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블은 러시아, 벨라루스,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사용되는 통화이다. 러시아 루블은 러시아 연방의 공식 통화이며, 벨라루스 루블은 벨라루스의 공식 통화이다.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사용된다. 과거에는 소련 루블, 아르메니아 루블, 아제르바이잔 루블, 라트비아 루블, 타지키스탄 루블 등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통화로 대체되었다. 루블은 '자르다'라는 뜻의 러시아어 동사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며, 보조 통화로 코페이카가 사용된다. 루블 기호는 "₽"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루블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통화 | 루블 |
ISO 4217 코드 | RUB |
기호 | ₽ |
분할 단위 | 코페이카 |
1루블 | 100 코페이카 |
사용 국가 | 러시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벨라루스 (법정 통화 아님) 우크라이나 (러시아 점령 지역에서만 사용) |
역사 | |
어원 | 러시아어 단어 "рубить (루비티)" (자르다)에서 유래 |
역사적 사용 | 13세기부터 사용된 무게 단위 및 화폐 단위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
추가 정보 | |
로마자 표기 | Rubl’ (루블) |
벨라루스어 | Рубель (루벨) |
몰도바어 | Рублэ (루블레) |
2. 현재 통용되는 루블
현재 통용되는 루블은 다음과 같다.
각 통화에 대한 추가 설명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2. 1. 러시아 루블
러시아의 공식 통화이다. 1998년 화폐 개혁 이후 현재의 루블이 사용되고 있다.2. 2. 벨라루스 루블
벨라루스 루블은 벨라루스 공화국의 공식 통화이다. 소련 붕괴 이후 독립적인 루블을 발행하고 있다.2. 3.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미승인 국가인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사용되는 통화이다.3. 과거에 통용되었던 루블
다음은 과거에 통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루블이다.
- 소련 루블
- 아르메니아 루블 (드람으로 대체)
- 아제르바이잔 루블 (마나트로 대체)
- 라트비아 루블 (라트를 거쳐 유로로 대체)
- 타지키스탄 루블 (소모니로 대체)
- 우크라이나 루블(카르보바네츠) (흐리브냐로 대체)
- 조지아 루블 (라리로 대체)
3. 1. 소련 루블
1917년, 러시아 루블은 소비에트 루블(ISO 4217 코드: SUR)로 대체되었으며, 소련 국가은행이 발행했다. 소련 루블은 1991년 소련 해체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유일한 통화로 사용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 15개의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에서 새로운 국가 통화로 대체될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다.소련 루블을 대체한 통화는 다음과 같다.
국가 | 대체 통화 | 대체 시기 |
---|---|---|
러시아 | 러시아 루블 | 1992년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 | 1992년 |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크로온 | 1992년 |
라트비아 | 라트비아 루블 | 1992년 |
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 탈로나스 | 1992년 |
벨라루스 | 벨라루스 루블 | 1993년 |
조지아 | 조지아 라리 | 1993년 |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 드람 | 1993년 |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텡게 | 1993년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스탄 솜 | 1993년 |
몰도바 | 몰도바 쿠폰 | 1993년 |
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마나트 | 1993년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솜 | 1993년 |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 1994년 |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 루블 | 1995년 |
2000년 이후 러시아 루블(코드: RUB)과 벨라루스 루블(코드: BYN)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국가에서 발행한 유일한 루블 통화이다.
