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를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 대교구이다. 1846년 밴쿠버 섬 교구로 설립되어, 뉴웨스트민스터 교구를 거쳐 1908년 밴쿠버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현재 4개의 관할 교구를 관할하며, 120,000 km2의 면적에 약 446,670명의 신자를 두고 있다. 2019년 성직자 성 학대 사건 정보를 공개하고, 원주민 기숙 학교 시스템에 대한 사과를 발표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밴쿠버의 단체 - TRIUMF
    TRIUMF는 캐나다의 국립 입자 및 핵물리학 연구소로, 핵물리학을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로 연구를 확장했으며, ISAC, ARIEL 등의 주요 연구 시설을 운영하고 국제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1836년 설립된 단체 - 의인동맹
    의인동맹은 1834년 파리에서 결성된 비밀 결사로, 독일 통일을 지지하고 사회 혁명을 목표로 했으며, 정의자 동맹으로 분화되어 공산주의적 이상을 추구하다가 공산주의자 동맹으로 개편되었다.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
일반 정보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 문장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 문장
관할 국가캐나다
관할 지역브리티시컬럼비아 남서부
관할 구역밴쿠버
설립일1863년 12월 14일
관구밴쿠버 관구
전례로마 전례
교회라틴 교회
주교좌 성당홀리 로자리 대성당 (밴쿠버)
주보 성인묵주 기도의 성모
면적 (km2)119,439
가톨릭 신자 수477,792
가톨릭 신자 비율17.8%
공식 웹사이트rcav.org
교구 구성
지구해당 없음
본당 수해당 없음
성당 수해당 없음
학교 수해당 없음
신도 수해당 없음
수도회해당 없음
교구 현황
대주교J. 마이클 밀러, CSB
명예 대주교해당 없음
보좌 주교해당 없음
교구장 대리해당 없음
사법 대리해당 없음
사제 수해당 없음
교구
관할 교구조셉 푸옹 응우옌 캄룹스 교구 교구장
그레고리 비트만 넬슨 교구 교구장
스티븐 옌센 프린스 조지 교구 교구장
게리 고든 빅토리아 교구 교구장

2. 역사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의 역사는 1846년 7월 24일 밴쿠버섬 교구가 오리건 준주 대목구(미국 오리건 준주)에서 분리되어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1]

1863년 12월 14일, 밴쿠버 섬 교구에서 분할된 지역에 브리티시컬럼비아 자치 교구가 설립되었고, 성모 무염 시복 수도회 소속 프랑스인 루이 조제프 데르보메즈 신부가 초대 자치 교구장이 되었다.[1] 1890년 9월 2일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자치 교구가 '''뉴웨스트민스터 교구'''로 개칭되었으며, 역시 성모 무염 시복 수도회 소속 프랑스인 피에르 폴 뒤리외 주교가 교구장을 맡았다.[1] 1894년 7월 27일에는 미국 알래스카 준주가 알래스카 자치 지청 설립으로 분리되었다.[1]

1903년, 밴쿠버섬 교구는 밴쿠버 아일랜드 대교구로 승격되었고, 1904년에는 빅토리아 대교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1910년과 1912년에는 각각 닐 맥닐과 티모시 케이시가 밴쿠버 대주교로 임명되었다.[1]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밴쿠버 대교구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지만, 묵주 기도의 성모 대성당이 주교좌 성당으로 지정되는 등의 발전도 있었다.[1]

1931년 윌리엄 마크 듀크 주교가 대주교로 임명되어 32년간 재임하면서 "아이언 듀크"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엄격한 관리와 징계를 통해 대교구를 이끌었다.[1] 그는 대공황제2차 세계 대전 시기를 겪으며 많은 성당과 학교, 병원을 설립하는 업적을 남겼다. 1936년 2월 22일에는 넬슨 교구가, 1945년 12월 22일에는 캠룹스 교구가 분리되어 설립되었다.[1]

1969년에는 밴쿠버 출신 첫 대주교로 제임스 카니가 임명되어 낙후된 시설 재건을 위한 "프로젝트 어드밴스"를 추진했다.[50] 1984년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밴쿠버를 방문했다.[10]

1998년부터 2006년까지는 평신도를 포함한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교회회의가 진행되어 21세기 교회의 방향을 모색했다.[1]

현재 밴쿠버 대교구는 성당과 학교의 내진 설계 등 인프라 업그레이드를 진행 중이며, 캐나다에서 가장 보수적인 교구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51][52]

최근에는 과거 성직자들의 성폭력 사건이 드러나면서 9명의 가해 성직자를 공개하고, 36건의 성폭력 사건을 인정했다.[53] 2020년에는 추가적인 성폭력 사건이 밝혀지기도 했다.[23]

또한 밴쿠버 대교구는 캐나다 진실과 화해 위원회에 과거 기숙 학교 운영에 대한 사과를 표명하고, 원주민과의 화해를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2022년 2월, 밴쿠버 대교구는 원주민 화해 기금에 5년간 250만캐나다 달러를 약정했다.[18]

2. 1. 오레곤 준주에서의 독립 (1846-1863)

1846년 7월 24일, 밴쿠버섬 교구는 오리건 준주 대목구(미국 오리건 준주)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1]

