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장은 말을 타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말의 등에 얹어 기수가 더 편안하고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돕는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안장은 기원전 727~396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가죽 쿠션 형태였으나, 이후 나무 틀을 갖춘 형태와 등자가 개발되면서 기수의 체중 분산과 탑승 효율을 높였다. 안장은 영국식, 서부식, 군용, 아시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승마 목적과 문화를 반영한다. 안장 관련 용어로는 새들 스티치, 안수 등이 있으며, 부적절한 안장은 안장통, 골반 부상과 같은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안장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승마, 자전거, 오토바이 |
재료 | 가죽, 합성 재료, 나무, 금속 |
승마 안장 | |
목적 | 기승자를 지지하고 말에 짐을 분산 |
유형 | 서양식 안장 영어식 안장 군용 안장 경주 안장 측면 안장 기타 특수 안장 |
주요 부품 | 안장 나무 (Saddle tree) 안장 덮개 (Saddle seat) 안장 날개 (Saddle flap) 안장 패널 (Saddle panel) 안장 끈 (Saddle girth) 등자 (Stirrups) |
자전거 안장 | |
목적 | 자전거를 타는 사람을 지지 |
유형 | 레이싱 안장 투어링 안장 컴포트 안장 기타 |
주요 부품 | 안장 뼈대 (Saddle shell) 안장 레일 (Saddle rails) 안장 덮개 (Saddle cover) 안장 패딩 (Saddle padding) |
오토바이 안장 | |
목적 | 오토바이를 타는 사람을 지지하고 편안함을 제공 |
유형 | 싱글 안장 더블 안장 벤치 안장 |
주요 부품 | 안장 뼈대 (Saddle base) 안장 폼 (Saddle foam) 안장 덮개 (Saddle cover) |
2. 안장의 역사와 발전
가축화된 직후인 기원전 4000년경부터 말을 타기 시작했다는 추정[5]이 있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안장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르판 분지의 여성 무덤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727~396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6] 이 안장은 쿠션 처리된 소가죽으로 만들어졌으며, 사용 및 수리 흔적이 있고, 거시국과 관련된 수베이시 문화와 연관되어 있다.[6] 수베이시인들은 스키타이인과 교류했고, 이후 안장이 발견된 파지릭 문화와 유사한 물질 문화를 공유했다.[6]
몽골 고원의 유라시아 및 북아시아 유목민들은 두 개의 평행한 가죽 쿠션, 복대, 폼멜과 캉텔, 탈착 가능한 뼈/뿔/경화 가죽 표면, 가죽 끈, 고삐, 흉갑, 동물 문양이 장식된 펠트 샤브라크를 포함하는 초기 형태의 안장을 개발했다. 이 안장들은 파지릭 고분에서 발견되었다.[7] 시베리아 우코크 고원에서 발견된 안장들은 기원전 500~4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9]
고대 아르메니아인, 아시리아인의 예술과 아슈르바니팔 2세 시대의 아시리아 석재 부조 조각에 묘사된 스텝 유목민에게서 현대식 안장의 전신에 대한 도상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 기원전 700년경 아시리아 기병대는 술 장식 천이나 패드 형태의 안장을 사용했는데, 가슴 끈과 고삐가 포함된 복대 또는 외측대로 고정되었다. 초기 묘사에서 안장은 지위 상징이 되었고, 부와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정교한 바느질, 가죽 세공, 귀금속, 나무와 뿔 조각 등의 장식이 추가되었다.[8]
스키타이인과 사르마티아인도 패딩과 장식으로 장식된 초기 안장을 개발했다.[8] 스키타이인들은 견고한 안장 골격이나 등자가 없었지만, 초기 안장 골격 없는 안장과 패드는 기수에게 보호와 편안함을 제공했다.[8] 사르마티아인들은 기원전 7세기 초에 패딩 처리된 안장 골격 없는 안장을 사용했다.[10] 고대 그리스 미술품에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안장 덮개를 사용했고,[8] 그리스인들은 안장 덮개나 패드를 "에피피움"(ἐφίππιον 또는 ἐφίππειον)이라고 불렀다.[11]
초기 고형 안장 골격은 나무 틀을 덮은 펠트로 만들어졌다. 기원전 206년에 완성된 진나라 병마용에 있는 기병대 말들 사이에서 중국 안장이 묘사된다.[12] 기원전 200년경 중국 한나라 시대에 뿔이 있는 안장이 널리 퍼졌다.[8] 서양에서는 기원전 1세기경부터 로마인이 "사각뿔" 디자인의 고형 안장을 사용했다.[13] 두 디자인 모두 등자가 없었다.[8] 몽골 우르드 울란 우네트 유적에서 발견된 나무 틀 안장은 중앙 및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사례 중 하나이며,[15] 몽골의 로우란 부족이 서기 3세기 초에 이미 정교한 나무 틀 안장을 사용했음을 시사한다.[14]
견고한 안장 골격의 개발은 기수의 체중을 말의 등뼈 양쪽에 분산시켜 말의 편안함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했으며,[16] 등자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16] "안장 골격 없는" 및 유연한 안장 골격 디자인에 대한 열화상 연구는 말 등 중심선을 가로질러 상당한 마찰이 있음을 보여준다.[17]
등자는 안장 개발의 중요한 이정표였다. 최초의 등자 유사 물건은 기원전 2세기에 인도에서 발명되었으며, 간단한 가죽 끈으로 구성되었지만 지지력은 거의 없었다. 몽골의 로우란 부족이 현대식 등자의 발명가로 여겨지지만, 쌍으로 된 등자를 가진 기수의 신뢰할 만한 첫 번째 묘사는 중국 진나라 무덤에서 서기 302년경에 발견되었다.[18] 등자는 서기 477년경에 중국 전역에서 널리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19] 나중에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2. 1. 고대
