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티오프 난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초프 난센은 노르웨이의 탐험가, 과학자, 외교관, 그리고 인도주의자였다. 그는 덴마크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스키와 스케이트를 즐기며 스포츠에 재능을 보였다. 동물학을 전공한 후, 북극해 동물학 연구를 위한 항해에 참여하여 해빙 형성 과정과 걸프 해류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1888년 그린란드의 빙원을 스키로 횡단했으며, 자신이 설계한 탐험선 프람 호를 타고 북극해 횡단을 시도하여 북위 86° 14´ 지점에 도달했다. 과학 분야에서는 신경학 연구를 통해 뉴런 이론 발전에 기여했고, 해류 연구를 통해 해양학 발전에 공헌했다. 외교관으로서 노르웨이의 독립을 위해 활동했으며, 국제 연맹 난민 고등 판무관으로 전쟁 포로 송환과 난민 구제에 헌신하여 192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프리티오프 난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리티오프 난센의 머리와 어깨 초상화, 오른쪽 절반을 향하고 있다. 그는 짧게 자른 머리, 넓고 밝은 콧수염을 가지고 있으며 두꺼운 모피 코트를 입고 있다.
1890년의 난센
이름프리티오프 난센
출생1861년 10월 10일
출생 장소노르웨이 크리스티아니아, 스토레 프뢰엔
사망1930년 5월 13일
사망 장소노르웨이 아케르스후스, 리사케르, 폴회그다
국적노르웨이
교육왕립 프레데리크 대학교
배우자에바 사르스 (1889년 결혼, 1907년 사별)
시그룬 문테 (1919년 결혼)
자녀5명 (그 중 오드 포함)
친척에른스트 사르스 (처남)
게오르그 오시안 사르스 (처남)
악셀 레볼드 (사위)
마리트 그레베 (손녀)
에이길 난센 (손자)
다그니 할드 (손녀)
직업과학자
탐험가
외교관
인도주의자
알려진 업적사수
난센병
난센 빙상
난센 여권
난센의 프람 탐험
해양학
극지 기상학
수상노벨 평화상 (1922년)
콘스탄틴 메달 (1907년)
컬럼 지리학 메달 (1897년)
탐험 및 여행 발견의 위대한 금메달 (1897년)
후원자 메달 (1891년)
베가 메달 (1889년)
프리티오프 난센 서명
프리티오프 난센 서명
학문 분야
분야신경과학
해양학
동물학
국제 관계
업적
주요 업적극지 탐험
난민 구호
과학 연구
기타 정보
관련 인물에바 난센 (아내)
프람호
로알 아문센

2. 가문 배경과 유년 시절

난센 가문은 덴마크 출신이다. 상인이었던 한스 난센(1598–1667)은 북극해 백해 지역을 초기 탐험한 인물이었다. 만년에는 코펜하겐에 정착하여 1654년 이 도시의 ''시장''이 되었다. 그 후 난센 가문은 18세기 중반까지 코펜하겐에서 살았고, 안케르 안토니 난센은 노르웨이(덴마크-노르웨이)로 이주했다. 그의 아들 한스 레이어달 난센(1764–1821)은 처음에는 트론헤임 지역의 치안 판사였고, 이후에는 예렌에서 치안 판사를 지냈다. 1814년 노르웨이가 덴마크로부터 분리된 후, 스타방에르의 대표로 초대 스토르팅에 참여하여 국가 정치에 입문했으며, 스웨덴과의 연합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1821년 반신불수로 쓰러진 한스 레이어달 난센은 탐험가의 아버지인 네 살 된 아들 발두르 프리드쇼프 난센을 남기고 사망했다.[3]

발두르는 공직에 대한 야망이 없는 변호사였으며, 노르웨이 대법원의 보고관이 되었다. 그는 두 번 결혼했는데, 두 번째 부인은 베룸 출신의 아델라이드 요한네 테클라 이시도르 뵐링 베델-야를스베르그로, 1814년 노르웨이 헌법 제정을 도왔고 나중에 스웨덴 국왕의 노르웨이 총독이었던 헤르만 베델-야를스베르그의 조카였다.[4] 발두르와 아델라이드는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이전 명칭은 크리스티아니아)에서 몇 킬로미터 떨어진 아케르의 저택인 스토레 프뢰엔에 정착했다. 이 부부는 세 자녀를 두었는데, 첫째는 유아기에 사망했고, 1861년 10월 10일에 태어난 둘째는 프리드쇼프 베델-야를스베르그 난센이었다.[5][6]

an unsmiling fair-haired child stands upright, his left hand resting on a stool, in front of an ornate fireplace.
1865년 난센(4세)


스토레 프뢰엔의 시골 환경은 난센의 어린 시절의 특징을 형성했다. 짧은 여름에는 수영과 낚시가 주요 활동이었고, 가을에는 숲에서 사냥하는 것이 주요 오락이었다. 긴 겨울은 주로 스키를 타는 데 할애되었는데, 난센은 두 살 때 즉석에서 만든 스키를 타고 스키를 타기 시작했다.[6] 10살 때 그는 부모에게 반항하여 근처 후세비 시설에서 스키 점프를 시도했다. 이 모험은 거의 재앙으로 이어질 뻔했는데, 착지할 때 스키가 눈에 깊숙이 박히면서 소년이 앞으로 넘어졌기 때문이다. "나는 머리부터 공중에서 멋진 호를 그렸습니다... 다시 내려왔을 때 허리까지 눈 속에 파묻혔습니다. 아이들은 내가 목이 부러진 줄 알았지만, 내가 살아있는 것을 보자... 조롱하는 웃음소리가 터져 나왔습니다."[5] 난센의 스키에 대한 열정은 줄어들지 않았지만, 그가 기록했듯이 그의 노력은 텔레마크 지역의 스키 선수들에게 가려졌는데, 그곳에서는 새로운 스타일의 스키가 개발되고 있었다. "이것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다"고 난센은 나중에 썼다.[7]

