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지하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지하철은 이탈리아 로마에서 운영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여러 노선과 지방 철도를 포함한다. 현재 A, B, C 세 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며, D선을 포함한 추가 노선들이 계획되어 있다. A선은 바티스티니와 아나니나를, B선은 라우렌티나와 레비비아/조니오를, C선은 몬테 콤파트리-판타노와 산 조반니를 연결한다. 로마 지하철은 1930년대에 처음 계획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확장 및 연장되었다. 특히 C선은 고고학 유물을 전시하는 '고고학 역'을 특징으로 하며, 완전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로마-리도선, 로마-자르디네티선, 로마-비테르보선과 같은 지방 철도도 로마 지하철 시스템의 일부로 운영되고 있다. 운임은 시간제, 일일권, 주간권, 월간권 등 다양한 옵션이 있으며, 열차는 오전 5시 30분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운행하며, 금요일과 토요일에는 연장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철도 교통 -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는 트렌이탈리아에서 운영하는 로마 시내와 피우미치노 공항 간 37km 거리를 약 32분 만에 주파하는 고속 철도 서비스로, 철도-항공 연계 서비스를 통해 승객 편의를 증진시키고 2023년부터는 피우미치노 역에서 수하물 위탁이 가능한 철도-항공 연계 티켓을 제공할 예정이다. - 로마의 철도 교통 - 로마-리도 선
로마-리도 선은 로마와 리도 디 오스티아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24년 개통되어 현재 14개 역을 운영하며 하루 평균 9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고 있고, 향후 로마 지하철 E선으로 통합 및 연장하는 계획이 논의 중이다. - 이탈리아의 지하철 - 나폴리 지하철
나폴리 지하철은 이탈리아 최초의 도시 철도 노선인 2호선을 전신으로 하여 1993년 개통된 1호선을 포함, 현재 1호선, 6호선, 11호선이 운영 중이며, 유물 전시와 "예술의 역"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 공간으로 변화된 역들이 특징적인 이탈리아 나폴리의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 이탈리아의 지하철 - 밀라노 지하철
밀라노 지하철은 이탈리아 밀라노를 운행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5개의 노선과 9개의 환승역을 갖추고 있으며, ATM이 운영하고 다양한 승차권을 사용하며, 1964년 개통 이후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4호선과 5호선은 자동화된 무인 운전 방식으로 운영된다. - 195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태백선
태백선은 제천에서 백산까지 104.1km를 잇는 한국철도공사 운영 노선으로, 복선 전철과 단선 전철 구간으로 나뉘며, 무궁화호 열차 등이 운행되고, 과거 석탄 수송에서 현재 시멘트 수송과 여객 수송을 담당한다. - 195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문경선
문경선은 경상북도 문경시의 점촌역과 문경역을 잇는 22.3km의 철도 노선으로, 석탄 수송 목적으로 개통되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일부 구간 영업이 중지되었고, 2024년 중부내륙선에 편입되어 전철화 및 고속화가 추진될 예정이다.
로마 지하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명칭 | Metropolitana di Roma (메트로폴리타나 디 로마) |
국가 | 이탈리아, 로마 |
교통 유형 | 도시 철도 |
운영 기관 | ATAC |
노선 수 | 3 |
역 수 | 73 |
총 길이 | 60 km |
전철화 | 1,500 V DC (가공 전차선) |
웹사이트 | ATAC S.p.A. |
1일 승객 수 | 819,421 명 (2019년) |
연간 승객 수 | 3억 2천만 명 (2019년) |
![]() | |
노선도 | |
![]() | |
차량 정보 | |
보유 차량 | 83 편성 |
2. 노선
로마 지하철은 1955년 2월 9일 B선 개통을 시작으로, 1980년 A선, 2014년 C선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현재 A선, B선, C선(일부 구간)을 포함하여 총 53.4km, 3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C선과 B선은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며, D선도 계획 단계에 있다.
노선 | 종점 | 개통 | 최신 연장 | 길이 | 역 수 |
---|---|---|---|---|---|
바티스티니 - 아나니나 | 1980년 | 2000년 | 18.4km | 27 | |
라우렌티나 - 레비비아/조니오 | 1955년 | 2015년 | 22.9km | 26 | |
몬테 콤파트리-판타노 - 산 조반니 | 2014년 | 2018년 | 18.7km | 22 |
A선과 B선은 로마의 중심역인 테르미니 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
첫 개통 이후 반 세기가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건설 중인 노선을 포함하여 3개 노선밖에 없다.
로마 지하철은 다음의 지방 철도도 운영하고 있다.
- 로마 - 리도선: 역 수 13개 (로마 포르타 산 파올로역 - 크리스토포로 콜롬보역), 약 28km
- 로마 - 자르디네티선: 역 수 19개 (로마 라차리역 - 자르디네티), 8.63km
- 로마 - 비테르보선 (Ferrovia Roma-Civitacastellana-Viterbo, 사크로파노역 이원은 교외선): 역 수 38개 (플라미니오역 - 비테르보역), 102km
2. 1. A선
로마 지하철 A선은 로마의 서북부와 동남부 지역을 이어준다. 바티스티니역에서부터 아나니나역까지 총 27개 역이 있으며, 노선 색깔은 주황색이다.1959년 로마의 두 번째 지하철 노선 공사 승인을 받았다. 이 노선은 현재 B선으로 이름이 바뀐, 기존 지하철 노선을 수직으로 통과하여 운행되도록 계획되었다.