묵주 기도의 성모 대성당 파이프 오르간

2. 2. 오블라띠 선교 수도회 시대 (1863-1908)

1863년 12월 14일, 밴쿠버 섬 교구에서 분할된 지역에 브리티시컬럼비아 자치 교구가 설립되었다. 성모 무염 시복 수도회 소속의 프랑스인 루이 조제프 데르보메즈 신부가 초대 자치 교구장이 되었다. 그는 1864년 밀레토폴리스의 명목 주교로 서임되었으며, 1890년 사망할 때까지 가톨릭 신자들을 섬겼다.[1]

1890년 9월 2일, 브리티시컬럼비아 자치 교구는 '''뉴웨스트민스터 교구'''로 개칭되었다. 성모 무염 시복 수도회 소속의 또 다른 프랑스인 주교인 피에르 폴 뒤리외가 1899년 사망할 때까지 지역 사회를 섬겼다.[1]

1894년 7월 27일, 뒤리외 주교 재임 기간 동안 미국 알래스카 준주는 알래스카 자치 지청 설립으로 분리되었다.[1]

1899년, 프랑스인 오귀스탱 덩탱빌 주교가 뉴웨스트민스터 교구를 맡았으며, 1908년 성모 무염 시복 수도회의 총장이 되기 위해 사임할 때까지 지역 사회를 섬겼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성 로사리 성당이 주교좌 성당으로 위탁되었다.[1]

2. 3. 빅토리아 대교구 시대 (1903-1908)

1903년, 밴쿠버섬 교구는 밴쿠버 아일랜드 대교구로 승격되었고, 1904년에는 빅토리아 대교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독일 출신 주교인 베르트람 오르트가 1903년에 대주교로 임명되어 1908년 사임할 때까지 빅토리아 대교구와 그 관할 구역을 이끌었다.[1]

2. 4. 캐나다인 주교 시대 (1910-1931)

밴쿠버 대교구는 1년 동안 주교가 임명되지 않는 상태였다. 1910년 1월 19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세인트 조지 교구 주교였던 닐 맥닐(Neil McNeil)이 밴쿠버 대주교가 되었지만, 그해 4월 10일 토론토 대주교가 되어 임기가 매우 짧았다.[1]

1912년 8월, 뉴브런즈윅 세인트 존 주교였던 티모시 케이시(Timothy Casey)가 밴쿠버 5대 대교구장이 되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생하여 밴쿠버 대교구는 재정 문제가 생겼다. 그의 재임 기간 중 묵주 기도의 성모 대성당이 주교좌 성당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1931년 10월 사망했다.[1]

2. 5. "아이언 듀크" 시대 (1931-1964)

1928년 8월, 뉴브런즈윅주 세인트존 출신의 한 사제가 밴쿠버의 부교구장 주교가 되었으며, 1931년 10월, 윌리엄 마크 듀크 주교가 밴쿠버 대교구의 대주교가 되었다. 듀크 대주교는 32년간 재임하면서 대공황제2차 세계 대전을 겪었다. 그는 엄격한 재정 관리와 철저한 징계 방식으로 인해 "아이언 듀크"(Iron Duke)라는 별명을 얻었다. 1964년 은퇴할 때까지 그는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에 세인트 마크 칼리지(St. Mark's College)를 설립하고, 2개의 교구 직속 고등학교, 1개의 고등학교, 22개의 가톨릭 초등학교, 3개의 가톨릭 병원, 그리고 많은 성당들을 설립하였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대교구는 두 번의 영토 축소가 있었다. 1936년 2월 22일에는 넬슨 교구가, 1945년 12월 22일에는 캠룹스 교구가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새 교구들은 새 가톨릭 고등학교, 초등학교, 및 성당들을 건설하였다.

넬슨 교구의 주교인 마틴 마이클 존스턴 주교는 1954년 부교구장이 되었고, 듀크 대주교의 마지막 10년을 함께 하였다. 존스턴 주교는 1964년에 대교구장이 되어 1969년에 은퇴하였다.

2. 6. 프로젝트 어드밴스 시대 (1964-1990)

1969년 부교구장 제임스 카니는 밴쿠버 대교구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카니 대주교는 밴쿠버에서 태어난 최초의 밴쿠버 대교구장이었다. 그는 재임 중에 성당, 학교, 병원 등 낙후된 시설들을 재건설하였다. 건설 성금을 모으기 위해 "프로젝트 어드밴스"라는 후원 시스템을 만들었고, 모은 성금으로 성당과 학교를 건설하였다. 1990년 카니 주교가 사망하자 그를 기리기 위해 Archbishop Carney Regional Secondary School이 건설되었다.[50]

1984년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밴쿠버를 방문하였다.[10]

2. 7. 대교구 교회회의 (시노드) (1998-2006)

밴쿠버 대교구는 2006년에 9년간 진행되었던 교회회의를 종결하였다. 여기에는 평신도를 포함한 각 성당, 학교, 신학생, 가톨릭 단체 대표들이 참여했고, 비가톨릭 신자들도 초대받았다.[1]

공식적으로 이 시노드는 2002년 10월에서 2003년 10월에 진행되었지만, 1998년부터 꾸준한 준비가 이루어졌다.[1] 이 교회회의의 목적은 가톨릭 교회가 21세기를 맞이하여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토론하는 것이었다.[1]

