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닐라 국제 군사 재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닐라 국제 군사 재판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필리핀에서 일본군 전범을 심판하기 위해 열린 재판이다. 1945년 9월 일본군의 항복 후, 약 2만 명의 일본인이 전범 혐의로 예비 심문을 거쳤고, 212명이 마닐라 군사 재판에 기소되었다. 재판은 군사 법정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주요 피고인으로는 야마시타 도모유키, 홍사익 등이 있었다. 재판 과정에서 부실한 전언 조사, 허위 증언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나, 변호인 선임이 허용되어 일반적인 군율 재판보다는 정확하게 진행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판결 결과 177명이 유죄를 선고받았으며, 사형 69명, 종신형 33명, 유기형 75명, 무죄 33명, 석방 2명이었다. 유기형과 종신형을 선고받은 전범들은 수감되었으나, 1953년 대통령 특사로 감형 및 석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닐라의 역사 - 톤도 왕국
    톤도 정치체는 파시그 강 남쪽과 마닐라 만 서쪽 해안에 위치한 정착지로, 라칸이라는 지도자 아래 여러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16세기 마닐라 만 지역 동맹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활발한 무역을 통해 번성했으나, 1570년 스페인에 정복당했다.
  • 마닐라의 역사 - 마닐라 갈레온
    마닐라 갈레온은 1565년부터 1815년까지 스페인 제국이 마닐라와 아카풀코를 연결한 무역선과 무역을 지칭하며, 아시아 물품과 아메리카 은을 교환하며 세계 경제와 문화 교류에 기여했지만 필리핀 민중의 희생을 동반했다.
  • 필리핀의 역사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필리핀의 역사 - 필리핀 자치령
    필리핀 자치령은 1935년부터 1946년까지 필리핀 독립을 위해 미국의 타이딩스-맥더피 법에 따라 수립된 10년간의 과도 정부로서, 1935년 헌법 제정과 자치 정부 구성, 국가 방위 체계 구축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침략으로 중단되었고 종전 후 필리핀 공화국으로 독립하며 해체되었다.
마닐라 국제 군사 재판
재판 정보
명칭마닐라 군사 재판
다른 명칭규정된 전범 재판
위치필리핀 마닐라
날짜1945년 10월 8일 ~ 1945년 11월 12일
관할연합군
기소 대상혼마 마사하루 외 123명
죄목전쟁 범죄
판결혼마 마사하루 등 40명 사형 선고
83명 무죄 선고
결과연합군의 승리

2. 기소

당시 필리핀 지역을 점령하고 있던 일본군은 제14방면군을 주축으로 한 필리핀 방면군이었으며, 최고사령관은 야마시타 도모유키 육군 대장이었다. 이들은 1945년 9월 3일, 루손섬 북부 바기오에서 정식으로 항복했다.

항복 당시 필리핀에 남아있던 일본인은 군인 및 군속 약 115,200명, 일반인 25,000명 등 총 140,200명에 달했으며, 이들은 모두 포로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이들 수용자 중 약 2만 명이 전범 혐의자로 분류되어 칸루반 수용소에서 예비 심문을 받았다. 예심 결과, 212명이 마닐라 군사 재판에, 169명이 필리핀 군사 재판에 각각 기소되었다. 주요 피고인 및 재판 결과는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다룬다.

2. 1. 주요 피고인

1945년 9월 3일 일본군 필리핀 방면군이 항복하면서 현지에 남아있던 약 14만 명의 일본인 군인, 군속, 일반인이 포로로 수용되었다. 이들 중 약 2만 명이 전범 혐의자로 분류되어 칸루반 수용소에 수용되었고, 예비 심문을 거쳐 212명이 마닐라 군사 재판, 169명이 필리핀 군사 재판에 기소되었다.

마닐라 군사 재판의 주요 피고인으로는 필리핀 방면군 최고사령관 야마시타 도모유키 육군 대장이 대표적이다. 그는 점령지에서 벌어진 부하들의 잔학 행위에 대한 지휘관 책임 원칙(en: Yamashita Standard)을 적용받아 사형을 선고받았다. 또한 바탄 죽음의 행진의 책임자로 알려진 혼마 마사하루 육군 중장 역시 일본에서 체포된 후 마닐라에서 재판을 받고 사형 판결을 받았다. 조선인 출신으로 필리핀 포로 수용소 소장을 지낸 홍사익 육군 중장도 포로 학대 등의 혐의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 외에도 다수의 일본군 장교들이 이 재판을 통해 전쟁 범죄 혐의로 처벌받았다.