가축화된 직후인 기원전 4000년경부터 말을 타기 시작했다는 추정[5]이 있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안장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르판 분지의 여성 무덤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727~396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6] 이 안장은 쿠션 처리된 소가죽으로 만들어졌으며, 사용 및 수리 흔적이 있고, 거시국과 관련된 수베이시 문화와 연관되어 있다.[6] 수베이시인들은 스키타이인과 교류했고, 이후 안장이 발견된 파지릭 문화와 유사한 물질 문화를 공유했다.[6]몽골 고원의 유라시아 및 북아시아 유목민들은 두 개의 평행한 가죽 쿠션, 복대, 폼멜과 캉텔, 탈착 가능한 뼈/뿔/경화 가죽 표면, 가죽 끈, 고삐, 흉갑, 동물 문양이 장식된 펠트 샤브라크를 포함하는 초기 형태의 안장을 개발했다. 이 안장들은 파지릭 고분에서 발견되었다.[7] 시베리아 우코크 고원에서 발견된 안장들은 기원전 500~4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9]
고대 아르메니아인, 아시리아인의 예술과 아슈르바니팔 2세 시대의 아시리아 석재 부조 조각에 묘사된 스텝 유목민에게서 현대식 안장의 전신에 대한 도상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 기원전 700년경 아시리아 기병대는 술 장식 천이나 패드 형태의 안장을 사용했는데, 가슴 끈과 고삐가 포함된 복대 또는 외측대로 고정되었다. 초기 묘사에서 안장은 지위 상징이 되었고, 부와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정교한 바느질, 가죽 세공, 귀금속, 나무와 뿔 조각 등의 장식이 추가되었다.[8]
스키타이인과 사르마티아인도 패딩과 장식으로 장식된 초기 안장을 개발했다.[8] 스키타이인들은 견고한 안장 골격이나 등자가 없었지만, 초기 안장 골격 없는 안장과 패드는 기수에게 보호와 편안함을 제공했다.[8] 사르마티아인들은 기원전 7세기 초에 패딩 처리된 안장 골격 없는 안장을 사용했다.[10] 고대 그리스 미술품에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안장 덮개를 사용했고,[8] 그리스인들은 안장 덮개나 패드를 "에피피움"(ἐφίππιον 또는 ἐφίππειον)이라고 불렀다.[11]
초기 고형 안장 골격은 나무 틀을 덮은 펠트로 만들어졌다. 기원전 206년에 완성된 진나라 병마용에 있는 기병대 말들 사이에서 중국 안장이 묘사된다.[12] 기원전 200년경 중국 한나라 시대에 뿔이 있는 안장이 널리 퍼졌다.[8] 서양에서는 기원전 1세기경부터 로마인이 "사각뿔" 디자인의 고형 안장을 사용했다.[13] 두 디자인 모두 등자가 없었다.[8] 몽골 우르드 울란 우네트 유적에서 발견된 나무 틀 안장은 중앙 및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사례 중 하나이며,[15] 몽골의 로우란 부족이 서기 3세기 초에 이미 정교한 나무 틀 안장을 사용했음을 시사한다.[14]
견고한 안장 골격의 개발은 기수의 체중을 말의 등뼈 양쪽에 분산시켜 말의 편안함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했으며,[16] 등자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16] "안장 골격 없는" 및 유연한 안장 골격 디자인에 대한 열화상 연구는 말 등 중심선을 가로질러 상당한 마찰이 있음을 보여준다.[17]
등자는 안장 개발의 중요한 이정표였다. 최초의 등자 유사 물건은 기원전 2세기에 인도에서 발명되었으며, 간단한 가죽 끈으로 구성되었지만 지지력은 거의 없었다. 몽골의 로우란 부족이 현대식 등자의 발명가로 여겨지지만, 쌍으로 된 등자를 가진 기수의 신뢰할 만한 첫 번째 묘사는 중국 진나라 무덤에서 서기 302년경에 발견되었다.[18] 등자는 서기 477년경에 중국 전역에서 널리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19] 나중에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2. 2. 중세 및 근대
몽골에서 최근에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예: 우르드 울란 우네트 유적)은 몽골의 로우란 부족이 서기 3세기 초에 이미 정교한 나무 틀 안장을 사용했음을 시사한다.[14] 몽골의 우르드 울란 우네트 유적에서 발견된 나무 틀 안장은 중앙 및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사례 중 하나이다.[15]견고한 안장 골격의 개발은 중요했다. 그것은 기수를 말의 등 위로 들어올렸고, 기수의 체중을 말의 등뼈 양쪽에 분산시켜 기수의 좌골에 압력을 가하는 대신, 말 등 어느 한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 (단위 면적당 힘)을 줄여 말의 편안함을 크게 높이고 수명을 연장했다. 견고한 안장 골격의 발명은 또한 오늘날 알려진 진정한 등자의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16]
등자는 안장 개발의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였다. 몽골의 로우란 부족이 현대식 등자의 발명가로 여겨지지만, 쌍으로 된 등자를 가진 기수의 신뢰할 만한 첫 번째 묘사는 중국의 진나라 무덤에서 서기 302년경에 발견되었다.[18] 등자는 서기 477년경에 중국 전역에서 널리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19] 나중에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중세 시대 동안 기사들은 더 강력하고 더 많은 지지력을 제공하는 안장이 필요했기 때문에 안장은 개선되었다. 그 결과 안장은 더 높은 엉덩이 부분과 앞가리개(전쟁에서 기수가 안장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를 갖게 되었고, 갑옷과 무기를 착용한 기수의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나무 안장 뼈대에 제작되었다. 이 안장은 현대 서부식 안장의 전신이 되었다. 이후에는 전쟁에서의 지속적인 발전 외에도 소 돌보기와 투우에도 사용하도록 개조되었다. 이전의 안장 뼈대가 없는 디자인에서 파생된 다른 안장들은 때때로 등자를 지탱하기 위해 단단한 안장 뼈대를 추가했지만, 전령과 경마에 사용하기 위해 가볍게 유지되었다.

