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구는 말을 제어하고 보호하며 기수와 의사소통을 돕는 장비 전체를 아우르는 용어이다. 머리 부분에는 굴레, 재갈, 고삐, 해커모어 등이 사용되며, 몸통 부분에는 안장, 복대, 가슴걸이 등이 사용된다. 다리 부분과 발 부분에는 각반, 편자, 말굽 부츠 등이 사용되어 다리와 발을 보호한다. 경주마는 멘코, 부린커, 치크 피스 등 시야를 제한하거나 집중력을 높이는 마구를 사용하며, 역사적으로 말의 가축화와 함께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 용품 - 구유
구유는 예수 탄생 이야기에서 마리아와 요셉이 아기 예수를 뉘었던 곳으로, 겸손과 신성한 탄생을 상징하며, 성탄절에 교회나 가정에 장식되기도 한다. - 동물 용품 - 멍에
멍에는 소나 말 같은 가축에게 씌워 쟁기나 수레를 끌도록 하는 도구로, 그 사용 방식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복종, 노동, 연결 등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마술 (말) - 기마궁술
기마궁술은 기원전 8세기 스키타이 문화에서 시작된 말을 타고 활을 쏘는 전투 기술로, 다양한 유목민족과 국가에서 발전하며 적을 교란하고 공격하는 주요 전술로 활용되었으며, 여러 전투에서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 마술 (말) - 승용마
- 마구 - 등자
등자는 말을 탈 때 발을 올려놓는 도구로, 기병의 안정성을 높여 전투력 향상에 기여했으며 기병 전술 변화와 기사 지위 상승 등 사회적 영향을 미쳤다. - 마구 - 박차
박차는 기수가 말에게 다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부츠 뒤꿈치에 장착하는 승마용 장비로, 요크, 생크, 로웰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디자인과 형태를 가지고 있고 승마 분야에 따라 쓰임새와 규정이 다르다.
마구 | |
---|---|
개요 | |
![]() | |
머리 | |
재갈 | 재갈 |
고삐 | 고삐 |
굴레 | 굴레 |
코걸이 | 코걸이 |
블라인더 | 블라인더 |
몸통 | |
안장 | 안장 |
멜빵 | 멜빵 |
가슴받이 | 가슴받이 |
말다래 | 말다래 |
안장덮개 | 안장덮개 |
뒷받이 | 뒷받이 |
다리 | |
덧신 | 덧신 |
기타 | |
채찍 | 채찍 |
박차 | 박차 |
장구 | 장구 |
2. 종류 및 구성 요소
말갖춤은 크게 머리 부분, 몸통 부분, 다리 부분, 발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부분에 다양한 종류의 장비가 사용된다.
'''머리 부분'''
말의 머리 부분에는 말을 제어하고 말과 의사소통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들이 사용된다.
'''굴레'''는 말의 머리 주위에 끈을 묶는 장치로, 코걸이와 머리고삐로 구성되어 말을 끌거나 묶을 때 사용된다. 굴레는 말을 탈 때 사용하지 않으며, 종마의 경우 쇠사슬을 연결하여 제어력을 높이기도 한다. 영국식 굴레는 캐버슨 스타일의 코걸이가 있으며, 서부 승마에서 사용되는 서부식 굴레는 보통 코걸이가 없고 얇은 굴레 가죽으로 만들어진다. 겹굴레는 두 개의 재갈을 사용하여 기수가 말을 매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재갈'''은 말의 입에 물리는 장치로, 고삐와 연결되어 기수가 말에게 방향 명령을 전달하는 수단이다. 재갈은 말의 입 양쪽에 있는 민감한 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말을 조종하거나 멈추게 한다. 재갈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커브 비트, 스내플 비트, 펠햄 비트, 웨이머스 또는 이중 고삐 등이 있다.