2. 1. 1. 필리핀 방면군 지휘관

당시 미국령 필리핀 지역을 점령하고 있던 일본군의 핵심 부대는 제14방면군이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필리핀 방면군이 편성되었다. 최고 사령관은 야마시타 도모유키 육군 대장이었다. 필리핀 방면군은 1945년 9월 3일, 루손섬 북부 바기오에서 정식으로 항복했다.

항복 당시 필리핀에는 일본인 군인 및 군속 약 115,200명, 일반인 25,000명 등 총 140,200명이 남아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포로로 수용되었다. 수용자 중 약 2만 명이 전범 혐의자로 분류되어 칸루반 수용소에서 예비 심문을 받았고, 이 중 212명이 마닐라 군사 재판, 169명이 필리핀 군사 재판에 기소되었다.

마닐라 군사 재판 등에서 판결을 받은 주요 일본군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이름계급주요 직책판결비고
야마시타 도모유키육군 대장필리핀 방면군 최고사령관, 제14방면군 사령관사형마닐라 군사 재판
혼마 마사하루육군 중장필리핀 군사령관사형일본에서 체포 후 마닐라에서 판결
구로다 시게노리육군 중장제14방면군 사령관종신형일본에서 체포 후 마닐라에서 판결
홍사익육군 중장필리핀 포로 수용소 소장사형마닐라 군사 재판
다지마 히코타로육군 중장혼성 제61여단장사형마닐라 군사 재판
고노 쓰요시육군 중장발병단장, 보병 제77여단장사형마닐라 군사 재판
나가하마 아키라육군 헌병 대령제14방면군 헌병대 사령관사형일본에서 체포 후 마닐라에서 판결
오스기 모리이치해군 중장제23특별근거지대 사령관사형네덜란드령 동인도 마카사르 재판


2. 1. 2. 기타 지휘관


  • 다지마 히코타로 (육군 중장, 혼성 제61여단장): 사형
  • 고노 다케시 (육군 중장, 선발병단장, 보병 제77여단장): 사형
  • 오스기 모리카즈 (해군 중장, 제23 특별근거지 군단 사령관): 네덜란드령 동인도 마카사르 재판에서 사형
  • 나가하마 아키라 (육군 헌병 대령, 제14방면군 헌병대 사령관): 사형

2. 1. 3. 한국인

3. 재판

재판은 군사 법정 형식의 단심제였으나, 변호인 선임은 허용되었다.

재판 과정에서는 부실한 조사, 허위 증언, 통역 미비, 재판 집행자의 보복 감정 등으로 인해 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무고한 판결이 내려지는 경우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러한 주장은 주로 피의자를 포함한 일본 측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변호인 선임이 보장되었고 재판 및 판결 내용을 고려할 때 일반적인 군율 재판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재판이 이루어졌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재판 관련 자료는 일본 국립공문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마닐라 재판 기록은 총 70호까지 있으나, 현재 보관된 자료는 약 60건 정도이다.[1][2]

4. 판결

기소된 212명 중 177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 판결 내용은 사형 69명, 무기징역 33명, 유기징역 75명이었고, 무죄는 33명, 2명이 석방되었다. 유기징역을 선고받은 75명의 형량은 10년 미만 12명, 10년 이상 20년 미만 35명, 20년 이상 30년 미만 21명, 30년 5명이었으며, 40년형과 50년형도 각각 1명씩 있었다.

사형 집행은 루손섬 마닐라 남동쪽에 위치한 라구나 호 주변, 만달루용, 칸루반, 로스바뇨스 남부의 세 곳에서 이루어졌다.

유기징역 또는 무기징역 판결을 받은 전범들은 몬텐루파 근교의 뉴 빌리비드 교도소에 수감되었다.[3] 그러나 실제로 사형이 집행된 인원은 17명에 그쳤다. 1953년 7월 4일, 미국 정부의 개입으로 추가적인 사형 집행은 중단되었으며, 남은 전범들은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의 특사로 감형되거나 석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archives[...]
[2] 웹사이트 국립 공문서관의 홈페이지를 참조 http://www.archives.[...]
[3] 문서 현재는 국립 뉴빌리비드 교소도(National Bilibid Prison)로 사용되며, LRT-2의 렉토 역이 근처에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