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73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1738년)은 신성 로마 제국의 프란츠 1세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사이에서 태어난 차녀이다. 그녀는 그림, 음악, 자연과학 분야에 재능을 보였으나, 신체적 장애와 어머니의 냉대로 인해 궁정에서 환영받지 못했다. 아버지 프란츠 1세의 지지를 받으며 자연과학 컬렉션을 발전시켰고, 빈 자연사 박물관의 초석을 다졌다. 그녀는 1789년 사망했으며, 클라겐푸르트 수도원에 많은 유산을 남겼고 프리메이슨을 후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9년 사망 - 미우라 바이엔
    미우라 바이엔은 18세기 일본의 의사이자 철학자로, 조리학을 통해 독자적인 학문 체계를 구축하고 우주와 인간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을 제시했으며, 사후 재평가를 통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 1789년 사망 - 모리 시게타카 (에도 시대)
    모리 시게타카는 에도 시대 조슈 번의 13대 번주로서 재정 개혁, 군비 확충, 경제 부흥을 추진했으나, 가혹한 연공 징수로 민중들의 저항을 겪었다.
  • 1738년 출생 - 아서 필립
    아서 필립은 영국 해군 장교이자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초대 총독으로, 1788년 오스트레일리아에 도착하여 시드니 정착지를 건설하고 식민지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원주민에 대한 폭력과 억압적인 통치 방식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그의 업적은 오늘날 호주 사회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738년 출생 - 카메하메하 1세
    카메하메하 1세는 하와이 제도를 통일하고 하와이 왕국을 건국했으며, 뛰어난 외교술로 하와이의 독립을 지킨 인물이다.
  • 18세기 오스트리아 사람 - 프란츠 슈베르트
    프란츠 슈베르트는 1797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600곡이 넘는 가곡을 포함한 1,200여 곡의 방대한 작품을 남긴 낭만주의 작곡가이다.
  • 18세기 오스트리아 사람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9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고, 유럽 순회 연주 여행과 빈에서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음악가 경력을 쌓았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73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아 안나의 초상화 (마르틴 반 메이텐스 화, 1760년대)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아 안나의 초상화 (마르틴 판 메이텐스 그림, 1760년대)
전체 이름영어: Mary Anne Josephine Antonia
독일어: Maria Anna Josefa Antonia
프랑스어: Marie Anne Joséphine Antoinette
출생일1738년 10월 6일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 호프부르크 왕궁
사망일1789년 11월 19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케른텐 공국), 클라겐푸르트
가문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아버지프란츠 1세
어머니마리아 테레지아

2. 생애

마리아 아나는 신성로마제국의 프란츠 1세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사이에서 둘째 딸로 태어났다. 언니 마리아 엘리자베트가 일찍 세상을 떠나면서,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가 오스트리아 여대공과 헝가리 여왕 등의 지위를 계승했을 때 잠시 추정상속인이 되었다. 하지만 남동생 요제프 2세가 태어나면서 상속 순위에서 밀려났다.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는 마리아 아나가 절름발이에 등이 굽어 정략결혼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 차갑게 대했다고 전해진다. 가족 중에서는 아버지 프란츠 1세만이 그녀를 따뜻하게 대하며 지지해주었다. 이러한 신체적 약점과 어머니의 냉대는 그녀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마리아 아나는 대수녀원장이 되었으며, 말년에는 클라겐푸르트에서 지내다가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클라겐푸르트에서의 삶과 활동, 학문적 업적 등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초기 생애 (1738년 ~ 1765년)

