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마궁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마궁술은 말을 타면서 활을 쏘는 기술로, 스키타이 문화에서 시작되어 튀르키예, 몽골 등 유라시아 유목 민족에게 널리 퍼졌다. 궁기병은 기동성을 활용하여 적을 교란하고 측면 공격을 가하는 역할을 했으며, 특히 파르티아 사격은 퇴각하면서도 공격하는 전술로 유명했다. 고대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도 기마궁술이 발달했으며, 무과 시험이나 신사 행사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었다.

2. 역사

‘파르티안 사격’]]

궁기병은 대체로 중장보병에 대해 위협적이었고, 특히 기온이 높고 나무가 없는 평탄한 지역에서는 민첩한 궁기병이 둔중한 중장보병 부대에 비해 매우 유리했다. 궁기병에 대항할 수 있는 것은 활과 궁기병뿐이었다. 특히 "'''파르티안 사격'''"은 적과 마주하지 않고 후퇴하면서 화살을 계속 쏘는 전술로, 적을 괴롭히는 기마궁술 전술로 유럽인들에게 알려져 있었다.

궁기병은 카레 전투(기원전 53년), 레그니차 전투(13세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두 전투 모두 적병이 궁기병과의 직접 전투에 매달렸기 때문에 승리할 수 있었다. 서구의 중장보병은 민첩한 궁기병에게 고전했으며, 동방 여러 나라의 궁기병은 십자군에 대해 많은 실적을 남겼다. 로마서에는 사르마티아인의 궁기병과 오스만 제국예니체리 기병이 묘사되어 있다.

유목민의 궁기병에게 승리한 유럽 국가는 드물며, 이악사르테스 강 전투(기원전 329년)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궁기병과 싸워 승리한 것은 몇 안 되는 역사적 승리 중 하나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 전투로 마케도니아 왕국 영토를 아시아 일부까지 확장했지만, 유목 국가의 중심부를 공략하지는 못했다.

중세 하틴 전투는 중장보병에 대해 궁기병이 집요하게 공격하여 적의 전의를 상실시킴으로써 승리한 고전적인 사례이다. 칭기즈 칸은 몽골 활을 사용한 궁기병을 이끌고 다른 유목 국가와 비슷한 전술로 거대한 몽골 제국을 건설하여 전성기에는 중국 대륙에서 유럽까지 영토를 넓혔다.

2. 1. 한국의 기마궁술

무용총 수렵도


한국에서는 이미 고구려 벽화에서 기마궁술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무용총이나 장천 1호분의 수렵도에는 말을 타고 활을 쏘며 사냥을 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평안남도 용강군 대대면 매산리(梅山里) 사신총에도 말을 달리면서 사슴을 뒤쫓는 벽화가 있다. 덕흥리 고분 벽화에는 말을 타고 활을 쏘아 과녁을 맞히는 장면이 그려져 있는데, 4명의 경기자와 2명의 심판원, 1명의 기록원이 보인다. 경기는 긴 말뚝 5개 위에 네모난 표적 5개를 세워 놓고 쏘아 맞히는 방식이다. 경기자 중 한 명은 말을 달리며 활을 힘껏 당겨 쏘는 자세를 취하고 있고, 다른 한 명은 파르티안 사법의 완전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과녁 5개 중 2개는 두 동강이 나서 땅에 떨어져 있다. 벽에는 사희(射戱)라는 글자가 남아 있어서, 당시 고구려에서 마상궁술이 사냥이나 전투 훈련뿐 아니라 오락으로도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중국 수서 백제전에는 백제에서 기마궁술을 숭상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2. 1. 1.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명종 때의 평장사 서공이나 고종 때의 종친인 영녕공 준(綧)이 모두 기사에 능하였다고 전해지며, 최자의 삼도부에 "말을 타고 활을 쏘매/과녁에 세 번 쏘아 세 번 명중"(騎射一發 聯的三中)이라는 언급이 있어 고려 중기의 마상궁술의 존재를 엿볼 수 있다.

후기에는 몽골의 영향으로 몽골의 기마궁술 전술도 함께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2. 2. 해외의 기마궁술

‘파르티안 사격’]]

궁기병은 대체로 중장보병에 대해 위협적이었고, 특히 기온이 높고 나무가 없는 평탄한 지역에서는 민첩한 궁기병이 둔중한 중장보병 부대에 비해 매우 유리했다. 궁기병에 대항할 수 있는 것은 활과 궁기병뿐이었다. 특히 "'''파르티안 사격'''"은 적과 마주하지 않고 후퇴하면서 화살을 계속 쏘는 전술로, 적을 괴롭히는 기마궁술 전술로 유럽인들에게 알려져 있었다.

궁기병은 카레 전투(기원전 53년), 레그니차 전투(13세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두 전투 모두 적병이 궁기병과의 직접 전투에 매달렸기 때문에 승리할 수 있었다. 서구의 중장보병은 민첩한 궁기병에게 고전했으며, 동방 여러 나라의 궁기병은 십자군에 대해 많은 실적을 남겼다. 로마서에는 사르마티아인의 궁기병과 오스만 제국예니체리 기병이 묘사되어 있다.

유목민의 궁기병에게 승리한 유럽 국가는 드물며, 이악사르테스 강 전투(기원전 329년)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궁기병과 싸워 승리한 것은 몇 안 되는 역사적 승리 중 하나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 전투로 마케도니아 왕국 영토를 아시아 일부까지 확장했지만, 유목 국가의 중심부를 공략하지는 못했다.