2006년 12월 3일, 레이먼드 루신 대주교는 묵주 기도의 성모 대성당에서 시노드의 종결을 발표하였다.[1]

대교구 신문 The BC Catholic에 따르면, 시노드에서 결정된 20개의 사안은 즉시 진행될 예정이었다.[1] 주요 내용은 평신도의 영향력 확대, 교육자들의 신앙 발전 및 성인들의 신앙 발전 방법 모색, 복음 전도, 사제들을 위한 도움 제공 등이었다.[1]

2. 8. 현재 상황

밴쿠버 대교구는 현재 성당과 학교들의 내진 설계를 포함한 대규모 인프라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다.[51] 밴쿠버 대교구는 캐나다에서 가장 보수적인 교구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52] 대교구는 사람들이 하느님의 자비로운 사랑을 경험하도록 돕기 위해 다음 네 가지 주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매주 일요일을 중요하게 만들기
  • 예수님께 더 가까이 다가가기
  • 혼인과 가족 강화하기
  • 본당 지도력과 지원 개발하기

2. 8. 1. 성폭행 논란

2019년 밴쿠버 대교구는 성폭력으로 처벌받거나 성폭력 관련 민사 소송에서 패소한 교구 사제 9명을 공개적으로 지명하였다.[53] 또한 대교구는 1950년부터 36건의 성폭력 사건을 인정하였고, 그중 피해자 26명은 미성년자였다고 한다. 밴쿠버 대교구는 캐나다 60개 교구 중 최초로 성폭력 관련 정보를 공개하였다.

2018년 가을, 전 세계 성직자들의 성 학대 사실이 드러난 후, J. 마이클 밀러 대주교는 밴쿠버 대교구에서 봉사하거나 거주했던 성직자들의 과거 성 학대 사건에 대한 파일 검토를 수행하기 위한 위원회를 임명했다.[19]

2019년, 밴쿠버 대교구는 [https://rcav.org/abuse-crisis/abuse-report/2019 성직자 성 학대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31개의 권고 사항과 대응책을 담았다. 이 보고서는 성 학대 혐의로 형사 유죄 판결을 받거나 성 학대 관련 민사 소송에서 합의한 9명의 성직자의 이름을 공개했다.[20][21] 또한 1950년대 이후 26명의 어린이를 포함한 36건의 성 학대 사건을 대교구가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인정했다.[20]

2020년 8월, 대교구를 상대로 성폭력 관련 소송이 접수되었다.[54] 원고는 K.S.라는 이니셜만 공개되었다. 그는 1980년대에 St Francis of Assisi 학교 재학 중 주임신부였던 Micheal Conaghan 신부가 자신을 상대로 성폭력을 행하였다고 증언하였다. 해당 피해자는 사건 당시에 11세였다고 한다.[22] 해당 신부는 대교구가 2019년 성폭력 혐의로 공개한 9명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소송 접수 4일 후 사망하였다.[22] 원고는 해당 소송에서 밴쿠버 대교구가 바티칸의 지시를 받고 성폭력과 관련된 사건들을 은폐하였다고 증언했다.

2020년 12월, 밴쿠버 대교구는 이전에 공개되지 않았던 13명의 피해자를 성적으로 학대한 세 명의 추가적인 사제와 관련된 더 많은 성 학대 사건을 해결했다.[23] 이 세 명의 사제 역시 밴쿠버 대교구의 신뢰할 만한 혐의자 명단에 이전에 등재되지 않았다.[23]

2. 8. 2. 원주민 관계

2013년, 밴쿠버 대교구는 캐나다 정부의 기숙 학교 시스템 시행에 대한 역할을 이유로 캐나다 진실과 화해 위원회에 [https://rcav.org/system/resources/W1siZiIsIjIwMjEvMDYvMDIvOXVieGphM2NlMF9FeHByZXNzaW9uX29mX0Fwb2xvZ3lfYW5kX0hvcGVfMjAxM19TZXB0ZW1iZXJfMjBfMjAxMy5wZGYiXV0/Expression%20of%20Apology%20and%20Hope%202013%20September%2020%202013.pdf 사과와 희망의 표명]을 발표했다.[13] 밴쿠버 대교구가 기숙 학교와 관련하여 보관하고 있던 모든 기록은 진실과 화해 위원회에 제출되었으며, 검토가 가능하도록 유지되고 있다. 진실과 화해 위원회는 대교구의 제출을 승인했으며, 마이클 밀러 대주교는 2013년 9월 퍼시픽 콜리세움에서 위원회에 연설했다.[14]

2015년 6월, 대교구는 "교회가 아이들을 가족으로부터 강제로 떼어내 기숙 학교에 배치하는 연방 정부의 정책에 기여한 것에 대해 진심으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사과"를 반복했다.[15] 2021년 6월, 대교구는 대량 학살 기숙 학교 시스템에 대한 역할에 대해 퍼스트 네이션스에 공식 사과를 발표했으며, J. 마이클 밀러 대주교는 "교회가 아이들, 가족, 지역 사회에 파멸을 초래한 정부의 식민주의 정책을 시행한 것은 명백히 잘못된 일이었다"고 말했다.[16]