안장은 결국 현대의 영국식 안장과 서부식 안장이 된 다양한 디자인으로 분화되었다.
영국식 안장의 한 변형은 프랑스 승마 마스터이자 "Ecole de Cavalerie"의 저자인 프랑수아 로빈숑 드 라 게리니에르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그는 오늘날 클래식 드레사지로 알려진 것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오늘날 많은 드레사지 기수들이 여전히 사용하는 "세 점" 안장의 적절한 개발을 강조했다.
18세기에는 여우 사냥이 영국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었다. 이전 안장의 높은 굴곡과 높은 안장 코 디자인은 기수들이 점프할 때 방해가 되고 안전하지 않으며 불편했다. 이 사실로 인해, 낮은 안장 코와 굴곡을 포함하여 말과 기수 모두의 더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하는 게리니에르의 안장 디자인은 북유럽 전역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었다. 20세기 초, 페데리코 카프릴리 대위는 높은 울타리를 뛰어넘고 험한 지형을 빠르게 이동하는 데 필요한 포워드 시트를 기수가 얻을 수 있도록 플랩을 각도로 배치하여 점핑 안장에 혁명을 일으켰다.
2. 3. 한국의 안장
한국에는 고분 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목재 안장이 전래되었다.[12][8] 조선 시대에는 마상 격투에 용이한 목재 안장이 주로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가죽 안장이 주를 이루며, 경마용 안장은 경량화가 이루어지고 있다.3. 안장의 종류
서구에서는 오늘날 승마에 사용되는 두 가지 기본 유형의 안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영국식 안장과 "스톡" 안장이라고 불린다. 가장 잘 알려진 스톡 안장은 미국의 웨스턴 안장이며, 그 다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스톡 안장이 있다. 아시아와 전 세계에는 다양한 국적과 민족이 사용하는 독특한 디자인의 수많은 안장이 있다.
- '''영국식 안장'''은 영국이나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영국식 승마에 사용된다. 이 안장은 모든 올림픽 승마 종목에 사용된다. 종합 마술, 장애물 비월, 마장마술, 새들 시트, 경마, 말 서핑, 폴로등 다양한 승마 종목에서 사용된다. 주요 특징은 더 평평한 외관, 뿔이 없다는 점이다. 좌석의 밑면에는 양모, 폼 또는 공기로 채워진 한 쌍의 패널이 부착되어 있다.
- '''서부식 안장'''은 원래 미국에서 소 목장에서 말을 타는 데 사용하도록 설계된 안장이다. 오늘날 다양한 서부 승마 활동에 사용되며, "카우보이 안장"으로 친숙하다. 서부식 안장은 자체 패딩이 최소화되어 있으며, 안장 담요 또는 패드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더 튼튼한 등자가 있으며 복대 대신 신치를 사용한다. 가장 특징적인 기능은 안장 앞쪽에 있는 뿔로, 원래 소를 묶을 때 라리엇을 감는 데 사용되었다. 호주, 아르헨티나와 같은 다른 국가에는 뿔이 없는 스톡 안장이 있지만 깊은 안장, 높은 캔틀, 더 두꺼운 가죽을 포함하여 서부식 안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른 기능이 있다.
- '''군용 안장'''은 기병대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가볍고 수리가 용이하며 말과 기수 모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2] 조지 B. 맥클레인(George B. McClellan)이 개발한 맥클레인 안장(McClellan saddle)은 미국 기병대(United States Cavalry)에서 사용되었고, 1940년대까지 사용되었다.[23] 제2차 보어 전쟁(Second Boer War)에서 영국군도 군용 안장을 사용했다. 군사 안장에는 칼, 예비 말굽 등을 휴대하기 위한 금속 스테이플과 D링이 장착되었다.[22]
- '''중앙아시아 안장'''은 넓은 안장과 높은 뿔이 특징이며, 나무 받침대에 얇은 가죽 덮개가 있고 옻칠 마감을 한다.[24][25] 패드가 없어 안장 담요를 덮어 사용해야 한다. 뿔은 중앙아시아의 거친 승마 스포츠인 부즈카시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동아시아 안장은 높은 앞가리개와 뒷가리개가 있고 뿔이 없다는 점에서 중앙아시아 안장과 다르다.
일본식 안장은 중국식(가라구라/karagura일본어)과 일본식(야마토구라/yamatogura일본어)으로 분류된다.[27][28] 나라 시대에 중국식이 채택되었다. 헤이안 시대에는 사무라이 계급과 관련된 안장인 ''쿠라''가 개발되었다. ''쿠라''는 화살을 쏘기에 견고하고 안정적이며 편안한 플랫폼을 제공했지만, 속도나 거리에 적합하지 않았다. 에도 시대에는 일본식 안장은 매우 정교해졌으며, 자개 상감, 금박, 유색 래커 디자인으로 장식되었다.
