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속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속국은 다른 국가에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예속된 국가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사례가 존재해 왔다. 고대에는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등이 종속국을 만들었고, 중세에는 잉글랜드 왕국이 아일랜드 왕국을, 고구려가 거란을 종속국으로 삼았다. 근대에는 잉글랜드, 오스만 제국, 프랑스 등이 식민지 또는 위성국을 건설했으며, 일본 제국은 조선과 만주국을 종속국으로 만들었다. 현대에는 미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종속국 논쟁이 벌어지며, 군사 기지 주둔, 불평등 조약, 경제적 의존 등이 종속 관계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속국 - 조공국
  • 종속국 - 봉신국
    봉신국은 종주국에 예속되어 자치권을 일부 인정받는 국가로, 고대부터 근대까지 여러 제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정치적 지배, 경제적 착취, 문화적 교류 등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다.
  • 나라 - 왕국
    왕국은 왕이 통치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독립적인 국가이거나 책봉 체제 하의 종속국을 뜻하기도 하고, 현대에도 여러 지역에 존재하며, 특정 분야의 영향력 있는 세력을 비유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 나라 - 외국
    외국은 특정인의 자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를 지칭하는 상대적 개념으로, 법적 주권, 지리적 위치, 정치·경제·문화적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의되며, 각국의 법률과 국제법, 역사적 배경에 따라 인식과 정의가 다를 수 있다.
종속국
지리
개요
정의경제적, 정치적 또는 군사적으로 다른 국가에 종속된 국가
종류
권력 구조에 따른 분류종속 상태
자유연합
속령
보호국
자치령
괴뢰국
봉신국
조공국
부왕령
위성국
군장국가
연방주의연방제
연합제
권력하방
정치적 단일주의패권
제국
단방제
정체
권력의 양태에 따른 분류민주정 }}
직접민주정
간접민주정
준민주정
기타
과두정과두정 }}
귀족정
군정
금권정
무단정
훈벌정
신정
판관정
당주정
이두정
삼두정
사두정
독재정독재정 }}
전제정
참주정
무정부무정부 }}
무정부 상태
자유연합
무국가사회
국체
권력의 소재에 따른 분류군주정 vs. 공화정
전제군주정
입헌군주정
의회통치제
법가정치
위원회공화국
의회공화국
이원집정부제
대통령중심제
권력 이념
사회경제적 이념권위주의 vs. 자유지상주의 }}
파시즘
무정부주의
식민주의
독재주의
공산주의
분배주의
봉건주의
사회주의
전체주의
부족주의
지리문화적 이념세계 vs. 지역 }}
중앙정부
도시국가
거국중립내각
세계정부

2. 역사 속의 종속국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종속국이 존재했다. 근대 국제법상 종속국은 종주국으로부터 자치를 인정받은 국가로, 정치, 외교, 군사적으로 종주국의 하위에 있으며, 종주국의 지속적인 보호와 간섭을 받았다. 종속국은 다른 나라와 외교관계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었으나, 완전히 독립된 나라는 아니었고 대외관계의 일부는 종주국에 의해 제한되기도 했다.[24][25]



태평양 전쟁 중의 대일본제국의 영토


넓은 의미에서 종속국은 종주국과 다양한 종속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책봉국은 중국을 종주국으로 하고 그에 예속된 주변 국가를 가리키며, 괴뢰국은 명목상 독립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다른 국가의 강한 영향력 아래 있는 국가를 말한다. 식민지는 근현대에 모국(본국)에 대해 종속적인 지위에 있는 영토를 가리킨다.

20세기 초 서구 열강의 지배 통치하에 있었던, 국력이 열악했던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많은 종속국이 나타났다.

2. 1. 고대

고대에는 페르시아, 그리스 도시 국가들, 중국, 로마 등이 종속국을 두었다. 로마는 정복한 국가를 속주로 편입하는 대신 종속국으로 만들기도 했다.[2][3] 이러한 종속국 제도는 중세 봉건 제도가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까지 계속되었다.