학교에서 난센은 특별한 재능을 보이지 않고도 적절하게 공부했다.[6] 학업은 스포츠나, "로빈슨 크루소"처럼 한 번에 몇 주씩 살곤 했던 숲으로의 원정에 밀려났다.[8] 이러한 경험을 통해 난센은 상당한 수준의 자립심을 키웠다. 그는 뛰어난 스키 선수이자 매우 능숙한 스케이터가 되었다. 1877년 여름, 아델라이드 난센이 갑자기 사망하면서 그의 삶은 혼란스러워졌다. 발두르 난센은 고통스러워하며 스토레 프뢰엔 재산을 팔고 두 아들과 함께 크리스티아니아로 이사했다.[9] 난센의 스포츠 실력은 계속해서 발전하여, 18세에 1마일(1.6km) 스케이팅 세계 기록을 깨고 이듬해 전국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이후 11번 더 이 업적을 반복했다.[10]

3. 학생 및 모험가 시절

1880년 난센은 대학 입학 시험인 ''examen artium''을 통과했다. 그는 야외 생활을 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동물학을 전공하기로 결정했다. 1881년 초 크리스티아니아(현재의 오슬로)의 왕립 프레데릭 대학교(현 오슬로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다.[11]

1882년 초, 난센은 "...나를 조용한 과학 생활에서 벗어나게 한 치명적인 첫걸음을 내딛었다."[12] 대학교 동물학과 교수인 로버트 콜레트는 난센에게 직접 북극 동물학을 연구하기 위해 항해를 제안했다. 난센은 열정적으로 바다표범 사냥꾼 ''바이킹'' 호의 사령관인 액셀 크레프팅 선장과의 인연을 통해 준비를 했다. 항해는 1882년 3월 11일에 시작되어 5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바다표범 사냥이 시작되기 전 몇 주 동안 난센은 과학 연구에 집중했다.[14] 그는 물 샘플을 통해 이전의 가정과는 달리 해빙이 물 표면 아래가 아닌 표면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의 측정 결과는 또한 걸프 해류가 차가운 표층수 아래로 흐른다는 것을 입증했다.[13] 7월에 ''바이킹''호는 그린란드 해안의 미탐험 지역 근처의 얼음에 갇혔고, 난센은 상륙을 갈망했지만 불가능했다.[14] 그러나 그는 그린란드 빙상을 탐험하거나 심지어 횡단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10]

난센은 대학교에서 정식으로 학업을 재개하는 대신 콜레트의 추천으로 베르겐 박물관 동물학과의 큐레이터 직을 수락했다. 그는 유럽 6개월의 안식년 여행을 제외하고 다음 6년을 그곳에서 보냈으며, 나병 간균 발견자인 게르하르트 아르마우어 한센과 과학 연구 및 교육의 중심지로 박물관을 변화시킨 박물관장 다니엘 코르넬리우스 다니엘센과 같은 인물들과 함께 일하고 공부했다.[15][16] 난센이 선택한 연구 분야는 당시 비교적 미개척 분야였던 신경해부학으로, 특히 하위 해양 생물의 중추 신경계였다. 1886년 2월 안식년을 떠나기 전에 그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요약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거기에서 "서로 다른 신경절 세포 간의 문합 또는 결합"을 확실하게 입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비정통적인 견해는 배아학자 빌헬름 히스와 정신과 의사 아우구스트 포렐의 동시 연구로 확인되었다. 난센은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에 의해 제안된 뉴런 이론의 최초의 노르웨이 옹호자로 여겨진다. 1887년에 발표된 그의 후속 논문인 ''중추 신경계의 조직학적 요소의 구조와 조합''은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이 되었다.[17]

4. 그린란드 횡단

난센은 베르겐에서 생활하면서 그린란드 빙상 횡단 탐험에 대한 구상을 구체화하였다. 1887년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한 후, 본격적으로 탐험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이전의 그린란드 내륙 탐험은 1883년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와 1886년 로버트 피어리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모두 서해안의 디스코 만에서 출발하여 동쪽으로 약 160km 이동한 후 되돌아왔다.[18]

난센은 이들과 달리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디스코 만에서 탐험을 끝내는 방식을 택했다. 사람이 사는 서해안에서 출발하면 돌아오는 길을 걱정해야 하지만, 동쪽에서 출발하면 인구가 밀집된 지역을 향해 일방통행 여정이 되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19] 이러한 방식은 "퇴로가 없으면 전진할 수밖에 없다"는 난센의 신념과 일치했다.[20]

난센은 다른 북극 탐험의 복잡한 조직과 다수의 인원 대신, 6명의 소규모 인원으로 탐험대를 구성했다. 보급품은 특별히 설계된 경량 썰매로 인력 수송하고, 침낭, 의류, 취사 도구 등도 새로 설계했다.[21] 하지만 이러한 계획은 언론으로부터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2] 한 비평가는 난센의 계획이 "무모하게 자신의 생명과 다른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갈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23] 노르웨이 의회는 재정 지원을 거부했고, 결국 덴마크 사업가 아우구스틴 가멜의 기부금과 노르웨이 국민들의 소액 기부금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24]

탐험대는 1888년 6월 3일 아이슬란드 이샤피외르뒤르 항구에서 ''제이슨''호에 탑승했다. 1주일 후 그린란드 해안을 발견했지만, 두꺼운 유빙으로 인해 진척이 어려웠다. 해안에서 20km 떨어진 곳에서 난센은 작은 보트를 띄우기로 결정했다. 7월 17일 세르밀리크 피요르드가 보이는 곳에 도달했고, 난센은 그곳이 아이스캡을 따라 올라가는 경로를 제공할 것이라고 믿었다.[27] 탐험대는 ''제이슨''호를 떠나면서 "좋은 정신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며" 떠났다.[27] 그 후 며칠 동안 엄청난 좌절을 겪으며 남쪽으로 표류했다. 날씨와 해상 조건으로 인해 해안에 도달할 수 없었다. 그들은 대부분 시간을 얼음 위에서 야영하며 보냈다. 보트를 띄우기에는 너무 위험했다.

