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도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도로스는 선박에서 갑판부에서 일하는 선원을 의미한다. 갑판부 선원은 당직 근무, 선체 유지보수, 비상 장비 관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구명정 선원 자격증과 같은 고급 훈련을 받기도 한다. 마도로스가 되기 위해서는 관련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미국과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자격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마도로스는 소설 속 등장인물로도 자주 등장하며, 'Able-bodied Seaman'과 'Able Seaman' 중 'Able Seaman'이 공식 용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상 교통 관련 직업 - 도선사
도선사는 복잡한 수로에서 선박의 안전 운항을 돕는 전문가로, 수로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속도, 방향 등을 조언하며, 대형 선박의 주요 항만에서는 법적으로 승선이 의무화되는 경우가 많다. - 수상 교통 관련 직업 - 사무장
사무장은 선박과 항공기에서 각각 선박 유지, 보급, 재정 관리 및 승객 서비스와 선박 운영 지원, 승객 안전과 편안함을 책임지는 승무원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직책이다. - 네덜란드어 낱말 - 신터클라스
신터클라스는 성 니콜라스에서 유래된 전설적인 인물로, 붉은 명부를 들고 다니며 착한 아이에게는 선물을, 나쁜 아이에게는 즈바르터 핏을 통한 벌을 주며 매년 11월 스페인에서 출발하여 저지대 국가에서 12월 초 축제를 통해 아이들에게 선물을 나누어 준다는 점에서 산타 클로스와 유사하다. - 네덜란드어 낱말 - 파트론
파트론은 뉴욕의 식민지 시대에 존재했던 대규모 토지 소유 제도 또는 그 소유주를 의미하며, 성공적인 사례도 있었지만 원주민과의 갈등과 정치적 문제 등으로 쇠퇴하여 19세기 초 해체되었다.
마도로스 | |
---|---|
직업 정보 | |
직업 이름 | 갑판원 |
다른 이름 | 평갑판 사병 |
소속 부서 | 갑판부 |
면허 | 필요 없음 |
보고 대상 | 갑판장, 일등 항해사 |
시대 | 알 수 없음 |
위치 | 알 수 없음 |
해상 근무 | 조타수, 감시대 |
해상 근무 시간 | 다양함 |
항만 근무 | 다양함 |
항만 근무 시간 | 다양함 |
임무 | 즉각적인 대응 능력 |
요구 조건 | 갑판원 자격증 |
2. 선원의 등급 및 종류
상선의 선원은 일반적으로 근무 구역에 따라 크게 갑판부, 기관부, 통신부 등으로 나뉜다.[1] 각 부서 내에는 다양한 직책과 등급이 존재하며, 수행하는 임무도 다르다.
이 문서는 여러 선원 중에서도 특히 갑판부에서 근무하는 숙련된 선원인 갑판부 선원(Able Seaman|에이블 시먼eng, AB)에 대해 주로 다룬다.
2. 1. 갑판부 선원 (Able Seaman, AB)
갑판부 선원(Able Seaman|에이블 시먼eng, AB)은 선박의 갑판 부서에서 근무하는 숙련된 선원이다. 이들은 항해 중 당직을 서고, 선박의 갑판 및 관련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며, 화물의 적재 및 하역 관리에도 참여하는 등 다양한 임무를 맡는다. 갑판부 선원은 선박 운항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안전 운항과 효율적인 화물 관리에 필수적인 인력이다.갑판부 선원의 주요 임무는 크게 당직, 일상적인 유지보수 작업, 그리고 기타 일반적인 업무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당직 근무 시 조타나 주변 경계 임무를 수행하며, 선박의 유지보수를 위해 페인트칠, 청소 등 다양한 작업을 한다. 또한 비상 상황 대응, 선박 계류 작업, 화물 장비 조작 등도 담당한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훈련과 구명정 선원과 같은 자격이 요구된다.
