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스커스 타이탄 유도탄 폭발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마스커스 타이탄 유도탄 폭발사건은 1980년 9월 19일 미국 아칸소주 밴 뷰런 군에서 발생한 타이탄 II 유도탄 발사 기지 폭발 사고이다. 정비 중 떨어진 소켓이 유도탄 연료 탱크를 손상시켜 연료가 누출되었고, 이로 인해 발생한 폭발로 인해 핵탄두가 장착된 미사일이 사일로 밖으로 튕겨져 나왔다. 다행히 핵탄두는 폭발하지 않았지만, 이 사고로 인해 21명이 부상을 입고, 공군 병사 데이비드 리빙스턴이 사망했다. 사고 이후 발사 기지는 폐쇄되었으며, 2000년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이 사건은 여러 매체를 통해 다루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칸소주의 역사 - 리틀록 9인
리틀록 9인은 1957년 아칸소주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에 입학한 9명의 흑인 학생들로, 심각한 인종차별과 괴롭힘 속에서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한 투쟁을 벌여 미국 시민권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아칸소주의 역사 - 엘도라도 제인 도
엘도라도 제인 도는 1997년 캘리포니아 엘도라도 국유림에서 발견된 신원 미상의 여성 시신으로, 2019년 족보 DNA 검사를 통해 켈리라는 이름으로 밝혀졌으며, 1963년 사업가 제임스 맥알핀에 의해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 미국의 원자력 사고 -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1979년 3월 28일 발생한 사고로, 냉각수 공급 중단으로 노심이 녹아내리고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어 미국의 원자력 산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원자력 사고 - 핸퍼드 사이트
핸퍼드 사이트는 워싱턴주에 위치한 핵 시설 부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플루토늄 생산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미국 최대의 핵 폐기물 처리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 1980년 9월 - 1980년 AFC 아시안컵
1980년 AFC 아시안컵은 쿠웨이트에서 10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어 쿠웨이트가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 대한민국은 준우승, 이란은 3위를 차지했다. - 1980년 9월 - 1980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
1980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는 니컬러스 로그의 《배드 타이밍》이 관객상을 받았으며, 《나쁜 타이밍》, 《지휘자》, 《데스 워치》 등 다양한 영화들이 여러 섹션을 통해 상영되었다.
다마스커스 타이탄 유도탄 폭발사건 | |
---|---|
사건 개요 | |
사건명 | 다마스커스 타이탄 유도탄 폭발사건 (The Damascus Titan missile explosion) |
발생일 | 1980년 9월 19일 |
발생 시간 | 오전 3시 00분 |
발생 위치 | 미국 아칸소 다마스커스 시 인근 374-7 유도탄 사일로 |
좌표 | 35°24′5″N 92°23′5″W |
원인 | 정비 중 사고 |
결과 | 유도탄 사일로 파괴, W53 핵탄두 회수 |
피해 | |
사망자 | 1명 |
부상자 | 21명 |
관련 정보 | |
미사일 종류 | 타이탄 II |
핵탄두 종류 | W53 |
참고 자료 | "Command and Control: Nuclear Weapons, the Damascus Accident, and the Illusion of Safety" (에릭 슐로서) Titan II Missile Explosion (1980) – Encyclopedia of Arkansas |
뉴스 인용 | Chicago Tribune, Missile silo blast probed (1980년 9월 20일) St. Petersburg Times, Missile silo blast kills 1, hurts 21; no radiation leak (1980년 9월 20일) |
2. 발사 기지
발사 기지 374-7은 밴 뷰런 군의 농지인 브래들리 타운십에 위치해 있었으며, 다마스쿠스에서 북북동쪽으로 약 약 5.31km (5.3km) 떨어진 곳에 있었고, 리틀록에서 북쪽으로 약 약 80.47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
1980년 9월 18일 오후 6시 30분경, 리틀록 공군기지 제374-7발사단지에서 타이탄 II 유도탄 정비 중 사고가 발생했다. 추진제교환체계(PTS) 팀 소속 공군 병사 두 명이 산화제 탱크 압력을 점검하던 중, 실수로 무게 3.6kg의 소켓을 떨어뜨렸다. 약 24m 아래로 떨어진 소켓은 유도탄의 1단 연료탱크 외피를 파손시켜 에어로진 50 연료가 누출되기 시작했다.