근동에서는 한 명 이상을 태울 수 있을 정도로 큰 안장을 하우다라고 하며, 이는 코끼리에 장착된다. 정교한 하우다는 무기를 장착한 채 전쟁에 사용되었으며, 군주, 마하라자, 술탄에게도 사용되었다. 하우다는 현대 인도 의례에서도 계속 역할을 하고 있다.
- '''기타 안장'''
- 사이드안장은 원래 치마를 입은 여성 기수가 말에 올라타 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사이드안장 승마는 오늘날에도 승마 쇼, 여우 사냥, 퍼레이드 및 기타 전시회에서 볼 수 있다.
- 트릭 (또는 스턴트) 안장은 웨스턴 안장과 유사하며, 키가 큰 금속 혼, 낮고 얕은 앞뒤, 보강된 손잡이, 넓은 등 기장을 위한 확장된 이중 장비를 갖추고 있다.
- 지구력 승마 안장은 넓은 패널과 경량 설계를 통해 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어려운 지형에서 오랜 시간 동안 기수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안장이다.
- 경찰 안장은 영국식 안장과 유사하지만, 기수에게 더 큰 안전을 제공하고 기수의 체중을 더 넓은 영역에 분산시켜 말이 오랜 시간 동안 기수를 등에 태우고 편안하게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나무를 가지고 있다.
- 맥클레란 안장은 남북 전쟁 직전에 미국 육군에 보급된 특정 미국 기병대 모델이다. 영국식 나무로 설계되었지만, 더 높은 안장 앞부분과 뒷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수가 앉는 부분은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틈이 있는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29]
- 짐 싣는 안장은 기병대 안장과 유사하지만, 말에 의해 운반되는 무거운 가방이나 기타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 이중 좌석 안장에는 두 쌍의 등자(stirrups)와 깊은 패딩 처리된 두 개의 좌석이 있어, 기수가 아이를 뒤에 태우고 함께 탈 때 사용된다. 웨스턴 안장의 경우 안장 앞부분에 뿔이 하나 있다.
- 무나무 안장은 웨스턴과 영국식 디자인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단한 안장 나무 위에 제작되지 않는다. 다양한 말에게 유연하고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단단한 나무가 제공하는 무게 지지를 항상 제공하지는 않는다.
- 유연한 안장은 전통적인 나무를 사용하지만, 패널은 완성된 안장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는다.
- 말 보조 치료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승마 경험을 돕는 치료 안장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인에게 맞게 제작된다. 이러한 안장은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지며 기수가 동물의 등에 더 가깝게 앉을 수 있게 하여 말의 열을 기수에게 전달하여 근육 이완과 자극을 가능하게 한다.[30]
- 맨발 패드는 영국식 안장 패드 모양의 단순한 패드로, 코듀라 나일론 또는 가죽으로 만들어졌으며, 플리스, 양모 또는 합성 폼으로 패딩 처리되어 있으며, 기장을 갖추고 있다.
3. 1. 영국식 안장
서구에서는 오늘날 승마에 사용되는 두 가지 기본 유형의 안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영국식 안장과 "스톡" 안장이라고 불린다. 가장 잘 알려진 스톡 안장은 미국의 웨스턴 안장이며, 그 다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스톡 안장이 있다. 아시아와 전 세계에는 다양한 국적과 민족이 사용하는 독특한 디자인의 수많은 안장이 있다.영국식 안장은 영국이나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영국식 승마에 사용된다. 이 안장은 모든 올림픽 승마 종목에 사용된다. 영국식 안장은 종합 마술, 장애물 비월, 마장마술, 새들 시트, 경마, 말 서핑, 폴로등 다양한 승마 종목에서 사용된다.
영국식 안장의 주요 특징은 더 평평한 외관, 뿔이 없다는 점이다. 좌석의 밑면에는 양모, 폼 또는 공기로 채워진 한 쌍의 패널이 부착되어 있다. 플랩의 길이와 각도, 좌석의 깊이 및 칸틀의 높이는 특정 안장의 용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장의 기초가 되는 "트리"는 일반적으로 안장 품질을 정의하는 특징 중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영국식 안장의 트리는 리벳으로 고정된 굴렛 플레이트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스프링 강철로 보강된 고품질 나무의 적층으로 제작된다. 이 트리는 반 조절 가능하며 "스프링 트리"로 간주된다. 어느 정도 탄성이 있지만 최소한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안장 제조업체들이 나무를 대체하고 합성 몰드 트리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일부는 통합 스프링 강철과 굴렛 플레이트 포함, 일부는 미포함). 합성 재료는 품질이 매우 다양하다. 폴리우레탄 트리는 종종 매우 잘 만들어지지만, 일부 저렴한 안장은 내구성이 제한된 유리 섬유 트리로 만들어진다. 합성 트리는 종종 더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맞춤화하기가 더 쉽다. 일부 디자인은 더 유연하고 말과 함께 움직이도록 설계되었다.
몇몇 회사에서 동일한 안장을 다른 크기의 말에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트리 또는 조절 가능한 굴렛을 제공한다.
