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록 9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틀록 9인은 1957년 아칸소주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의 인종 차별 정책에 반대하며 등교를 시도한 9명의 흑인 학생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1954년 연방 대법원의 공립학교 흑백 분리 정책 폐지 판결 이후에도 지속된 인종차별에 맞서 학교 통합을 요구했다. 오벌 포버스 주지사의 방해와 백인 학생들의 폭력, 위협 속에서도 리틀록 9인은 학교를 다니며 인종 차별에 저항했고, 이는 미국 민권 운동의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이 사건은 미국의 외교 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냉전 시대 미국의 국제적 위상을 흔들기도 했다. 리틀록 9인의 용기는 의회 금메달 수여, 기념 주화 발행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려지고 있으며,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는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틀록 - 아메리칸 항공 1420편 활주로 이탈 사고
아메리칸 항공 1420편 활주로 이탈 사고는 2000년 6월 1일 악천후 속에서 착륙 중 MD-82기가 활주로를 이탈하여 11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부상자를 낸 사고이며, 미국 교통안전위원회는 조종사의 피로, 악천후, 스포일러 미전개를 사고 원인으로 지목했다. - 아칸소주의 역사 - 다마스커스 타이탄 유도탄 폭발사건
다마스커스 타이탄 유도탄 폭발사건은 1980년 미국 아칸소주 다마스커스 타이탄 II 미사일 기지에서 유도탄 연료 누출 및 폭발로 발생, 사일로와 주변 시설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사망자와 부상자를 발생시켰으며, 핵탄두는 폭발하지 않았으나 미사일 발사 단지가 파괴되어 국립 사적지로 지정된 사고이다. - 아칸소주의 역사 - 엘도라도 제인 도
엘도라도 제인 도는 1997년 캘리포니아 엘도라도 국유림에서 발견된 신원 미상의 여성 시신으로, 2019년 족보 DNA 검사를 통해 켈리라는 이름으로 밝혀졌으며, 1963년 사업가 제임스 맥알핀에 의해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 1957년 9월 - 195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195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가 이끄는 기민/기사련은 50.2%의 득표율로 전후 독일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단독으로 과반수를 차지하며 정권 재창출에 성공, 전후 독일 정치의 3당 체제가 확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 1957년 9월 - 키시팀 사고
키시팀 사고는 1957년 소련 마야크 핵 연료 재처리 시설에서 냉각 시스템 고장으로 액체 방사성 폐기물 탱크가 폭발하며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어 주변 지역을 오염시킨 국제원자력사고등급 레벨 6의 방사능 누출 사고이다.
| 리틀록 9인 | |
|---|---|
| 개요 | |
![]() | |
| 위치 |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 리틀록, 아칸소주 |
| 날짜 | 1957년 |
| 관련 | 미국 흑인 민권 운동 |
| 원인 | |
| 원인 | 인종 차별 학교 통합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사건 (1954) |
| 교전 세력 | |
| 지지 세력 1 | 전미 유색인종 발전 협회 (NAACP) 리틀록 9인 아칸소 방위군 (9월 23일부터) 제101 공수사단 |
| 지지 세력 2 | 아칸소주 아칸소 주지사 아칸소 방위군 (9월 23일까지) |
| 주요 인물 | |
| 지지 세력 1 주요 인물 | NAACP 회원 데이지 베이츠 리틀록 9인 멜바 패틸로 빌스 미니진 브라운 트리키 엘리자베스 엑크포드 어니스트 그린 글로리아 레이 칼마크 칼로타 월스 래니어 델마 마더셰드 웨어 테렌스 로버츠 제퍼슨 토마스 |
| 지지 세력 2 주요 인물 | 아칸소주 오벌 파버스, 주지사 |
| 결과 | |
| 결과 | 쿠퍼 대 에런 사건 (1958) |
| 사건 상세 | |
| 설명 | 리틀록 9인은 1957년 아칸소주 리틀록의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에 입학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들이다. 학생들의 입학은 중요한 시험대였다.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사건 이후 미국 내 학교들의 인종 분리 정책이 철폐된 후 벌어진 사건이기 때문이다. |