'''고삐'''는 재갈의 바깥쪽 끝에 부착되어 기수나 마부의 손으로 뻗어있는 가죽 끈이나 로프이다. 고삐를 당기면 재갈이 당겨지고, 재갈은 말의 머리를 좌우로 당기게 되어 말을 통제할 수 있다.
'''해커모어'''는 재갈 없이 코에 압력을 가하여 말을 제어하는 장비로, 웨스턴 승마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비트리스 굴레는 해커모어와 유사하게 코밴드로 말을 제어하는 장비이다. 해커모어는 어린 말을 훈련시키거나 늙은 말의 입에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 사용되며, 겨울철에 얼어붙은 금속 비트를 피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해카모어를 잘못 사용하면 코가 부어오르거나 뼈와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무구'''는 재갈 없이 콧등으로 말을 제어하는 도구이다.
'''비갑'''은 말의 코를 보호하는 장비이다.
'''면안'''은 말의 얼굴을 덮는 가면 형태의 장비이다.
구보용 재갈은 말을 구보할 때 사용하는 특수한 종류의 굴레 또는 코밴드이다. 목 로프는 고삐 없이 말을 타거나 지상 작업을 할 때 말을 유도하기 위해 말의 목에 묶는 밧줄이다.
'''몸통 부분'''
몸통 부분에는 기수가 앉는 안장과 관련된 장비들이 주로 사용된다. 안장은 기수가 말 위에 앉기 위한 장비로, 말의 등에 고정된다. 복대는 안장을 말의 등에 고정하는 넓은 끈이며, 가슴걸이는 안장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 외에도 마상체조, 마상곡예 등에서 사용되는 경환, 벨트형 마구의 일종인 상복대, 안장이 앞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꼬리걸이가 있다. 안장 담요는 안장 밑에 깔아 말의 등을 보호하며, 말덮개(말옷, 마의)는 말의 몸을 덮어 보온하는 장비이다.
안장은 기수와 말 모두에게 편안해야 하며, 부적절하게 맞는 안장은 말의 광배근에 압박 지점을 만들어 고통을 주고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 안장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 안장은 주어진 작업에 맞게 특별히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승마 분야에 따라 "영국식 안장"과 "서부식 안장"의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나뉜다. 경주 안장, 호주식 안장, 측면 안장 및 지구력 안장과 같은 다른 유형의 안장은 반드시 두 범주에 정확하게 맞지 않을 수 있다.
가슴걸이, 가슴받이 또는 가슴걸이는 안장의 앞쪽에 부착되어 말의 가슴을 가로지르며, 일반적으로 말의 앞다리 사이로 연결되어 복대에 부착되는 끈이 있다. 이는 안장이 뒤로 밀리거나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슴걸이는 요구가 많고 속도가 빠른 스포츠에서 주로 사용된다. 승마 활동에서 점프가 필요한 종합 마술, 장애물 경기, 폴로, 여우 사냥과 같은 활동에 필수적인 안전 장비이다. 또한 로데오, 레이닝, 커팅과 같이 안장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 서부 승마 경기에서도 사용된다.
마틴게일은 말이 머리를 너무 높이 드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이다.
'''다리 부분'''
말의 다리 부분에는 다리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장비들이 사용된다. 다리 보호대의 일종인 각반은 말의 다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발 부분'''
말의 발굽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장비로는 편자가 있다. 편자는 말발굽을 보호하기 위해 덧대는 금속 조각이다. 말굽 부츠는 편자를 대신하여 말발굽을 보호하는 장비이다. 벨 부츠는 말의 발굽과 발목을 보호하는 장비이다. 설피는 눈길에서 말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착용시키는 장비이다.