장 에티엔 리오타르가 그린 마리아 안나의 수채화, 1762년


마리아 안나 여대공(일명 ''마리아나'')은 1738년 10월 6일 합스부르크 왕가의 중심지인 의 호프부르크 궁전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란츠 1세와 오스트리아 여대공이자 헝가리 여왕인 마리아 테레지아 사이의 둘째 딸이자, 당시 살아남은 자녀 중 가장 나이가 많은 딸이었다. 첫째 언니 마리아 엘리자베트가 일찍 사망했기 때문에,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가 즉위한 후 잠시 추정상속인의 지위에 있었다. 하지만 1741년 남동생 요제프가 태어나면서 상속 순위에서 밀려났고, 어머니의 관심에서도 멀어졌다.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는 다른 딸들인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마리아 엘리자베트를 편애했는데, 이는 마리아 안나가 병약하고 등이 굽은 외모 때문에 정략결혼을 통한 가문의 외교적 역할 수행이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1] 성장하면서 등이 굽는 증상이 심해지자 주변으로부터 '곱추 공주'라는 조롱을 받기도 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아버지 프란츠 1세 황제만이 그녀를 따뜻하게 대하며 깊은 유대감을 나누었다.

마리아 안나는 당시 귀족 여성들에게 일반적인 교육을 받았으며, 특히 음악적 재능이 뛰어났다. 또한 그림, 춤, 발레에도 재능을 보여 빈 조형 예술 아카데미와 피렌체 예술 아카데미에 초청되기도 했다. 집중력, 기억력, 학구열 면에서는 남동생 요제프를 능가했지만, 미래의 황제가 될 남동생보다 뛰어난 여성의 재능은 궁정에서 환영받지 못했다. 1757년에는 큰 병을 앓은 후 건강상의 이유로 좋아하던 춤과 사냥 등의 활동을 금지당했다.

아버지 프란츠 1세는 딸의 지성을 아꼈고, 두 사람은 자연 과학 분야의 수집품이나 고전학 연구와 같은 지적 취미를 공유했다. 하지만 마리아 안나는 남동생 요제프 2세가 파르마의 공녀 마리아 이사벨라와 결혼하자, 그녀를 새로운 경쟁자로 여기고 냉담하게 대했다. 이로 인해 요제프와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고, 아버지 프란츠 1세와의 관계도 잠시 소원해졌다. 1763년 마리아 이사벨라가 천연두로 사망한 후에야 아버지와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1765년, 가장 의지했던 아버지 프란츠 1세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면서 마리아 안나는 깊은 슬픔에 빠졌다.

2. 2. 아버지와의 관계 및 학문적 성장 (1757년 ~ 1765년)

마리아 안나는 1757년 폐렴에 걸려 종부성사를 받을 정도로 위독했으나 다행히 살아남았다.[2] 하지만 이 병으로 인해 호흡 능력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었고, 척추가 융합되어 등이 굽는 후유증을 겪게 되었다.[2] 이로 인해 의사로부터 즐겨 하던 춤과 사냥 등의 운동을 금지당했다.

이후 마리아 안나는 아버지 프란츠 1세 황제와 매우 가까운 관계를 맺게 되었고, 아버지가 가장 총애하는 자녀가 되었다고 전해진다.[3] 아버지 프란츠 1세는 실질적인 권력에서는 소외되어 있었지만, 딸의 지성을 아꼈으며 마리아 안나에게 유일한 이해자이자 애정을 주는 존재였다. 두 사람은 화학, 물리학 등 자연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을 공유하며 함께 실험을 하기도 했고, 고전학 연구나 동전 수집, 광물곤충 수집과 같은 취미를 공유했다. 마리아 안나는 뛰어난 지적 능력과 집중력, 기억력, 근면함을 지녔으나, 당시 사회에서는 여성에게 학문적 능력을 기대하지 않았기에 이러한 재능은 궁정에서 환영받지 못했다. 그녀는 멘토인 이그나츠 폰 본의 도움을 받아 학문적 탐구를 이어갔다.

이그나츠 폰 본. 야코프 아담 작 판화.


1760년 남동생 요제프 2세가 파르마의 공녀 마리아 이사벨라와 결혼하자, 마리아 안나는 마리아 이사벨라를 새로운 경쟁자로 여겨 냉담하게 대했다. 이 때문에 요제프 2세는 누나를 혐오하게 되었고, 한때 아버지 프란츠 1세와의 관계도 소원해졌다. 그러나 1763년 마리아 이사벨라가 천연두로 세상을 떠나자, 마리아 안나는 다시 아버지와의 친밀한 관계를 회복할 수 있었다.