| 관련 법규 | |
| 관련 법규 | 행정명령 10730호 |
2. 시대적 배경
1863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노예 해방 선언과 1865년 수정헌법 13조에 의한 노예제 폐지에도 불구하고, 미국 사회에는 여전히 흑인에 대한 차별이 만연했다.[55] 1866년 테네시주 펄레스키에서 결성된 백인 우월주의 단체 KKK는 흑인의 정치 참여를 방해하고 권익을 빼앗기 위해 폭력을 행사했다.[56]
1954년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재판 판결은 공립학교의 흑백 인종 분리 정책을 철폐했지만,[57] 실제로는 큰 개선이 없었다. 리틀록 9인의 사례는 이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1956년, 오벌 포버스 아칸소 주지사는 대법원의 판결을 따르겠다고 밝혔으나, 통합에 반대하는 남부 민주당의 압력으로 인해 정치적 지지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7]
아칸소 가제트의 편집인 해리 애시모어는 이 사건을 포버스 주지사가 조작한 위기로 묘사하며, 주 방위군을 동원해 흑인 학생들의 등교를 막았다고 비판했다. 이 사건으로 애시모어는 1958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9]
1954년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사건 판결로 공립학교에서의 백인과 흑인의 분리 교육이 위헌으로 판결났다.[45] 아칸소 주는 인종 편견이 강한 미국 남부 중에서 차별 철폐에 가장 적극적인 주였지만, 1957년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의 통합 교육이 결정되자, 당시 아칸소 주 지사였던 Orval Faubus|오벌 포버스영어는 주 방위군을 학교에 보내 흑인 학생의 등교를 저지했다.
| 날짜 | 사건 |
|---|---|
| 1954년 5월 17일 | 브라운 판결에 의해 분리 교육이 위헌으로 판결됨. |
| 1954년 5월 23일 | 리틀록 학교 위원회가 분리 교육 철폐를 선언. |
| 1955년 | 학교 위원회, 1957년부터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의 분리 철폐 결정. (같은 주에서는 1949년에 대학교 1곳, 1951년에 도서관 1관, 1955년에 공공 버스에서의 인종 분리가 철폐됨). |
| 1957년 봄 |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 통학 범위 내에 사는 517명의 흑인 학생 중, 80명이 전학을 희망했지만, 위원회에 의해 17명으로 압축되어, 최종적으로 9명이 됨. 이 9명은 시민권 운동의 상징으로서 "#리틀록의 9인"이라고 불리게 됨. |
| 1957년 8월 | 센트럴 고등학교의 어머니회가 급히 조직되어, 폭동이 예측된다며 통합 교육을 저지하는 요청서를 연방 지방 법원에 제출했지만, 판사에 의해 기각됨. |
| 1957년 9월 2일 | 폭동이 예측된다는 명목으로, 흑인 학생의 등교를 막기 위해 포버스 주지사가 주 방위군에게 명령을 내림. |
| 1957년 9월 3일 | 연방 지방 법원 판사로부터 4일부터 수업을 시작하라는 명령이 내려짐. |
| 1957년 9월 4일 | 주지사의 명령을 받은 100명의 주 방위군이 고등학교에 배치됨. 시민 약 400명도 모여, 9명의 흑인에게 욕설을 퍼붓는 등 입학을 저지함. 한 명은 린치를 당했지만 미수로 끝남. |
| 1957년 9월 20일 | 경찰 출동. |
| 1957년 9월 23일 | 1000명의 백인이 고등학교를 에워싸자, 흑인 학생은 뒷문으로 등교. 이를 알게 된 군중이 폭도화되자, 흑인 학생은 퇴거. 같은 날 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연방법을 따르도록 성명 발표. |
| 1957년 9월 24일 | 시장 우드로 윌슨 만이 대통령에게 군대 파견 요청. 승인됨. |
| 1957년 9월 25일 | 파견된 육군 제101공수사단 부대의 보호를 받으며 흑인 학생 등교. |
| 1957년 12월 | 흑인 학생 중 한 명(미니진 브라운)이 괴롭힘에 대항하여 반격하자, 정학 처분을 받고, 나중에 퇴학당함. 교내에는 백인 학생에 의해 "한 명 탈락. 이제 8명(One down, Eight to go)"이라는 벽보가 붙여짐. |
| 1958년 5월 27일 | 흑인 학생 중 한 명(제퍼슨 토마스)이 졸업. |
| 1958년 9월 | 포버스 주지사가 리틀록의 통합 교육 지정 고등학교 3곳을 폐쇄. |
| 1972년 | 리틀록의 모든 고등학교에서 통합 교육이 실시됨.[46] |
1954년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재판 판결로 공립학교에서 백인과 흑인을 분리하여 교육하는 것은 위헌으로 판결났다.[45] 이에 따라 각 지역에서는 백인과 흑인이 함께 학교에 다니는 통합 교육이 추진되었다.