2. 1. 1. 로마 제국

고대 국가들, 예를 들어 페르시아파르티아, 그리스 도시 국가들, 중국 그리고 로마는 때때로 그 국가의 지도자들을 종속시키고, 조공과 군인을 제공하게 함으로써 속국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고대 아테네는 약한 국가들을 델로스 동맹에 강제로 편입시켰고, 어떤 경우에는 그들에게 민주 정부를 강요하기도 했다. 나중에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는 유사하게 코린토스 동맹을 강요했다. 속국을 가장 많이 이용한 국가 중 하나는 공화정 로마였는데,[2][3] 로마는 정복한 후 제국에 편입하는 대신, 정복한 국가들을 속국으로 만들었다 (예: 파로스의 데메트리오스). 이러한 정책은 기원전 1세기에 로마 제국이 되기까지 계속되었다. 때로는 속국이 전쟁에서 패한 적이 아닌, 로마가 지원한 권력 도전자인 경우도 있었는데, 헤로데 대왕이 잘 알려진 예이다.

2. 1. 2. 중국 대륙

책봉국(冊封國)은 중국을 종주국으로 하고, 그에 예속된 주변 국가를 가리킨다. 대부분 명목상의 종속 관계였으며, 중국 및 다른 주변 국가와의 무역 등을 목적으로 관계를 맺은 경우도 많았다.

2. 2. 중세

중세에는 봉건 제도가 발전하면서 종속국 관계가 나타나기도 했다. 잉글랜드 왕국아일랜드 왕국, 고구려거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이 그 예이다.

2. 3. 근대

근대에는 유럽 열강들이 식민지를 확장하면서 종속국이 증가했다. 근대 국제법상 종속국은 종주국으로부터 자치를 인정받은 국가로, 정치, 외교, 군사적으로 종주국의 하위에 있으며, 종주국의 지속적인 보호와 간섭을 받았다. 종속국은 다른 나라와 외교관계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었으나, 완전히 독립된 나라는 아니었고 대외관계의 일부는 종주국에 의해 제한되기도 했다.[26]

오스만 투르크의 지배를 받았던 불가리아 공국(1878년 산스테파노 조약으로 독립, 1908년 완전 독립 선포)과 이집트(1805년 경 무하마드 알리에 의해 자치를 인정, 1922년 독립) 등이 대표적인 종속국이다. , 의 종속국이었던 조선은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완전한 독립을 선언했다.

일본 제국조선의 지위를 점차 종속국으로 낮추었고,[20] 20세기 초에는 직접 통치로 전환했다.[21][22] 만주국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괴뢰국으로 남아 있었다.

일본메이지 유신에 의해 대일본제국헌법을 제정하고, 1930년대 후반부터 스스로를 대일본제국이라고 불렀다.[26] 청일전쟁과 제1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이 되면서[27], 중국 대륙 등을 중심으로 종속국을 탄생시켰고, 제2차 세계 대전에는 중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속국 또는 괴뢰 정권 국가가 탄생했다.

국가기간비고
1937–1940중국의 괴뢰 정권
1937–1938중국의 괴뢰 정권
中華民國維新政府|중화민국 유신정부|Zhōnghuá Mínguó Wéixīn Zhèngfǔ중국어1938–1940중국의 괴뢰 정권
中華民國國民政府|중화민국 국민정부|Zhōnghuá Mínguó Guómín Zhèngfǔ중국어 (왕징웨이 정권)1940–1945중국의 괴뢰 정권
만주국1932–1945
蒙疆聯合自治政府|몽강연합자치정부|Méngjiāng Liánhé Zìzhì Zhèngfǔ중국어1939–1945내몽골의 괴뢰 정권
제2 필리핀 공화국1943–1945
ဗမာနိုင်ငံတော်|버마국|Bamā Naingngandawmy1943–1945
Provisional Government of Free India|자유 인도 임시 정부영어1943–1945
캄푸치아 왕국1945
루앙프라방 왕국1945
Đế quốc Việt Nam|베트남 제국|Đế quốc Việt Namvi1945


2. 3. 1. 오스만 제국

1590년 오스만 제국의 속국과 조공국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나 조공국의 수는 시대에 따라 변했지만, 가장 주목할 만한 곳은 크림 칸국,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 공국, 메카 세리프국, 아체 술탄국이었다.