1765년 7월, 황실 가족 전체는 차남 레오폴트의 결혼식을 위해 인스브루크로 여행했다. 도중에 클라겐푸르트에 잠시 들렀는데, 이때 마리아 안나는 1710년에 설립된 성 엘리자베스 수도회 소속의 작은 수도원을 방문했다. 이 방문은 그녀의 인생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하지만 1765년 8월 18일, 인스브루크에서 아버지 프란츠 1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마리아 안나는 큰 충격을 받았고, 그녀를 이해해주던 아버지와의 특별했던 시간도 막을 내렸다.

2. 3. 프라하와 클라겐푸르트 (1766년 ~ 1789년)

1780년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가 사망하자, 이전부터 마리아 안나를 탐탁지 않게 여겼던 남동생 요제프 2세 황제는 그녀를 사실상 궁정에서 추방했다. 결국 마리아 안나는 1781년 4월 클라겐푸르트 성관으로 거처를 옮겨야 했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오랫동안 수집해 온 광물 컬렉션을 부다의 대학교에, 방대한 장서는 빈 대학교나 다른 과학 연구 시설에 넘겨야만 했다.

자비에리아 가서 수녀원장


클라겐푸르트에서 마리아 안나는 뜻밖에도 지역 주민들의 따뜻한 환대를 받았다. 이곳에서 그녀는 평생의 친구들을 만나 마음을 열게 되었다. 클라겐푸르트 궁내청 장관 엔첸베르크 백작과 엘리자베트 수도원의 자비에리아 가서 수녀원장은 그녀에게 큰 힘이 되어주었다. 마리아 안나는 가서 수녀원장과 수도원 운영에 대해 깊은 대화를 나누었으며,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수도원을 아낌없이 지원했다. 그녀의 노력 덕분에 수도원 부속 교회는 교구 교회로 승격되어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마리아 안나는 자신의 재산을 사용하여 수도원 부속 병원의 시설 개선에도 힘썼다. 처음에는 그녀의 재정 지원 요청에 냉담했던 요제프 2세 황제도 1783년 클라겐푸르트를 직접 방문한 후, 잘 운영되는 병원과 활기찬 수도원의 모습에 감명을 받아 병원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

또한 마리아 안나는 케른텐 주 지사를 통해 익명으로 가난한 이들과 환자들을 도왔다. 이러한 열정적인 사회 복지 활동과 학술 활동 덕분에 그녀는 케른텐 주민들로부터 깊은 존경을 받게 되었다.

클라겐푸르트에서 마리아 안나는 자신의 과학적 관심사를 자유롭게 추구했다. 특히 고고학에 매료되어, 졸펠트 지역의 유적 발굴을 위해 30,000 플로린이라는 거금을 기부하고 직접 발굴 작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녀는 수녀, 예술가, 과학자, 귀족 등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했으며, 그중에는 카린티아 철강 산업가인 막시밀리안 타데우스 폰 에거도 있었다. 그녀의 친구들 중 일부는 프리메이슨에 속해 있었는데, 1783년 클라겐푸르트에는 그녀를 기리는 의미로 Zur wohltätigen Marianna|자선적인 마리안나de라는 이름의 프리메이슨 지부가 설립되기도 했다.

마리아 안나는 여동생 마리아 엘리자베스와 특히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으며, 두 사람은 사망할 때까지 클라겐푸르트의 같은 수도원에서 함께 살았다. 막내 여동생 마리 앙투아네트 역시 1770년 프랑스로 시집가는 길에 베르사유로 향하던 중 클라겐푸르트에 들러 하룻밤을 보내기도 했다.