3. 2. 아르메니아 루블
아르메니아 루블은 아르메니아의 통화였으며, 현재는 드람으로 대체되었다.3. 3. 아제르바이잔 루블
아제르바이잔 루블은 아제르바이잔의 통화였으며, 현재는 마나트로 대체되었다.3. 4. 라트비아 루블
라트비아 루블은 라트비아의 통화였으며, 라트를 거쳐 유로로 대체되었다. 2014년 1월 1일에 유로로 전환되면서 폐지되었다.[1]3. 5. 타지키스탄 루블
타지키스탄 루블은 소모니로 대체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던 타지키스탄의 통화이다.4. 어원
"루블"이라는 단어는 러시아어 동사 'рубить'(루비티, "자르다, 찍다, 찍어내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루블은 은 그리브나(grivna)에서 잘라낸 조각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1]
다른 설로는 루블이 그리브나와 같은 뜻이었다고 한다. 13세기 베레스트 문서(birch bark manuscript)에서 루블과 그리브나는 모두 204g의 은을 가리켰다.[2] 이러한 조각을 주조할 때, (정확한 기술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어떤 종류의 절단 과정이 있었고, 여기서 '루비티'라는 이름이 유래했다.[3][4]
또 다른 설은 러시아어 명사 'рубец'(루베츠, 주조 후 은괴 주변에 남는 이음매)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은은 두 단계로 주조되었고, "루블"은 "이음매가 있는 주조품"을 의미한다.[5]
루블은 중세 서유럽에서 사용된 은과 금의 무게 단위인 마르크에 해당하는 러시아 단위였다. 1루블의 무게는 1그리브나의 무게와 같았다. 러시아어에는 루블의 속칭으로 ''tselkovyj''(첼코비)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는 온전한 루블을 뜻하는 '첼코비 루블'의 축약형이다.
1534년 통화 개혁 이후, 러시아 회계 루블 하나는 은 덴가(denga) 동전 100개(노브고로드) 또는 200개(모스크바), 또는 폴루시카(polushka) 동전 400개와 같아졌다. 기수가 새겨진 노브고로드 덴가 동전은 곧 ''코페크(kopek)''로 알려졌고, 18세기 초까지 고액 동전이었다. 루블 동전 자체는 표트르 대제 때까지 존재하지 않았는데, 1704년에 그가 구 통화 제도를 개혁하고 28g의 은 루블 동전을 주조하도록 명령했으며, 이는 100개의 새로운 구리 코페크 동전과 같았다. 1루블 및 1코페크 동전 외에도 다른 더 작은 동전 및 더 큰 동전도 존재했다.
4. 1. 기원
'루블'이라는 명칭은 '자르다'라는 뜻의 러시아어 동사 '루비티'(рубит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은괴를 잘라 만든 조각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1]다른 설에 따르면 루블은 그리브나(grivna)와 같은 의미였다고 한다. 13세기 베레스트 문서(birch bark manuscript)를 보면, 노브고로드에서 루블과 그리브나는 모두 204g의 은을 가리키는 말이었다.[2] 이러한 조각을 주조할 때 어떤 종류의 절단 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루비티'에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것이다.[3][4]
또 다른 설은 러시아어 명사 '루베츠'(рубец, 주조 후 은괴 주변에 남는 이음매)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은을 두 단계로 나누어 주조했기 때문에, '루블'은 '이음매가 있는 주조품'을 의미한다는 것이다.[5]
루블은 중세 서유럽에서 사용된 은과 금의 무게 단위인 마르크에 해당하는 러시아의 단위였다. 1루블의 무게는 1그리브나의 무게와 같았다.
러시아어에는 루블의 속칭으로 '첼코비'(целковый)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는 온전한 루블을 뜻하는 '첼코비 루블'의 축약형이다.