2. 3. 2. 프랑스 제1제국

1812년 프랑스 제1제국과 그 위성국들


프랑스 혁명 및 나폴레옹 시대(1789~1815년) 동안 프랑스는 서유럽 대부분을 정복하고 여러 속국을 세웠다. 초기 프랑스 혁명 전쟁 기간 동안 이들 국가는 "자매 공화국"(Républiques soeurs|레퓌블리크 쇠르프랑스어)으로 설립되었다. 이들은 이탈리아(북부 이탈리아의 시살피나 공화국과 남부 이탈리아의 파르테노페아 공화국), 그리스(이오니아 제도), 스위스(헬베티아 공화국과 로다니아 공화국), 벨기에와 네덜란드(바타비아 공화국)에 설립되었다.

프랑스 제1제국 시대에 나폴레옹 1세와 프랑스군이 유럽 대부분을 점령하면서 이러한 국가들은 변화했고, 여러 새로운 국가들이 형성되었다. 이탈리아 공화국들은 북부의 나폴레옹 직할 이탈리아 왕국과 남부의 나폴리 왕국으로 변모했는데, 나폴리 왕국은 처음에는 조제프 보나파르트가, 나중에는 원수 조아킴 뮈라가 통치했다. 이탈리아 반도에는 세 번째 국가인 에트루리아 왕국이 세워졌다. 바타비아 공화국은 나폴레옹의 세 번째 형제인 루이 보나파르트가 통치하는 네덜란드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프랑스의 동맹국이었던 총 35개의 독일 국가들이 신성 로마 제국에서 탈퇴하여 라인 연방을 구성했는데, 이는 프랑스와 동쪽의 두 주요 적국인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사이의 완충지대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진 속국이었다. 그중 두 국가는 나폴레옹이 세운 것으로, 황제의 막내 동생인 제롬 보나파르트가 통치한 베스트팔렌 왕국과 뷔르츠부르크 대공국이었다. 폴란드는 당시 바르샤바 공국이었다.

프랑스의 이베리아 반도 침공 동안 나폴레옹은 포르투갈과 스페인을 속국인 스페인 왕국으로 복속시키려 했지만, 결국 프랑스는 막대한 희생을 치르는 전쟁 끝에 이베리아 반도에서 쫓겨났다.

2. 3. 3.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를 속국으로 만들어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기독교 세력을 형성하려 했으나, 1903년 5월 쿠데타 이후 세르비아는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 들어갔다. 러시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대표하는 라틴 기독교에 대항하는 팬-동방 정교회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1914년 러시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세르비아 공격을 반복해서 경고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르비아를 공격하자 러시아는 군대를 동원했다.[4][5][6] 러시아는 불가리아[7]몬테네그로[8]도 속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당시 영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모두 세르비아를 러시아가 지배하는 속국으로 간주했다.[9]

2. 3. 4. 대영 제국

1909년 인도 아대륙의 영국령 지역 지도 (황색은 토후국)


인도의 여러 토후국들은 명목상으로는 영국 제국 내의 독립적인 정치체였으며, 1947년 독립된 인도 또는 파키스탄에 합병될지, 아니면 독립할지를 선택할 수 있었다. 하이데라바드 니잠은 독립을 선택했지만, 그의 왕국은 1948년 인도군에 의해 하이데라바드 합병되었다. 1922년 이집트 독립 선언으로 이집트는 잠시 유지했던 영국의 보호령 지위를 벗어났고, 이라크 왕국은 1932년 왕국이 되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경제적, 군사적 현실은 완전한 독립이 아니라, 현지 통치자들이 영국의 종속국이 되는 지위에 해당했다. 다른 예로는 아프리카(예: 루가드 경 통치하의 나이지리아 북부)와 비연합 말레이 주가 있으며, 이는 "간접 통치" 정책의 일환이었다.[1]