전략 공군 사령부 시설인 리틀록 공군 기지는 폭발 당시 308 전략 미사일 비행단 (308th SMW)의 지휘를 받는 18개의 사일로 중 하나였으며, 특히 374 전략 미사일 비행대대(374th SMS) 내의 9개 사일로 중 하나였다.
3. 사고 상세
에어로진 50은 접촉점화성 추진제로, 유도탄 1단 상부에 저장된 산화제(사산화 이질소)와 접촉하면 즉시 폭발하는 매우 위험한 물질이었다. 게다가 유도탄 2단에는 9메가톤급 B53 핵폭탄이 장착된 탄두가 탑재되어 있어 심각한 위험 상황이었다. 사고 발생 후 발사단지 직원들과 PTS 팀은 즉시 대피했으며, 군 및 민간 대응팀이 현장에 도착하여 상황 수습을 시도했다. 가장 큰 우려는 연료 누출로 약해진 1단 연료 탱크가 붕괴하여 산화제와 연료가 접촉하는 것이었다.
다음 날인 9월 19일 새벽, 사일로 내부 조사를 위해 투입되었던 PTS 팀원 두 명은 공기가 폭발 위험 상태임을 감지하고 철수하려 했다. 그러나 환기 장치를 작동시키라는 명령에 따라 공군상병 데이비드 리빙스턴(David Livingston)이 다시 사일로로 들어간 직후인 오전 3시 정각, 누출된 연료 증기가 폭발했다.
폭발의 위력으로 무게 740톤의 사일로 방폭문이 날아가고, 핵탄두를 탑재한 2단 로켓이 사일로 밖으로 튕겨 나갔다. 2단 로켓은 공중에서 폭발했지만, 분리된 핵탄두는 다행히 안전 장치가 작동하여 핵폭발이나 방사능 누출 없이 발사단지 입구 근처에 낙하했다.
이 사고로 데이비드 리빙스턴 상병을 포함한 21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리빙스턴 상병은 병원에서 치료 중 사망하여 병장으로 추서되었다.[21][22] 발사단지는 폭발로 완전히 파괴되었다.[21] 공군은 날이 밝은 후 핵탄두를 회수했으며,[23][24] 사고가 발생한 제374-7발사단지는 폐쇄 및 해체되어 부지는 민간에 매각되었다.[25] 이 부지는 2000년 미국 국립사적지로 지정되었다.
3. 1. 사고 발생
1980년 9월 18일 목요일 오후 6시 30분경(CDT), 아칸소주 리틀록 AFB의 제374-7발사단지에서 추진제교환체계(PTS) 팀 소속 공군 정비병 두 명이 타이탄 II 미사일의 산화제 탱크 압력을 점검하고 있었다.[5] 이 발사단지는 전략 공군 사령부 시설로, 당시 308 전략 미사일 비행단(308th SMW) 예하 374 전략 미사일 비행대대(374th SMS) 소속 9개 사일로 중 하나였다. 위치는 아칸소주 밴 뷰런 군 브래들리 타운십 농지로, 다마스쿠스에서 북북동쪽으로 약 약 5.31km, 리틀록에서는 북쪽으로 약 약 80.47km 떨어진 곳이었다.
정비병 중 한 명인 데이비드 P. 파웰(David P. Powell) 이병은 규정상 사용해야 하는 토크 렌치 대신, 약 0.91m 길이의 약 11.34kg 무게 래칫 렌치를 가지고 사일로에 들어갔다.[5] 파웰은 나중에 안전복을 입고 지하로 내려간 뒤에야 렌치를 잘못 가져온 것을 알았지만, 다시 올라가 바꾸는 대신 작업을 강행했다고 진술했다.[5] 작업 도중 실수로 약 3.63kg 무게의 소켓이 래칫에서 빠져 약 약 24.38m 아래로 떨어졌다. 소켓은 추력 마운트에 부딪힌 후 튕겨 나와 미사일 1단계 연료 탱크 외피를 뚫었다.[5]
이 파손으로 인해 미사일의 에어로진 50 연료가 누출되기 시작했다. 에어로진 50은 접촉점화성 추진제로, 타이탄 II의 산화제인 사산화 이질소와 접촉하면 즉시 발화하는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사산화 이질소는 미사일 1단계의 다른 탱크, 즉 연료 탱크 바로 위에 저장되어 있었다. 게다가 미사일 1단계 위에는 9메가톤급 W-53 핵탄두가 탑재된 2단계 로켓이 결합된 상태였다.