3.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 통합 과정
아칸소 주는 인종 편견이 강한 미국 남부 지역 중에서도 차별 철폐에 비교적 적극적인 주였다. 그러나 1957년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의 통합 교육이 결정되자, 당시 아칸소 주지사였던 Orval Faubus|오벌 포버스영어는 주 방위군을 학교에 보내 흑인 학생들의 등교를 막았다. 통합 교육에 반대하는 지역 백인들도 대규모 군중을 이루어 학교를 에워싸고 흑인 학생들의 등교를 반대했다.
버질 블라섬 교육감은 리틀록의 학교 인종 차별을 폐지하기 위한 초기 계획을 세웠으나, 이는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의 반대와 학교 위원회의 수정으로 인해 원래의 취지에서 벗어났다.[4][5][6] 변경된 블라섬 계획은 게리맨더링을 통해 흑인 학생들을 호레이스 만 고등학교에, 백인 학생들을 홀 고등학교에 배치하여 인종 차별 폐지의 효과를 제한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6]
리틀록 시장 우드로 윌슨 만은 포버스 지사에게 법을 준수할 것을 권고했지만 거부당했다. 결국 만 시장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군대 파견을 요청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처음에는 주 정부의 권한에 개입하는 데 따른 정치적 문제를 고려하여 사태를 관망했다. 그러나 소동이 텔레비전으로 대대적으로 보도되어 국내외적으로 큰 주목을 받게 되자, 시장의 요청에 따라 육군 제101공수사단을 리틀록에 파견했다.
1957년 9월 4일, 오벌 포버스 주지사는 아칸소 주 방위군을 동원하여 흑인 학생들의 센트럴 고등학교 등교를 막았다.[11] 이는 전국적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엘리자베스 엑포드는 당시 상황에 대해 "그들은 점점 더 가까이 다가왔다. ... 누군가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 나는 군중 속에서 친절한 얼굴, 어쩌면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으려고 했다. 나는 한 노인의 얼굴을 바라보았고 친절해 보였지만, 다시 쳐다보자 그녀는 내게 침을 뱉었다."라고 회상했다.[11]
우드로 윌슨 만 리틀록 시장의 요청으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1957년 9월 24일, 제101공수사단을 리틀록에 파견하여 흑인 학생들의 등교를 보호하고 통합을 강제했다.[13] 1957년 9월 25일, 연방군과의 충돌로 두 명의 인종 차별주의자가 부상을 입는 등 갈등이 발생했지만,[14] 결국 흑인 학생들은 등교에 성공했다.
1959년, 재즈 음악가 찰스 밍거스는 이 사건을 풍자하는 곡 『Fables of Faubus|포버스 지사의 우화영어』를 발표하여, 가사에서 포버스 지사와 아이젠하워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포버스 지사는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받아 1967년 퇴임할 때까지 12년간 지사직을 역임했다. 리틀록의 모든 고등학교에서 통합 교육이 실시된 것은 1972년이다.[46]
다음은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 통합 과정의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표이다.날짜 사건 1954년 5월 17일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재판에서 분리 교육 위헌 판결 1954년 5월 23일 리틀록 학교 위원회, 분리 교육 철폐 선언 1955년 학교 위원회, 1957년부터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의 분리 철폐 결정 1957년 봄 흑인 학생 9명(#리틀록의 9인) 전학 결정 1957년 8월 센트럴 고등학교 어머니회, 통합 저지 요청서 제출 (기각) 1957년 9월 2일 포버스 주지사, 주 방위군에 흑인 학생 등교 저지 명령 1957년 9월 4일 주 방위군, 흑인 학생 등교 저지 1957년 9월 20일 경찰 출동 1957년 9월 23일 흑인 학생, 뒷문으로 등교 후 퇴거 1957년 9월 24일 시장, 대통령에게 군대 파견 요청 (승인) 1957년 9월 25일 제101공수사단 보호 하에 흑인 학생 등교 1957년 12월 흑인 학생 미니진 브라운, 괴롭힘에 반격 후 퇴학 1958년 5월 27일 흑인 학생 제퍼슨 토마스 졸업 1958년 9월 포버스 주지사, 리틀록의 통합 교육 지정 고등학교 3곳 폐쇄 1972년 리틀록의 모든 고등학교에서 통합 교육 실시[46]