4. 2. 다른 언어에서의 명칭
튀르크어족이나 튀르크어족의 영향을 받은 언어에서는 루블이 종종 '솜'(som) 또는 '숨'(sum)('순수한'이라는 뜻)이나 '마나트'(manat)(러시아어 'moneta'(모네타, '동전'이라는 뜻)에서 유래)로 알려져 있으며(공식적으로도 그렇게 불리는 경우가 있다).[1] 소련 지폐에는 소련의 언어로 소련의 모든 15개 공화국의 언어로 금액이 표기되어 있었다.[1]5. 역사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 루블은 실제 화폐라기보다는 무게 단위였다. 가장 흔히 사용된 화폐는 '덴가'(복수형: '덴기')라고 불리는 작은 은화였다. 노브고로드와 모스크바에서 주조된 두 종류의 덴가가 있었는데, 그 가치는 무게에 따라 변했다. 1535년, 노브고로드 덴가 1개의 무게는 0.68g였고, 모스크바 덴가는 그 절반이었다. '회계 루블' 1개는 노브고로드 덴가 100개 또는 모스크바 덴가 200개(은 68g)였다. 노브고로드 덴가에는 창을 든 기수(копьё|코피요ru)가 새겨져 있어 '코페이카'로 불렸다. 17세기에는 코페이카 무게가 0.48g로 줄어, 루블 1개는 48g의 은과 같았다.[2][3]
1654년에서 1655년 사이, 차르 알렉세이 1세는 수입된 조아힘스탈러로 은 1루블 동전을, 구리로 새 코페이카 동전을 주조하는 통화 개혁을 시도했다. 약 100만 개의 루블이 만들어졌지만, 명목 루블(48g)보다 무게가 가벼워(28~32g) 위조, 투기, 인플레이션을 초래했고, 1662년 구리 폭동 이후 폐지되었다.[2][3]
1704년 표트르 1세는 통화 제도를 개혁, 무게 28.1g, 순도 72%인 은 루블을 주조했다. 이는 100개의 구리 코페이카로 나뉘는 세계 최초의 십진법 통화였다.[2]
18세기 루블의 은 함량은 다양했다. 루블보다 가치가 높은 동전은 금과 백금으로 주조되었다. 18세기 말 루블은 순은 4조로트니크 21돌랴(약 18g) 또는 순금 27돌랴(약 1.2g)로 고정되었고(두 금속 가치 비율 15:1), 1828년에는 백금 동전(1루블 = 77 돌랴(3.451g))이 도입되었다.
1885년 12월 17일, 금 함량을 1.161g으로 줄이는 새 표준이 채택되어 금 루블이 프랑스 프랑에 1루블 = 4프랑 비율로 고정되었다. 1897년에는 1루블 = 2 프랑(0.77424g 순금)으로 변경되었다.[8][9][10]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금본위제는 중단되었고 루블 가치는 하락, 1920년대 초 초인플레이션을 겪었다. 1922년 소비에트 연방 설립으로 러시아 루블은 소비에트 루블로 대체되었다. 혁명 이전 체르보네츠는 1922년부터 1925년까지 잠시 유통되었다.[11]
19세기 초, 1860년에는 폴란드에서 사용되던 1즈워티와 같은 가치의 15코페크짜리 은화, 1869년에는 3루블짜리 금화가 도입되었다.[13] 1886년에는 5루블과 10루블짜리 새 금화, 1897년에는 이전 5, 10루블 동전과 크기가 같은 7루블 반과 15루블짜리 동전이 1년간 발행되었다. 1911년 금화 발행 중단 후, 다른 동전은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생산되었다.
1917년, 러시아 루블은 소비에트 루블(ISO 4217 코드: SUR)로 대체되어 소련 국가은행이 발행, 1991년 소련 해체까지 유일한 통화였다. 이후 15개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에서 새 국가 통화로 대체되었다.
소비에트 루블을 대체한 통화는 다음과 같다.
국가 | 대체 통화 | 대체 시기 |
---|---|---|
러시아 | 러시아 루블 | 1992년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 | 1992년 |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크로온 | 1992년 |
라트비아 | 라트비아 루블 | 1992년 |
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 탈로나스 | 1992년 |
벨라루스 | 벨라루스 루블 | 1993년 |
조지아 | 조지아 라리 | 1993년 |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 드람 | 1993년 |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텡게 | 1993년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스탄 솜 | 1993년 |
몰도바 | 몰도바 쿠폰 | 1993년 |
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마나트 | 1993년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솜 | 1993년 |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 1994년 |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 루블 | 1995년 |
2000년 이후 러시아 루블(코드: RUB)과 벨라루스 루블(코드: BYN)만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루블 통화이다.
