이다.
확률 변수의 관측값이 ''X''로 얻어졌을 때, 파라미터 σ의 최우 추정값은 다음과 같다.
:
3. 성질
:
3. 1. 모멘트
원점 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감마 함수이다.
평균은 다음과 같다.
:
표준 편차는 다음과 같다.
:
분산은 다음과 같다.
:
최빈값은 이고, 최대 확률 밀도 함수(pdf)는 다음과 같다.
:
왜도는 다음과 같다.
:
초과 첨도는 다음과 같다.
:
특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허수 오차 함수이다. 모멘트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오차 함수이다.
확률 변수를 실수 ''x'' (''x'' ≥ 0)로 할 때 레일리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
기대값은 , 분산은 이다.
확률 변수의 관측값이 로 얻어졌을 때, 파라미터 의 최우 추정값은 다음과 같다.
:
3. 2. 특성 함수와 모멘트 생성 함수
원점 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감마 함수이다.
평균은 다음과 같다.
:
표준 편차는 다음과 같다.
:
분산은 다음과 같다.
:
왜도는 다음과 같다.
:
초과 첨도는 다음과 같다.
:
특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허수 오차 함수이다.
모멘트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오차 함수이다.
3. 3. 미분 엔트로피
미분 엔트로피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4. 모수 추정
:
신뢰 구간을 이용하면 모수가 특정 구간 안에 있을 확률을 추정할 수 있다.
4. 1. 최대 우도 추정
매개변수의 최대우도 추정공식은 다음과 같다.
:
파라미터 를 갖는 ''N''개의 독립적이고 동일하게 분포된 레일리 확률 변수 의 표본이 주어졌을 때,
: 는 최대 우도 추정치이며 비편향 추정치이기도 하다.
:는 다음 공식을 통해 보정될 수 있는 편향된 추정량이다.
:[4]
확률 변수를 실수 ''x'' (''x'' ≥ 0)로 할 때 레일리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
확률 변수의 관측값이 로 얻어졌을 때, 파라미터 의 최우 추정값은
:
이다.
4. 2. 신뢰 구간
(1 - ''α'') 신뢰 구간을 찾으려면 먼저 다음과 같은 경계 를 찾는다.
:
그러면 척도 모수는 다음 경계 내에 속하게 된다.
:[5]
5. 난수 생성
구간 균등 분포에서 추출된 임의 변수 ''U''가 (0, 1) 구간에 주어지면,
:
변수는 모수 를 갖는 레일리 분포를 갖는다. 이는 역변환 표본 추출 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진다.
6. 다른 확률 분포와의 관계
- 와 가 서로 독립인 정규 분포일 때 는 레일리 분포 이다.[6]
- 이면 은 자유도가 2인 카이 제곱 분포이다.
- 가 지수 분포 이면, 이다.
- 카이 분포는 레일리 분포를 일반화한 것이다.
- 라이스 분포는 레일리 분포를 일반화 한 것이다.
- 베이불 분포는 레일리 분포를 일반화한 것이다.
- 표준 복소 정규 분포 변수 ''z''의 크기 는 레일리 분포를 따른다.
- 자유도 ''v'' = 2인 카이 분포는 ''σ'' = 1인 레일리 분포와 동일하다:
- 만약 이라면, 는 자유도가 2인 카이제곱 분포를 따른다:
- 만약 라면, 는 모수가 과 인 감마 분포를 따른다.
- :
- 라이스 분포는 레일리 분포의 비중심 분포 일반화이다: .
- 형상 모수 ''k'' = 2인 와이블 분포는 레일리 분포를 생성한다. 이때 레일리 분포 모수 는 와이블 척도 모수와 에 따라 관련된다.
- 만약 가 지수 분포 를 따른다면, 이다.
- 반정규 분포는 레일리 분포의 1차원 등가물이다.
-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레일리 분포의 3차원 등가물이다.
7. 응용
자기 공명 영상(MRI)에서 σ 추정의 응용을 찾을 수 있다. MRI 영상은 복소수 영상으로 기록되지만, 대부분 크기 영상으로 보이기 때문에 배경 데이터는 레일리 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위의 공식을 사용하여 배경 데이터로부터 MRI 영상의 잡음 분산을 추정할 수 있다.[7]
레일리 분포는 영양학 분야에서 식이 영양소 수준과 인간 및 동물 반응을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개변수 σ는 영양소 반응 관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9]
탄도학 분야에서 레일리 분포는 원형 공산 오차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총의 정밀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물리 해양학에서 유의파고의 분포는 대략적으로 레일리 분포를 따른다.[10]
참조
[1]
간행물
The Wave Theory of Light
Encyclopedic Britannica
1888
[2]
서적
Probability, Random Variables and Stochastic Processes
[3]
논문
Student-t based filter for robust signal detection
[4]
간행물
Statistical inference for Rayleigh distributions
https://archive.org/[...]
[5]
간행물
Some Problems Connected With Rayleigh Distributions
http://nvlpubs.nist.[...]
[6]
웹사이트
Shot group statistics
https://web.archive.[...]
[7]
논문
Parameter estimation from magnitude MR images
[8]
논문
Data distributions in magnetic resonance images: a review
[9]
논문
A mathematical function for the description of nutrient-response curve
2017-11-21
[10]
웹사이트
Rayleigh Probability Distribution Applied to Random Wave Heights
https://www.usna.edu[...]
United States Naval Academ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