2. 1. 머리 부분
말의 머리 부분에는 말을 제어하고 말과 의사소통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들이 사용된다.'''굴레'''는 말의 머리 주위에 끈을 묶는 장치로, 코걸이와 머리고삐로 구성되어 말을 끌거나 묶을 때 사용된다. 굴레는 말을 탈 때 사용하지 않으며, 종마의 경우 쇠사슬을 연결하여 제어력을 높이기도 한다. 영국식 굴레는 캐버슨 스타일의 코걸이가 있으며, 서부 승마에서 사용되는 서부식 굴레는 보통 코걸이가 없고 얇은 굴레 가죽으로 만들어진다. 겹굴레는 두 개의 재갈을 사용하여 기수가 말을 매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재갈'''은 말의 입에 물리는 장치로, 고삐와 연결되어 기수가 말에게 방향 명령을 전달하는 수단이다. 재갈은 말의 입 양쪽에 있는 민감한 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말을 조종하거나 멈추게 한다. 재갈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커브 비트, 스내플 비트, 펠햄 비트, 웨이머스 또는 이중 고삐 등이 있다.
'''고삐'''는 재갈의 바깥쪽 끝에 부착되어 기수나 마부의 손으로 뻗어있는 가죽 끈이나 로프이다. 고삐를 당기면 재갈이 당겨지고, 재갈은 말의 머리를 좌우로 당기게 되어 말을 통제할 수 있다.
'''해커모어'''는 재갈 없이 코에 압력을 가하여 말을 제어하는 장비로, 웨스턴 승마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비트리스 굴레는 해커모어와 유사하게 코밴드로 말을 제어하는 장비이다. 해커모어는 어린 말을 훈련시키거나 늙은 말의 입에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 사용되며, 겨울철에 얼어붙은 금속 비트를 피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해카모어를 잘못 사용하면 코가 부어오르거나 뼈와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무구'''는 재갈 없이 콧등으로 말을 제어하는 도구이다.
'''비갑'''은 말의 코를 보호하는 장비이다.
'''면안'''은 말의 얼굴을 덮는 가면 형태의 장비이다.
구보용 재갈은 말을 구보할 때 사용하는 특수한 종류의 굴레 또는 코밴드이다. 목 로프는 고삐 없이 말을 타거나 지상 작업을 할 때 말을 유도하기 위해 말의 목에 묶는 밧줄이다.[1]
2. 2. 몸통 부분
몸통 부분에는 기수가 앉는 안장과 관련된 장비들이 주로 사용된다. 안장은 기수가 말 위에 앉기 위한 장비로, 말의 등에 고정된다. 복대는 안장을 말의 등에 고정하는 넓은 끈이며, 가슴걸이는 안장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 외에도 마상체조, 마상곡예 등에서 사용되는 경환, 벨트형 마구의 일종인 상복대, 안장이 앞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꼬리걸이가 있다. 안장 담요는 안장 밑에 깔아 말의 등을 보호하며, 말덮개(말옷, 마의)는 말의 몸을 덮어 보온하는 장비이다.
안장은 기수와 말 모두에게 편안해야 하며, 부적절하게 맞는 안장은 말의 광배근에 압박 지점을 만들어 고통을 주고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 안장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 안장은 주어진 작업에 맞게 특별히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승마 분야에 따라 "영국식 안장"과 "서부식 안장"의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나뉜다. 경주 안장, 호주식 안장, 측면 안장 및 지구력 안장과 같은 다른 유형의 안장은 반드시 두 범주에 정확하게 맞지 않을 수 있다.
가슴걸이, 가슴받이 또는 가슴걸이는 안장의 앞쪽에 부착되어 말의 가슴을 가로지르며, 일반적으로 말의 앞다리 사이로 연결되어 복대에 부착되는 끈이 있다. 이는 안장이 뒤로 밀리거나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슴걸이는 요구가 많고 속도가 빠른 스포츠에서 주로 사용된다. 승마 활동에서 점프가 필요한 종합 마술, 장애물 경기, 폴로, 여우 사냥과 같은 활동에 필수적인 안전 장비이다. 또한 로데오, 레이닝, 커팅과 같이 안장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 서부 승마 경기에서도 사용된다.