밴쿠버 대교구의 가톨릭 학교는 역사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화해를 위한 더 명확한 길을 구축하기 위해 지역 원주민 지도자들과 협력해 왔다. 진실과 화해 위원회의 행동 촉구 사항 61.1~61.5항에 따라, 밴쿠버 대교구는 원주민 예술, 음악, 언어 보존 및 부활을 기리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해, 공감, 존중을 창출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기대하고 있다.[17]

2022년 2월, 밴쿠버 대교구는 퍼스트 네이션스, 메티스, 이누이트 파트너와 협력하여 지역적으로 결정된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https://rcav.org/first-nations/reconciliation-fund 원주민 화해 기금]에 5년간 250만캐나다 달러를 약정했다.[18] 기금은 캐나다 진실과 화해 위원회의 행동 촉구 사항 60, 61, 73–76항에 따라 지역 사회와 가족을 위한 치유와 화해, 전 기숙 학교 묘지 관련 생존자 중심의 활동, 언어, 문화, 교육 및 지역 사회 지원을 요구하는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에 집중될 것이다.[18]

3. 관할 지구

밴쿠버 대주교는 밴쿠버 관구관구장이며, 다음 교구들을 관할한다.


  • 캠룹스 로마 가톨릭 교구 (1945년 설립)
  • 넬슨 로마 가톨릭 교구 (1936년 설립)
  • 프린스조지 로마 가톨릭 교구 (1967년 교구로 승격)
  • 캐나다 빅토리아 로마 가톨릭 교구 (1908년 교구로 강등된 이전 대교구)

4. 통계

구분2014년2022년
교구 면적119439km2120000km2
가톨릭 신자 수430,000명446,670명
성당/본당 수76개77개
공소 수7개해당 정보 없음
교구 사제110명해당 정보 없음
수도회 사제106명해당 정보 없음
사제해당 정보 없음204명
세례받은 인원407,000명446,670명
여성 수도자106명91명
남성 수도자19명해당 정보 없음
종신 부제17명34명
가톨릭 사립학교51개52개
고등 교육 기관해당 정보 없음4개

[3]

5. 기념일


  • 10월 3일 – 성 로자리 대성당 봉헌 기념일 (1953년)[4][5]
  • 10월 7일 – 로사리오의 성모 대축일, 대교구와 대성당의 수호 축일[6][7]
  • 12월 14일 – 브리티시컬럼비아 자치교구 설립 기념일 (1863년)[8][9]

6. 역대 교구장

오귀스탱 동텅빌, 뉴 웨스트 민스터 교구의 마지막 주교이자 밴쿠버 대교구 최초의 대주교.


J. 마이클 밀러 주교는 2009년부터 밴쿠버의 현직 대주교이다.


밴쿠버 대교구와 그 이전 관할권들을 창립 이래 이끌었던 교구장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56][25]

밴쿠버 대교구의 역대 교구장 (대목구 명예주교, 뉴웨스트민스터 교구 교구장, 밴쿠버 대교구 교구장 대주교, 부교구장 주교, 보좌 주교) 및 밴쿠버 대교구 출신 주교들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대목구 명예주교


  • 루이조제프 다르보메 (1863–1890)[56][25]
  • 피에르 폴 뒤리외 (1890)[56][25]

6. 2. 뉴웨스트민스터 교구 교구장



다음은 뉴웨스트민스터 교구를 이끌었던 교구장 목록이다.[56][25]

이름재임 기간
피에르폴 뒤리유1890–1899
오귀스탱 동텅빌1899–1908


6. 3. 밴쿠버 대교구 교구장 대주교



다음은 창립 이래 밴쿠버 대교구와 그 이전 관할권들을 이끌었던 교구장 목록이다.[56][25]

이름재임 기간
오귀스탱 덩텐빌1908년 ~ 1910년
닐 맥닐1910년 ~ 1912년
티모시 케이시1912년 ~ 1931년
윌리엄 마크 듀크1931년 ~ 1964년
마틴 마이클 존슨1964년 ~ 1969년
제임스 카니1969년 ~ 1990년
아담 엑스너1991년 ~ 2004년
레이먼드 루신2004년 ~ 2009년
J. 마이클 밀러2009년 ~ 현재


6. 4. 부교구장 주교

가톨릭 교회법에 따라, 부교구장 주교는 현직 교구장의 은퇴, 사임, 사망의 경우 후대 교구장의 승계 권한이 있다.[56] 밴쿠버의 부교구장들은 미래에 모두 밴쿠버 대교구 대주교가 되었다.

이름재임 기간
피에르 폴 뒤리외1875–1890
오귀스탱 덩턴빌1897–1899
윌리엄 마크 듀크1928–1931
마틴 마이클 존슨1954–1964
J. 마이클 밀러2007–2009


6. 5. 보좌 주교

보좌 주교는 1983년 교회법 제975조 1항에 따라 협력 주교와 달리 승계권을 갖지 않는다.[26] 카니 주교만이 밴쿠버 대주교가 되었다.