과거, 영국은 세계 최대의 제국이었다. 또한,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식민 지배를 했다.[1]

2. 3. 5. 일본 제국



19세기 후반, 일본 제국조선의 지위를 점차 종속국으로 낮추었다.[20] 20세기 초, 이는 직접 통치로 바뀌었다.[21][22] 만주국제2차 세계 대전 내내 괴뢰국으로 남아 있었다.

일본메이지 유신에 의해 대일본제국헌법을 제정하고, 1930년대 후반부터 스스로를 대일본제국이라고 불렀다.[26] 청일전쟁과 제1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이 되면서[27], 중국 대륙 등을 중심으로 종속국을 탄생시켰고, 제2차 세계대전에는 중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속국 또는 괴뢰 정권 국가가 탄생했다.

국가기간비고
1937–1940중국의 괴뢰 정권
1937–1938중국의 괴뢰 정권
中華民國維新政府|중화민국 유신정부|Zhōnghuá Mínguó Wéixīn Zhèngfǔ중국어1938–1940중국의 괴뢰 정권
中華民國國民政府|중화민국 국민정부|Zhōnghuá Mínguó Guómín Zhèngfǔ중국어 (왕징웨이 정권)1940–1945중국의 괴뢰 정권
만주국1932–1945
蒙疆聯合自治政府|몽강연합자치정부|Méngjiāng Liánhé Zìzhì Zhèngfǔ중국어1939–1945내몽골의 괴뢰 정권
제2 필리핀 공화국1943–1945
ဗမာနိုင်ငံတော်|버마국|Bamā Naingngandawmy1943–1945
Provisional Government of Free India|자유 인도 임시 정부영어1943–1945
캄푸치아 왕국1945
루앙프라방 왕국1945
Đế quốc Việt Nam|베트남 제국|Đế quốc Việt Namvi1945


2. 4. 현대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종속 관계가 존재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독일 제국은 Mitteleuropa|미텔오이로파de 계획의 일환으로 여러 위성국을 만들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비시 프랑스, 크로아티아 독립국, 슬로바키아 공화국 등을 괴뢰국으로 만들었고,[19] 일본 제국만주국, 버마, 필리핀 제2공화국 등을 괴뢰국으로 삼았다.[26][27]

냉전 시대에는 소비에트 연방이 동유럽 국가들을 위성국가로 삼았으며,[16][17][18] 쿠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3] 등도 소련의 대리국으로 비판받았다. 미국은 자유 연합 협정을 맺은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팔라우 등을 종속국으로 불렀으며,[16][17][18] 남베트남, 대한민국(1948–1953) 등도 미국의 종속국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탈식민지 시대에 프랑스는 프랑스 아프리카라 불리는 영향권을 행사했다.[10][11]

2. 4. 1. 제1차 세계 대전

Mitteleuropa|미텔오이로파de 계획의 일환으로 독일 제국은 여러 위성국을 만들었다.[12]

국가존속 기간비고
-- 폴란드 왕국1917년 ~ 1918년
-- 리투아니아 왕국1918년
-- 우크라이나 국1918년[13]
-- 쿠를란트와 세미갈리아 공국1918년[14]
-- 그루지야 민주 공화국1918년[15]


2. 4. 2.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비시 프랑스(1940-1944), 크로아티아 독립국(1941-1945), 슬로바키아 공화국(1939-1945) 등을 괴뢰국으로 만들었다.[19] 일본 제국만주국(1932-1945), 버마(1943-1945), 필리핀 제2공화국(1943-1945) 등을 괴뢰국으로 삼았다.[26][27]

2. 4. 3. 냉전 시대

소비에트 연방은 냉전 시기 동유럽 국가들을 위성국가로 삼았다.[16][17][18] 이들 국가는 소련의 군사력과 경제 원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쿠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3]마르크스-레닌주의 정부를 가진 다른 국가들도 소련의 대리국으로 비판받았다.