사고 발생 직후, 미사일 발사 통제 센터의 승무원들과 PTS 팀은 즉시 대피했다. 군 및 민간 대응팀이 현장에 도착하여 위험한 상황을 통제하려 시도했으며, 전략 공군 사령부 부사령관 로이드 R. 레빗 주니어 중장이 직접 현장 지휘를 맡았다.[6] 당시 가장 큰 우려는 연료 누출로 비어버린 1단계 연료 탱크가 미사일 상단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붕괴하는 상황이었다. 만약 탱크가 붕괴하면 그 위에 있던 산화제 탱크까지 파열되어 사산화 이질소가 누출되고, 이미 사일로 바닥에 고여 있던 에어로진 50 연료와 접촉하여 대규모 폭발과 함께 핵탄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수 있었다.
3. 2. 사고 전개 및 대응
1980년 9월 18일 목요일 오후 6시 30분경(CDT), 리틀록 AFB의 발사 기지 374-7에서 추진제 이송 시스템(PTS) 팀 소속 공군 두 명이 LGM-25C 타이탄 II 미사일의 산화제 탱크 압력을 점검하고 있었다. 작업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P. 파웰(David P. Powell) 이병은 정비 도중 실수로 무게 3.6kg의 소켓을 떨어뜨렸다. 파웰은 규정상 토크 렌치를 사용해야 했으나,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0.9m 길이의 래칫 렌치를 가져갔었다.[5] 소켓은 약 24m를 낙하하여 추력 마운트에 부딪힌 뒤 튕겨 나와 미사일 1단계 연료 탱크의 외피를 찢었다. 이로 인해 에어로진 50 연료가 누출되기 시작했다.
에어로진 50은 타이탄 II의 산화제인 사산화 이질소와 접촉하면 즉시 발화하는 초고추력성 물질이다. 사산화 이질소는 미사일 1단계의 연료 탱크 바로 위에 위치한 별도 탱크에 저장되어 있었으며, 그 위로는 2단계 로켓과 9메가톤급 W-53 핵탄두가 탑재되어 있었다.
연료 누출이 확인되자 미사일 전투 승무원과 PTS 팀은 즉시 발사 통제 센터에서 대피했으며, 군 및 민간 대응팀이 현장에 도착하여 위험한 상황을 수습하려 시도했다. 전략 공군 사령부 부사령관 로이드 R. 레빗 주니어 중장이 현장 지휘를 맡았다.[6] 가장 큰 우려는 비어가는 1단계 연료 탱크가 자체 무게나 상부 구조물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붕괴하는 상황이었다. 만약 탱크가 붕괴하면 상부의 산화제 탱크가 파열되어 누출된 연료와 접촉하면서 대규모 폭발로 이어질 수 있었다.
다음 날인 9월 19일 금요일 새벽, PTS 팀원 두 명이 사일로 내부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들어갔다. 그러나 내부 공기가 폭발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기체 분석기가 작동하여 즉시 철수하려 했다. 철수 직전, 사일로 내부 환기 장치를 가동하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공군상병 데이비드 리빙스턴(David Livingston)이 이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다시 사일로로 들어갔다.