3. 2. 서부식 안장
서구에서는 오늘날 승마에 사용되는 두 가지 기본 유형의 안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영국식 안장과 "스톡" 안장이라고 불린다. 가장 잘 알려진 스톡 안장은 미국의 웨스턴 안장이며, 그 다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스톡 안장이 있다. 아시아와 전 세계에는 다양한 국적과 민족이 사용하는 독특한 디자인의 수많은 안장이 있다.서부식 안장은 원래 미국에서 소 목장에서 말을 타는 데 사용하도록 설계된 안장이다. 오늘날 다양한 서부 승마 활동에 사용되며, 영화 시청자, 로데오 팬 및 관광 승마 여행을 다녀온 사람들에게 친숙한 "카우보이 안장"이다. 서부식 안장은 자체 패딩이 최소화되어 있으며, 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안장 담요 또는 패드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또한 더 튼튼한 등자가 있으며 복대 대신 신치를 사용한다. 가장 특징적인 기능은 안장 앞쪽에 있는 뿔로, 원래 소를 묶을 때 라리엇을 감는 데 사용되었다.
호주, 아르헨티나와 같은 다른 국가에는 뿔이 없는 스톡 안장이 있지만 깊은 안장, 높은 캔틀, 더 두꺼운 가죽을 포함하여 서부식 안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른 기능이 있다.
서부식 안장의 나무는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완성된 제품의 크기와 모양을 정의한다. 나무는 말의 등에 안착하는 안장의 너비와 길이, 라이더의 안장 길이, 스웰(안장 앞부분)의 너비, 캔틀의 높이, 그리고 일반적으로 뿔의 모양을 결정한다. 전통적인 나무는 나무 또는 나무 적층판으로 만들어졌으며, 생가죽으로 덮여 있으며, 이러한 스타일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제조되고 있지만, 현대적인 합성 재료도 사용된다. 생가죽은 나무 주위에 늘어나고 성형되며, 나무와 외부 가죽 사이에는 최소한의 패딩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안장에는 비교적 얇은 패딩이 약간 있고, 말의 쓸림과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스커트 밑면에 양가죽 덮개가 있다.
서부식 안장은 종종 영국식 안장보다 상당히 무겁지만, 나무는 라이더의 체중과 라이더가 휴대할 수 있는 모든 장비를 분산시켜 말의 등에 제곱인치당 더 적은 파운드를 가하게 하며, 제대로 장착되면 압박점이 거의 또는 전혀 없다. 따라서, 그 무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훈련된 말과 라이더에게 비교적 불편함 없이 여러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3. 3. 군용 안장
군용 안장은 기병대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가볍고 수리가 용이하며 말과 기수 모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2] 조지 B. 맥클레인(George B. McClellan)이 미국 기병대(United States Cavalry)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한 맥클레인 안장(McClellan saddle)은 1940년대까지 일부 개선을 거쳐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23] 오늘날에도 미국 육군 의장 기병 부대에서 사용되고 있다. 맥클레인 안장은 로디지아, 멕시코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제2차 보어 전쟁(Second Boer War)에서 영국군도 사용했다.영국에서는 '강철 아치 범용 패턴 Mark I'이 1891년에 출시되었으나 기병들에게 불편함을 주어 1893년에 'Mark II'로 대체되었다.[21] 1898년에는 복대에 부착하기 위한 V자형 스트랩 빌렛이 추가된 'Mark III'가 등장했다. 1902년부터는 '범용 군사 안장'이 제작되었는데, 넓은 패널로 하중을 분산시키고 고정된 나무와 세 가지 크기의 앞쪽 아치를 사용했다. 1912년부터는 조절 가능한 나무를 사용하여 말의 등에 더 잘 맞도록 개선되었다. 군사 안장에는 칼, 예비 말굽 등을 휴대하기 위한 금속 스테이플과 D링이 장착되었다.[22]
군사 안장은 현재도 생산되어 전시회, 퍼레이드 등에 사용되고 있다.
3. 4. 아시아의 안장
중앙아시아 안장은 넓은 안장과 높은 뿔이 특징이며, 나무 받침대에 얇은 가죽 덮개가 있고 옻칠 마감을 한다.[24][25] 패드가 없어 안장 담요를 덮어 사용해야 한다. 뿔은 중앙아시아의 거친 승마 스포츠인 부즈카시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부즈카시는 두 팀의 기수가 머리가 잘린 염소 시체를 놓고 경쟁하는 경기이다. 동아시아 안장은 높은 앞가리개와 뒷가리개가 있고 뿔이 없다는 점에서 중앙아시아 안장과 다르다. 동아시아 안장은 특정 국적 및 민족 집단과 관련된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한족이 사용하는 안장은 장식용으로 상감 세공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티베트 안장은 일반적으로 앞가리개와 뒷가리개에 귀금속으로 상감된 철 덮개를 사용하며, 보편적으로 패드가 제공된다. 몽골 안장은 티베트 스타일과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더 작고 안장에 높은 능선이 있다. 중국 남서부의 소수 민족 집단에서 사용하는 안장은 가죽 덮개 위에 화려한 옻칠이 되어 있다.
일본식 안장은 중국식(가라구라/karagura일본어)과 일본식(야마토구라/yamatogura일본어)으로 분류된다.[27][28] 나라 시대에 중국식이 채택되었다. 점차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맞게 안장을 변경했고, 헤이안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사무라이 계급과 관련된 안장이 개발되었다. 이 안장은 ''쿠라''로 알려졌으며, 날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래커칠을 했다. 초기 사무라이의 전쟁은 주로 말을 타고 진행되었으며, ''쿠라''는 화살을 쏘기에 견고하고 안정적이며 편안한 플랫폼을 제공했지만, 속도나 거리에 적합하지 않았다. 에도 시대에는 더 이상 전쟁에 말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고, 일본식 안장은 매우 정교해졌으며, 자개 상감, 금박, 유색 래커 디자인으로 장식되었다.