냉전기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하에 있던 국가들.


냉전 시기부터 현재까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맹국들은 자국 내에 많은 미군 기지와 시설을 두고 있다(이미지는 2023년 현재).


미국은 자유 연합 협정을 맺은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팔라우 등의 태평양 국가들을 종속국으로 불렀다.[16][17][18] 이들 국가는 미국의 경제적, 군사적 영향 아래 있었다.

1966년 10월 24일, 필리핀 대통령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주최한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 회원국 지도자들


남베트남, 대한민국(1948–1953) 등도 미국의 종속국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2. 4. 4. 탈식민지 시대

20세기에 프랑스는 아프리카 식민지(프랑스령 아프리카 식민지)들과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벨기에의 옛 아프리카 식민지들에 대해 프랑스 아프리카라 불리는 영향권을 행사했다.[10][11] 이 용어는 때때로 프랑스와의 관계를 신식민지주의로 규정하는 데 사용되며 경멸적인 의미를 갖기도 한다. 옛 식민지들은 프랑스 경제에 중요한 석유와 광물을 제공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프랑스 기업들이 상업적 이익을 가지고 있다.

3. 현대적 의미의 종속국

오늘날 '종속국'이라는 용어는 특정 국가가 다른 국가에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예속된 상황을 비판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된다.

미국의 경우, 자유 연합 협약을 맺은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팔라우 등이 '합법적인 종속국'으로 언급된다.[16][17][18] 이들 국가는 독립국이지만, 외교 등은 미국의 관리하에 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31][32][37][33][34][35] 유럽 연합(EU) 회원국,[36][37][38][39][40] 대한민국,[44][45] 일본[57][58][59][60], 독일[70] 등 주요 동맹국들도 미국의 종속국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소비에트 연방(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이라는 형태로 미국과 대립했다. 소련은 동유럽 국가들을 위성국가나 괴뢰국가로 만들었다. 몽골, 동독, 쿠바 등이 그 예이다.

러시아 연방의 경우 벨라루스가 종속국으로 언급된다.

일본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만주국, 버마, 대한제국, 필리핀 제2공화국, 라오스 등을 종속국으로 만들었다.

3. 1. 비판적 시각

강대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은 종속국으로 비판받을 수 있다. 이러한 비판은 국가 주권과 자결권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진다. 특히, 군사기지 주둔, 불평등 조약, 경제적 의존 등은 종속 관계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냉전 시기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들은 자국 내에 소련군 주둔 기지를 제공했기 때문에, 냉전 이후 일반적으로 소련의 위성국, 괴뢰 정권으로 간주된다. 마찬가지로, 미군을 주둔시키고 있는 NATO 가맹국들은 미국의 괴뢰 정권, 위성국 또는 종속국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28] 미국은 세계 최대의 경제력, 군사력, 문화적 영향력을 가진 패권 국가이며, 경제적, 군사적 영향 아래 있는 국가가 많다.[2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마셜 플랜을 통해 서방 국가들을 경제적, 군사적으로 지원하여 이들 국가를 사실상 미국의 영향권 아래 두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설립과 함께 영국, 서독, 이탈리아, 그리스 등 여러 국가에 미군 기지가 설치되었다.[29] 미군은 냉전 시기부터 현재까지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터키의 미군 기지에 핵무기를 배치하고 있으며,[30] 이들 국가는 미군의 군사적 보호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30]

소비에트 연방과의 냉전 시기, 미국은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를 설립하고, 남베트남, 필리핀(미필 상호방위조약), 태국 등에 미군 기지를 설치하여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영향권 아래에 두었다. 미국은 일본(일미 안전 보장 조약), 대한민국(미한 상호방위조약), 중화민국(미화 상호방위조약)과 개별 안보 조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동구권 국가였던 폴란드, 루마니아, 발트 3국 등은 친미, 반러 노선을 확립하고 NATO와 EU에 가입하여 자국 내에 미군 기지를 설치했다.