7월 29일, 탐험대는 배를 떠난 지점에서 380km 남쪽에 있는 지점에 도달했다. 그날 마침내 육지에 도착했지만 횡단을 시작하기에는 너무 남쪽이었다. 난센은 잠시 휴식을 취한 후 팀에게 보트로 돌아가 북쪽으로 노를 젓기 시작하라고 명령했다.[28] 탐험대는 다음 12일 동안 유빙을 헤치며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나아갔다. 첫날 케이프 스틴 빌 근처에서 큰 이누이트 캠프를 만났다.[29] 여정 내내 유목민 원주민과의 가끔의 접촉이 이어졌다.

보트와 보급품은 그린란드 동해안에 보관되었다


탐험대는 200km를 이동한 후 8월 11일 우미비크 만에 도달했다. 난센은 횡단을 시작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그들이 여전히 의도했던 출발 지점에서 훨씬 남쪽에 있었지만, 계절이 너무 늦어지고 있었다.[30] 우미비크에 상륙한 후 4일 동안 여행을 준비하고, 8월 15일 저녁에 출발하여 디스코 만 서쪽 해안에 있는 크리스티안호브를 향해 북서쪽으로 향했다. 거리는 600km였다.[31]

그 후 며칠 동안 탐험대는 등반에 어려움을 겪었다. 내륙의 얼음은 많은 숨겨진 크레바스가 있는 위험한 표면을 가지고 있었고 날씨도 좋지 않았다. 폭풍과 끊임없는 비로 인해 3일 동안 진행이 중단되었다.[32] 마지막 배가 9월 중순까지 크리스티안호브를 떠나야 했다. 난센은 8월 26일에 제때 도착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 그는 최소 150km 더 짧은 여정인 고트호브를 향해 서쪽으로 코스 변경을 명령했다. 난센에 따르면 나머지 탐험대는 "계획 변경을 환영했다."[33]

탐험대는 9월 11일까지 계속 등반하여 해발 2719m 높이에 도달했다. 아이스캡 정상의 기온은 밤에 -45°C까지 떨어졌다. 그 이후로는 내리막 경사로 인해 여행이 더 쉬워졌다. 그러나 지형은 험했고 날씨는 여전히 좋지 않았다.[34] 진척이 느렸다. 신선한 눈이 내려 썰매를 모래를 통과하는 것처럼 끌게 만들었다. 9월 26일, 그들은 고트호브를 향해 서쪽으로 피요르드 가장자리를 따라 나아갔다. 스베르드루프는 썰매, 버드나무, 텐트의 부품으로 임시 보트를 만들었다. 3일 후, 난센과 스베르드루프는 피요르드를 따라 노를 저어 내려가며 여정의 마지막 단계를 시작했다.[35]

10월 3일, 그들은 고트호브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덴마크 마을 대표가 그들을 맞이했다. 그는 먼저 난센에게 박사 학위를 받았다는 것을 알렸는데, 이 문제는 "그 순간 [난센의] 생각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는 문제"였다.[36] 팀은 49일 만에 횡단을 완료했다. 여정 전반에 걸쳐 그들은 이전에 탐험되지 않은 내부와 관련된 기상학적, 지리학적 및 기타 기록을 유지했다.[10]

4. 1. 계획

중년 남자의 상반신 초상화, 반쯤 왼쪽을 향하고 있다. 그는 어둡고 깔끔하게 빗어넘긴 머리카락, 굵은 콧수염을 가지고 있으며, 어두운 정장 재킷을 입고 있다.
1883년 탐험으로 그린란드 빙상 안으로 진입한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


난센은 베르겐에서 생활하면서 그린란드 빙상 횡단 탐험에 대한 구상을 구체화하였다. 1887년,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한 후, 본격적으로 탐험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이전의 그린란드 내륙 탐험은 1883년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와 1886년 로버트 피어리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모두 서해안의 디스코 만에서 출발하여 동쪽으로 약 160km 이동한 후 되돌아왔다.[18]

난센은 이들과 달리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디스코 만에서 탐험을 끝내는 방식을 택했다. 사람이 사는 서해안에서 출발하면 돌아오는 길을 걱정해야 하지만, 동쪽에서 출발하면 인구가 밀집된 지역을 향해 일방통행 여정이 되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19] 이러한 방식은 "퇴로가 없으면 전진할 수밖에 없다"는 난센의 신념과 일치했다.[20]

난센은 다른 북극 탐험의 복잡한 조직과 다수의 인원 대신, 6명의 소규모 인원으로 탐험대를 구성했다. 보급품은 특별히 설계된 경량 썰매로 인력 수송하고, 침낭, 의류, 취사 도구 등도 새로 설계했다.[21]

하지만 이러한 계획은 언론으로부터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2] 한 비평가는 난센의 계획이 "무모하게 자신의 생명과 다른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갈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23] 노르웨이 의회는 재정 지원을 거부했고, 결국 덴마크 사업가 아우구스틴 가멜의 기부금과 노르웨이 국민들의 소액 기부금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24]

4. 2. 탐험

난센은 베르겐에서 수년간 그린란드 빙상 횡단 탐험을 구상했다. 1887년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한 후, 마침내 탐험 조직을 시작했다. 이전의 그린란드 내륙 탐험은 1883년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와 1886년 로버트 피어리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모두 서해안의 디스코 만에서 출발하여 동쪽으로 약 160km 이동 후 되돌아왔다.[18] 이와 달리 난센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탐험을 끝내는 방식을 제안했다. 그는 사람이 사는 서해안에서 출발하면 돌아오는 여정을 해야 하지만, 위험한 동해안에 도착하여 그들을 데리러 올 배가 있다는 확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19] 난센은 동쪽에서 출발하면 인구가 밀집된 지역을 향하는 일방통행 여정이 될 것이며, 안전한 기지로 후퇴할 길이 없어 앞으로 나아가는 것 외에는 갈 길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그의 철학과 완벽히 부합했다.[20]

