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투아니아 왕국은 1251년 민다우가스 대공이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시작되어 1263년 민다우가스의 암살로 멸망한 왕국이다. 민다우가스는 리보니아 기사단과의 동맹을 통해 왕국을 건설했으나, 조카 트레니오타의 반대로 인해 기사단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1392년 비타우타스 대공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부터 왕관을 받았으나 폴란드 귀족에 의해 탈취되어 즉위에 실패했고, 1918년에는 독일의 지원을 받아 우라흐의 빌헬름을 국왕으로 추대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왕국은 소멸되고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의 역사 - 폴란드 분할
폴란드 분할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에 프로이센, 러시아, 합스부르크가 폴란드-리투아니아 공화국을 세 차례에 걸쳐 분할 점령하여 폴란드가 123년간 독립을 상실한 사건으로, 폴란드 민족주의 성장을 촉진하고 독립을 위한 저항의 원인이 되었다. - 리투아니아의 역사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0년 소련에 강제 병합되어 소련의 지배를 받다가 1991년 독립을 재선언할 때까지 공산화, 농업 집단화, 문화적 탄압, 강제 이주, 무장 저항 등 고난을 겪었으며,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시민 저항 운동을 통해 독립을 이루었다. - 유럽의 옛 나라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유럽의 옛 나라 -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의 동부 지역을 계승하여 330년부터 1453년까지 존속했으며, 그리스-로마 문화와 기독교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고, 중세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리투아니아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호 | 리투아니아 왕국 |
현지 국호 | Lietuvos karalystė (리에투보스 카랄리스테) |
존속 기간 | 1251년 – 1263년 |
정치 체제 | 세습 봉건 절대 군주제 |
수도 | 케르나베 |
공용어 | 리투아니아어, 루테니아어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국교) 발트 이교 (널리 시행됨) 동방 정교회 (동부 지역) |
통화 | 일가시스 |
역사 | |
성립 | 1251년 7월 17일 |
사건 | 민다우가스 즉위 |
사건 날짜 | 1253년 7월 6일 |
소멸 | 민다우가스 암살 |
소멸 날짜 | 1263년 9월 12일 |
이전 국가 | 리투아니아 공국 |
이후 국가 | 리투아니아 대공국 |
통치자 | |
군주 | 민다우가스 |
재임 기간 | 1251년 – 1263년 |
지도 | |
기타 | |
문장 | 왕실 인장 (기원전 1255년경) |
2. 민다우가스 왕국 (1251년 ~ 1263년)
1251년 7월 17일 민다우가스가 국왕 칭호를 받으면서 리투아니아는 왕국으로 격상되었다. 1253년 7월 6일 민다우가스와 모르타는 각각 리투아니아 국왕과 왕비로 즉위했다. 1255년 교황 알렉산데르 4세에게 아들의 국왕 대관 허가를 받았다.[1]
민다우가스 왕국은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과 동맹을 맺고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한편, 리보니아 기사단은 제마이티야 정복을 시도했으나, 민다우가스는 트레니오타의 권유로 기사단과의 평화를 파기했다. 기사단과의 분쟁에서 트레니오타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민다우가스는 권력을 잃었고, 1263년 두 아들과 함께 암살되어 리투아니아 왕국은 소멸되었다.[5]
2. 1. 건국 배경
13세기 초, 리투아니아에는 여러 이교 발트족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점차 리투아니아 대공국이라는 국가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1230년대까지 민다우가스가 뛰어난 지도력을 바탕으로 대공국의 지도자로 부상했다. 1249년, 민다우가스와 그의 조카인 타우트빌라스와 에디비다스 사이에 권력 투쟁으로 인한 내전이 발발했다.[10]2. 2. 민다우가스의 통치와 왕국 성립
1251년 민다우가스는 리보니아 기사단의 군사 지원을 받는 대가로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서리투아니아의 일부 영토를 할양하여 리투아니아의 왕이 되었다. 1253년 7월 6일, 민다우가스와 그의 아내 모르타의 대관식이 거행되어 각각 리투아니아 국왕과 왕비로 즉위했다.[1] 1255년에는 교황 알렉산데르 4세로부터 아들의 왕위 계승을 허가받았다.[10]