자유 연합 협약 국가들(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팔라우)은 독립국이지만, 외교 등이 미국의 관리하에 있어 '합법적인 종속국'으로 불리기도 한다.

미국 언론에서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라크 등을 미국의 식민지로 비판하기도 했다.[4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미국에 동조하여 러시아에 경제 제재를 가한 G7 국가들과 미국의 동맹국들을 "주권 없는 미국 연합국의 식민지들"이라고 비판했다.[43]

미국 언론에서 미국의 종속국으로 비판받은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국가비고
파키스탄[42]
아프가니스탄[42]
이라크
아이티
이스라엘
대한민국[44][45]긴급 상황 시 대한민국 국군의 전시 작전통제권을 주한미군이 보유하고 있어 종속국으로 비판받는다.[46]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에 전시 작전통제권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예멘
엘살바도르
타이완
콜롬비아
페루
바레인
자메이카
쿠웨이트
파나마
라이베리아
탄자니아
온두라스
칠레
코스타리카
요르단



다음은 자국 정부를 비판할 때 국민, 언론, 평론가들에게 "미국의 종속국"이라고 비판받는 국가들이다.

참조

[1] 서적 Guide to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iplomacy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2] 서적 Herod's Judaea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3] 문서 Collected studies: Alexander and his successors in Macedonia
[4]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5] 서적 Western Civilization: Beyond Boundaries, Volume C: Since 1789 https://books.google[...] Cengage
[6] 서적 World War II: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서적 Russia and the Formation of the Romanian National State, 1821–187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8] 서적 Thirteen Days: The Road to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Chatto & Windus
[9] 서적 World War One and Its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Open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The French African Connection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8-09-27
[11] 뉴스 The Return of Françafriqu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09-27
[12] 문서 Europe: A history; A Concise History of Poland; Chronology of Polish History and Nation and History; Poland: Key to Europe https://books.google[...]
[13] 서적 The Moulding of Ukraine: The Constitutional Politics of State Formation
[14] 서적 The History of the Baltic States https://books.google[...]
[15] 서적 Edge of empires: a history of Georgia Reaktion Books
[16] 서적 Pacific Futures: Past and Present University of Hawai'i Press
[17] 학술지 The Marshall Islands and U.S. Imperial Relations https://tuljournals.[...] Temple University
[18] 뉴스 George H.W. Bush: Dirty Tricks and Regime Change in Nuclear-Free Palau https://islandtimes.[...] Island Times 2023-04-15
[19] 웹사이트 China grapples with preserving reminders of Japanese occupation https://asia.nikkei.[...] 2022-05-31
[20] 웹사이트 Transimperial Genealogies of Korea as a Protectorate: The Egypt Model in Japan's Politics of Colonial Comparison https://cross-curren[...] 2022-05-31