난센은 다른 북극 탐험의 복잡한 조직과 많은 인력을 거부하고 6명의 소규모 탐험대를 계획했다. 보급품은 특별히 설계된 경량 썰매로 인력 수송될 것이었다. 침낭, 의류, 취사 도구를 포함한 많은 장비도 처음부터 설계해야 했다.[21] 이러한 계획은 언론에서 대체로 좋지 않은 반응을 얻었다.[22] 한 비평가는 "만약 계획이 현재 형태로 시도된다면 ... 그가 ... 자신의 생명과 어쩌면 다른 사람의 생명을 쓸모없이 던져 버릴 가능성이 10대 1"이라고 비판했다.[23] 노르웨이 의회는 재정 지원을 거부했고, 이 프로젝트는 덴마크 사업가 아우구스틴 가멜의 기부금과 난센 동포들의 소액 기부금으로 시작되었다.[24]

부정적인 여론에도 불구하고 난센은 많은 지원을 받았다. 그는 숙련된 스키 선수들을 원했고, 텔레마르크 지역의 스키 선수들을 영입하려 했지만 거절당했다.[25] 노르덴셸드는 난센에게 노르웨이 최북단의 핀마르크 출신인 사미족이 뛰어난 눈 여행자라고 조언했고, 난센은 사무엘 발토와 올레 닐센 라브나 두 명을 영입했다. 나머지 자리는 전직 선장인 오토 스베르드루프, 육군 장교인 올루프 크리스티안 디트리크슨, 그리고 스베르드루프의 지인인 크리스티안 크리스티안센에게 돌아갔다. 모두 극한 조건에서 야외 생활 경험이 있었고 숙련된 스키 선수였다.[26] 탐험대 출발 직전, 난센은 박사 학위 논문을 받기로 동의한 대학교에서 정식 시험에 참석했다. 그는 이 과정의 결과를 알기 전에 떠났다.[26]

탐험 경로를 나타내는 선이 그려진 남부 그린란드의 지도
그린란드 탐험, 1888년 7월~10월

  • 세르밀리크에서 크리스티안호브까지의 계획 경로
  • 7월 29일 접근 및 상륙
  • 고트호브까지의 실제 경로, 8월 15일 – 10월 3일


탐험대는 1888년 6월 3일 아이슬란드 이샤피외르뒤르 항구에서 ''제이슨''에 의해 픽업되었다. 1주일 후 그린란드 해안을 발견했지만, 두꺼운 유빙으로 인해 진척이 어려웠다. 해안에서 20km 떨어진 곳에서 난센은 작은 보트를 띄우기로 결정했다. 그들은 7월 17일 세르밀리크 피요르드가 보이는 곳에 있었다. 난센은 그곳이 아이스캡을 따라 올라가는 경로를 제공할 것이라고 믿었다.[27]

탐험대는 ''제이슨''을 떠나면서 "좋은 정신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며" 떠났다.[27] 그 후 며칠 동안 엄청난 좌절을 겪으며 남쪽으로 표류했다. 날씨와 해상 조건으로 인해 해안에 도달할 수 없었다. 그들은 대부분 시간을 얼음 위에서 야영하며 보냈다. 보트를 띄우기에는 너무 위험했다.

7월 29일까지 그들은 배를 떠난 지점에서 380km 남쪽에 있는 지점에 도달했다. 그날 그들은 마침내 육지에 도착했지만 횡단을 시작하기에는 너무 남쪽에 있었다. 난센은 잠시 휴식을 취한 후 팀에게 보트로 돌아가 북쪽으로 노를 젓기 시작하라고 명령했다.[28] 탐험대는 다음 12일 동안 유빙을 헤치며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나아갔다. 그들은 첫날 케이프 스틴 빌 근처에서 큰 이누이트 캠프를 만났다.[29] 여정 내내 유목민 원주민과의 가끔의 접촉이 이어졌다.

탐험대는 200km를 이동한 후 8월 11일 우미비크 만에 도달했다. 난센은 횡단을 시작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그들이 여전히 의도했던 출발 지점에서 훨씬 남쪽에 있었지만, 계절이 너무 늦어지고 있었다.[30] 우미비크에 상륙한 후 그들은 다음 4일 동안 여행을 준비했다. 그들은 8월 15일 저녁에 출발하여 디스코 만 서쪽 해안에 있는 크리스티안호브를 향해 북서쪽으로 향했다. 거리는 600km였다.[31]

그 후 며칠 동안 탐험대는 등반에 어려움을 겪었다. 내륙의 얼음은 많은 숨겨진 크레바스가 있는 위험한 표면을 가지고 있었고 날씨도 좋지 않았다. 폭풍과 끊임없는 비로 인해 3일 동안 진행이 중단되었다.[32] 마지막 배가 9월 중순까지 크리스티안호브를 떠나야 했다. 난센은 8월 26일에 제때 도착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 그는 최소 150km 더 짧은 여정인 고트호브를 향해 서쪽으로 코스 변경을 명령했다. 난센에 따르면 나머지 탐험대는 "계획 변경을 환영했다."[33]

그들은 9월 11일까지 계속 등반하여 해발 2719m 높이에 도달했다. 아이스캡 정상의 기온은 밤에 -45°C까지 떨어졌다. 그 이후로는 내리막 경사로 인해 여행이 더 쉬워졌다. 그러나 지형은 험했고 날씨는 여전히 좋지 않았다.[34] 진척이 느렸다. 신선한 눈이 내려 썰매를 모래를 통과하는 것처럼 끌게 만들었다.