민다우가스의 즉위와 리보니아 기사단과의 동맹으로 리투아니아는 평화로운 시기를 맞이했다. 이 기간 동안 리투아니아는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했고, 리보니아 기사단은 사모기티아 정복을 시도했다. 그러나 민다우가스는 조카 트레니오타의 부추김을 받아 1259년 스쿠오다스 전투와 1260년 두르베 전투에서 기사단이 패배한 후 기사단과의 평화를 파기했다. 기사단과의 전쟁을 벌이면서 트레니오타의 영향력이 커졌고, 그의 우선순위는 민다우가스와 달라지기 시작했다.[5] 이러한 갈등은 결국 1263년 민다우가스와 그의 두 아들이 암살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2. 3. 리보니아 기사단과의 관계 변화
민다우가스의 즉위와 리보니아 기사단과의 동맹은 리투아니아와 기사단 사이에 평화로운 관계를 가져왔다. 이 기간 동안 리투아니아는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했고, 리보니아 기사단은 제마이티야 정복을 시도했다. 그러나 트레니오타(Treniota)의 부추김을 받은 민다우가스는 1259년 스쿠오다스 전투와 1260년 두르베 전투에서 기사단에 승리한 후 평화를 깨뜨렸다.[11] 기사단과의 전쟁을 벌이면서 트레니오타의 영향력이 커졌고, 그의 우선순위는 민다우가스와 달라지기 시작했다.[11] 이 갈등은 1263년 민다우가스와 그의 두 아들의 암살로 이어졌다.2. 4. 왕국의 멸망
트레니오타(Treniota)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민다우가스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결국 1263년 트레니오타 세력은 민다우가스와 그의 두 아들을 암살했다.[5] 이 사건으로 리투아니아 왕국은 소멸되었고, 리투아니아는 다시 이교 국가로 돌아갔다.[5] 이후 리투아니아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 존속되었으며, 이후의 통치자들은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까지 왕위에 오를 수 없었기 때문에 대공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3. 왕국 재건 시도
비타우타스 대공 시대와 1918년 두 차례에 걸쳐 리투아니아 왕국을 재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루블린 연합 이후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부가 되었고, 폴란드 국왕이 리투아니아 대공을 겸임하면서 리투아니아 국왕 칭호는 사용되지 않았다.
3. 1. 비타우타스 대공 시대 (1392년 ~ 1430년)
비타우타스는 1392년부터 1430년까지 리투아니아의 대공을 역임하였다. 1430년 신성 로마 제국의 지기스문트 황제는 비타우타스에게 리투아니아의 국왕 칭호를 제안하고 리투아니아 왕국 수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지기스문트가 비타우타스에게 보낸 왕관은 폴란드 귀족들이 탈취했고, 비타우타스는 국왕으로 즉위하지 못하고 사망했다.[6] 일부 역사가들은 왕관이 지기스문트가 리투아니아로 보냈지만 폴란드군에 의해 가로채졌다고 주장한다.[7] 그러나 실제로 지기스문트는 자신과 비타우타스, 튜턴 기사단 간의 동맹을 제안하는 문서와 빌뉴스 주교가 대관식을 집행할 수 있다는 법률 전문가들의 판결만 보냈다.[8]3. 2. 1918년 왕정 복고 시도
1918년 2월 리투아니아는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후, 군주제를 재건하였고 제2대 우라흐 공작 빌헬름을 민다우가스 2세 국왕으로 초청하였다. 그러나 군주제는 단명했고 민다우가스 2세는 리투아니아를 방문하지 않았다.[9] 1918년 리투아니아 왕국은 독일 제국의 종속국이었고, 1918년 가을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패배 이후 군주제는 민주 공화국으로 대체되었다.참조
[1]
서적
Mindaugas
http://www.spauda.lt[...]
Žara
[2]
웹사이트
kolonizacija ir Lietuvos valstybė iki XIII a.
https://www.mle.lt/s[...]
2021-09-12
[3]
웹사이트
Codex diplomaticus Lithuaniæ (1253-1433), ed. E. Raczynski
https://archive.org/[...]
2020-04-11
[4]
논문
THE ENCOUNTER BETWEEN FOREST LITHUANIANS AND STEPPE TATARS IN THE TIME OF MINDAUGAS
http://talpykla.isto[...]
[5]
서적
Gimtoji istorija. Nuo 7 iki 12 klasės
http://mkp.emokykla.[...]
Elektroninės leidybos namai
[6]
서적
[7]
서적
The Polish–Lithuanian State, 1386–179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8]
서적
[9]
서적
The Formation of the Baltic States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Mindaugas
http://www.spauda.lt[...]
Žara
[11]
서적
Gimtoji istorija. Nuo 7 iki 12 klasės
http://mkp.emokykla.[...]
Elektroninės leidybos namai
[12]
서적
The Formation of the Baltic States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