리빙스턴이 들어간 직후인 오전 3시 정각, 사일로 내부의 연료 증기가 폭발했다. 폭발의 압력으로 무게 740톤에 달하는 사일로 방폭문이 공중으로 튕겨 나갔고, 핵탄두를 탑재한 2단계 로켓이 사일로 밖으로 발사되었다. 공중으로 솟구친 2단계 로켓은 얼마 지나지 않아 폭발했으며, 분리된 핵탄두는 발사단지 입구로부터 약 30m 떨어진 도랑에 낙하했다. 다행히 핵탄두의 여러 안전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핵폭발이나 방사능 누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 폭발로 데이비드 리빙스턴을 포함해 현장에 있던 21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리빙스턴 상병은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사망했고, 사후 병장으로 추서되었다.[21][22] 발사단지 374-7은 폭발로 인해 완전히 파괴되었다.[21] 날이 밝자 공군은 현장에서 핵탄두를 안전하게 회수하여 리틀록 공군기지로 이송했다.[23][24] 사고가 발생한 제374-7 발사단지는 이후 퇴역 및 해체되었으며, 해당 부지는 민간에 매각되어 현재 사유지가 되었다.[25] 이 부지는 2000년에 미국 국립사적지로 지정되었다.
3. 3. 폭발
9월 19일 금요일 새벽, 데이비드 리 리빙스턴 선임 하사와 제프 K. 케네디 중사로 구성된 추진제교환체계(PTS) 조사팀 두 명이 사일로 내부에 진입하여 조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사일로 내부 공기가 폭발 가능성이 높은 상태임이 감지되어 즉시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이후 환기 장치(배기 팬)를 작동시키라는 지시가 내려왔고, 리빙스턴 선임하사가 이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다시 사일로로 들어갔다. 그 직후인 오전 3시경, 누출되어 있던 에어로진 50 연료가 폭발했다. 이 폭발은 환기 장치 모터에서 발생한 전기 불꽃(아크)이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폭발의 엄청난 위력으로 무게 740톤에 달하는 사일로의 방폭문이 공중으로 튕겨져 나갔으며, W53 핵탄두를 탑재한 유도탄의 2단 로켓 역시 사일로 밖으로 튀어나왔다. 사일로에서 분리된 2단 로켓은 곧바로 공중에서 폭발했고, W53 핵탄두는 발사 단지 입구로부터 약 30m 떨어진 지점에 낙하했다. 다행히 핵탄두에 설치된 여러 안전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핵폭발이나 방사능 누출과 같은 재앙적인 사태는 피할 수 있었다.[7][16]
이 폭발 사고로 데이비드 리빙스턴 선임하사를 포함하여 현장에 있던 21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리빙스턴 선임하사는 안타깝게도 병원에서 치료 중 순직하였고, 사후 병장 계급으로 추서되었다.[21][22] 폭발로 인해 제374-7 발사 단지는 완전히 파괴되었다.[21]
4. 사고 여파
공군상병 데이비드 리빙스턴(David Livingston)은 폭발로 인해 큰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사망했으며, 사후 미국 공군 참모 상사 계급이 추서되었다.[2] 리빙스턴 외에도 폭발 현장 근처에 있던 21명이 다양한 부상을 입었다.[21][22] 사고 당시 산화제를 흡입했던 케네디는 호흡 곤란을 겪었으나 생존했다.[5] 이 폭발로 미사일 발사 단지 전체가 완전히 파괴되었다.[21][2]
사고 소식이 알려지자 지미 카터 당시 미국 대통령은 아칸소 주민들에게 방사성 물질 누출은 없었으며 상황이 통제되고 있다고 발표하며 안심시키려 했다. 날이 밝자 미국 공군은 탄두를 회수하여[8][9] 판텍스 무기 조립 공장으로 보냈다.[10]
사고 이후 대중들은 탄두가 폭발했을 가능성에 대해 우려했지만, 당국은 W-53 핵탄두에는 우발적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안전 장치가 있어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사고 초기 영웅으로 여겨졌던 케네디는 이후 접근 금지 명령을 어기고 복합 시설에 진입한 사실이 밝혀져 공식적인 견책 서한을 받았다.[5]
파괴된 제374-7발사단지는 복구되지 않고 공식적으로 퇴역 및 해산되었다. 시설 주변 400acre에 흩어진 잔해를 제거한 뒤 부지는 자갈, 흙, 콘크리트 조각으로 덮였으며, 현재 사유지로 남아있다.[2][11][25] 2000년 2월 18일, 이 부지는 미국 국립사적지로 지정되었다.[2]
5. 대중 문화
1988년 텔레비전 영화인 ''실로 7의 재앙''은 이 사건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12]
2013년 9월, 에릭 슐로서는 ''지휘와 통제: 핵무기, 다마스커스 사고, 안전의 환상''이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했다.[1] 이 책은 폭발 사고뿐만 아니라 냉전 시대의 부러진 화살 사건들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1][14][15] 슐로서의 책을 바탕으로 로버트 케너 감독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 ''지휘와 통제''는 2017년 1월 10일에 개봉되었으며, PBS의 ''아메리카 익스피리언스'' 시리즈의 일부로 방송되었다.[16][17]
제프 플럼이 이 사건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2017년 WBEZ의 라디오 프로그램 ''디스 아메리칸 라이프'' 에피소드에 소개되었다.[18]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 스콜피온 시즌 4, 에피소드 4 (75화)는 이 사건을 크게 기반으로 한다.[13]
참조
[1]
서적
Command and Control: Nuclear Weapons, the Damascus Accident, and the Illusion of Safety
https://archive.org/[...]