9월 26일, 그들은 고트호브를 향해 서쪽으로 피요르드 가장자리를 따라 나아갔다. 스베르드루프는 썰매, 버드나무, 텐트의 부품으로 임시 보트를 만들었다. 3일 후, 난센과 스베르드루프는 피요르드를 따라 노를 저어 내려가며 여정의 마지막 단계를 시작했다.[35]

10월 3일, 그들은 고트호브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덴마크 마을 대표가 그들을 맞이했다. 그는 먼저 난센에게 박사 학위를 받았다는 것을 알렸는데, 이 문제는 "그 순간 [난센의] 생각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는 문제"였다.[36] 팀은 49일 만에 횡단을 완료했다. 여정 전반에 걸쳐 그들은 이전에 탐험되지 않은 내부와 관련된 기상학적, 지리학적 및 기타 기록을 유지했다.[10]

나머지 팀은 10월 12일 고트호브에 도착했다. 난센은 곧 다음 해 봄까지 고트호브에 배가 도착할 것 같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도 그들은 10월 말 이비투트를 떠나는 배를 통해 노르웨이로 편지를 보낼 수 있었다. 그와 그의 일행은 다음 7개월을 그린란드에서 보냈다.[37] 1889년 4월 15일, 덴마크 선박 ''Hvidbjørnen''이 마침내 항구에 들어왔다. 난센은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우리는 이 장소와 이 사람들을 떠나는 것이 슬펐다. 우리는 그들 사이에서 매우 즐겁게 지냈다."[38]

1889년 가을의 프리티오프 난센과 에바 난센


''흐비드비에르넨''은 1889년 5월 21일 코펜하겐에 도착했다. 횡단 소식은 도착 전에 전해졌고, 난센과 그의 동료들은 영웅으로 환영받았다. 하지만 이 환영은 일주일 뒤 크리스티아니아에서 열린 환영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이었다. 3만에서 4만 명에 달하는 군중들, 즉 도시 인구의 3분의 1이 일련의 환영회로 향하는 일행의 거리를 가득 메웠다. 이 탐험의 성과로 인해 발생한 관심과 열정은 그해 노르웨이 지리학회의 창립으로 직접적으로 이어졌다.[39]

5. 프람호 탐험

시베리아 북쪽의 바다와 섬 군도의 지도. 5개의 색선은 배와 난센의 개별 경로를 나타냅니다.
1893년~1896년 탐험 경로:


난센은 유빙에 밀폐되어 표류하면서 북극점에 도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프람호를 건조했다. 프람호는 흘수선 아래가 반원형으로 성형된 배로, 나중에 로알 아문센도 사용했다.[207] 1893년 6월 24일, 프람호는 8년 분의 연료와 6년 분의 식량을 싣고 12명의 승무원과 함께 크리스티아니아를 출항했다.[53]

1893년 9월, 프람호는 예정대로 유빙군에 갇혀 표류를 시작했지만, 난센의 예상만큼 북극점에 접근하지 못했다. 1895년 3월, 프람호가 북극점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 분명해지자 난센은 장교인 Hjalmar Johansen|얄마르 요한센영어과 함께 스키로 극점을 향해 출발했다.[65]

그러나 여행은 난항을 겪었고, 1895년 4월 8일 북위 86도 14분에 도달했을 때 남은 식량이 부족하여 극점 도달을 포기했다.[69] 이들은 프란츠 요제프 랜드에서 월동하며 바다코끼리북극곰 고기를 먹고 연명했다.[81] 1896년 여름, 눈이 녹으면서 남하를 시작, 운 좋게 영국의 프레데릭 조지 잭슨 탐험대를 만나 귀국했다.[82]

6. 과학적 업적

난센은 왕립 프레데리크 대학교 (현 오슬로 대학교)에서 동물학 교수, 나중에는 해양학 교수를 지냈다.[210] 신경학과 유체역학 분야에도 공헌하여, 신경망이 서로 연락하는 개개의 세포들로 구성된다고 주장하여 뉴런론의 창시자 중 한 명이 되었다. 또한 프람 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류의 성질과 원인을 연구하였다. 1887년에는 〈중추신경계의 조직학적 요소의 구조와 결합〉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7]

1882년, 난센은 로버트 콜레트 교수의 제안으로 북극 동물학 연구를 위한 항해를 떠났고, 이를 통해 해빙이 물 표면에서 형성된다는 것과 걸프 해류가 차가운 표층수 아래로 흐른다는 것을 발견했다.[13][14]

난센은 베르겐 박물관 동물학과의 큐레이터로 일하면서 신경해부학 연구를 수행했고, "서로 다른 신경절 세포 간의 문합 또는 결합"을 확실하게 입증할 수 없다는 비정통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이는 빌헬름 히스와 아우구스트 포렐의 연구로 확인되었으며, 난센은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의 뉴런 이론의 초기 옹호자로 여겨진다.[17]

Portrait of a stern and determined looking man with arms crossed.
1889년의 난센


1884년, 난센은 헨리크 모른의 환극 해류 이론을 읽고 북극점 도달 가능성을 생각하기 시작했다. 자네트 탐험에서 유래한 유물이 그린란드 해안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극해를 가로질러 극점 자체를 넘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해류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했다.[43]

난센은 이 해류를 이용하여 북극점에 도달하는 계획을 세웠고, 1890년 노르웨이 지리학회에서 발표했다. 그는 튼튼하고 기동성 있는 소형 선박을 이용하여 유빙에 진입하여 해류를 따라 서쪽으로 표류하는 방식을 제안했다.[43]

귀환 후 난센은 항해 기록을 빠르게 완성하여 1897년에 『가장 북쪽으로』를 출간했다.[89] 이후 20년 동안 과학 연구에 집중하여 『프람』 원정대의 과학적 결과 보고서를 편집했는데, 이는 6권으로 출판되었으며, 로버트 닐 럼즈-브라운은 이를 북극해 해양학에 큰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평가했다.[92]

1900년, 난센은 북해 연구 국제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고, 국제해양탐사협의회 설립에 기여했다.[93] 같은 해 여름, 난센은 해양 연구선 『미카엘 사르』를 타고 아이슬란드와 얀마옌 섬으로 항해했다.[94]

A substantial building in pink stone or cladding, consisting of a three-storey square tower with two two-storey wings. The building stands, framed by trees, in a snow-covered garden.
프리드쇼프 난센 연구소(Polhøgda)


1908년, 난센은 대학교수직을 동물학에서 해양학으로 변경했다.[114] 1905년, 그는 발프리드 에크만에게 데이터를 제공하여 에크만 나선 이론을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115] 1909년에는 비에른 헬란-한센과 함께 『노르웨이 해: 물리 해양학』을 출판했다.[116]