3. 1. 학교 내 갈등과 "잃어버린 해"
1957년 9월 말, 제101공수사단과 아칸소 주 방위군의 보호를 받으며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에 입학한 리틀록 9인은 1년 동안 백인 학생들로부터 신체적, 언어적 폭력을 겪었다.[15] 멜바 패틸로 빌스는 눈에 산성 물질 테러를 당했고,[15] 백인 소녀들이 여자 화장실 칸에 가두고 위에서 불타는 종이를 떨어뜨려 불태우려 했다. 미니진 브라운은 학교 식당에서 백인 남학생들에게 조롱을 받자 칠리 한 그릇을 쏟아 6일간 정학당했고, 2개월 후 더 많은 대립 끝에 남은 학년 동안 정학당했다.[2] 그녀는 뉴욕 뉴 링컨 학교로 전학했다.[2]
1958년, 오벌 포버스 주지사는 리틀록 공립 고등학교의 인종 차별 폐지를 연기하기 위해 연방 지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18] 쿠퍼 대 에런 사건에서 리틀록 교육구는 오벌 포버스의 지도 아래 흑인 학생이 1961년 1월에만 공립 고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2년 반의 인종 차별 폐지 연기를 위해 싸웠다.[19] 1958년 8월, 연방 법원은 인종 차별 폐지 연기에 반대하는 판결을 내렸고, 이에 포버스는 8월 26일에 주 의회를 소집하여 인종 차별 법안을 제정했다.[20]
1958년 9월, 포버스는 모든 공립 고등학교를 폐쇄하는 법안에 서명했다.[21] 9월 15일, 포버스는 4개의 모든 공립 고등학교의 폐쇄를 명령하여 흑인과 백인 학생 모두 학교에 다니는 것을 막았다.[22] 9월 27일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포버스는 승리했다. 이 해는 "잃어버린 해"로 알려지게 되었다.
포버스의 승리는 리틀록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결과로 이어졌다. 리틀록의 흑인 사회는 증오 범죄의 대상이 되었고,[25] 데이지 베이츠는 주요 희생자였다.[26] 도시의 교사들은 포버스의 법안에 충성을 맹세해야 했다.
1959년 5월, 네 개의 고등학교에서 44명의 교사와 행정 직원이 해고된 후, 세 명의 인종 차별주의자 이사들은 세 명의 온건파로 교체되었다. 새로운 이사들은 44명의 직원을 복귀시켰고,[28] 학교를 다시 열려고 시도했다. 공립 고등학교는 1959년 8월 12일에 개교했다.[28]
고등학교로 돌아온 흑인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흑인 학생들은 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폭도들을 통과해야 했고, 학교 안에서는 신체적, 정서적 학대를 받았다.[29]
4. 리틀록 9인
'''리틀록 9인'''(Little Rock Nine)은 1957년 미국 아칸소주 리틀록에서 백인 전용 센트럴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인종 통합을 시도한 9명의 흑인 학생들을 말한다. 이들은 인종 차별에 맞서 싸운 용기와 헌신으로 미국 민권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이 되었다.
1954년 브라운 판결에 의해 분리 교육이 위헌으로 판결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남부 지역에서는 흑백 분리 교육이 시행되고 있었다. 리틀록 교육 위원회는 1957년부터 센트럴 고등학교의 분리 교육을 철폐하기로 결정했지만, 이에 반대하는 백인들의 거센 저항에 직면했다.
1957년 봄, 센트럴 고등학교 통학 범위 내에 거주하는 517명의 흑인 학생 중 80명이 전학을 희망했지만, 위원회는 이들을 17명으로 압축했고, 최종적으로 9명이 선발되었다. 이들은 시민권 운동의 상징으로서 "리틀록 9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57년 9월, 오벌 포버스 아칸소 주지사는 흑인 학생들의 등교를 막기 위해 주 방위군을 동원했다. 이에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연방군을 파견하여 흑인 학생들의 등교를 보호하고, 학교 내 인종 통합을 강제했다.