1964년 투스콜라나 지역에서 A선 공사가 시작되었지만, 예산 부족으로 지연이 거듭되어 큰 문제가 되었다. 원래 계획했던 개착식 건설 방식이 로마 동남부 지역의 도로 교통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여 공사가 중단되었다. 5년 뒤 교통 문제와 공사 기계 진동으로 인한 항의 및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터널을 뚫는 공사 방법을 채택하여 공사가 재개되었다. 그러나 굴착 도중 레푸블리카 광장 주변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고고학 유적이 발견되어 공사가 자주 중단되었다.
1980년 2월 A선이 완전히 개통되었으며, 1990년대 말에는 프라티 구역의 오타비아노 역에서 바티스티니 역까지 서쪽으로 연장되었다.
2022년 6월부터 A선 발레 아우렐리아역은 재개통된 비냐 클라라 기차역과 연결되었다. 비냐 클라라-발레 아우렐리아 구간은 A선, B선(오스티엔세), FL3 교외선, 비테르보 간 연결로 인해 북로마 철도 순환선을 닫는 중요한 단계이다.[12]
2. 2. B선
B선은 이름과는 달리 사실 로마에서 처음으로 개통된 지하철 노선이다. 이 노선은 로마의 동북부와 서남부를 연결해 준다. 현재 레비비아역에서부터 라우렌티나역(EUR 동쪽에 위치한 역)까지의 본선과, 콘카 도로역에서부터 레비비아역까지의 지선을 포함해서 총 26개의 역이 있다. 노선 색깔은 푸른색으로 구별된다.
B선은 1930년대 파시스트 정부가 로마의 중앙역인 테르미니역에서부터 로마 동남부에 위치한, 1942년 로마 세계 박람회가 열릴 예정이었던 E42 지구까지 빠르게 연결해주는 용도로 계획되었다. 그렇지만 1940년 이탈리아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면서 박람회는 열리지 않게 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지하철 공사는 중단되었고, 로마 교외에 위치한 일부 구간(테르미니역에서 피라미데역까지의 구간)의 터널만이 완성되었다. 이 구간은 전쟁 기간 동안 공습 대피소로 사용되었다.
1948년에는 중단되었던 지하철 공사가 다시 재개되었다. 지하철 남부 구간은 이전 계획 그대로, 한때 엑스포가 열릴 예정이었던 EUR라는 이름의 상업 지구까지 연결되도록 공사했다. 마침내 1955년 2월 9일, 루이지 에이나우디 대통령이 지하철 정식 개통을 선언했다. 그리고 지하철은 그 다음날부터 운행하기 시작했다.[13]
1990년에는 테르미니역에서부터 로마의 동부에 위치한 레비비아역까지 연장되었고, B선은 모두 현대화되었다.
2012년 6월 13일에는 피아자 볼로냐역에서 콘카 도로역까지 이어지는 지선(B1선)이 새로 개통되었다. 조니오역은 2015년 4월 21일에 개통되었다.
2. 3. C선

2014년 11월 9일에 개통된 C선은 현재 산 조반니에서 출발하여 A선과의 환승역 역할을 하며, 판타노(로마-지아르디네티 경전철의 이전 종착역)까지 방사형으로 운행된다. 로마 시 경계를 넘어 확장된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
도심을 거쳐 바티칸 북쪽 그로타로사 방향으로 북서쪽으로 연장될 예정이다. 또한 오타비아노역(바티칸 옆)에서 A선, 콜로세오에서 B선, 베네치아 광장에서 계획된 D선과 교차하여 로마에 네 번째 지하철 허브를 만들게 된다.

첸토첼레에서 판타노까지의 노선의 첫 번째 구간[14]은 도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계획된 30개 역 중 15개가 포함되어 있다. C선의 추가 구간은 2015년 6월 29일에 개통되었으며, 6개의 역이 추가로 운행되었고, 노선의 서쪽 종착역은 첸토첼레 공원에서 로디로 이동했다.[15] 2018년 5월 12일, 서쪽 종착역은 산 조반니(A선 환승역)로 이동했다.[16] 이 세 번째 단계 이후, 노선은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포르타 메트로니아, 콜로세오, 베네치아 광장 등 3개의 역으로 더 연장될 것이다.[17]
노선 공사는 계획된 완공 날짜가 반복적으로 연기되면서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로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이며, 따라서 지하철 시스템 건설은 잦은 고고학적 발견으로 인해 상당한 장애에 직면해 있다.[18] 터널 자체의 굴착은 대부분의 고고학적 발견 가능성 위치보다 훨씬 아래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표면과 연결되어야 하는 계단과 환기구의 굴착은 상당한 어려움을 야기한다.
C선에서 운행되는 열차는 완전 자동화되어 있으며,[19] 코펜하겐 지하철에서도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안살도브레다 무인 지하철 시스템을 사용한다.
노선 | 시종착역 | 개통년도 | 최근 연장년도 | 길이 (km) | 역 개수 | 이동시간 (분) |
---|---|---|---|---|---|---|
몬테 콤파트리-판타노 ↔ 산 조반니 | 2014년 | 2018년 | 18.1 | 22 | 34 |
가르바텔라
3. 역사
라우렌티나-- 1993년 3월 12일 마르코니 -- 1995년 12월 13일 폰테 마몰로 -- 1999년 5월 29일 오타비아노 - 발레 아우렐리아 -- 2000년 1월 1일 발레 아우렐리아 - 바티스티니 -- 2003년 6월 23일 퀸틸리아니 -- 2012년 6월 12일 볼로냐 - 콩카 도로 2014년 11월 9일 몬테 콤파트리-판타노 - 파르코 디 센토첼레 -- 2015년 4월 21일 콩카 도로 - 조니오 -- 2015년 6월 29일 파르코 디 센토첼레 - 로디 -- 2018년 5월 12일 로디 - 산 조반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