근동에서는 한 명 이상을 태울 수 있을 정도로 큰 안장을 하우다라고 하며, 이는 코끼리에 장착된다.
안장의 가장 큰 예 중 일부인 정교한 하우다는 무기를 장착한 채 전쟁에 사용되었으며, 군주, 마하라자, 술탄에게도 사용되었다. 하우다는 현대 인도 의례에서도 계속 역할을 하고 있다.
3. 5. 기타 안장
서구에서는 오늘날 승마에 사용되는 두 가지 기본 유형의 안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영국식 안장과 "스톡" 안장이라고 불린다. 가장 잘 알려진 스톡 안장은 미국의 웨스턴 안장이며, 그 다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스톡 안장이 있다. 아시아와 전 세계에는 다양한 국적과 민족이 사용하는 독특한 디자인의 수많은 안장이 있다.[29]- 사이드안장은 원래 치마를 입은 여성 기수가 말에 올라타 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사이드안장 승마는 오늘날에도 승마 쇼, 여우 사냥, 퍼레이드 및 기타 전시회에서 볼 수 있다.
- 트릭 (또는 스턴트) 안장은 웨스턴 안장과 유사하며, 키가 큰 금속 혼, 낮고 얕은 앞뒤, 보강된 손잡이, 넓은 등 기장을 위한 확장된 이중 장비를 갖추고 있다.
- 지구력 승마 안장은 넓은 패널과 경량 설계를 통해 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어려운 지형에서 오랜 시간 동안 기수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안장이다.
- 경찰 안장은 전반적인 디자인에서 영국식 안장과 유사하지만, 기수에게 더 큰 안전을 제공하고 기수의 체중을 더 넓은 영역에 분산시켜 말이 오랜 시간 동안 기수를 등에 태우고 편안하게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나무를 가지고 있다.
- 맥클레란 안장은 남북 전쟁 직전에 미국 육군에 보급된 특정 미국 기병대 모델이다. 영국식 나무로 설계되었지만, 더 높은 안장 앞부분과 뒷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수가 앉는 부분은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틈이 있는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29]
- 짐 싣는 안장은 단순한 구조에서 기병대 안장과 유사하지만, 말에 의해 운반되는 무거운 가방이나 기타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 이중 좌석 안장에는 두 쌍의 등자(stirrups)와 깊은 패딩 처리된 두 개의 좌석이 있어, 기수가 아이를 뒤에 태우고 함께 탈 때 사용된다. 웨스턴 안장의 경우 안장 앞부분에 뿔이 하나 있다.
- 무나무 안장은 웨스턴과 영국식 디자인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단한 안장 나무 위에 제작되지 않는다. 다양한 말에게 유연하고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단단한 나무가 제공하는 무게 지지를 항상 제공하지는 않는다. 적절한 안장 패드의 사용은 무나무 안장에 필수적이다.
- 유연한 안장은 전통적인 나무를 사용하지만, 패널은 완성된 안장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는다. 이 안장은 말에 맞게 맞춤형으로 조절 가능하고 움직일 수 있는 유연한 패널(말의 등에 닿는 부분)을 사용하여 말의 신체가 발달함에 따라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 특정 종류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말 보조 치료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승마 경험을 돕는 치료 안장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인에게 맞게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안장은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지며 기수가 동물의 등에 더 가깝게 앉을 수 있게 하여 말의 열을 기수에게 전달하여 근육 이완과 자극을 가능하게 한다.[30]
- 맨발 패드는 일반적으로 영국식 안장 패드 모양의 단순한 패드로, 코듀라 나일론 또는 가죽으로 만들어졌으며, 플리스, 양모 또는 합성 폼으로 패딩 처리되어 있으며, 기장을 갖추고 있다. 말과 기수 모두에게 패딩을 제공하고 기수의 의복을 약간 더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맨발 승마의 대안으로 사용된다. 재료에 따라 맨발 패드는 기수의 좌석과 다리에 약간 더 많은 그립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일부 맨발 패드에는 손잡이와 등자가 함께 제공되지만, 안장 나무에 부착되지 않으면 이러한 부속품은 안전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부속품이 있는 패드는 피해야 한다. 어떤 경우에는 지지 나무 없이 등자를 추가하면 말의 극돌기에 압력이 가해져 잠재적으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4. 안장의 구조
- '''나무''' : 안장의 나머지 부분을 만드는 기초 부분으로, 보통 나무(또는 이와 유사한 합성 재료)를 기반으로 한다. 안장 제작자/saddle maker영어는 결국 가죽 또는 가죽과 유사한 합성물로 덮는다. 나무의 크기는 말의 등에 맞는 정도와 기수의 안장 크기를 결정한다. 나무는 기수의 무게를 지탱하고 분산시킨다.[4]
- '''안장''' : 기수가 앉는 안장의 부분. 일반적으로 폼멜과 캔틸보다 낮아서 안전성을 제공한다.
- '''폼멜''' (영국식) / '''스웰''' (서부식) 또는 '''안장 앞부분''' : 안장의 앞쪽으로 약간 솟아 있는 부분.
- '''캔틸''' : 안장의 뒤쪽
- '''등자''' : 기수의 발을 놓는 안장의 일부; 기수에게 지지력과 지렛대를 제공한다.