  • 에드워드 퀸틴 제닝스 (1941–1946), 캄루프스 교구 주교로 임명[29]
  • 제임스 카니 (1966–1969), 밴쿠버 대주교로 임명[30]
  • 로렌스 사바티니 (1978–1982), 캄루프스 교구 주교로 임명[31]

6. 6. 밴쿠버 대교구 출신 주교

밴쿠버 대교구 출신 사제 7명이 밴쿠버 외부의 다른 교구 주교로 임명되었다.[60] 괄호 안의 첫 해는 서품년도이다.[61] 카니 주교는 1942년부터 1966년까지 대교구 사제였으나 1966년 같은 대교구 보조 주교로 임명되고 1969년 밴쿠버 대주교가 되었기에 이 목록에서 생략한다.[62]

  • 피터 맬론 (1956–1990), 1990년 넬슨 주교로 임명[63]
  • 데이비드 먼로 (1967–2002), 2002년 캄루프스 주교로 임명.[64] 2016년 은퇴 후 대교구로 복귀.[65]
  • 리처드 가뇽 (1983–2004), 2004년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빅토리아 주교로 임명[66]
  • 개리 고든 (1982–2006), 2006년 화이트호스 주교로 임명[67]
  • 스티븐 젠슨 (1980–2013), 2013년 프린스 조지 주교로 임명[68]
  • 마크 하게모엔 (1990–2013), 2013년 매켄지-포트 스미스 주교로 임명[69]
  • 조셉 프엉 응우옌 (1992–2016), 2016년 캄루프스 주교로 임명[70]
  • 개리 프랑켄 (1989–2022), 2022년 앨버타주 생폴 주교로 임명

7. 문장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 문장


윗쪽에 위치한 주교관은 교구 문장의 표준이다.[55]

'''방패'''

''Escutcheon''문장에 등장하는 방패를 의미한다.

'''장미'''

왼쪽 상단에 있는 장미는 묵주 기도의 성모를 향한 묵주 기도의 대성당 봉납을 의미한다.

'''태평양 층층 나무'''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태평양 층층 나무 (Cornus nuttallii)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주화이다.

'''키 로 (Chi-Rho)'''

Chi-Rho ⳩는 그리스도의 그리스어 모노그램이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문자인 '''''ΧΡ'''ΙΣΤΟΣ'' 의 첫 두 글자에서 유래된다.

'''세 개의 셰브론 (V자 모양)'''

3개의 쉐브론은 밴쿠버를 내려다 보는 노스 쇼어 산맥을 상징한다. 묘사된 산은 홀리번산, 그라우스산 및 시모어산의 정상을 나타낸다.

'''성 베드로의 배'''

가운대에 위치한 배는 성 베드로의 배를 나타내며, 이는 가톨릭 교회를 상징한다. 문장에서는 어망이 그려져있는데, 이는 마태오 복음 4장 18-19절을 나타낸다.

>'''''"'''예수님께서는 갈릴래아 호숫가를 지나가시다가 두 형제, 곧 베드로라는 시몬과 그의 동생 안드레아가 호수에 어망을 던지는 것을 보셨다. 그들은 어부였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나를 따라오너라. 내가 너희를 사람 낚는 어부로 만들겠다.”'''"'''''

8. 성당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는 다양한 언어로 미사를 제공하며, 한국어 미사는 성 김대건 성당과 효주 아녜스 성당에서 봉헌된다.[1]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 성당 목록
지역성당 이름언어
밴쿠버성 로사리 대성당
밴쿠버축복받은 성사프랑스어
밴쿠버그리스도 왕
밴쿠버수호 천사
밴쿠버성가정
밴쿠버예수 성명
밴쿠버무염시태
밴쿠버성모 성심크로아티아어
밴쿠버파티마의 성모포르투갈어
밴쿠버헝가리의 성모헝가리어
밴쿠버영원한 도움의 성모
밴쿠버슬픔의 성모
밴쿠버예수 성심
밴쿠버성 안드레아
밴쿠버성 안토니오
밴쿠버성 아우구스티노
밴쿠버성 카시미르폴란드어
밴쿠버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밴쿠버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중국어
밴쿠버성 요한 사도광둥어
밴쿠버성 요셉베트남어
밴쿠버성 유다
밴쿠버성 마르코
밴쿠버성 마리아
밴쿠버성 파트리치오
밴쿠버성 바오로
밴쿠버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버나비성 십자가
버나비Our Lady of Mercy
버나비성 프란치스코 드 살
버나비성 조지 멜키트-그리스 가톨릭 선교회
버나비성 헬레나
버나비성 미카엘
버나비성 테레사
코퀴틀람모든 성인
코퀴틀람파티마의 성모
코퀴틀람루르드의 성모
코퀴틀람아시시의 성 클라라
뉴 웨스트민스터성령
뉴 웨스트민스터성 베드로
뉴 웨스트민스터성 치릴로와 메토디우스슬로바키아어
노스 밴쿠버삼위일체
노스 밴쿠버성 에드먼드
노스 밴쿠버성 바오로
노스 밴쿠버성 비오 10세
노스 밴쿠버성 스테파노
리치몬드캐나다 순교자 교회중국어
리치몬드일꾼 성 요셉
리치몬드성 모니카
리치몬드성 바오로
서리성 십자가
서리선한 목자
서리Star of the Sea
서리선한 권고의 성모
서리지극히 거룩하신 혈육
서리성 김대건 안드레아한국어
서리성 베르나데트
서리성 마태오
애보츠퍼드성 안나
애보츠퍼드성 야고보
아개시스성 안토니오
알더그로브성 요아킴과 안나
보웬 아일랜드성 게라드의 선교회
칠리왁성 마리아
델타무염시태
델타예수 성심
깁슨스성 마리아
호프선한 희망의 성모
랭리성 요셉
랭리성 니콜라스
메이플 리지성 루카
메이플 리지성 파트리치오
미션성 요셉
미션그리스도 왕 신학교/웨스트민스터 수도원
포트 코퀴틀람성모 승천
포트 무디성 요셉
파웰 리버성모 승천 교회
시첼트성가정
시첼트루르드의 성모 (시첼트 네이션)
스쿼미시성 요셉
웨스트 밴쿠버구세주
웨스트 밴쿠버성 안토니오


9. 교육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는 교육 기관들을 지원하고 운영하며,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한 교육을 제공한다.