중세 하틴 전투는 중장보병에 대해 궁기병이 집요하게 공격하여 적의 전의를 상실시킴으로써 승리한 고전적인 사례이다. 칭기즈 칸은 몽골 활을 사용한 궁기병을 이끌고 다른 유목 국가와 비슷한 전술로 거대한 몽골 제국을 건설하여 전성기에는 중국 대륙에서 유럽까지 영토를 넓혔다.

2. 2. 1. 중국의 기마궁술

고대 중국에서는 무관 등용 제도인 무거에서 기사와 보사의 실기 시험이 있었다.

2. 2. 2. 일본의 기마궁술

고분 시대에 이 일본에 전래되면서 기마궁술도 함께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초 고분에서 괘갑, 직도, 화살촉, 말갖춤 등이 출토되는 것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7]

일본서기유랴쿠 천황 기록에는 즉위 전(456년) 그가 경쟁자였던 이치노세노시하 왕자를 사냥에 초대하여 "활을 당겨서 말에 올라" 쏘아 죽였다는 내용이 있다. 이는 일본에서 기마궁술이 등장하는 최초의 기록으로, 5세기 기병 성립 시기에 이미 기사 기술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7]

6세기 중반(552년)경 긴메이 천황은 국내외 전란을 다스리기 위해 규슈 우사에서 진구 황후오진 천황을 제사하고 "천하 평정 · 오곡 풍요"를 기원하며 가장 기사에 뛰어난 자에게 말 위에서 세 개의 과녁을 쏘게 하는 신사를 열었다. 이는 야부사메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무사의 대두보다 훨씬 이전부터 기사 기술이 보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8]

덴무 천황 9년(682년)에는 "말을 나가라 신사(長柄杜)에서 보이게 하고, 말을 타고 활을 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9] 몬무 천황 2년(698년)에는 교토부의 가모마쓰리에서 사람들이 모여 야부사메를 하는 것을 금지했다는 기록도 있다.[10]

8세기 히젠 풍토기에는 고토 열도해사들이 "항상 기사를 선호하며 그 언어는 속인과 다르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키 4년(727년)에는 간토 9개 국[11] 군사 3만 명에게 기사를 교습하게 했다는 기록도 있다.

고대 도호쿠 지방의 에미시도 단궁을 이용한 기사를 했던 것으로 보이며, 일본 열도에 말이 전해짐과 동시에 기사 기술도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

일본의 가사가케 모습
『남부삼랑화사』에서


야부사메 궁수의 사냥복장
(『야부사메화권』아나하치만구 소장)

3. 기마궁술의 전술적 의의

기마궁술은 스키타이 문화(기원전 8세기~기원전 3세기) 초기부터 존재했으며, 질주하는 말 위에서 활을 쏘는 특성 때문에 그리스인들이 켄타우로스를 상상했다는 설도 있다.

전장에서 궁기병의 주된 역할은 경기병처럼 적을 교란하는 것이었다. 궁기병은 접근전을 피하면서 적의 측면이나 후면을 빠르게 급습했다. 이들은 경무장을 하고 기동력을 살려 말을 멈추지 않고 민첩하게 움직이며 활을 쏘는 전술을 사용했다. 적이 닿지 않는 거리를 유지하며 공격했기 때문에, 적병은 속수무책으로 사기가 꺾이고 대열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

오스만 제국 병사의 기마궁술. 일명 파르티안 샷이라 불리는 사법이다.


궁기병은 중장보병에게 큰 위협이었고, 특히 덥고 나무가 없는 평탄한 지역에서는 더욱 유리했다. 궁기병에 대항할 수 있는 것은 궁병이나 같은 궁기병뿐이었다. 특히 ''''파르티안 샷'''이라 불리는, 말 위에서 허리를 틀어 측면, 후면의 적에게 활을 쏘는 사법은 적을 특히 괴롭히는 전술로 유럽인들에게 악명이 높았다.

궁기병은 카레 전투(기원전 53년), 레그니차 전투(13세기)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으며, 두 전투 모두 적이 궁기병과의 직접 전투를 고집했기 때문에 승리할 수 있었다. 서구의 중장보병은 궁기병에 고전했으며, 동방 국가의 활기병은 십자군을 상대로 많은 전과를 올렸다.

중세 예루살렘 왕국의 십자군과 아이유브 왕조의 살라흐 앗 딘 사이에 벌어진 하틴 전투는 중장보병에 대한 궁기병의 집요한 공격으로 적의 전의를 상실시켜 승리한 고전적인 사례이다. 칭기스 칸은 몽골 활을 이용한 궁기병과 다른 유목 국가와 비슷한 전술로 거대한 몽골 제국을 구축했다.

참조

[1] 서적 騎兵と歩兵の中世史
[2] 웹사이트 武田流流鏑馬 https://www.kyubajut[...] 一般社団法人 日本古式弓馬術協会 2020-10-26
[3] 웹사이트 長柄神社 https://www.city.gos[...] 御所市地域活性推進室 2021-10-26
[4] 웹사이트 賀茂祭騎射神事 http://www.shimogamo[...] 下鴨神社(賀茂御祖神社) 2021-10-26
[5] 문서 坂東九国
[6] 서적 平家物語 延慶本第五本・義仲被討事
[7] 서적 騎兵と歩兵の中世史
[8] 웹인용 武田流流鏑馬 https://www.kyubajut[...] 一般社団法人 日本古式弓馬術協会 2020-10-26
[9] 웹인용 長柄神社 https://www.city.gos[...] 御所市地域活性推進室 2021-10-26
[10] 웹인용 賀茂祭騎射神事 http://www.shimogamo[...] 下鴨神社(賀茂御祖神社) 2021-10-26
[11] 문서 坂東九国
[12] 서적 平家物語 延慶本第五本・義仲被討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