[21] 웹사이트 How Japan Took Control of Korea https://www.history.[...] 2021-07-02
[22] 웹사이트 Japanese Rule Over Korea - A Liberation Day Korea History - Koryo Tours https://koryogroup.c[...] 2022-06-02
[23] 잡지 Why North Korea is betting big on nuclear weapons https://theweek.com/[...] 2016-01-08
[24] 웹사이트 従属国 http://100.yahoo.co.[...] 2020-10-30
[25] 웹사이트 保護国 http://100.yahoo.co.[...] 2020-10-30
[26] 웹사이트 大日本帝国(だいにっぽんていこく)の意味 - goo国語辞書 https://dictionary.g[...] 2021-12-10
[27]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28] 웹사이트 「日本を同盟国友人リストから外せ」という、米有名シンクタンク員論説の真意ーー10カ国をメッタ斬り(今井佐緒里) - 個人 https://news.yahoo.c[...] 2022-07-01
[29] 웹사이트 Europe’s former imperial countries are now desperate U.S. colonies https://moderndiplom[...] 2022-11-05
[30] 웹사이트 サンデーモーニング|手作りフリップ:プーチン大統領“次の一手”は隣国への核配備…正当化の口実にしたアメリカの「核シェアリング」とは? https://www.tbs.co.j[...] 2023-12-16
[31] 웹사이트 欧州はアメリカなしでは大変なことに、単独ではロシアに対抗できず=フィンランド首相 https://www.bbc.com/[...] 2023-12-16
[32] 웹사이트 欧州の軍備増強 ウクライナ危機で「米国頼み」に拍車 https://www.sankei.c[...] 2023-12-16
[33] 웹사이트 米兵500人を欧州に増派、在欧米軍は10万人規模に…国防総省「状況に応じて調整」 https://www.yomiuri.[...] 2023-12-16
[34] 웹사이트 ウ戦争で結束した欧州、強まる米国依存 https://jp.wsj.com/a[...] 2023-12-16
[35] 웹사이트 ウ戦争で結束した欧州、強まる米国依存 https://diamond.jp/a[...] 2023-12-16
[36] 웹사이트 EU is 'a puppet of US policies' https://gulfnews.com[...] 2022-07-01
[37] 웹사이트 「ヨーロッパ人は米軍に守られるのに慣れてしまった」在欧米軍の戦略:欧と米は分離してゆくのか 後編1(今井佐緒里) - 個人 https://news.yahoo.c[...] 2022-07-01
[38] 웹사이트 欧州にとっての侵攻とは 迫られた戦略見直し 露呈した「米国頼み」: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02-23
[39] 웹사이트 米国の後塵を拝する欧州、その差は開くばかり――ギデオン・ラックマン 技術から大学まで太刀打ちできず https://jbpress.isme[...] 2023-12-16
[40] 웹사이트 EU、5000人の即応部隊検討 防衛で米依存に危機感 https://www.nikkei.c[...] 2021-09-05
[41] 웹사이트 The Decline of American Client States https://www.theatlan[...] 2011-09-27
[42] 웹사이트 ‘Pakistan Is a Fractured Client State of the US Empire, Afghanistan a US Colony’ https://www.thecitiz[...] 2021-05-14
[43] 웹사이트 「主権ない国」生き残れぬ プーチン大統領、制裁に対抗姿勢 https://www.sankei.c[...] 2022-07-01
[44] 웹사이트 [자주시보] 대한민국은 미국의 식민지인가? http://m.jajusibo.co[...] 2018-10-13
[45] 웹사이트 U.S. ‘liberators’ turned South Korea into a neo-colony – Liberation News https://www.liberati[...] 2022-07-01
[46] 웹사이트 【軍事ワールド・写真特集】朝鮮戦争での「あること」が原因 韓国軍が在韓米軍の指揮下にある理由 (1/2ページ) https://www.sankei.c[...] 2019-02-19
[47] 웹사이트 Britain is a US client state and should not forget it, says the neocons' oracle https://amp.theguard[...] 2021-07-17
[48] 웹사이트 We are now a client state https://amp.theguard[...] 2021-07-17
[49] 웹사이트 Will Hutton: Don't sell out to Uncle Sam http://www.theguardi[...] 2003-07-19
