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버트 포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포춘은 1812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식물학자이자 탐험가이다. 그는 19세기 중국과 일본을 탐험하며 다양한 식물을 서구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차나무를 인도에 들여와 인도 차 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포춘은 중국 상인으로 변장하여 중국 내륙 지역을 탐험하며 차나무를 비롯한 다양한 식물을 수집했으며, 금귤, 덩굴성 이중 황색 장미, 작약, 진달래, 국화 등 다양한 식물을 서양에 소개했다. 그는 자신의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식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업 스파이 - 새뮤얼 슬레이터
    새뮤얼 슬레이터는 영국의 직물 기술을 미국에 전파하여 미국 산업 혁명에 기여한 인물로, 수력 방적기 기술을 암기하여 미국 최초의 근대식 방적 공장을 설립하고 섬유 산업 발전에 기여했지만, 아동 노동 착취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
  • 스코틀랜드의 여행 작가 - 찰스 라이엘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변호사였던 찰스 라이엘은 제임스 허턴의 동일과정설을 발전시키고 대중화했으며, 대표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지구가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했다는 이론을 제시하여 지질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층서학, 고생물학, 빙하학 등 다양한 지질학 분야에 기여했다.
  • 스코틀랜드의 여행 작가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보물섬》,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등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시인, 수필가, 여행 작가로, 병약한 몸으로 세계를 여행하며 얻은 경험과 남태평양 사모아에서의 삶이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버트 포춘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로버트 포춘은 여러 차례 중국과 일본을 탐험하며 다양한 식물을 유럽에 소개했다. 특히, 차나무인도에 도입하여 인도 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일본의 다양한 식물을 유럽에 소개해 원예 발전에 공헌했다.

1848년 영국 동인도 회사를 대신하여 중국의 차나무(''Camellia sinensis'')와 숙련된 차 장인들을 인도에 성공적으로 들여온 것은 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 중 하나이다.

1846년, 포춘은 동인도 회사의 사원으로서 차를 인도에 도입하기 위해 중국으로 파견되었다.[17] 중국 내륙부를 여행하며 차 외에 ''Clematis lanuginosa'' 등을 입수했다.[18] 차 묘목과 씨앗은 워드 상자를 사용하여 운반되어 수송에 성공했으며, 인도에서의 차 생산 증대를 가져왔다.[19] 이후 콜카타에서 차 재배와 차 제조를 지도한 후 영국으로 돌아왔다.[20]

1852년 12월, 포춘은 다시 동인도 회사에 의해 중국으로 파견되었다.[21] 당시 태평천국의 난이 한창이었지만, 그는 진달래 교배에 중요한 종이 되는 ''Rhododendron fortunei''를 발견했다.[22]

포춘은 녹차와 홍차가 제조법만 다를 뿐 같은 차나무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내, 기존의 정설을 뒤집었다.[11] 외국인은 개항지 주변 외에는 출입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중국인으로 변장하여 쑤저우까지 가기도 했다.[12][13] 마닐라를 방문하여 난의 일종인 ''Phalaenopsis amabilis''를 입수하기도 했다.[14] 1846년 5월에는 연교속, 병꽃나무속, 인동속, 조팝나무속, 범의 발톱속, 가막살나무속 등 250종의 식물을 가지고 영국으로 돌아왔다.[15] 그는 워드 상자를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사용한 인물이기도 하다.[16]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로버트 포춘은 1812년 스코틀랜드 베릭셔 에드럼에서 태어났다.[2] 에든버러 왕립 식물원에서 견습 과정을 거쳐 정원사로 근무했고,[2] 1840년 가족과 함께 런던으로 이주하여 런던 원예 협회(Royal Horticultural Society) 치스윅 정원에서 일했다.[2]

2. 2. 중국 탐험과 차 산업에 끼친 영향

1842년 난징 조약 체결 이후, 영국 런던 원예 협회(Royal Horticultural Society)는 로버트 포춘을 중국 남부 지역으로 파견하여 식물을 채집하도록 했다.[8][9] 포춘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중국의 차나무(Camellia sinensis)를 인도로 가져오는 것이었다.[3]

중국에서의 포춘의 여행 지도


포춘은 중국 상인으로 변장하여, 당시 중국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던 차나무를 구매하고, 유럽 조약 항구에서 허용된 거리를 벗어난 지역까지 여행했다.[3] 그는 푸젠, 광둥, 장쑤성 등 유럽인들이 거의 방문하지 않았던 중국의 여러 지역을 탐험했다.[3]

포춘은 현지 차 재배자들로부터 식물과 묘목을 얻었고, 나다니엘 백쇼 워드(Nathaniel Bagshaw Ward)의 휴대용 워디안 케이스를 사용하여 식물을 보존했다.[3] 또한, 동인도 회사의 농장에서 차 생산을 촉진할 숙련된 노동자들을 인도에 계약직으로 데려갔다.[3]

푸젠성의 외딴 우이산, 포춘이 여행했던 중요한 차 산지 중 하나이다.


