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신은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숭배되는 산의 정령 또는 신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민간 신앙과 불교에서 호법신으로 숭배되며, 산신각 또는 산신단을 통해 모셔진다. 산신은 행운, 수명장수, 부를 관장하며, 호랑이와 동자를 데리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중국에서는 산을 신격화하여 다양한 산신을 숭배했으며, 오악(五岳)의 신들이 대표적이다. 일본에서는 사냥꾼, 농부 등 다양한 계층에 따라 여러 유형의 산신이 존재하며, 칸나비라는 신성한 산과 연관되기도 한다. 베트남에서도 다양한 산신들이 숭배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산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설명 | |
내용 | 아시아 지역의 산을 다스리는 신 |
관련 문서 | 산신 (동음이의) |
한국의 산신 | |
특징 | 한국의 토속신앙에서 산을 다스리는 신. 호랑이를 거느린 모습으로 묘사됨. |
신앙 | 불교 사찰 내 산신각에서 숭배. |
중국의 산신 | |
특징 | 중국 신화와 도교에서 산을 주관하는 신. 지역마다 다양한 신격 존재. |
일본의 산신 | |
특징 | 일본의 토착 신앙에서 산을 주관하는 신. 여성 신격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음. |
베트남의 산신 | |
특징 | 베트남의 토착 신앙에서 산을 숭배하는 신. 지역마다 다양한 신격 존재. |
이미지 | |
![]() |
2. 한국의 산신
산지가 많은 한국의 특성상 불교가 들어오기 전부터 산악 숭배 사상이 있었다. 도교의 칠성이 습합되어 불교에서 칠성여래가 되었다면, 산신은 한국 민간 신앙의 신에서 불교의 호법신으로 변모했다.
2. 1. 무속 신앙에서의 산신
한국 무속과 민간 신앙에서 산신은 산의 정령을 뜻한다. 산신은 행운, 수명장수 및 부를 관장하며, 산신도에서는 주로 호랑이와 동자를 데리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소설 태백산맥에서 무당 소화가 섬기던 신이 신령 또는 산신이다. 비와 바람을 다스리기도 한다.[2][3]한국에서는 대부분의 사찰과 주요 무속 신당, 그리고 일부 전통 마을에 산신을 모시는 ''산신각'' 또는 ''산신단''이 있다. 산신은 일반적으로 사당에 모셔진 그림이나 조각상에서 왕실 유교 복식을 한 노년 남성(드물게는 성숙한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항상 호랑이 한 마리와 소나무 한 그루를 동반한다. 산신이 들고 있거나, 시종이 바치거나, 정교한 그림의 배경에 등장하는 다른 많은 상징들은 동양의 도교, 불교, 주자학, 무속 민속 신앙 및 한국의 '정신적 민족주의'에서 유래하여 전 세계적으로 독특한 다종교적 상징물을 만들어낸다.[2][3]
산신 신앙은 민간에서 산신에게 바치는 신앙으로 해석된다. 산의 아름다움, 신비로움,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는 형상은 감정적 차원에서 산신숭배를 불러일으킨다. 높은 산비탈, 절벽, 봉우리는 영혼의 영역이자 영혼과 소통하고 환상이나 깨달음을 얻는 장소로 여겨진다. 산이 풍요와 보호를 제공하는 신비로운 존재로 믿는 신앙은 한국 전역에서 매우 오래되었으며, 오늘날에도 공개적 또는 사적인 산신제(산신 제례), 세안굿(수호신 의례) 등으로 이어진다. 산이 인간이 사는 하늘과 땅 사이에 위치하고 두 세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면, 전통 종교인 힌두교, 불교, 풍수에서 세계 중심에 솟아오른다고 여기는 우주적인 세계산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4]
운제산성모(雲梯山聖母|운제산성모중국어), 남해 용왕의 아내, 지리산성모천왕(智異山聖母天王|지리산성모천왕중국어), 미륵산신할미(彌勒山神|미륵산신할미중국어) 등 특정한 무속 민속 신앙의 산신이 있다.[2][3]
이러한 신들은 한국 통일의 공식적으로 인정된 상징이며, 환경 보존의 상징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5]
2. 2. 불교에서의 산신
산지가 많은 한국의 특성상 불교가 들어오기 전부터 산악 숭배 사상이 있었다. 도교의 칠성이 습합되어 불교에서 칠성여래가 되었다면, 산신은 한국 민간 신앙의 신에서 불교의 호법신으로 변모했다.산신은 사찰의 호법신이다. 불교 신도들에게는 건강, 부귀영화, 질병 소멸을 해준다. 불교 국가 중에서 한국 사찰에서만 별도의 전각인 산신각을 두고 있다.[18]
2. 3. 주요 산신