리틀록 9인은 등교 과정에서 백인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로부터 심한 괴롭힘과 폭력 위협을 겪었다. 하지만 이들은 굴하지 않고 학교에 계속 다녔으며, 1958년 어니스트 그린이 센트럴 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최초의 흑인 졸업생이 되었다.
리틀록 9인의 용기와 투쟁은 미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민권 운동을 가속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의 이야기는 여러 영화와 책으로 제작되었으며, 1999년에는 빌 클린턴 대통령으로부터 의회 금메달을 받았다.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는 여전히 리틀록 교육구의 일부로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는 1957년의 사건들을 기념하기 위해 시민권 운동 박물관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 사적지로, 국립공원관리청과 협력하여 관리되고 있다.[30] 당시 아칸소 NAACP 회장이자 학생들의 초점이었던 데이지 베이츠의 집인 데이지 베이츠 하우스는 이 사건에 기여한 공로로 2001년에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다.[31]



4. 1. 리틀록 9인 명단
다음은 리틀록 9인에 속하는 학생들의 명단이다.- 어니스트 그린(Ernest Green, 1941년~): 1958년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한 최초의 흑인 졸업생이다.[58] 졸업 후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서 학사 및 대학원 학위를 받았다.[59]
- 엘리자베스 에크포드(Elizabeth Eckford): 등교 첫날, 군중들로부터 위협을 받았으며, 한 노부인이 그녀에게 침을 뱉기도 했다.[11]
- 제퍼슨 토마스(Jefferson Thomas): 1958년 5월 27일,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를 졸업했다.[46] 2010년 9월 5일, 67세로 사망했다.[47][48][49]
- 테렌스 로버츠(Terrence Roberts)
- 칼로타 월스 라니어(Carlotta Walls LaNier)
- 미니진 브라운 트리키(Minnijean Brown Trickey): 백인 학생들의 괴롭힘에 반격하여 정학 및 퇴학 처분을 받았다.[46][50]
- 글로리아 레이 칼마크(Gloria Ray Karlmark)
- 멜바 패틸로 빌스(Melba Pattillo Beals)
- 델마 마더셰드 웨어(Thelma Mothershed Wair)
4. 2. 어니스트 그린의 졸업
어니스트 그린(Ernest Green, 1941년~)은 1957년 아칸소주 리틀록의 백인 학생만 다니던 센트럴 고등학교에 지원하여, 일 년 동안 인권 투쟁을 벌였다. 1958년, 그는 센트럴 고등학교를 졸업한 최초의 흑인 학생이 되었다. 당시 인종차별이 만연했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어니스트의 졸업은 흑인 인권과 자존심을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졸업식 날, 센트럴 고등학교 교장은 어니스트에게 그가 다칠 수 있다는 소문을 이유로 졸업식에 참석하지 말고 집에서 졸업장을 우편으로 받으라고 제안했지만, 어니스트는 이를 거절했다.[58]5. 유적지와 유산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는 1957년의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미국의 국립사적지로 지정되었다.[60] 이 학교는 여전히 리틀록 교육구의 일부로 운영되고 있으며, 시민권 운동 박물관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 사적지로서 국립공원관리청과 협력하여 관리되고 있다.[30] 당시 아칸소 NAACP 회장이자 학생들의 초점이었던 데이지 베이츠의 집인 데이지 베이츠 하우스는 이 사건에 기여한 공로로 2001년에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다.[31]
이 사건을 바탕으로 1981년 CBS의 '센트럴 고교에서의 위기(Crisis at Central High)'[61]와 1993년 디즈니 채널의 '어니스트 그린 이야기(The Ernest Green Story)'[62] 두 편의 텔레비전 영화가 만들어졌다. 멜바 패틸로 빌스는 1994년에 자서전 ''전사들은 울지 않는다''를 썼다. 1958년, 쿠바 시인 니콜라스 기옌은 미국의 인종 차별을 비판하는 영어와 스페인어로 된 이중 언어 시 "리틀록"을 발표했다.[32]
1996년, '리틀록 9인' 중 7명이 ''오프라 윈프리 쇼''에 출연했다.[63] 1999년 2월, 리틀록 9인 재단이 설립되었으며,[35] 2013년까지 60명의 대학생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장학금 프로그램을 설립했다.[36] 빌 클린턴 대통령은 1999년 11월 리틀록 9인에게 각각 의회 금메달을 수여했다.[37]
2007년, 미국 조폐국은 리틀록 9인을 기념하는 은 주화를 발행했다.[64] 2008년 12월 9일, 리틀록 9인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취임식에 초청되었다.[65] 2010년 2월 9일, 마켓 대학교는 리틀록 9인에게 '마케트 발견상(Pere Marquette Discovery Award)'을 수여 했다.[66]