5. 1. 제정 러시아 시대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 루블은 실제 화폐라기보다는 무게 단위였다. 가장 흔히 사용된 화폐는 '덴가'(복수형: '덴기')라고 불리는 작은 은화였다. 노브고로드와 모스크바에서 주조된 두 종류의 덴가가 있었는데, 덴가 은화의 무게는 일정하지 않아 가치가 계속 변했다. 1535년, 노브고로드 덴가 1개의 무게는 0.68g였고, 모스크바 덴가는 노브고로드 덴가의 절반 무게였다. 따라서 '회계 루블' 1개는 노브고로드 덴가 100개 또는 모스크바 덴가 200개(은 68g)로 구성되었다. 노브고로드 덴가에는 창을 든 기수의 이미지(копьё|코피요ru)가 새겨져 있었기 때문에 나중에 '코페이카'로 불리게 되었다. 17세기에는 코페이카 동전의 무게가 0.48g로 줄어, 루블 1개는 48g의 은과 같았다.[2][3]1654년에서 1655년 사이에 차르 알렉세이 1세는 통화 개혁을 시도하여 수입된 조아힘스탈러로 은 1루블 동전을, 구리로 새로운 코페이카 동전을 주조하도록 명령했다. 약 100만 개의 루블이 만들어졌지만, 명목 루블(48g)보다 무게가 28~32그램으로 낮아 위조, 투기, 인플레이션을 초래했고, 결국 1662년 구리 폭동 이후 이 화폐 제도는 폐지되었다.[2][3]
1704년 표트르 1세는 러시아 통화 제도를 개혁하여 무게 28.1g이고 순도 72%인 은 루블을 주조했다. 이 동전은 100개의 구리 코페이카로 나뉘었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십진법 통화였다.[2]
18세기 루블의 은 함량은 다양했다. 또한 루블보다 가치가 높은 동전은 금과 백금으로 주조되었다. 18세기 말 루블은 순은 4조로트니크 21돌랴(약 18g) 또는 순금 27돌랴(약 1.2g)로 고정되었으며, 두 금속의 가치 비율은 15:1이었다. 1828년에는 백금 동전이 도입되어 1루블은 77 돌랴(3.451g)와 같았다.
1885년 12월 17일, 은 루블은 그대로 두고 금 함량을 1.161g으로 줄이는 새로운 표준이 채택되어 금 루블이 프랑스 프랑에 1루블 = 4프랑의 비율로 고정되었다. 이 비율은 1897년에 1루블 = 2 프랑(0.77424g 순금)으로 변경되었다.[8][9][10]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금본위제는 중단되었고 루블의 가치는 하락하여 1920년대 초 초인플레이션을 겪었다. 1922년 소비에트 연방이 설립되면서 러시아 루블은 소비에트 루블로 대체되었다. 혁명 이전의 체르보네츠는 1922년부터 1925년까지 잠시 유통되었다.[11]
19세기 초에는 여러 종류의 동전이 발행되었다. 1860년에는 폴란드에서 사용되던 1즈워티와 같은 가치의 15코페크짜리 은화가 도입되었고, 1869년에는 3루블짜리 금화가 도입되었다.[13] 1886년에는 5루블과 10루블짜리 새로운 금화가 도입되었고, 1897년에는 이전의 5루블 및 10루블 동전과 크기가 같은 7루블 반과 15루블짜리 동전이 1년 동안 발행되었다. 1911년에 금화 발행이 중단되었고, 다른 종류의 동전은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생산되었다.