난센 병(Nansen bottle)은 특정 깊이에서 해수 온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1910년에서 1914년 사이, 난센은 여러 해양 탐험에 참여했다. 1910년에는 북대서양에서 연구를 수행했고,[120] 1912년에는 곰 섬과 스피츠베르겐에서 염분을 조사했다.[121] 난센은 깊은 물 샘플을 채취하기 위한 "난센 병"을 개발했으며, 이는 셰일 니스킨에 의해 업데이트되어 21세기까지 사용되었다.[122]

1913년, 난센은 요나스 리에드의 초청으로 카라 해로 여행하여 서유럽과 시베리아 내륙 간의 무역로 가능성을 조사했다.[127]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는 헬란-한센과 함께 동대서양 해역에서 해양 조사를 수행했다.[129]

7. 외교 및 정치 활동

1905년 6월 7일 노르웨이가 스웨덴과의 연합에서 분리되기 전까지 난센은 공화파였으나, 시구르 입센 등의 설득으로 왕정을 지지하게 되었고, 덴마크의 칼 왕자가 노르웨이 왕위를 수락하도록 설득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109] 노르웨이의 정치 형태를 결정하는 국민투표에서 난센은 왕정을 지지하였고, 국민들은 왕정을 선택하여 칼 왕자는 노르웨이의 왕 호콘 7세가 되었다.

노르웨이 독립 후 난센은 초대 주영 노르웨이 대사(1906-1908)로 임명되어[110] 영국의 에드워드 7세와 친분을 쌓았다. 이를 통해 국제적으로 노르웨이의 영토 보전을 약속받는 데 영국의 지지를 얻어냈다.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사이 기간에는 노르웨이 노동당의 성장을 견제하기 위해 비사회주의 정당들의 힘을 모아 정부를 수립하고 자신이 총리가 되려고 노력했으나 실패하였다.[161] 1925년에는 반사회주의 정치조직인 조국회(Fedrelandslaget)를 공동 창건하였으나,[161] 이 조직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와해되었다.

8. 국제 연맹에서의 활동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난센은 국제 연맹 난민 고등 판무관으로 활동하여 전쟁 포로 송환과 러시아 혁명 기간에 발생한 난민 구제에 착수하였으며, 난민들을 위해 난센 여권을 발행하였다.[139][140] 그의 인도주의 활동으로 1922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144][145]

1920년 4월, 국제 연맹의 요청에 따라 난센은 전 세계 각지에 갇힌 약 50만 명의 전쟁 포로를 송환하는 일을 시작했다. 이 중 30만 명은 혁명과 내전으로 혼란에 빠진 러시아에 있었고, 러시아는 그들의 운명에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10] 난센은 1920년 11월 총회에 약 20만 명의 남성이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보고할 수 있었다. 그는 "내 평생 이렇게 엄청난 고통을 접한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134]

난센은 이 일을 2년 더 지속하여 1922년 총회에 제출한 최종 보고서에서 427,886명의 포로가 약 30개 다른 국가로 송환되었다고 밝혔다. 그의 업적을 기리며, 관련 위원회는 그의 노력에 대한 이야기가 "그린란드 횡단과 위대한 북극 항해의 기록에 버금가는 영웅적인 노력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을 것"이라고 기록했다.[135]

난센 여권은 무국적자가 국경을 합법적으로 넘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난센은 난민 문제 외에도 1921년 러시아 기근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당시 약 3천만 명의 사람들이 기아와 죽음의 위협에 놓여 있었다. 난센은 굶주린 사람들을 위한 탄원을 했지만, 혁명적인 러시아 정부는 국제적으로 두려움과 불신을 받았고, 국제 연맹은 그들의 지원을 꺼렸다.[141] 결국 난센은 민간 단체의 자금 모금에 의존해야 했고, 그의 노력은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0]

난민을 위한 난센의 활동을 방해하는 주요 문제는 대부분의 난민이 신원이나 국적에 대한 문서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망명 국가에서 법적 지위가 없었기 때문에 서류가 없으면 다른 곳으로 갈 수 없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난센은 "난센 여권"으로 알려진 문서를 고안했는데, 이는 무국적자를 위한 신분증 형태로, 시간이 지나면서 50개 이상의 정부에서 인정받았고 난민이 국경을 합법적으로 넘을 수 있도록 했다. 이 여권은 처음에는 러시아 난민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다른 그룹으로 확대되었다.[143]

1922년 11월 로잔 회의에 참석한 난센은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수상 이유는 "전쟁 포로의 귀환을 위한 그의 활동, 러시아 난민을 위한 그의 활동, 기근으로 고통받는 수백만 명의 러시아인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그의 활동, 마지막으로 소아시아와 트라키아의 난민을 위한 그의 현재 활동"이었다.[144][145] 난센은 상금을 국제 구호 활동에 기부했다.[10]

1919년-1922년 그리스-터키 전쟁 이후, 난센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서 그리스 난민들의 재정착을 협상했다. 난센은 그리스에 있는 50만 명의 터키인들을 터키로 돌려보내고 충분한 재정적 보상을 제공하는 한편, 추가 대출을 통해 그리스 난민들이 고국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인구 교환 계획을 고안했다.[146] 이 계획은 수년에 걸쳐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난센, 아르메니아 고아원 앞에서, 1925년 6월 25일


1925년부터 난센은 아르메니아인 학살의 희생자이자 이후에도 고통받은 아르메니아 난민을 돕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147] 그의 목표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경계 내에 있는 이 난민들을 위한 국가의 보금자리를 건설하는 것이었다.[148] 난센은 관개 계획을 의회에 제출했지만,[149] 자금 부족으로 결국 실패했다. 이러한 실패에도 불구하고 아르메니아인들 사이에서 그의 명성은 여전히 높다.[10]

난센은 국제 연맹 의회에서 여러 문제에 대해 발언했다. 그는 군비 축소에 대한 국제 연맹의 성공 정도가 연맹의 신뢰성을 시험하는 가장 큰 시험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153] 그는 강제 노동의 사용을 금지하려는 1926년 노예 협약에 서명했다.[154]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배상금 문제의 해결을 지지했고, 독일의 국제 연맹 가입을 옹호했다.[148]