대교구 내에는 여러 가톨릭 고등학교, 대학교, 전문대학, 신학교가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9. 1. 가톨릭 고등학교

1990년대 초 대교구의 대주교 카니 고등학교의 사진


학교도시설립 연도웹사이트학생 수
홀리 크로스 지역 고등학교서리1982년http://www.holycross.bc.ca/약 780명 (남녀공학)
세인트 토마스 아퀴나스 지역 고등학교노스 밴쿠버1953년http://www.aquinas.org/약 600명 (남녀공학)
아치비숍 카니 지역 고등학교포트 코퀴틀람1994년http://www.acrss.org/약 750명 (남녀공학)
세인트 패트릭 지역 고등학교밴쿠버1928년http://www.stpats.bc.ca/약 500명 (남녀공학)
세인트 토마스 모어 대학교 (교구 소속 아님)버나비1960년http://www.stmc.bc.ca/약 660명 (남녀공학)
세인트 존 브레베프 지역 고등학교애보츠포드1992년http://www.stjohnbrebeuf.ca/약 335명 (남녀공학)
세인트 요한 바오로 2세 아카데미화이트 록2017년https://www.sjp2academy.com/해당 사항 없음
노트르담 지역 고등학교밴쿠버1953년http://www.ndrs.org/약 600명 (남녀공학)
전통 학습 아카데미코퀴틀람1991년http://traditionallearning.com/
밴쿠버 칼리지 (교구 소속 아님)밴쿠버1922년http://www.vc.bc.ca/약 600명 (남학생)
리틀 플라워 아카데미 (교구 소속 아님)밴쿠버1927년http://www.lfabc.org/약 470명 (여학생)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미션에 위치한 그리스도 왕 신학교는 캐나다에 있는 고등학교 신학교 두 곳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온타리오주 콘월에 있다.
  • 성심 수녀원 고등학교는 1911년에 개교한 밴쿠버의 여자 고등학교였다.[42] 이 학교는 1979년에 폐교되었고[42], 세인트 조지 스쿨 (밴쿠버) 주니어 스쿨이 되기 위해 매각되었다.
  • 매리언 고등학교는 성 루이 자선 수녀회가 운영하는 여자 고등학교였다. 이 학교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버나비의 세인트 마이클 교구에 인접해 있었다. 이 학교는 1965년에 개교하여 1988년 대교구에 의해 폐교되었다.

9. 2. 가톨릭 대학교, 전문대학 및 신학교

현재 가톨릭 대학교는 없지만, 대교구 시노드에 따라 대학교 설립 계획이 있다.

칼리지도시설립웹사이트
성 마크 칼리지 (UBC)밴쿠버1956년http://www.stmarkscollege.ca/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 (UBC)밴쿠버http://www.corpuschristi.ca/
가톨릭 퍼시픽 칼리지랭리1999년https://www.catholicpacific.ca/
그리스도왕 신학교미션1931년http://www.sck.ca/



그리스도왕 신학교

10. 기타

밴쿠버 대교구는 BC 가톨릭 신문 발행과 로즈메리 하이츠 피정 센터 운영 외에도 다양한 자선 단체를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1]

10. 1. 교구 신문

밴쿠버 대교구는 지역 사회를 위해 ''BC 가톨릭''이라는 신문을 발행한다.(1931년 출간)[1]

10. 2. 피정

밴쿠버 대교구는 로즈메리 하이츠 피정 센터(Rosemary Heights Retreat Center)라는 피정 시설을 운영한다.[1] 현재 구글 맵에 따르면 이 시설은 영구 폐쇄된 것으로 안내되어 있다.[1]

10. 3. 자선 단체

로마 가톨릭 밴쿠버 대교구는 다양한 자선 단체를 운영하고 있다.

'''의료 서비스'''는 프로비던스 헬스 케어를 통해 제공되며, 세인트 폴 병원을 비롯한 여러 병원들이 이에 속한다.

'''쉼터'''로는 남성 응급 쉼터인 가톨릭 자선 남자 호스텔, 노인을 위한 저렴한 임대 주택인 콜럼버스 타워, 미혼 임산부를 위한 주택인 자선 선교회, 장기 요양 및 호스피스 병상(144개)을 갖춘 세인트 마이클 센터가 있다.

'''사회 지원'''으로는 방문하는 국제 선원을 위한 서비스(바다의 사도직), 교도소 방문 및 재통합 프로그램(가톨릭 자선 정의 서비스), 병든 사람 방문 및 가족 지원(성 빈센트 드 폴 협회), 노숙자를 위한 안전한 드롭인 센터(더 도어 이즈 오픈) 등이 있다.