마틴게일은 말이 머리를 너무 높이 드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이다.
2. 3. 다리 부분
말의 다리 부분에는 다리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장비들이 사용된다. 다리 보호대의 일종인 각반은 말의 다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2. 4. 발 부분
말의 발굽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장비로는 편자가 있다. 편자는 말발굽을 보호하기 위해 덧대는 금속 조각이다. 말굽 부츠는 편자를 대신하여 말발굽을 보호하는 장비이다. 벨 부츠는 말의 발굽과 발목을 보호하는 장비이다. 설피는 눈길에서 말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착용시키는 장비이다.3. 경주마용 마구
경주마는 경마에서 경주에 집중하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마구를 사용한다.[12]
'''멘코'''는 귀덮개가 달린 복면으로, 소리에 민감하거나 모래를 싫어하는 말에게 사용된다.[13] 멘코는 주변 소리를 차단하여 말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돕는다.
'''파슈파이어'''는 멘코의 눈 부분을 그물로 덮어 모래가 눈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 장비이다.
'''부린커'''는 시야를 제한하여 경주에 집중하도록 돕는 장비이다.[12]
'''치크 피스'''는 굴레의 뺨 가죽에 부착하는 보아 털 모양의 장비로, 좌우를 보기 어렵게 하여 전방에 집중하도록 돕는다.[18]
'''섀도 롤'''은 머리띠의 코 가죽에 부착하여 하방 시야를 차단하는 장비이다.
'''브로밴드'''는 머리띠의 이마 가죽에 부착하여 상방 시야를 가리는 장비이다.
'''밴디지'''는 운동 중 사지 보호 및 운동 후 보온을 위해 사용되는 붕대이다.[19]
4. 마구 사용 시 주의사항
5. 역사
말의 가축화가 시작된 것은 기원전 4000년경의 우크라이나 데레이프카 유적으로 보는 설이 있다. 이 시기에는 고삐를 사용하여 역축, 식육 목적으로 사육된 것으로 보인다.[20]
5. 1. 한국의 마구
일본 열도에서는 고분 시대의 4세기 후반부터 5세기에 걸쳐 가축화된 말과 함께 마구가 전래되었다.[21] 고분 시대 고분의 부장품으로 말뼈, 말 이빨과 함께 금속제 마구가 출토되었으며, 마구를 장착한 채 매장된 말 유해도 발견된다. 하니와 중에는 말을 형상화한 하니와(말 모양 하니와)도 있으며, 각종 마구를 장착한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22]중세에는 안장 뼈, 등자, 복대 등 마구 일체를 통칭하여 "안장"이라고 불렀으며, 동시에 좁은 의미로 안장 뼈만을 가리켜 안장이라고도 불렀다.[23] 안장은 사용하는 마구의 조합에 따라 당안(唐鞍), 이안(移鞍), 야마토안(大和鞍), 스이칸안(水干鞍), 군진안(軍陣鞍), 로쿠이안(六位鞍) 등으로 구분되었다. 귀족 시대에는 신분, 관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마구와 그 장식에 규정이 있었다. 덴조비토의 관마에는 조의용(朝儀用)의 장식적인 당안과 이안이, 육위 이하의 관인과 일반 무사가 사용하는 수수한 장식 마구는 로쿠이안이라고 불렀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 무사의 시대에는 실용적인 야마토안과 군진안, 스이칸안이 주류가 되었으며, 새로운 신분 질서에 따른 료의 규정이 마련되었다.

무로마치 시대 이후에는 귀족의 권위가 실추되었고, 반사반농민에 의해 전시 외 평시에서의 농경마나 산야에서의 운반용 마부(마코)의 수요가 발견되었다. 코에 부착해 가로로 된 나무에 연결해 두는 비넨(鼻捻)(비넨・하나네지) 막대[24]와 모모로이(다리 고정, 다리 감옥: 모모로우라고도 함)라는 정강이에 부착하여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제어용 마구가 나왔다. 그 외에도 말이 장시간 주행으로 피로하여 다리에 울혈이 생겼을 때 사혈용 말 바늘(칼 바늘: 바신)[25]이 사용되었다.