9. 만년과 유산

Nansen shown in later years with white, receding hair; characteristic drooping white mustache; and intensely focused eyes.
난센(Nansen), 말년에 찍은 사진(1930)


1919년 1월 17일, 난센은 1905년부터 관계를 맺어온 시그룬 문테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난센의 아이들에게 반감을 샀고, 불행한 결혼 생활로 이어졌다. 1920년대에 이들에 대해 글을 쓴 지인은 난센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비참해 보였고, 시그룬은 증오에 깊이 잠겨 있었다고 말했다.[155]

1920년대 내내 난센은 국제 연맹 활동으로 노르웨이를 거의 떠나 있었기 때문에 과학 연구에 시간을 거의 할애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때때로 논문을 발표했다.[156] 비행선으로 북극에 가려는 희망을 품었지만, 충분한 자금을 모으지 못했다.[157]

1926년, 난센은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총장으로 선출되었는데, 이는 외국인 최초였다. 그는 취임 연설에서 자신의 삶과 철학을 되돌아보고, 다음 세대 젊은이들에게 호소했다.

난센은 노르웨이 국내 정치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지만, 1924년 은퇴한 전 총리 크리스티안 미켈센의 설득으로 반공주의 정치 단체인 조국 연맹에 참여했다.

난센은 여러 의무와 책임을 다하면서도 틈틈이 스키 휴가를 즐겼다. 1930년 2월, 68세의 나이에 그는 두 명의 오랜 친구와 짧은 산행을 떠났는데, 친구들은 난센이 평소보다 느리고 쉽게 피로해하는 것을 알아차렸다. 오슬로로 돌아온 그는 몇 달 동안 독감과 정맥염으로 누워 지냈고, 호콘 7세가 병문안을 왔다.[165][166]

무신론자였던[167][168] 난센은 1930년 5월 13일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그는 화장 전 비종교적인 국장을 치렀고, 유해는 폴호그다의 나무 아래에 안치되었다. 난센의 딸 리브는 연설 없이 에바가 부르곤 했던 슈베르트의 "죽음과 소녀" 음악만 있었다고 기록했다.[169]

난센은 생전과 사후에 여러 국가로부터 훈장과 인정을 받았다.[170] 그는 극지 탐험, 과학, 외교, 인도주의 등 여러 분야에서 선구자이자 혁신가였다.

9. 1. 난센을 기념하는 것들

난센의 이름을 딴 여러 지형지물이 있다. 북극해에는 난센 분지와 난센 해령이 있으며, 남극에는 난센 산이 있다. 또한 여러 섬들의 이름이 난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07]

1922년 난센은 국제 연맹의 초대 난민 고등판무관으로 임명되어 난민의 지위 향상에 힘쓴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38년에는 난민을 위한 국제 난센 사무소가 설립되어 난민 보호 활동을 계속했다. 난센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54년 유엔 난민 기구는 난센 난민상을 제정하여 매년 난민의 권익 보호에 힘쓴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하고 있다.

1930년 난센 사망 직후, 그의 친구들은 프리초프 난센 연구소를 설립하여 해양학, 북극 탐험 등 난센이 관심을 가졌던 분야의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노르웨이 해군은 난센의 이름을 딴 프리초프 난센급 호위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난센의 탐험에 사용되었던 프람호의 이름을 딴 MS 프리초프 난센이라는 탐험선도 있다.