10. 3. 1. 의료 서비스

2000년 3월 31일, 세인트 폴 병원, 홀리 패밀리 병원, CHARA 헬스 케어 협회가 하나의 법인으로 통합되어 프로비던스 헬스 케어가 설립되었으며, 밴쿠버 시에 8개의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대교구는 병원과 의료 시설의 설립에 책임이 있었지만, 이 시설들은 이사회, 수녀회 및 프로비던스 시니어 리더십 팀에 의해 관리되므로 더 이상 직접적인 통제를 하지 않는다. 프로비던스 헬스 케어는 계속해서 가톨릭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프로비던스 헬스 케어는 현재 세인트 폴 병원을 최첨단 연구 및 교육 시설로 갱신하는 레거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

병원도시설립 연도종교 단체병상 수
세인트 폴 병원 (밴쿠버)밴쿠버1894년프로비던스 수녀회500
세인트 빈센트 병원 (밴쿠버)밴쿠버1939년자선 수녀회650
마운트 세인트 조셉 병원밴쿠버1921년선교 수녀회208
홀리 패밀리 병원밴쿠버1947년프로비던스 수녀회218
유빌 레지던스밴쿠버1931년그레이 수녀회


10. 3. 2. 쉼터


  • 가톨릭 자선 남자 호스텔 - 남성을 위한 응급 쉼터이다.
  • 콜럼버스 타워 - 노인을 위한 저렴한 임대 주택이다.
  • 자선 선교회 - 미혼 임산부를 위한 주택이다.
  • 세인트 마이클 센터 - 장기 요양 병상 및 호스피스 병상(144 병상)을 갖추고 있다.

10. 3. 3. 사회 지원


  • 바다의 사도직 - 방문하는 국제 선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 가톨릭 자선 정의 서비스 - 교도소 방문 및 재통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성 빈센트 드 폴 협회 - 병든 사람을 방문하고 가족을 지원한다.
  • 더 도어 이즈 오픈 - 노숙자를 위한 안전한 드롭인 센터이다.