5. 1. 1. 콘스탄티노프스키 루블
콘스탄티노프스키 루블(러시아어: константиновский рубль|콘스탄티노프스키 루블ru)은 러시아 제국 시대의 희귀한 은화로, 황제 알렉산드르 1세와 니콜라이 1세의 형제인 콘스탄틴 대공의 측면상이 새겨져 있다. 이 은화는 1825년 섭정기 동안 상트페테르부르크 조폐국에서 주조 준비 중이었지만, 실제로는 대량으로 주조되지 않았고, 일반 유통된 적도 없다. 이 은화의 존재는 1857년 외국 출판물에서 알려지게 되었다.[14]5. 2. 소비에트 연방 시대
1917년, 러시아 루블은 소비에트 루블(ISO 4217 코드: SUR)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소련 국가은행이 발행했고, 1991년 소련 해체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유일한 통화로 남았다. 이후 15개의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에서 새로운 국가 통화로 대체될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다.소비에트 루블을 대체한 통화는 다음과 같다.
국가 | 대체 통화 | 대체 시기 |
---|---|---|
러시아 | 러시아 루블 | 1992년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 | 1992년 |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크로온 | 1992년 |
라트비아 | 라트비아 루블 | 1992년 |
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 탈로나스 | 1992년 |
벨라루스 | 벨라루스 루블 | 1993년 |
조지아 | 조지아 라리 | 1993년 |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 드람 | 1993년 |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텡게 | 1993년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스탄 솜 | 1993년 |
몰도바 | 몰도바 쿠폰 | 1993년 |
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마나트 | 1993년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솜 | 1993년 |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 1994년 |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 루블 | 1995년 |
2000년 이후로 러시아 루블(코드: RUB)과 벨라루스 루블(코드: BYN)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국가에서 발행한 유일한 루블 통화이다.
6. 보조 통화: 코페이카
루블을 통화로 사용하는 많은 지역에서 환율 처리상의 편의를 위해 보조 통화로 코페이카(러시아어: копейка|코페이카ru)를 사용하고 있다. 1루블은 100코페이카이다. 그러나 코페이카는 가치가 너무 낮아 신규 발행을 하지 않고 있으며, 실제 소비 생활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거의 없지만, 통화 자체는 아직 폐지되지 않았다.
7. 루블 기호
'''₽'''는 러시아의 화폐 단위를 나타내는 통화 기호이다. 키릴 문자 Р(라틴 문자로 "Er")에 가로 획이 추가된 모양이다.
참조
[1]
웹사이트
Кондратьев И. К. Седая старина Москвы. М., 1893.
http://www.rusarch.r[...]
2020-08-07
[2]
서적
Russkaya metrologiya
1975
[3]
서적
Russkaya monetnaya sistema
1970
[4]
사전
Рубль
[5]
웹사이트
History of Ruble and Kopek
http://www.statesymb[...]
2007-09-26
[6]
웹사이트
Рубль
http://starling.rine[...]
2015-07-29
[7]
서적
The Universal Cambist and Commercial Instructor, Being a Full and Accurate Treatise on the Exchanges, Monies, Weights and Measures of All Trading Nations and Their Colonies
https://archive.org/[...]
1821
[8]
문서
based on ratio of gold content between ruble 0.77424 g vs United States dollar 23.22 grains = 1.50463 g
[9]
웹사이트
Gold and Silver Standards
http://www.cyberussr[...]
Cyberussr.com
2015-08-30
[10]
웹사이트
Calculate the value of $100000 in 1914 – Inflation on 100000 dollars
http://www.dollartim[...]
DollarTimes.com
2015-08-30
[11]
서적
La Crise de la Monnaie Anglaise
Recueil Sirey
1934
[12]
웹사이트
Catherine II. Novodel Sestroretsk Rouble 1771
http://coins.ha.com/[...]
Heritage Auctions
2015-09-01
[13]
웹사이트
Currency of Three
http://www.pjsymes.c[...]
Pjsymes.com.au
2015-08-30
[14]
웹사이트
p.1
http://www.arcamax.r[...]
2013-07-27
[15]
서적
The End of the Old Order in Rural Europe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