2024년 1월 19일, 홋카이도 다카스정의 정 향토 자료관이 소장하고 있는 마구 399점이 유형 민속 문화재로 등록되었다.[24][25]
5. 2. 세계의 마구
말의 가축화는 기원전 4000년경 우크라이나 데레이프카 유적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는 고삐를 사용하여 역축, 식육 목적으로 사육된 것으로 보인다.[20]6. 기타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마구상의 아들이었다. 현재 브랜드 의류 브랜드로 유명한 구찌나 에르메스의 전신은 마구 제조사였다. 에르메스는 현재도 고급 마구를 주문 생산하고 있다. 일본 국내에서는 홋카이도 스나가와시의 소메스 사들 주식회사가 경마용과 승마용, 두 종류의 다양한 마구를 대량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가부키의 『외랑매』의 구절에 "무구 마구 무구 마구 삼 무구 마구, 합하여 무구 마구 육 무구 마구"라는 문구가 있으며, 속사포 말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sing a Neck Rope or Cordeo
https://naturalhorse[...]
2021-07-28
[2]
서적
戦国武器甲冑事典 : 戦術、時代背景がよくわかる
https://iss.ndl.go.j[...]
誠文堂新光社
[3]
웹사이트
Article 32 A (RACING) - MINIMUM STANDARD GUIDELINES ON THE WHIP AND ITS USE
https://www.ifhaonli[...]
[4]
웹사이트
The whip
https://www.britishh[...]
2021-05-03
[5]
웹사이트
鞭の使用制限について
http://www.yutaka-ta[...]
[6]
웹사이트
競走ルールの一部変更について
https://www.tokyocit[...]
[7]
웹사이트
競走関連ルールの一部変更について
https://www.nagoyake[...]
[8]
뉴스
Report: Smith Hit With Severe Penalties for Saudi Cup Whip Overuse
https://www.thorough[...]
Thoroughbred Daily News
[9]
뉴스
サウジC2着スミス騎手が制裁で“史上最高”罰金額
https://p.nikkanspor[...]
日刊スポーツ
[10]
웹사이트
日本中央競馬会競馬施行規程
https://jra.jp/compa[...]
[11]
웹사이트
川田将雅騎手の騎乗停止処分について
http://www.radionikk[...]
[12]
문서
鈴木2010
[13]
웹사이트
メンコ(競馬用語辞典)
https://jra.jp/kouza[...]
[14]
웹사이트
ブリンカー(競馬用語辞典)
https://jra.jp/kouza[...]
[15]
웹사이트
日本中央競馬会競馬施行規程
https://jra.jp/compa[...]
[16]
문서
矢作2008
[17]
웹사이트
ホライゾネット(競馬用語辞典)
https://jra.jp/kouza[...]
[18]
웹사이트
チークピーシズ(競馬用語辞典)
https://jra.jp/kouza[...]
[19]
웹사이트
バンデージ(競馬用語辞典)
https://jra.jp/kouza[...]
[20]
간행물
美術・考古資料に見る古代の騎行・車行
https://doi.org/10.1[...]
日本ウマ科学会
1993
[21]
서적
中世武家の作法
吉川弘文館
[22]
블로그
鼻捻子いろいろ
https://blog.goo.ne.[...]
2012
[23]
트위터
https://twitter.com/[...]
[24]
웹사이트
鷹栖の馬具399点、国の登録有形民俗文化財へ 道内初:北海道新聞デジタル
https://www.hokkaido[...]
2024-03-25
[25]
웹사이트
「小豆島農村歌舞伎」など重要無形民俗文化財へ 文化審議会が答申: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