포춘이 인도 북서부 지방에 들여온 대부분의 중국 차나무는 멸망했지만, 중국에서 가져온 기술과 지식은 이후 아삼 차(Assam tea)(''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와 스리랑카 차 재배에 활용되어 인도 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4]

2. 3. 일본 탐험과 식물 도입

1858년, 포춘은 미국 정부의 의뢰로 차나무를 채집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했다. 중국에 머무르는 동안 일본이 개항했다는 소식을 듣고 일본으로 건너가기로 결심했다.[23]

포춘은 먼저 나가사키를 방문하여 그곳 주민들이 꽃을 좋아하는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24] 그는 일본에 있던 지볼트를 방문하기도 했다.[25] 1860년 10월 13일 요코하마에 도착한 포춘은 토켄지 절에서 본 고야마키에 감탄했다.[26] 그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침엽수 씨앗을 얻는 것이었고, 훌륭한 노송나무가 있다는 절을 방문했을 때 고용된 안내인과 함께 나무에 올라가 씨앗을 채취했다.[27] 묘목 마을의 규모와 선인장, 알로에, 부크시아 등이 이미 도입되어 있는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28] 또한 국화와 아오키도 채집했다.[29] 아오키는 포춘의 일본 방문 목적 중 하나였다.[30] 당시 유럽에는 암그루밖에 없어 열매를 맺지 못하는 아오키의 수그루를 포춘이 도입함으로써, 유럽에서도 아오키가 붉은 열매를 맺게 되었다.[31][32]

1861년 4월, 포춘은 수집한 식물을 영국으로 보내기 위해 상하이로 간 후 다시 일본을 방문했다.[33] 식물 외에도 곤충을 대량으로 채집했다.[34] 같은 해 7월에는 가마쿠라 등으로 관광을 갔으며, 그곳에서 원추리 군락을 발견하고 직접 파내기도 했다.[35][36]

포춘은 자신의 저서 『막말 일본 탐방기 - 에도와 베이징』에서 "일본인의 국민성 중 두드러진 특징은 서민이라도 꽃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꽃을 사랑하는 국민성이 인간 문화 수준의 높이를 증명하는 것이라면, 일본 서민은 우리나라 서민보다 훨씬 우위에 있는 듯하다"라고 평했다.

2. 4. 그 외 활동 및 사망

포춘은 이후 타이완과 일본을 방문하여 누에 사육과 쌀 생산 방식을 기록했다. 그는 금귤, 덩굴성 이중 황색 장미( '포춘의 이중 황색'(별칭 골드 오브 오피르)은 영국의 기후에서 실패)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나무 작약, 진달래, 국화 등을 서양에 소개했다.[3] 1850년 중국에서 가져온 덩굴성 흰색 장미는 ''Rosa laevigata''와 ''R. banksiae''의 자연 교배종으로 여겨지며, 그의 이름을 따서 ''R. fortuniana''(별칭 ''R. fortuneana'')로 명명되었다.[3] 이 장미 역시 영국에서는 실패했지만, 따뜻한 기후를 선호했다.[3] 오늘날 이 두 장미는 온화한 겨울 지역에서 고대 장미 애호가들이 널리 재배하고 있으며, ''Rosa fortuniana''는 호주와 미국 남부 지역에서 귀중한 대목으로 사용된다.[3]

포춘은 자신의 여행을 기록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그는 1880년 런던에서 사망했으며, 브롬턴 묘지에 안장되었다.[3]

3. 포춘의 이름이 붙은 식물

포춘의 업적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딴 식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름
아룬디나리아 포르투네이(Arundinaria fortunei)
베르베리스 포르투네이(Berberis fortunei)
세팔로탁수스 포르투네이(Cephalotaxus fortunei)
키르토미움 포르투네이(Cyrtomium fortunei)
사철나무(Euonymus fortunei)
호스타 포르투네이(Hosta fortunei)
케텔레리아 포르투네이(Keteleeria fortunei)
금목서(Osmanthus × fortunei)
파울로니아 포르투네이(Paulownia fortunei)
플레이오블라스트스 포르투네이(Pleioblastus fortunei)
로도덴드론 포르투네이(Rhododendron fortunei)
로사 포르투니아나(Rosa fortuniana)
바위취(Saxifraga fortunei)
종려(Trachycarpus fortunei)



1913년, 식물학자 레더와 E.H. 윌슨은 그의 명예를 기려 중국의 식물 속을 명명했으며, 그중 한 종은 ''포르투네아 시넨시스''이다.[6][7]

금귤속의 학명 ''Fortunella''는 그에게 헌명되었다. 장미 품종 ''Fortune's Double Yellow''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출판

