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즈마린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즈마린산은 카페산 에스터의 일종으로, 1958년 이탈리아 화학자 스카르파티와 오리엔테에 의해 로즈마리에서 처음 분리 및 특성화되었다. 꿀풀과 식물을 비롯한 다양한 식물 종에서 발견되며, 바질, 로즈마리, 세이지 등의 허브에도 함유되어 있다. 로즈마린산은 4-쿠마로일-CoA를 하이드록시신나모일 공여체로 사용하며,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혈당 상승 억제 및 알츠하이머병 관련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 억제 효과가 보고되었다. 식품, 음료, 화장품 및 건강 보조 식품의 향료 및 첨가물로 활용된다.

2. 역사

1958년 이탈리아 화학자 스카르파티(Scarpatti)와 오리엔테(Oriente)에 의해 로즈마리(살비아 로즈마리누스)에서 처음으로 분리 및 특성화되었으며,[2][11] 로즈마린산이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3. 화학

화학적으로 로즈마린산은 카페산 에스터이며, 3-(3,4-다이하이드록시페닐)부탄산의 카페산 에스터이다.[1] 타이로신은 디히드록시페닐-젖산을 통해 또 다른 페놀 고리를 제공한다.[1] 분자량은 360 달톤이다.[1]

4. 자연에서의 발생

로즈마린산은 뿔이끼, 고사리과인 고비과, 그리고 여러 목의 외떡잎식물쌍떡잎식물 피자식물 종에서 발견된다.[3]

특히 꿀풀과 (층층나무목의 쌍떡잎식물), 그 중에서도 꿀풀아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1][4] 바질, 홀리 바질, 레몬밤, 로즈마리, 마조람, 세이지, 백리향, 페퍼민트 등 요리에 흔히 사용되는 허브 종에서 발견된다.[1][5] 마란타과 식물(생강목의 외떡잎식물)[3] (예: *Maranta* 속 (*Maranta leuconeura*, *Maranta depressa*) 및 *Thalia* 속 (*Thalia geniculata*))에서도 발견된다.[6]

뿔이끼의 일종인 *Anthoceros agrestis*(뿔이끼문)에서 로즈마린산 및 그 유도체인 로즈마린산 3′-''O''-β-D-글루코사이드가 발견될 수 있다.[7]

5. 생합성

로즈마린산의 생합성은 일반적인 페닐프로파노이드 경로에서 유래된 4-쿠마로일-CoA를 하이드록시신나모일 공여체로 사용한다.[1] 하이드록시신나모일 수용체 기질은 시키메이트 경로에서 유래된다: 시킴산, 퀴닌산 및 L-티로신에서 파생된 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젖산.[3] 따라서 화학적으로 로즈마린산은 카페인산과 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젖산의 에스터이지만, 생물학적으로는 4-쿠마로일-4'-하이드록시페닐락테이트로부터 형성된다.[8] 로즈마리네이트 신타아제는 카페오일-CoA와 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젖산을 사용하여 CoA와 로즈마리네이트를 생성하는 효소이다. 하이드록시페닐피루브산 환원효소 또한 이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이다.[9]

로즈마린산 생합성

6. 연구 및 활용

로즈마린산은 식물 추출물이나 제조 과정에서 합성되어 식품, 음료의 향료, 화장품, 건강 보조 식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1]

6. 1. 연구

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에서 혈당 상승 억제 작용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19]

로즈마린산을 섭취한 쥐의 뇌에서 도파민을 비롯한 모노아민 농도가 상승했고, 이것들이 알츠하이머병의 주된 병태인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을 억제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0]。이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 억제에 대한 인간 체내에서의 로즈마린산의 동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1]

6. 2. 활용

로즈마린산은 식물 추출물이나 제조 과정에서 합성되어 식품 또는 음료의 향료, 화장품, 또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Rosmarinic acid https://pubchem.ncbi[...] PubChe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1-07-11
[2] 논문 Isolamento costituzione e dell'acido rosmarinico (dal ''Rosmarinus off.'') 1958
[3] 논문 Evolution of rosmarinic acid biosynthesis 2009
[4] 간행물 Distribution and taxonomic implications of some phenolics in the family Lamiaceae determined by ESR spectroscopy J. A. Pedersen,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2000
[5] 논문 Chlorogenic acids and other cinnamates. Nature, occurrence and dietary burden. 1999
[6] 논문 Occurrence of rosmarinic acid, chlorogenic acid and rutin in Marantaceae species 2008-12-12
[7] 논문 Production of rosmarinic acid and a new rosmarinic acid 3′-''O''-β-D-glucoside in suspension cultures of the hornwort ''Anthoceros agrestis'' Paton. 2006
[8] 웹사이트 MetaCyc rosmarinic acid biosynthesis I http://www.biocyc.or[...]
[9] 논문 Two new enzymes of rosmarinic acid biosynthesis from cell cultures of ''Coleus blumei'': hydroxyphenylpyruvate reductase and rosmarinic acid synthase 1988
[10] 웹사이트 Rosmarinic acid https://www.sigmaald[...] 2013-06-30
[11] 간행물 Isolamento costituzione e dell 'acido rosmarinico (dal rosmarinus off ) M. L. Scarpati, G. Oriente, Ric. Sci 1958
[12] 간행물 Evolution of rosmarinic acid biosynthesis Petersen M, Abdullah Y, Benner J, Eberle D, Gehlen K, Hücherig S, Janiak V, Kim KH, Sander M, Weitzel C and Wolters S, Phytochemistry 2009-10
[13] 간행물 Distribution and taxonomic implications of some phenolics in the family Lamiaceae determined by ESR spectroscopy J. A. Pedersen,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2000
[14] 간행물 Chlorogenic acids and other cinnamates. Nature, occurrence and dietary burden. Clifford, M.N. J. Sci. Food. Agric. 1999
[15] 간행물 Occurrence of rosmarinic acid, chlorogenic acid and rutin in Marantaceae species Yana Abdullah, Bernd Schneider and Maike Petersen, Phytochemistry Letters 2008-12-12
[16] 간행물 Production of rosmarinic acid and a new rosmarinic acid 3′- O -β-D -glucoside in suspension cultures of the hornwort Anthoceros agrestis Paton Katharina Vogelsang, Bernd Schneider and Maike Petersen, Planta
[17] 웹사이트 MetaCyc rosmarinic acid biosynthesis I http://www.biocyc.or[...] 2020-02-01
[18] 간행물 Two new enzymes of rosmarinic acid biosynthesis from cell cultures of [[Coleus blumei]]: hydroxyphenylpyruvate reductase and rosmarinic acid synthase Petersen M and Alfermann AW, Z. Naturforsch. C: Biosci. 1988
[19] 논문 ロスマリン酸を多く含むシソ抽出物のラットでの血糖値上昇抑制作用 https://doi.org/10.3[...] 2011
[20] 논문 Rosmarinic acid suppresses Alzheimer’s disease development by reducing amyloid β aggregation by increasing monoamine secretion https://www.nature.c[...] 2019
[21] 문서 食品研究からアルツハイマー病に挑む https://www.a.u-tok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