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카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카팔라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모두 나타나는 개념으로, 각각 다른 의미와 역할을 지닌다. 힌두교에서 로카팔라는 각 방위를 수호하는 신들을 의미하며, '디카팔라'라고도 불린다. 주요 로카팔라로는 쿠베라, 야마라자, 인드라, 바루나 등이 있다. 불교에서 로카팔라는 달마팔라의 한 종류로, 세속적인 영역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사천왕 신앙으로 발전하여, 지국천, 광목천, 다문천, 증장천이 불국토를 수호한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토착 신, 정령 등이 로카팔라로 여겨지며, 수행자를 돕고 장애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 숭배 대상은 아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카팔라 - 아그니
아그니는 힌두교에서 불의 신으로, 천상의 빛과 지상의 불을 연결하는 중개자 역할을 하며, 힌두교 의례와 불교, 자이나교, 고대 인도 의학에서도 중요한 존재로 나타난다. - 로카팔라 - 바유
바유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모두 중요한 신으로, 힌두교에서는 바람을 상징하며 불교에서는 풍천으로 불리며 북서쪽을 수호하는 존재이다. - 호법신 - 산신
산신은 동아시아에서 산의 정령으로 숭배되며, 한국에서는 사찰이나 신당에서 노년 남성의 모습으로 호랑이와 함께 모셔지고, 불교에서는 호법신으로, 중국에서는 오악의 신, 일본에서는 야마노카미, 베트남에서는 특정 산에 깃든 신으로 숭배받으며 각 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반영한다. - 호법신 - 길상천
- 불교의 신 - 사천왕
사천왕은 불교에서 수미산의 네 방위를 지키는 제석천의 부하인 지국천왕, 증장천왕, 광목천왕, 다문천왕으로 구성된 불법 수호신이다. - 불교의 신 - 쿠마리
쿠마리는 네팔에서 숭배되는 살아있는 여신으로, 초경 전의 어린 소녀가 선발되어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며, 엄격한 선발 과정을 거쳐 왕실에서 의례적인 삶을 살다가 퇴임 후 평범한 삶으로 돌아간다.
로카팔라 |
---|
2. 힌두교
힌두교에서 로카팔라는 '디카팔라(dikapāla)'라고도 불리며, 각 방위를 수호하는 신들이다. 이들은 특정한 방향과 관련된 신성한 힘을 상징한다. 주요 로카팔라는 다음과 같다:
이름 | 데바나가리 | 방위 | 신격 |
---|---|---|---|
쿠베라 | कुबेर | 북쪽 | 부의 신 |
야마라자 | यमराज | 남쪽 | 죽음의 신 |
인드라 | इन्द्र | 동쪽 | 신들의 왕 |
바루나 | वरुण | 서쪽 | 물의 신 |
찬드라 | चन्द्र | 동북쪽 | 달의 신 |
아그니 | अग्नि | 동남쪽 | 불의 신 |
바유 | वायु | 북서쪽 | 바람의 신 |
수리야 | सूर्य | 남서쪽 | 태양신 |
2. 1. 힌두교의 로카팔라 목록
힌두교에서는 주로 네 방위의 신들이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때로는 여덟 방위 또는 열 방위의 신들이 언급되기도 한다.이름 | 데바나가리 | 방위 | 신격 |
---|---|---|---|
쿠베라 | 쿠베라/कुबेरsa | 북쪽 | 부의 신 |
야마라자 | 야마라자/यमराजsa | 남쪽 | 죽음의 신 |
인드라 | 인드라/इन्द्रsa | 동쪽 | 신들의 왕 |
바루나 | 바루나/वरुणsa | 서쪽 | 물의 신 |
찬드라 | 찬드라/चन्द्रsa | 동북쪽 | 달의 신 |
아그니 | 아그니/अग्निsa | 동남쪽 | 불의 신 |
바유 | 바유/वायुsa | 북서쪽 | 바람의 신 |
수리야 | 수리야/सूर्यsa | 남서쪽 | 태양신 |
2. 1. 1. 사방위 (4방위)
힌두교의 기본적인 사방위 로카팔라는 다음과 같다.이름 | 쿠베라/कुबेरsa | 방위 | 신격 |
---|---|---|---|
쿠베라 | 북쪽 | 부의 신 | |
야마라자 | 야마라자/यमराजsa | 남쪽 | 죽음의 신 |
인드라 | 인드라/इन्द्रsa | 동쪽 | 신들의 왕 |
바루나 | 바루나/वरुणsa | 서쪽 | 물의 신 |
찬드라 | 찬드라/चन्द्रsa | 동북쪽 | 달의 신 |
아그니 | 아그니/अग्निsa | 동남쪽 | 불의 신 |
바유 | 바유/वायुsa | 북서쪽 | 바람의 신 |
수리야 | 수리야/सूर्यsa | 남서쪽 | 태양신 |
2. 1. 2. 팔방위 (8방위)
이름 | 데바나가리 | 방위 | 신격 |
---|---|---|---|
쿠베라 | कुबेर | 북쪽 | 부의 신 |
야마라자 | यमराज | 남쪽 | 죽음의 신 |
인드라 | इन्द्र | 동쪽 | 신들의 왕 |
바루나 | वरुण | 서쪽 | 물의 신 |
찬드라 | चन्द्र | 동북쪽 | 달의 신 |
아그니 | अग्नि | 동남쪽 | 불의 신 |
바유 | वायु | 북서쪽 | 바람의 신 |
수리야 | सूर्य | 남서쪽 | 태양신 |
불교에서 '''로카팔라'''는 달마팔라(불교의 수호신)의 한 종류이다. 달마팔라는 지혜의 수호신과 세속의 수호신으로 나뉘는데, 로카팔라는 이 중 세속적인 영역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수행자들을 돕고 장애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1]