포춘은 자신의 중국 및 일본 탐험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Three Years' Wandering in the Northern Provinces of China, A Visit to the Tea, Silk, and Cotton Countries, with an account of the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of the Chinese, New Plants, etc.'' (1847, 존 머레이)[2]
  • ''A Journey To The Tea Countries Of China; Including Sung-Lo And The Bohea Hills; With A Short Notice Of The East India Company's Tea Plantations In The Himalaya Mountains.'' (1852, 존 머레이)
  • ''https://web.archive.org/web/20170824223135/http://ebook.lib.hku.hk/CTWE/B36598719V1/ Two visits to the tea countries of China and the British tea plantations in the Himalaya: with a narrative of adventures, and a full description of the culture of the tea plant, the agriculture, horticulture, and botany of China'' (1853, 존 머레이; LCCN [https://lccn.loc.gov/04-32957 04-32957])
  • ''A Residence Among the Chinese; Inland, On the Coast and at Sea; being a Narrative of Scenes and Adventures During a Third Visit to China from 1853 to 1856, including Notices of Many Natural Productions and Works of Art, the Culture of Silk, &c.'' (1857, 존 머레이)
  • ''Yedo and Peking; A Narrative of a Journey to the Capitals of Japan and China, with Notices of the Natural Productions, Agriculture, Horticulture and Trade of those Countries and Other Things Met with By the Way'' (1863, 존 머레이)


한국어 번역:

  • 로버트 포춘, 『막말 일본 탐방기 - 에도와 북경』, 미야케 가오루 역, 고단샤 학술 문고, 2007년 ISBN 4061593080
  • 사라 로즈, 『홍차 스파이: 영국인 플랜트 헌터, 중국을 가다』, 쓰키지 세이코 역, 원서방, 2011년 ISBN 4562047577
  • 원제: "For All the Tea in China: How England Stole the World's Favorite Drink and Changed History", Penguin(Non-Classics)(2011/2/22) ISBN 0143118749

5. 유산 및 평가

로버트 포춘은 19세기 동아시아의 식물 자원을 서구에 소개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식물학자이자 탐험가였다. 그의 활동은 식물학과 원예학 발전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제국주의적 확장과 문화 교류의 복잡한 측면을 보여준다. 특히 포춘이 중국에서 차나무(''Camellia sinensis'')와 차 제조 기술을 영국 동인도 회사로 가져온 사건은 인도 차 산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3][4] 이는 중국의 차 재배 기술 유출이라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포춘은 자신이 방문했던 일본의 정원 문화와 꽃을 사랑하는 일본인들의 국민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는 저서 『막말 일본 탐방기 - 에도와 베이징』에서 "일본인의 국민성의 두드러진 특징은, 서민이라도 타고난 꽃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꽃을 사랑하는 국민성이 인간의 문화적 수준의 높이를 증명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일본의 서민은 우리나라 서민과 비교하면, 훨씬 우위에 있는 듯하다"라고 언급했다.

포춘은 금귤, 덩굴성 이중 황색 장미 ('포춘의 이중 황색'(별칭 골드 오브 오피르)), 다양한 종류의 나무 작약, 진달래국화를 포함하여 많은 나무, 관목, 꽃을 서양에 소개했다.[5] 그의 이름은 다양한 식물 이름에 남아,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1913년, 식물학자 레더와 E.H. 윌슨은 그의 명예를 기려 중국의 식물 속을 명명했으며, 그중 한 종은 ''포르투네아 시넨시스''이다.[6][7]

참조

[1] 간행물 Fortune, Robert
[2] 간행물 Fortune, Robert
[3] 서적 British Naturalists in Qing China: Science, Empire, and Cultural Encounte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Plant-hunting in China: A History of Botanical Exploration in China and the Tibetan Marches Scientific Book Guild
[5] 서적 History of European botanical discoveries in China KF Koehlers antiquarium
[6] 웹사이트 Fortunearia sinensis Rehder & E.H.Wilson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021-09-10
[7]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Plant Names, Volume II, D–L CRC Press
[8]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49ページ
[9] 문서 歴史の中の植物、405ページ
[10] 문서 歴史の中の植物、406ページ
[11] 문서 歴史の中の植物、407 - 408ページ
[12]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49 - 150ページ
[13] 문서 歴史の中の植物、406-407ページ
[14] 문서 歴史の中の植物、407ページ
[15]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51ページ
[16]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04ページ
[17]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51-152ページ、歴史の中の植物、409ページ
[18] 문서 歴史の中の植物、409-414ページ
[19]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05ページ、歴史の中の植物、414-415ページ
[20]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52ページ
[21]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52ページ、歴史の中の植物、416ページ
[22] 문서 歴史の中の植物、416ページ
[23]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52ページ
[24]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53ページ
[25]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54ページ
[26]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57ページ
[27]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60 - 161ページ
[28]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65 - 166ページ
[29]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67 - 170ページ
[30]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69ページ
[31]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70ページ
[32] 문서 歴史の中の植物、422ページ
[33]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71 - 172ページ
[34]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77ページ
[35] 문서 プラントハンター、178ページ
[36] 서적 플랜트헌터
[36] 서적 역사 속의 식물
[37] 간행물 "Ten Things…You Never Knew About The Scottish." 2012-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