2. 1. 1. 당직 (Watchstander)
해상에서 갑판원(AB)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당직을 서는 것이다. 당직 근무 시에는 타수(helmsman)와 망루병(lookout)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타수는 선박이 정해진 항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하고, 모든 조타 명령을 정확하게 수행하며, 방위 및 조타와 관련된 항해 용어를 사용하여 통신해야 한다. 또한, 선박이 항해 중이 아닐 때에는 통로 당직(gangway watch) 또는 묘박 당직(anchor watch)과 같은 보안 관련 당직 임무를 수행하기도 한다.2. 1. 2. 일과 (Dayworker)

갑판부 노무자는 갑판부에서 자재, 장비, 구역에 대한 일반적인 유지보수, 수리, 위생 및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에는 칩핑, 스크래핑, 청소, 프라이밍, 페인팅과 같은 선박의 금속 구조물 유지보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보수가 자주 필요한 구역에는 선체, 갑판, 상부 구조, 화물 장비 및 연통이 포함된다. 갑판부 노무자는 또한 구명정, 구조 보트, 구명 뗏목, 비상 및 손상 통제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를 자주 수행한다. 많은 선박에서 갑판부 노무자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휴식 시간을 허용하기 때문에 선임 갑판부 노무자에게 부여되는 직책이다.
2. 1. 3. 기타 임무 (General duties)
선원은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인명 구조, 피해 통제 및 안전 장비 사용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인명 구조 장비를 내리는 것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수행하며, 배를 매거나 푸는 계류 또는 풀림 작업 시 윈드라스나 윈치 같은 갑판 기계를 다루고 화물 장비를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선원은 구명정 선원 자격증 취득을 포함한 고급 훈련을 이수해야 한다.
3. 자격 요건 및 훈련
마도로스가 되기 위해서는 관련 교육 및 훈련을 이수하고, 일정 기간 이상의 승선 경력을 쌓아야 한다. 구체적인 자격 요건과 시험 내용은 국가별 규정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에이블 시맨(Able Seaman, AB)이라는 특정 자격 등급을 요구하기도 한다.
3. 1. 미국 상선 선원 자격

미국의 연방 규정집(Code of Federal Regulations) 46 CFR 12.05에서는[3] 미국 상선대를 위한 5가지 종류의 선원(Able Seaman, AB) 자격을 규정하고 있다. 각 자격은 요구되는 근무 경력과 운항 가능 수역에 따라 구분된다.
자격 종류 | 요구 조건 (근무 기간 및 수역) |
---|---|
갑판 수부 - 모든 수역, 무제한 | 대양 또는 오대호에서 운항하는 선박에서 3년간 갑판 근무 |
갑판 수부 - 제한 | 미국 내 강과 소규모 내륙 호수에만 국한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100GT 이상의 선박에서 18개월간의 갑판 근무 |
갑판 수부 - 특별 | 대양, 또는 오대호를 포함한 미국 내 항해 가능한 수역에서 운항하는 선박에서 12개월의 갑판 근무 |
갑판 수부 - 특별 (OSV) | 대양, 또는 오대호를 포함한 미국 내 항해 가능한 수역에서 운항하는 선박에서 6개월의 갑판 근무 |
갑판 수부 - 범선 | 대양 또는 오대호를 포함한 미국 내 항해 가능한 수역에서 운항하는 범선 또는 보조 범선에서 6개월의 갑판 근무 |
특정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훈련선에서 근무한 시간은 위에 명시된 근무 시간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특별 서비스 증명서도 발급된다.
- 갑판 수부, 오대호 - 18개월 근무
- 갑판 수부, 모든 수역 - 12개월
- 갑판 수부, 예인선 및 부선 - 모든 수역
- 갑판 수부, 만과 해협 - 12개월 (승객을 운송하지 않는 500GT 이하의 선박)
- 갑판 수부, 외항 바지선 - 12개월
3. 1. 1. 시험 요건
미국 상선 해군의 경우, 연방 규정집 46 CFR 12.05에 따라 우수한 선원(Able Seamen, AB) 자격 시험 요건이 명시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명정 요원으로서의 역량'''
- * 구명정 및 구명뗏목 발진과 관련된 모든 작업에 대한 훈련을 받고, 노 사용법을 숙지해야 한다.