한국 무속 신앙과 민간 신앙에서 나타나는 주요 산신은 다음과 같다.[2][3]
- 운제산성모(雲梯山聖母|운제산성모중국어)
- 남해 용왕의 아내
- 지리산성모천왕(智異山聖母天王|지리산성모천왕중국어)
- 미륵산신할미
3. 중국의 산신
중국에서는 산신(山神|Shanshen중국어)에 대한 전설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산해경, 태평광기 등의 고서에 관련 기록이 있으며, 오장산경에는 산신의 모습에 대한 자세한 묘사가 나와 있다. 고대 중국인들은 산을 신격화하여 숭배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각 지역의 주봉에는 개성이 부여된 산신이 거주하는 상황으로 진화했다.[1]
"구름을 만들어내고, 바람과 비를 내리고, 괴물을 보는 산, 숲, 계곡, 언덕은 모두 신이라 불린다"라는 (예기) 기록처럼, 우(禹)와 순(舜)은 산과 강을 보고 모든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제도를 가졌다는 전설이 있다. 역대 천자는 하늘과 땅, 그리고 산신에게도 대규모 제사를 지냈다. 제사 방식은 옥(玉)을 땅에 묻거나, 닭, 염소, 돼지 또는 옥을 계곡에 던지거나 나무 꼭대기에 매다는 "던지기"와 "걸기" 등이 있었다.[1]
3. 1. 역사
중국에서는 산신(山神|Shanshen중국어)에 대한 전설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00년 전에 쓰여진 산해경에는 이미 다양한 산신에 대한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태평광기에는 우(禹)가 상장족(上章族)과 돌루족(塗盧族) 등 여러 산신을 가두었다는 이야기도 담겨 있다. 오장산경에는 산신의 모습에 대한 자세한 묘사도 포함되어 있다.[1]고대 중국인들은 산을 신격화하여 숭배했다. 산신의 명칭에서 볼 수 있듯이 산신 숭배는 매우 복잡하여, 온갖 귀신과 영들이 산에 붙어 있었다. 결국 다양한 귀신과 영들의 이름과 차이점은 사라지거나 서로 융합되었다. 각 지역의 주봉에는 개성이 부여된 산신이 거주하는 상황으로 진화했다. "구름을 만들어내고, 바람과 비를 내리고, 괴물을 보는 산, 숲, 계곡, 언덕은 모두 신이라 불린다." (예기·제법(祭法)) 우(禹)와 순(舜)이 "산과 강을 보고, 모든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제도를 가졌다는 전설이 있으며, 순은 태산, 항산, 화산, 항산을 순회했다고 한다. 역대 천자는 하늘과 땅에, 그리고 산신에게도 대규모 제사를 지냈다. 대부분의 산신 제사는 옥(玉)을 사용하여 땅에 묻었고, 닭, 염소, 돼지 또는 옥을 계곡에 던지거나 나무 꼭대기에 매다는 "던지기"와 "걸기"라는 제사 방식도 있었다.[1]
중국의 산신에는 중국의 오악(五岳)의 신들이 포함된다.[1]
3. 2. 제례
고대 중국인들은 산을 신격화하여 숭배했다. 중국에서는 산신(山神, Shanshen)에 대한 전설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2000년 전에 쓰여진 산해경에는 이미 다양한 산신에 대한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1] 태평광기에는 우(禹)가 상장족(上章族)과 돌루족(塗盧族) 등 여러 산신을 가두었다는 이야기도 담겨 있다.[1] 오장산경에는 산신의 모습에 대한 자세한 묘사도 포함되어 있다.[1]산신 숭배는 매우 복잡하여, 온갖 귀신과 영들이 산에 붙어 있었다.[1] 결국 다양한 귀신과 영들의 이름과 차이점은 사라지거나 서로 융합되었다.[1] 각 지역의 주봉에는 개성이 부여된 산신이 거주하는 상황으로 진화했다.[1]
"구름을 만들어내고, 바람과 비를 내리고, 괴물을 보는 산, 숲, 계곡, 언덕은 모두 신이라 불린다."(《예기·제법》)[1] 우(禹)와 순(舜)이 "산과 강을 보고, 모든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제도를 가졌다는 전설이 있으며, 순은 태산, 항산, 화산, 항산을 순회했다고 한다.[1] 역대 천자는 하늘과 땅에, 그리고 산신에게도 대규모 제사를 지냈다.[1] 대부분의 산신 제사는 옥(玉)을 사용하여 땅에 묻었고, 닭, 염소, 돼지 또는 옥을 계곡에 던지거나 나무 꼭대기에 매다는 "던지기"와 "걸기"라는 제사 방식도 있었다.[1]
중국의 산신에는 중국의 오악(五岳)의 신들이 포함된다.[1]
3. 3. 주요 산신
다음은 중국의 오악(五岳)의 신들이다.4. 일본의 산신
'''야마노카미'''(山の神)는 일본 신토에서 산의 신을 이르는 말이다. 야마노카미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산에서 생활하는 사냥꾼, 나무꾼, 숯 굽는 사람 등이 숭배하는 산신과, 산에서 내려와 농부들에게 숭배되는 농업의 신이다. 보통 여신으로 여겨진다.[7]
4. 1. 두 가지 유형의 산신