5. 1. 국제 관계에 미친 영향
리틀록 사태는 냉전 시기에 발생하여 미국의 외교 관계와 국제적 평판에 큰 영향을 미쳤다.[41]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미국 연방 정부는 이 사태에 대응하면서 미국에 대한 세계의 인식을 가장 우려했다.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이 상황이 우리의 외교 정책을 망치고 있다"고 말하며 그 세계적인 영향을 특히 인식했다.[41]미국 법무부 보고서는 인종 차별이 미국의 외교 관계, 특히 제3세계 국가들과의 관계에 해를 끼친다는 점을 강조했다.[42] 미국은 15개 언어로 번역된 ''미국인의 삶 속의 흑인''이라는 소책자를 배포하여 전 세계적인 수치심을 되돌리고, 미국 민주주의의 진전을 보여주려 했다.[42]
이러한 외교적 문제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제101공수사단을 투입하고 주 방위군을 연방군으로 전환하는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43]
참조
[1]
court
https://www.law.corn[...]
1954
[2]
웹사이트
Little Rock Central High 40th Anniversary
http://www.centralhi[...]
[3]
웹사이트
Our Documents – Executive Order 10730: Desegregation of Central High School (1957)
https://www.ourdocum[...]
2021-04-09
[4]
간행물
Politics and Law in the Little Rock Crisis, 1954–1957
The Arkansas Historical Quarterly
2007
[5]
간행물
Politics and Law in the Little Rock Crisis, 1954–1957
The Arkansas Historical Quarterly
2007
[6]
간행물
The Little Rock Crisis and Postwar Black Activism in Arkansas
The Arkansas Historical Quarterly
2007
[7]
뉴스
Showdown over Segregation
https://www.washingt[...]
2015-05-06
[8]
뉴스
Racist 'Justice' is dead, but not gone
http://www.salon.com[...]
2014-10-05
[9]
웹사이트
The Pulitzer Prize Winners 1958
http://www.pulitzer.[...]
the Pulitzer Board
2011-09-07
[10]
서적
Profiles in Hue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5-05-06
[11]
뉴스
Little Rock Nine paved the way
http://connection.eb[...]
2009-03-04
[12]
잡지
Retreat from Newport
http://www.time.com/[...]
1957-09-23
[13]
서적
Eisenhower in War and Peace
Random House
[14]
뉴스
'Little Rock Nine': 60 Years Ago, Troops With Bayonets Had To Escort Black Teens To School
https://patch.com/ar[...]
2024-05-18
[15]
웹사이트
Melba Pattillo Beals
http://www.teachersd[...]
WGBH Educational Foundation
2008-02-02
[16]
뉴스
One Girl's Little Rock Story
1958-06-24
[17]
학술 논문
Easing a Country's Conscience: Little Rock's Central High School in Film
https://www.questia.[...]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2020-06-10
[18]
문서
The Long Shadow of Little Rock: A Memoir
David McKay
1962
[19]
학술 논문
Empty Classrooms, Empty Hearts: Little Rock Secondary Teachers, 1958–1959
The Arkansas Historical Quarterly
1997
[20]
문서
The Long Shadow of Little Rock: A Memoir
David McKay
1962
[21]
문서
The Long Shadow of Little Rock: A Memoir
David McKay
1962
[22]
학술 논문
Empty Hearts: Little Rock Secondary Teachers, 1958–1959
The Arkansas Historical Quarterly
1997
[23]
학술 논문
Empty Hearts: Little Rock Secondary Teachers, 1958–1959
The Arkansas Historical Quarterly
1997
[24]
뉴스
Little Rock's 'Lost Class' of 1959 recalls turbulent year
https://www.arkansas[...]
2021-03-05
[25]
문서
The Long Shadow of Little Rock: A Memoir
David McKay
1962
[26]
서적
The Long Shadow of Little Rock: A Memoir
https://archive.org/[...]