1967년에는 난센의 그린란드 탐험을 다룬 영화 《단지 삶일 뿐 - 프리초프 난센의 이야기》가 제작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4-02-20
[2] 논문 Fridtjof Nansen: from the neuron to the North Polar Sea
[3] 서적 Brøgger and Rolfsen
[4] 서적 Brøgger and Rolfsen
[5] 서적 Reynolds
[6] 서적 Huntford
[7] 서적 Scott
[8] 서적 Scott
[9] 서적 Huntford
[10] 웹사이트 Fridtjof Nansen: Man of many facets http://www.mnc.net/n[...] Norweg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0-08-25
[11] 서적 Huntford
[12] 서적 Scott
[13] 서적 Reynolds
[14] 서적 Huntford
[15] 서적 Huntford
[16] 서적 Reynolds
[17] 서적 Huntford
[18] 서적 Huntford
[19] 서적 Reynolds
[20] 서적 Scott
[21] 서적 Huntford
[22] 서적 Scott
[23] 서적 Nansen
[24] 서적 Nansen
[25] 서적 Huntford
[26] 서적 Huntford
[27] 서적 Huntford
[28] 서적 Reynolds
[29] 서적 Huntford
[30] 서적 Scott
[31] 서적 Huntford
[32] 서적 Nansen
[33] 서적 Nansen
[34] 서적 Reynolds
[35] 서적 Reynolds
[36] 서적 Nansen 1890
[37] 서적 Reynolds 1949
[38] 서적 Nansen 1890
[39] 서적 Huntford
[40] 서적 Reynolds
[41] 서적 Fleming
[42] 서적 Huntford
[43] 서적 Nansen 1897
[44] 서적 Berton
[45] 서적 Nansen 1897
[46] 서적 Berton
[47] 서적 Nansen 1897
[48] 서적 Fleming
[49] 서적 Huntford
[50] 서적 Nansen 1897
[51] 서적 Nansen 1897
[52] 서적 Huntford
[53] 서적 Huntford
[54] 서적 Scott
[55] 서적 Huntford
[56] 서적 Huntford
[57] 서적 Huntford
[58] 서적 Nansen 1897
[59] 서적 Huntford
[60] 서적 Reynolds
[61] 서적 Fleming
[62] 서적 Huntford
[63] 서적 Fleming
[64] 서적 Nansen 1897
[65] 서적 Nansen 1897
[66] 서적 Huntford
[67] 서적 Fleming
[68] 서적 Nansen 1897
[69] 서적 Nansen 1897
[70] 서적 Fleming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웹사이트 Norway, Sweden & union http://www.nb.no/bas[...] National Library of Norway 2010-07-31
[104] 서적
[105] 학술지 Catalysts to Disunion: Sigurd Ibsen and "Ringeren", 1898-1899 https://www.jstor.or[...] 1999-09-01 # Fall 1999를 9월 1일로 가정
[106] 서적 null
[107] 서적 null
[108] 서적 null
[109] 학술지 A Century of Norwegian Independence https://web.archive.[...] 2005-03-01
[110] 서적 null
[111] 학술지 The Integrity of Norway Guaranteed
[112] 서적 null
[113] 서적 null
[114] 서적 null
[115] 서적 null
[116] 서적 null
[117] 서적 null
[118] 서적 null
[119] 서적 null
[120] 서적 null
[121] 서적 null
[122] 서적 null https://archive.org/[...]
[123] 서적 null
[124] 서적 A Great Task of Happiness Macmillan
[125]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126] 서적 null
[127] Wikidata null
[128] 서적 null
[129] 서적 null
[130] 서적 null
[131] 서적 null
[132] 서적 null
[133] 서적 null
[134] 서적 null
[135] 서적 null
[136] 학술지 Le Comité international de secours à la Russie, l'Action Nansen et les bolcheviks (1921-1924) https://www.jstor.or[...] 2012
[137] 웹사이트 НАНСЕНА МІСІЯ http://resource.hist[...] 2022-03-17
[138] 학술지 The "Non-Political and Humanitarian" Clause in Unhcr's Statute https://www.jstor.or[...] 1998
[139] 서적 null
[140] 학술지 On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protection of refugees https://www.icrc.org[...] 2001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https://archive.org/[...]
[144] 서적
[145]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1922 https://www.nobelpri[...]
[146] 서적
[147] 웹사이트 Armenian Genocide http://www.unitedhum[...] United Human Rights Council 2010-08-18
[148] 서적
[149] 서적
[150] 뉴스 Fridtjof Nansen and the Armenians http://massispost.co[...] 2011-10-17
[151] 웹사이트 Fridtjof Nansen http://armenianhouse[...] ArmeniaHouse
[152] 서적
[153] 서적
[154] 웹사이트 Slavery Convention 1926 http://www.anti-slav[...] The Anti-Slavery Society 2010-08-18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Protestant Missions and Local Encounters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Unto the End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11-07-27
[168] 서적 Fridtjof Nansen https://books.google[...] Font Forlag AS 2012-06-16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논문 Neurological stamp: Fridtjof Nansen (1861–1930)
[173] 논문 Fridtjof Nansen GCVO: A Note on his Contribution to Neurology on the Occasion of the Centenary of his birth 1962-04
[174] 서적
[175] 논문 Russian Refugees i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Between the World Wars https://books.google[...]
[17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eace 1938: Nansen International Office for Refugees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2010-08-06
[177] 논문 Britain and the 1933 Refugee Convention: National or State Sovereignty?
[178] 웹사이트 Nansen Refugee Award http://www.unhcr.org[...] The United Nations Refugee Agency 2010-08-06
[179] 논문 The first oceanographic section across the Nansen Basin in the Arctic Ocean
[180] 웹사이트 Mount Nansen http://www.emr.gov.y[...] Government of Yukon, Department of Energy, Mines and Resources 2010-08-29
[181] 웹사이트 Nansen, Mount http://geonames.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08-08
[182] 서적 Amundsen
[183] 웹사이트 Nansen Island http://www.spri.cam.[...] Scott Polar Research Institute 2016-05-08
[184]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Volume 1 https://books.google[...] Springer
[185] 서적 Whitaker
[186] 웹사이트 Moscow to honor Norwegian polar explorer and diplomat Fridtjof Nansen https://www.russkiym[...] Russkiy MIR Foundation 2011-10-27
[187] 웹사이트 About the Fridtjof Nansen Institute http://www.fni.no/ab[...] The Fridtjof Nansen Institute 2010-08-08
[188] 웹사이트 Bare et liv – Historien om Fridtjof Nansen (1968) https://www.imdb.com[...] IMDb 2010-08-18
[189] 웹사이트 HNoMS Fridtjof Nansen (F310) Guided Missile Frigate (2006) http://www.militaryf[...] MilitaryFactory.com 2014-04-06
[190] 웹사이트 Two New Expedition Ships to be Named after Polar Heroes https://www.highnort[...]
[191] 웹사이트 MS Fridtjof Nansen https://www.hurtigru[...]
[192]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193]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194]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for Aaret 1930 Forlagt av H. Aschehoug & Co. (w. Nygaard)
[195]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196] 웹사이트 Tidigare medaljörer https://ssag.se/wp-c[...] Swedish Society for Anthropology and Geography 2018-08-03
[197]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1918
[198] 서적 Statsh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29 https://slaegtsbibli[...]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199] 웹사이트 GRANDE MÉDAILLE D'OR DES EXPLORATIONS ET VOYAGES DE DÉCOUVERTE (in French) http://www.socgeo.or[...] Société de géographie 2014-12-01
[200] 간행물 Sitzung vom 1. Juni 1889 https://archive.org/[...]
[201] 간행물 Verhandlungen der Gesellschaft https://archive.org/[...]
[202] 웹사이트 Constantine Medal of the IRGS http://www.rgo.ru/en[...] Russian Geographical Society 2015-08-25
[203] 뉴스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204] 웹사이트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Cullum Geographical Medal https://americangeo.[...]
[205] 웹사이트 Fragments of Earth Lore https://www.gutenber[...] 2023-08-26
[206] 논문 Review of ''Eskimo Life'' by Fridtjof Nansen, translated by William Archer https://babel.hathit[...] 1893-11-04
[207] 웹사이트 Medals and Awards, Gold Medal Recipients http://www.rgs.org/N[...]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4-04-02
[208] 서적 フリチョフ・ナンセン 極北探検家から「難民の父」へ 太郎次郎社エディタス
[209] 서적
[210] 서적 20세기 인물 100과 사전 숨비소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