3. 불교
동아시아 불교에서 로카팔라는 사천왕 신앙으로 발전했다. 특히 한국 불교에서 이 신앙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사천왕은 불국토의 사방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각각 특정한 권능과 상징물을 지니고 있다.[1]
티베트 불교에서, 이 세상의 많은 수호신들은 파드마삼바바 또는 다른 위대한 수행자들에 의해 정복되어 수도원, 지리적 지역, 특정 전통을 보호하거나, 일반적으로 불교의 수호자 역할을 하도록 서약된 토착 티베트 신, 산신, 악마, 정령 또는 유령이다. 이 세상의 수호신들은 수도원이나 불교 수행자를 물질적으로 돕고 수행의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해 소환되고 달래진다. 그러나 그들은 윤회의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숭배되거나 귀의처의 대상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만불성의 삼장법사 스라바카 쉬안화에 따르면, 이 모든 존재들은 수능엄주에서 행동하도록 (복종하도록) 간청되고 (불려지고 소환되어) 달마팔라로서 그들의 수행자와 달마를 보호하도록 권고된다.[2]
3. 1. 사천왕 (四天王)
동아시아 불교에서 로카팔라는 사천왕 신앙으로 발전했다. 특히 한국 불교에서 이 신앙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1] 사천왕은 불국토의 사방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각각 특정한 권능과 상징물을 지니고 있다.[1]
한국의 사찰에서는 사천왕문을 통해 경내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는 사천왕이 불법과 수행자를 보호하고, 악귀를 쫓아내는 역할을 한다는 믿음에 기반한다. 한국 불교에서 사천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3. 1. 1. 한국 불교의 사천왕
한국의 사찰에서는 사천왕문을 통해 경내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는 사천왕이 불법과 수행자를 보호하고, 악귀를 쫓아내는 역할을 한다는 믿음에 기반한다. 한국 불교에서 사천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3. 2. 티베트 불교
티베트 불교에서 로카팔라는 파드마삼바바를 비롯한 위대한 수행자들에 의해 정복된 토착 티베트 신, 산신, 악마, 정령, 유령의 모습을 띠기도 한다.[1] 이들은 수도원, 지역, 전통을 보호하거나 불교 자체를 수호하는 역할을 맡도록 서약되었다.[1] 이들은 윤회하는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숭배 대상이 아니며, 수행자들을 물질적으로 돕고 수행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1]
만불성의 삼장법사 스라바카 쉬안화에 따르면, 이들은 수능엄주를 통해 달마팔라로서 수행자와 달마를 보호하도록 권고된다.[2]
4. 힌두교와 불교의 로카팔라 비교
힌두교와 불교에서 로카팔라는 방위를 수호하는 신들을 의미한다. 힌두교에서는 디카팔라(dikapāla)라고도 불리며, 주요한 네 명의 수호자는 다음과 같다.[1]
이름 | 데바나가리 | 방위 | 신격 |
---|---|---|---|
쿠베라 | कुबेर | 북쪽 | 부의 신 |
야마라자 | यमराज | 남쪽 | 죽음의 신 |
인드라 | इन्द्र | 동쪽 | 신들의 왕 |
바루나 | वरुण | 서쪽 | 물의 신 |
찬드라 | चन्द्र | 동북쪽 | 달의 신 |
아그니 | अग्नि | 동남쪽 | 불의 신 |
바유 | वायु | 북서쪽 | 바람의 신 |
수리야 | सूर्य | 남서쪽 | 태양신 |
불교에서 로카팔라는 달마팔라(불교의 수호신)의 한 종류이다.[1] 중국 불교에서는 사천왕으로 불리며, 동쪽의 지국천(Dhṛtarāṣṭra), 서쪽의 광목천(Virūpākṣa), 북쪽의 다문천(Vaiśravaṇa), 남쪽의 증장천(Virūḍhaka)이 그들이다.[1] 이들은 갑옷과 부츠를 착용하고 각자 고유한 마법 무기를 소지하며, 농촌에서는 날씨와 평화를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
티베트 불교에서 로카팔라는 지역, 수도원, 불교 전통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토착 티베트 신, 산신, 악마, 정령, 유령 등 다양한 존재들이다. 이들은 불교 수행자를 돕고 장애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 윤회하는 존재로 여겨져 숭배의 대상은 아니다. 만불성의 쉬안화는 수능엄주를 통해 이들을 불러 달마와 수행자를 보호하도록 권고했다.[2]
참조
[1]
서적
Chinese Art: A Guide to Motifs and Visual Imagery
Tuttle
[2]
서적
The Shurangama Sutra - Sutra Text and Supplements with Commentary by the Venerable Master Hsuan Hua - First Edition
http://www.bttsonlin[...]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