야마노카미(山の神)는 일본의 신토 종교에서 산의 신으로 불리는 존재이다.[6] 야마노카미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6] 첫 번째 유형은 사냥꾼, 나무꾼, 숯 굽는 사람들에게 숭배되는 산의 신이고,[6] 두 번째 유형은 산에서 내려와 농부들에게 숭배되는 농업의 신이다.[6] 이 신은 일반적으로 여신 또는 여성 신으로 여겨진다.[7]4. 2. 칸나비
칸나비는 종종 산신과 관련이 있다. 칸나비는 신의 신체 역할을 하는 산을 포함하는 자연 지역이다.[8]4. 3. 주요 산신
일본 신토에서 산의 신은 야마노카미(山の神)로 불린다.[6] 야마노카미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6] 첫째는 사냥꾼, 나무꾼, 숯 굽는 이들이 숭배하는 산신이고,[6] 둘째는 산에서 내려와 농부들이 숭배하는 농업의 신이다.[6] 이 신은 보통 여신으로 여겨진다.[7] 칸나비는 신의 신체(신토) 역할을 하는 산을 포함하는 자연 지역으로, 산신과 관련이 깊다.[8]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주요 산신은 다음과 같다.
5. 베트남의 산신
베트남에서는 여러 산신이 널리 숭배되고 있다.
- 리산 노모(Lishan Laomu): 리산(Mount Li)의 여신이다.
- 요지(Yaoji): 오산(Wu Mountains)의 여신이다.
이 외에도 삼산(Sam Mountain)의 여신 Bà Chúa Xứ, 검은 처녀 산(Black Virgin Mountain)의 여신 Bà Đen, Bà Rá 산(Bà Rá Mountain)의 여신 Bà Rá, Mẫu Thượng Ngàn, 바비 산맥(Ba Vì mountain range)의 신들(Tản Viên Sơn Thánh, Thần Cao Sơn, Thần Quý Minh) 등이 널리 숭배받는다.
5. 1. 주요 산신
베트남에서 가장 널리 숭배받는 산신들은 다음과 같다.[3]
참조
[1]
웹사이트
THE MOUNTAIN GOD AND THE MONASTERY – THE PECULIAR CASE OF THE SHANSHEN SHRINE
https://taiwaninsigh[...]
2023-04-23
[2]
웹사이트
Korean Sanshin Mountain-spirits
http://san-shin.org/
[3]
서적
Spirit of the Mountains: Korea's San-Shin and Traditions of Mountain-worship
[4]
웹사이트
산신신앙(山神信仰)
https://encykorea.ak[...]
2020-05-23
[5]
웹사이트
Intro to Korean San-shin, Sansin or Mountain-spirits
http://san-shin.org/[...]
2023-04-23
[6]
웹사이트
Yama-no-kami Japanese religio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3
[7]
웹사이트
Mountain kami
https://www.greenshi[...]
2023-04-24
[8]
웹사이트
Kannabi | 國學院大學デジタルミュージアム
https://archive.toda[...]
2023-04-07
[9]
서적
Hakusan Faith illustration
Shirayama Hime Shrine
[10]
간행물
Kokuzai Chusha Hakusanjo Shrine "National Famous Shrine Photographs"
Imperial Keishinkai
1922-12
[11]
서적
Shirayama Hime Shrine
Morokami Divine Festival Deity Dictionary
[12]
서적
Hakusan that Jomon people also danced to
[13]
서적
Kukurihimenomomikoto Kikurihime
Shinto Encyclopedia Volume One
[14]
웹사이트
The Creepy Legend of Japan's Chokai-san (Mt. Chokai)
https://medium.com/j[...]
2023-04-23
[15]
서적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https://books.google[...]
Society
1896
[16]
웹사이트
Sanpai Japan - Hiejinja(Shrine)
http://sanpai-japan.[...]
2023-04-23
[17]
웹사이트
San shin – The Mountain Spirit (산신)
http://daleskoreante[...]
2012-02-29
[18]
웹인용
한국불교신앙의 뿌리를 찾아서 12-산신 신앙
https://www.ibulgyo.[...]
불교신문
202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