[50] 웹사이트 70 years of foreign troops? We should close the bases http://www.theguardi[...] 2014-01-23
[51] 웹사이트 ブッシュ大統領、「ブレア首相とはプードル以上の仲」 https://www.afpbb.co[...] 2023-01-30
[52] 웹사이트 Thanks to Brexit, America Could Now Colonize Great Britain https://observer.com[...] 2019-05-23
[53] 웹사이트 仏高官「英は米の属国」と侮蔑 大使召還で英国を無視 https://www.sankei.c[...] 2021-11-05
[54] 웹사이트 仏高官「英は米の属国になった」と侮蔑 大使召還で英国を無視 - SankeiBiz(サンケイビズ):自分を磨く経済情報サイト https://www.sankeibi[...] 2021-11-05
[55] 웹사이트 仏高官「英は米の属国」と侮蔑 潜水艦巡る大使召還で無視 | 共同通信 https://web.archive.[...] 2021-09-18
[56] 웹사이트 Lukashenko: 'You can choke on your sanctions' https://www.bbc.com/[...] 2021-08-09
[57] 웹사이트 加藤長官「全く受け入れられない」と反論 中国外務省「日本は米国の属国」発言 - SankeiBiz(サンケイビズ):自分を磨く経済情報サイト https://web.archive.[...] 2021-07-17
[58] 웹사이트 「日本は米国の顔色うかがう属国」 中国、強い不満示す: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11-05
[59] 웹사이트 中国の「属国」発言、「全く受け入れられない」…官房長官が強い不快感 : 政治 : ニュース : 読売新聞オンライン https://www.yomiuri.[...] 2021-11-05
[60] 웹사이트 加藤長官「全く受け入れられない」と反論 中国外務省の「日本は米国の属国」発言 https://www.sankei.c[...] 2021-11-05
[61] 웹사이트 日本は、自衛隊が駐留するジブチに「占領軍」のような不平等協定を強いている https://nikkan-spa.j[...] 2019-03-06
[62] 웹사이트 自衛隊派遣支える「地位協定」 ジブチの法令適用されず https://www.nikkei.c[...] 2020-01-29
[63] 웹사이트 「言論の府」体現 自衛隊派遣の「法の空白」でかみ合った議論 問題提起の山尾氏の思惑は… https://mainichi.jp/[...] 2022-03-07
[64] 웹사이트 2014年、ウクライナにアメリカの傀儡政権を樹立させたバイデンと「クッキーを配るヌーランド」(遠藤誉) - 個人 https://news.yahoo.c[...] 2022-07-03
[65] 웹사이트 România este colonie americană https://searchnewsgl[...] 2013-11-01
[66] 웹사이트 България независима държава ли е, или американска колония? – Официален блог на Костадин Костадинов https://kostadin.eu/[...] 2021-07-17
[67] 웹사이트 L'Italia è una colonia degli Stati Uniti. Lo sostiene il generale Fabio Mini - www.altreinfo.org https://www.altreinf[...] 2021-07-17
[68] 웹사이트 – Norge er som en koloni! https://arkiv.klasse[...] 2021-07-17
[69] 웹사이트 Africa’s client states https://newafricanma[...] 2018-06-01
[70] 웹사이트 Deutschland, Kolonie der USA – Die Weichen wurden in der unmittelbaren Nachkriegszeit gestellt https://www.westendv[...] 2018-04-12
[71] 웹사이트 Australia's role as dutiful US client state https://antonyloewen[...] 2021-07-17
[72] 웹사이트 Ronald Lasecki: Polska jest kolonią USA https://www.salon24.[...] 2021-07-17
[73] 웹사이트 ポーランド首相、駐留米兵の増員を希望 駐独米軍の削減報道受け https://www.afpbb.co[...] 2021-11-05
[74] 웹사이트 Z Česka udělal kolonii USA. Vedení KSČM podpořilo Filipův útok na Petříčka https://www.idnes.cz[...] 2021-07-17
[75] 뉴스 Iceland Guards Its Character Behind a Shield Of U.S. Sentinels https://www.washingt[...] 2021-07-17
[76] 웹사이트 – Sverige är en klientstat till USA http://flamman.se/a/[...] 2021-07-17
[77] 백과사전 종속국 http://100.nav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