- * 보트를 실제로 다루는 지식과 보트 승무원을 지휘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 '''필기 시험 (영어 진행)'''
- * 구명정 및 구명뗏목, 필수 부품의 명칭, 필요한 장비에 대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 구명정 및 구명뗏목의 제거, 전개, 하강 방법, 노와 돛을 이용한 구명정 조종법, 악천후 시 보트의 적절한 취급법에 대해 답할 수 있어야 한다.
-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비트(Davits) 유형의 작동 방식과 기능을 알아야 한다.
- * 항해 용어, 방위각 계산, 도수 또는 방위점에 따른 나침반 읽는 법을 알아야 한다.
- * 공해, 내륙 수역 또는 오대호에서 항해하는 선박의 등화, 통과 신호, 안개 신호(지원자의 항해 수역에 따라 다름) 및 조난 신호에 대해 알아야 한다.
- * 조타 명령에 대한 적절한 응답 방법과 기관실 신호기 또는 벨 당김 신호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 '''실기 시험'''
- * 실제 시연에서 지원자는 보트를 지휘하고, 제거, 전개하며 보트를 물에 내리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노를 젓는 보트의 키잡이 역할을 수행하여 능력을 보여야 한다.
- * 지원자는 보트에서 직접 노를 저어 능력을 입증해야 한다.
-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매듭, 묶음, 꼬기, 걸쇠를 직접 시연하여 지식을 증명해야 한다.
- '''오염 방지 지식'''
- * 지원자는 해양 검사 담당관에게 다음 사항에 대한 지식을 만족스럽게 입증해야 한다.
- ** 화물 및 연료 공급 작업 시 슬러지 및 폐기물 처리 방법
- ** 오염 방지 관련 법규 및 규정
- ** 배출 억제 및 정화 절차
4. 주목할 만한 선원
역사적으로 많은 인물들이 선원으로 활동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탐험, 문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4. 1. 외국 선원
상선에서 활동했던 주목할 만한 외국 선원으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5. 소설 속 선원
문학 작품 등 다양한 창작물에서 선원은 매력적인 소재로 다루어진다. 다음은 여러 창작물에 등장하는 가상의 선원 캐릭터들이다.
6. 용어 논란: "Able-bodied Seaman" vs "Able Seaman"
일부 현대 자료에서는 AB가 'Able-bodied Seaman'(능숙한 신체를 가진 선원)의 약자이거나, 'Able Seaman'(유능한 선원)의 약자 대신 사용된다고 설명하기도 한다.[1] 하지만 원래 공식적인 용어는 'Able Seaman'이다. 과거 선박의 승선 명부나 계약서에서는 'Able Seaman'을 일반 선원(Ordinary Seaman, 'OS')과 구분하기 위해 'AS' 대신 'AB'라는 약어로 표기했다.[1] 이는 'OS'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조치였을 가능성이 높다.[1] 이후 이 약어는 'A.B.'로도 쓰이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민간 어원적으로 'Able-bodied Seaman'이라는 해석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1] 현재에도 법적 문서, 선원의 증명서, 그리고 선상에서는 'Able Seaman'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Five Naval Journals 1787–1817
Naval Records Society
[2]
웹사이트
Maritime Institute of Technology and Graduate Studies (MITAGS): AB to Mate Courses – Baltimore
http://mitags-pmi.or[...]
[3]
웹사이트
United States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46, Part 12.05
https://web.archive.[...]
2007-03-03
[4]
논문
Global collective bargaining on flag of convenience shipping
Wiley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