David McKay
1962
[27]
학술 논문
Empty Hearts: Little Rock Secondary Teachers, 1958–1959
The Arkansas Historical Quarterly
1997
[28]
학술 논문
Empty Hearts: Little Rock Secondary Teachers, 1958–1959
The Arkansas Historical Quarterly
1997
[29]
문서
The Long Shadow of Little Rock: A Memoir
David McKay
1962
[30]
웹사이트
Little Rock Central High School, National Historic Site.
http://www.nps.gov/c[...]
United States National Park Service
[31]
웹사이트
NHL nomination for Daisy Bates House
"{{NHLS url|id=01000[...]
National Park Service
2014-10-27
[32]
서적
Man-making words: selected poems of Nicolás Guillén
https://books.google[...]
Univ of Massachusetts Press
2011-09-07
[33]
웹사이트
Magnolia Mobil Gas Station
https://www.nps.gov/[...]
2023-01-31
[34]
웹사이트
To Form A More Perfect Union Commemorative Stamps Publicity Kit
https://about.usps.c[...]
2023-01-31
[35]
웹사이트
History
https://littlerock9.[...]
2018-07-28
[36]
뉴스
The Little Rock Nine: Paying it forward
https://www.arktimes[...]
2018-07-28
[37]
웹사이트
Little Rock Nine
https://www.npr.org/[...]
1999-11-09
[38]
서적
The 2005 Commemorative Stamp Yearbook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39]
뉴스
We've Completed Our Mission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09-12-13
[40]
간행물
HII Authenticates Keel Of Virginia-class Attack Submarine Arkansas (SSN 800)
https://hii.com/news[...]
Huntington Ingalls Industries
2022-11-19
[41]
논문
The Little Rock Crisis and Foreign Affairs: Race, Resistance and the Image of American Democracy
1997
[42]
논문
Brown as a Cold War Case
2004
[43]
서적
Eisenhower in War and Peace
Random House
2012
[44]
간행물
The Little Rock Nine
http://www.crmvet.or[...]
Civil Rights Movement Veterans
[45]
간행물
Brown v. Topeka Board of Education
http://www.law.corne[...]
Cornell
[46]
웹사이트
Central High School integrated
http://www.history.c[...]
[47]
뉴스
米公民権運動の英雄死去 ジェファソン・トーマス氏
http://www.47news.jp[...]
47 NEWS
2010-09-07
[48]
웹사이트
'Little Rock Nine' member Jefferson Thomas dead at 67
https://edition.cnn.[...]
CNN
2010-09-06
[49]
뉴스
Jefferson Thomas, Who Helped Integrate Little Rock School, Dies at 67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10-09-06
[50]
간행물
Minnijean Brown Trickey
http://www.america.g[...]
America.gov
[51]
웹사이트
"니틀록 나인"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http://timeline.brit[...]
[52]
웹사이트
Jefferson Thomas, Who Helped Integrate Little Rock School, Dies at 67
http://www.nytimes.c[...]
[53]
웹사이트
Little Rock, 1957: An Overview
http://tv.nytimes.co[...]
[54]
웹인용
어니스트 그린 전기
http://www.thehistor[...]
2012-04-25
[55]
서적
21세기 먼나라 이웃나라 제11권 미국2
김영사
2004
[56]
서적
21세기 먼나라 이웃나라 제11권 미국
김영사
2004
[57]
웹사이트
리틀록의 나인
http://blog.chosun.c[...]
[58]
웹인용
Ernest Green
http://www.america.g[...]
2009-04-18
[59]
웹인용
Ernest Green Biography
http://www.thehistor[...]
2012-04-25
[60]
웹사이트
(영어)미국 국립 공원 관리청
http://www.nps.gov/c[...]
[61]
웹사이트
(영어)영화'Crisis at Central High'소개
http://www.answers.c[...]
[62]
웹사이트
(영어)영화'The Ernest Green Story'소개
http://www.answers.c[...]
[63]
웹사이트
오프라원프리쇼 기사
http://www.oprah.com[...]
[64]
웹사이트
(영어)리틀록 나인 기념 주화
http://www.usmint.go[...]
[65]
뉴스
경향신문 흑백 통합의 상징‘리틀록 나인’오바마 취임식 초청
http://news.khan.co.[...]
[66]
웹사이트
(영어) 리틀록 나인 마르케트 발견상 수상
http://www.marquet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