- '''가죽끈''' 및 '''플랩''' (영국식), 또는 '''펜더''' (서부식) : 등자를 안장 나무에 연결하는 가죽 끈과 기수의 다리를 지지하고 땀으로부터 기수를 보호하는 가죽 플랩.
- '''D-링''' : 안장 앞쪽에 있는 D자 모양의 링으로, 특정 장비(예: 가슴걸이)를 부착할 수 있다.
- '''복대''' 또는 '''신치''' : 말의 앞다리 바로 뒤, 말의 몸통 아래로 지나가 안장을 고정하는 넓은 끈.
- '''패널''', '''안감''', 또는 '''패딩''' : 안장 아래쪽의 쿠션.
일부 안장에는 다음과 같은 부품도 포함된다.
- '''서싱글''' : 말의 몸통 전체를 감싸는 긴 끈. 용도에 따라 패드나 담요 위에만 사용하거나 안장 위에 배치하여(종종 복대와 함께) 안장을 고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몽키 그립''' 또는 덜 흔하게 '''저그 핸들''' : 유럽식 안장 앞이나 호주산 마구의 오른쪽에 부착할 수 있는 손잡이. 기수는 이를 사용하여 안장을 유지하거나 승마를 돕는다.
- '''혼''' : 폼멜 또는 스웰에 부착된 손잡이와 같은 부속물로, 현대 서부식 안장과 가장 관련이 있지만 다른 문화권의 일부 안장 디자인에서도 볼 수 있다.
- '''니 롤''' : 일부 영국식 안장 및 호주식 안장에서 볼 수 있으며, 기수의 다리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플랩 앞쪽의 추가 패딩. 때로는 '''허벅지 롤'''도 플랩 뒤쪽에 추가된다.
4. 1. 영국식 안장
영국식 안장은 과 같이 다양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안장의 기초가 되는 나무는 보통 나무 또는 합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가죽이나 합성물로 덮여있다.[4] 나무의 크기는 말의 등에 맞는 정도와 기수의 안장 크기를 결정하며, 기수의 무게를 지탱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수가 앉는 안장 부분은 폼멜과 캔틸보다 낮게 설계되어 안전성을 제공한다. 폼멜(안장 앞부분)은 안장 앞쪽의 약간 솟은 부분이며, 캔틸은 안장 뒤쪽을 의미한다.등자는 기수가 발을 놓는 부분으로 지지력과 지렛대를 제공하며, 가죽끈 및 플랩(안장 날개)은 등자를 안장 나무에 연결하고 기수의 다리를 지지한다. 안장 앞쪽에는 D자 모양의 D-링이 있어 가슴걸이 등의 장비를 부착할 수 있다. 복대는 말의 몸통 아래로 지나가 안장을 고정하는 넓은 끈이며, 패널(안감 또는 패딩)은 안장 아래쪽에 쿠션을 제공한다.
4. 2. 서부식 안장
서부식 안장 구조는 영국식 안장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4] 서부식 안장에는 올가미를 감는 데 사용되는 혼이 안장 앞쪽에 솟아있다. 복대 대신 신치라고 불리는 넓은 끈이 사용되며, 등자 가죽과 기수의 다리 사이에는 펜더라고 불리는 넓은 가죽 조각이 위치한다.4. 3. 기타 부품
- '''서싱글''' : 말의 몸통 전체를 감싸는 긴 끈이다. 용도에 따라 패드나 담요 위에만 사용하거나 안장 위에 배치하여(종종 복대와 함께) 안장을 고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4]
- '''몽키 그립''' (저그 핸들) : 유럽식 안장 앞이나 호주산 마구의 오른쪽에 부착할 수 있는 손잡이이다. 기수는 이를 사용하여 안장을 유지하거나 승마를 돕는다.
- '''니 롤''' : 일부 영국식 및 호주식 안장에서 볼 수 있으며, 기수의 다리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플랩 앞쪽의 추가 패딩이다. 때로는 '''허벅지 롤'''도 플랩 뒤쪽에 추가된다.
- '''안장고정대'''(breast plate): 안장이 미끄러지지 않고 원래 자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말의 앞가슴에 두르는 끈으로 넓적한 가죽 또는 천으로 만들어진다.
- '''안장깔개''': 양털, 인조털 또는 기포가 있는 고무 등을 안장모양으로 잘라 만들어 안장 밑에 깔아주는 것이다. 안장이 말등에 누르는 압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안장깔개는 안장의 밑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땀을 흡수한다. 안장깔개가 없으면 안장이 미끄러져 돌며 말등과 마찰을 일으킬 것이다. 재질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나, 어떤 합성소재는 땀을 잘 흡수하지 않는다.[4]
- '''양털깔개''': 일종의 덧댐 안장깔개로써 땀의 흡수와 말 등 보호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대개 안장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양털깔개는 잘 맞지 않거나 쿠션이 나쁜 안장을 위한 장비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 그러한 안장은 교체 또는 수리해야 한다.[4]
5. 안장 관련 용어
5. 1. 새들 스티치
새들 스티치(Saddle stitch)는 피혁 제품 전반에 사용되는 봉제 기술 중 하나이다. 접합할 피혁에 미리 실을 통과시킬 부분의 구멍을 뚫고, 실을 앞면과 뒷면에서 8자 모양으로 꿰매는 바느질을 말한다. 한쪽 실이 끊어져도 쉽게 풀리지 않아 내구성이 매우 높다.현대의 유명 피혁 제품 브랜드의 대부분은 창업 당시 승마용 피혁 제품을 취급했던 마구 전문 기업이 많다. 마구가 기대하는 내구성과 기동성을 실현하기 위해 길러온 용도에 맞는 재질 선정 등의 노하우와 마구 특유의 봉제 기술을 계승하여, 부자(父子) 수대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이 있는 고품질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5. 2. 안수
안수(鞍数, 쿠라스우/鞍数일본어)는 승마·마술의 숙련도나 경험도를 측정하는 척도 중 하나로, 기승한 횟수를 가리킨다. 정확히는 45분~1시간 정도의 1회 기승을 한 안(鞍, 히토쿠라/鞍일본어)으로 센다.예를 들어 승마 클럽에 방문했을 경우, 배정받는 말이나, 하는 운동의 종류, 난이도 등을 선택, 판단하기 위해 안수를 묻는 경우가 많다.