참조

[1] 웹사이트 In sublimi, Litterae Apostolicae, Dioecesis Neo-Westmonasteriensis in Archidioecesim erigitur Vancouveriensem denominandam., d. 19 m. Septembris a. 1908, Pius PP. X https://www.vatican.[...] Vatican Secretary of State 1908-09-19
[2] 웹사이트 Catholic hierarchy - Archdiocese of Vancouver http://www.catholic-[...] Catholic hierarchy 2009-04-23
[3] 웹사이트 Archdiocese of Vancouver Annual Report https://annualreport[...] 2023-02-23
[4] 뉴스 Throwback Thursday: Holy Rosary Cathedral edition https://bccatholic.c[...] 2019-10-02
[5] 웹사이트 October 3rd Feast of the Dedication of Cathedral http://www.holyrosar[...]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18-09-29
[6] 웹사이트 Solemn Mass for the Feast of the Holy Rosary http://www.holyrosar[...]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19-09-29
[7] 웹사이트 Readings for Mass http://www.holyrosar[...]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18-10-07
[8] 서적 The Lord's Distant Vineyard: A History of the Oblates and the Catholic Community in British Columb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9] 웹사이트 A focus on vocations to the priesthood – Particular Church of Vancouver https://www.stannsab[...] St. Ann’s Roman Catholic Church
[10] 뉴스 Archdiocese of Vancouver, Canada http://www.gcatholic[...] 2018-03-19
[11] 웹사이트 Infrastructure Renewal Project Brief http://rcav.org/infr[...]
[12] 뉴스 Contrasting two B.C. Catholic dioceses – De Roo and Exner http://blogs.vancouv[...]
[13] 웹사이트 Expressions of Apology and Hope https://rcav.org/sys[...] 2023-02-23
[14] 웹사이트 First Nations Questions and Answers https://rcav.org/fir[...] 2023-02-23
[15] 웹사이트 Expressions of Apology and Hope https://rcav.org/sys[...] 2023-02-23
[16] 웹사이트 Vancouver Catholic Archbishop apologizes to Indigenous communities for church's role in residential schools https://www.cbc.ca/n[...]
[17] 웹사이트 First Nations Questions and Answers https://rcav.org/fir[...] 2023-02-23
[18] 웹사이트 Archdiocese of Vancouver commits $2.5 million to Indigenous efforts https://bccatholic.c[...] 2023-02-23
[19] 웹사이트 2019 Report on Clergy Sexual Abuse https://rcav.org/abu[...] 2023-02-23
[20] 웹사이트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names 9 clergymen in sex abuse scandal https://www.cbc.ca/n[...]
[21] 웹사이트 Archdiocese releases report on Vancouver sexual abuse cases https://bccatholic.c[...] 2023-02-23
[22] 웹사이트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covered up systemic abuse, silenced survivors for decades, lawsuit claims https://www.cbc.ca/n[...]
[23] 뉴스 Sex abuse settlement report: 3 more Vancouver priests named, 13 more victims came forward https://bc.ctvnews.c[...] CTV News 2020-12-14
[24] 웹사이트 Archdiocesan Information Coat of Arms https://rcav.org/abo[...]
[25] 웹사이트 Former Bishops https://rcav.org/arc[...]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4-18
[26]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 Book II, Part II, Section II, Title I http://www.vatican.v[...] Holy See 1983-01-25
[27] 간행물 Bishop http://oce.catholic.[...] Robert Appleton Company 1913
[28] 뉴스 Vatican may appoint bishop to aid Brady http://www.irishtime[...] 2012-05-05
[29] 웹사이트 The Most Reverend E.Q. Jennings http://www.dotb.ca/w[...] Roman Catholic Diocese of Thunder Bay 2020-04-18
[30] 웹사이트 Archbishop James Carney https://rcav.org/arc[...]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2-19
[31] 뉴스 Bishop Lawrence Sabatini of Kamloops Retires http://www.cccb.ca/s[...]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1999-09-01
[32] 웹사이트 Priestly Fraternity – Source of Bishops http://vocationsvanc[...]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4-19
[33] 웹사이트 Vocations Ordination Dates – Bishop and Active Diocesan Priests by Date of Ordination https://rcav.org/voc[...]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4-19
[34] 웹사이트 Archbishop Mallon https://archregina.s[...]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Regina 2020-04-19
[35] 뉴스 New Bishop for Kamloops http://www.cccb.ca/s[...]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02-01-06
[36] 웹사이트 Fall Institute 2019 https://rcav.org/oc-[...]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4-18
[37] 웹사이트 Archbishop Richard Gagnon Biography https://www.archwinn[...]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Winnipeg 2020-04-19
[38] 뉴스 Father Gary Gordon appointed Bishop of Whitehorse https://www.cccb.ca/[...]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06-01-04
[39] 뉴스 Appointment of new Bishop for Prince George https://www.cccb.ca/[...]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13-01-03
[40] 뉴스 Msgr. Mark Hagemoen appointed Bishop of Mackenzie – Fort Smith https://www.cccb.ca/[...]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13-10-15
[41] 뉴스 New Bishop appointed for Kamloops https://www.cccb.ca/[...]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16-06-01
[42] 웹사이트 Religious of the Sacred Heart https://www.umanitob[...] 2009-05-15
[43] 웹사이트 British Columbia Archival Union List http://aabc.bc.ca/ac[...] 2009-05-15
[44] 뉴스 Throwback Thursday: Holy Rosary Cathedral edition https://bccatholic.c[...] 2019-10-10
[45] 웹인용 October 3rd Feast of the Dedication of Cathedral http://www.holyrosar[...]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19-10-10
[46] 웹인용 Solemn Mass for the Feast of the Holy Rosary http://www.holyrosar[...]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19-10-10
[47] 웹인용 Readings for Mass http://www.holyrosar[...]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19-10-10
[48] 서적 The Lord's Distant Vineyard: A History of the Oblates and the Catholic Community in British Columb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49] 웹인용 A focus on vocations to the priesthood – Particular Church of Vancouver https://www.stannsab[...] St. Ann’s Roman Catholic Church 2019-10-10
[50] 뉴스 Archdiocese of Vancouver, Canada http://www.gcatholic[...] 2018-03-19
[51] 웹인용 Infrastructure Renewal Project Brief http://rcav.org/infr[...] 2020-10-04
[52] 뉴스 Contrasting two B.C. Catholic dioceses – De Roo and Exner http://blogs.vancouv[...] 2020-10-04
[53] 웹사이트 https://www.cbc.ca/n[...]
[54] 웹사이트 https://www.cbc.ca/n[...]
[55] 웹인용 Diocesan Coat of Arms https://rcav.org/dio[...]
[56] 웹인용 Former Bishops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4-18
[57] 웹인용 The Most Reverend E.Q. Jennings http://www.dotb.ca/w[...] Roman Catholic Diocese of Thunder Bay 2020-04-18
[58] 웹인용 Archbishop James Carney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2-19
[59] 뉴스 Bishop Lawrence Sabatini of Kamloops Retires http://www.cccb.ca/s[...]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19-01-14
[60] 웹인용 Priestly Fraternity – Source of Bishops http://vocationsvanc[...]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4-19
[61] 웹인용 Vocations Ordination Dates – Bishop and Active Diocesan Priests by Date of Ordination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4-19
[62] 웹인용 Archbishop James Carney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2-19
[63] 웹인용 Archbishop Mallon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Regina 2020-04-19
[64] 뉴스 New Bishop for Kamloops http://www.cccb.ca/s[...]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20-04-18
[65] 웹인용 Fall Institute 2019 https://rcav.org/oc-[...]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Vancouver 2020-04-18
[66] 웹인용 Archbishop Richard Gagnon Biography https://www.archwinn[...] 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Winnipeg 2020-04-19
[67] 뉴스 Father Gary Gordon appointed Bishop of Whitehorse https://www.cccb.ca/[...]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20-04-19
[68] 뉴스 Appointment of new Bishop for Prince George https://www.cccb.ca/[...]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20-04-19
[69] 뉴스 Msgr. Mark Hagemoen appointed Bishop of Mackenzie – Fort Smith https://www.cccb.ca/[...]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20-04-19
[70] 뉴스 New Bishop appointed for Kamloops https://www.cccb.ca/[...]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20-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