Penguin Press
[2]
웹사이트
Titan II Missile Explosion (1980) – Encyclopedia of Arkansas
http://www.encyclope[...]
2017-01-20
[3]
뉴스
Missile silo blast probed
http://archives.chic[...]
1980-09-20
[4]
뉴스
Missile silo blast kills 1, hurts 21; no radiation leak
https://news.google.[...]
1980-09-20
[5]
뉴스
'Hero' of Titan II Missile Explosion Is Reprimanded by Air Force
https://www.washingt[...]
1981-02-12
[6]
뉴스
Colonel Replaced in Action Linked to Fatal Titan Explosion
https://www.washingt[...]
1980-12-09
[7]
서적
Command and Control: Nuclear Weapons, the Damascus Accident, and the Illusion of Safety
https://archive.org/[...]
Penguin Press
[8]
뉴스
'What warhead?' Air Force aides ask
http://archives.chic[...]
1980-09-21
[9]
뉴스
Air Force truck removes damaged warhead
https://news.google.[...]
1980-09-22
[10]
뉴스
Titan warhead flown to nuclear arms plant
https://news.google.[...]
1980-09-24
[11]
서적
Command and Control: Nuclear Weapons, the Damascus Accident, and the Illusion of Safety
https://archive.org/[...]
Penguin Press
[12]
웹사이트
Disaster at Silo 7
https://www.imdb.com[...]
1988-11-27
[13]
웹사이트
Season 4, Episode 4 Nuke Kids on the Block
http://www.tvguide.c[...]
2017-10-16
[14]
뉴스
Atomic Gaffes: ''Command and Control'' by Eric Schlosser
https://www.nytimes.[...]
2013-09-12
[15]
뉴스
''Fast Food Nation'' Author Will Return With Book on Nuclear Weapons
http://artsbeat.blog[...]
2012-10-05
[16]
웹사이트
Command and Control – American Experience – WGBH – PBS
https://www.pbs.org/[...]
[17]
웹사이트
The night we almost lost Arkansas – a 1980 nuclear Armageddon that almost was
https://www.salon.co[...]
2016-09-14
[18]
웹사이트
Human Error in Volatile Situations
https://www.thisamer[...]
2017-12-22
[19]
뉴스
Missile silo blast probed
http://archives.chic[...]
1980-09-20
[20]
뉴스
Missile silo blast kills 1, hurts 21; no radiation leak
https://news.google.[...]
1980-09-20
[21]
웹인용
Titan Missile Explosion
http://www.encyclope[...]
[22]
문서
SGT David Lee Livingston
[23]
뉴스
'What warhead?' Air Force aides ask
http://archives.chic[...]
1980-09-21
[24]
뉴스
Air Force truck removes damaged warhead
https://news.google.[...]
1980-09-22
[25]
서적
Command and Control: Nuclear Weapons, the Damascus Accident, and the Illusion of Safety
https://archive.org/[...]
Pengui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