6. 안장 관련 부상
6. 1. 접촉점 부상
안장은 라이더에 따라 적절하게 장착되거나 교체되어야 한다. 라이더를 제대로 고정하고 균형을 잡지 못하는 안장을 사용하면 엉덩이와 등에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라이딩 중 안장에 닿는 뼈 아래에 안장통이 발생할 수 있다.[34]6. 2. 안장 뿔 부상
말을 탈 때, 기수가 공중으로 튕겨 올라갔다가 안장 위로 떨어지면서 안장의 뿔에 골반 부상을 입을 수 있다.[35] 안장 뿔에 부딪히면 골반 고리가 압박을 받아 치골 결합이나 천장관절 부상과 같은 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36]참조
[1]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A Global History, volume 1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
[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3]
서적
An Illustrated History of Arms and Armour
https://books.google[...]
Echo Library
2008
[4]
서적
Conquerors: The Roots of New World Horsemanship
https://books.google[...]
Amigo Publications, Inc.
2022-11-04
[5]
웹사이트
Horses and Humans in Antiquity
https://web.archive.[...]
2012-05-29
[6]
논문
The earliest directly dated saddle for horse-riding from a mid-1st millennium BCE female burial in Northwest China
2023-09-01
[7]
웹사이트
State Hermitage Museum: Southern Siberia/Pazyryk
http://depts.washing[...]
[8]
서적
Sadd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81
[9]
서적
Frozen Tombs of Siberia: The Pazyryk Burials of Iron Age Horsem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0
[10]
서적
The World of the Huns: Studie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11]
웹사이트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Ephippium
https://www.perseus.[...]
[12]
간행물
The Incredible Story of China's Buried Warriors
https://www.doe.mass[...]
Massachusetts Depart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2021-11-11
[13]
논문
Some Remarks on the Origins and Construction of the Roman Military Saddle
2004
[14]
논문
The origins of saddles and riding technology in East Asia: discoveries from the Mongolian Alta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2-12
[15]
논문
The origins of saddles and riding technology in East Asia: discoveries from the Mongolian Alta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2-12
[16]
서적
Conquerors: The Roots of New World Horsemanship
Amigo Publications Inc
1998
[17]
웹사이트
AAEP 2004: Evaluating Saddle Fit
http://www.thehorse.[...]
2005-02-04
[18]
웹사이트
The stirrup - history of Chinese science
https://web.archive.[...]
UNESCO Courier
1988-10-01
[19]
서적
The Eastern Origins of Western Civilis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0]
논문
Horses, Firearms, and Political Power in Pre-Colonial West Africa
1976
[21]
웹사이트
Australian Light Horse Association
http://www.lighthors[...]
[22]
웹사이트
Universal Pattern 1902 Commonwealth Military Saddle
http://www.michaelgr[...]
[23]
웹사이트
McClellan Saddle
https://americanhist[...]
2024-12-01
[24]
논문
The proto-Slavic warrior in Europe: The Scythians, Sarmatians and Lekhs
https://www.proquest[...]
2016
[25]
논문
Horse Ammunition. From the History of a Saddle
https://purdue.primo[...]
2019-08-27
[26]
논문
'Abhimanyu elephant' carry Golden howdah in Dasara festivities this year
https://www.proquest[...]
HT Digital Streams Limited
2020-09-06
[27]
서적
Samurai, warfare and the state in early medieval Japa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4
[28]
서적
Handbook to lif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9]
웹사이트
McClellan Saddle
https://americanhist[...]
2024-12-01
[30]
논문
Role and Effects of Hippotherapy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21-06-11
[31]
논문
Saddle fit and management: An investigation of the association with equine thoracolumbar asymmetries, horse and rider health
https://pubmed.ncbi.[...]
2015-08-15
[32]
논문
Relationship between saddle pressure measurements and clinical signs of saddle soreness at the withers
2010-11-01
[33]
논문
The Effect of Tree Width on Thoracolumbar and Limb Kinematics, Saddle Pressure Distribution, and Thoracolumbar Dimensions in Sports Horses in Trot and Canter
2019-10-21
[34]
논문
Saddle fitting, recognising an ill-fitting saddle and the consequences of an ill-fitting saddle to horse and rider
https://beva.onlinel[...]
2015-09-23
[35]
논문
Saddle-horn injury of the pelvis. The injury, its outcomes, and associated male sexual dysfunction
https://pubmed.ncbi.[...]
2009-07-01
[36]
논문
Poranění pánve o roh koňského sedla
2022
[37]
서적
新版 日本史モノ事典
平凡社
2017-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