1788년 겨울부터 마리아 안나의 건강은 눈에 띄게 악화되었다. 호흡 곤란이 심해져 휠체어 없이는 거의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결국 그녀는 1789년 11월 19일, 가장 가까운 친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세상을 떠났다. 그녀가 남긴 마지막 말은 다음과 같았다고 전해진다.

::"참으로 좋은 나라이고, 나는 항상 이 나라를 사랑했습니다. 행복하게 살았던 좋은 사람들이 있고, 나는 그들을 떠나는 것이 아쉽습니다."

마리아 안나는 자신의 전 재산(150,000 길더 이상)을 클라겐푸르트 수도원에 유증했다. 하지만 그녀의 오빠인 요제프 2세 황제는 이 유산에서 상속세를 공제했다. 그녀가 살았던 클라겐푸르트 궁전은 현재 '마리안넨가세'에 위치한 주교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

2. 4. 학술 활동 및 후원

마리아 안나 여대공은 매우 지적이었으나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2] 건강이 좋지 않았고, 특히 호프부르크 궁전의 외풍 심한 방에서 상태가 악화되었다. 1757년에는 폐렴으로 거의 죽을 뻔하여 종부성사까지 받았으나, 다행히 회복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호흡 능력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었고 척추가 휘어 등에 혹이 생겼다. 이후 아버지 프란츠 1세와 가까워져 그의 가장 총애하는 자녀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아버지처럼 과학에 관심이 많아 화학물리학 실험을 즐겼다. 장애에도 불구하고 막내 여동생 마리 앙투아네트의 세례식에서 대모 역할을 하는 등 국가의 주요 행사에 참여했다.[3]

1765년 아버지 프란츠 1세 황제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마리아 안나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가 그녀에게 적합한 왕족 배우자를 찾지 못했기 때문에, 1766년 마리아 안나는 연간 8만 플로린을 받으며 프라하에 있는 테레지아 제국 및 왕립 귀부인 수도원(Frauenstift)의 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프라하 직책을 포기하고 더 적은 지원금으로 클라겐푸르트에 있는 성 엘리자베스 수도회 수도원의 원장이 되기로 결정했다. 그녀가 머물게 될 클라겐푸르트의 수도원 근처에는 니콜로 파카시가 설계한 궁전이 1771년 완공되었다.

클라겐푸르트의 수도원장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녀는 자신의 결심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Gott hat mir die Gnade gegeben, die Welt und ihre Eitelkeit zu erkennen, und dadurch mir die Stärke erteilt, mein Leben nicht als Klosterfrau, doch in der Einsamkeit und im Dienste der Nächsten zu schließen. Ich habe dazu Klagenfurt ausgewählt, und zwar Sie und ihre frommen Schwestern, hoffend, dass mein unvollkommener Wert durch Ihre guten Beispiele angeeifert, meine Seligkeit mir gewiss versichert wird.''

::"신은 나에게 세상과 그 허영심을 알 수 있는 은혜를 주셨고, 그로 인해 수녀로서가 아닌 고독 속에서 이웃을 섬기며 삶을 마칠 수 있는 힘을 주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클라겐푸르트를 선택했고, 특히 당신과 당신의 경건한 자매들을 선택했습니다. 당신의 훌륭한 모범에 의해 나의 불완전한 가치가 격려받아 나의 구원이 확실히 보장되기를 바랍니다."

클라겐푸르트로 이주하기 전, 마리아 안나는 멘토 이그나츠 폰 본의 도움을 받아 아버지의 동전 수집품(훗날 빈 자연사 박물관 소장품의 일부가 됨)을 정리하고 목록화했으며, 자신만의 광물 및 곤충 컬렉션을 만들었다. 그녀는 사회 사업에 참여하고, 고고학 발굴을 지원했으며, 여러 예술가와 과학자들을 후원했다.

마리아 안나는 어머니의 정치에 관한 책을 저술하기도 했으며, 그녀의 수채화와 그림은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활동으로 1767년 빈 미술 아카데미 명예 회원, 1769년 피렌체 미술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뛰어난 재능과 지성을 갖추었음에도, 당시 사회 통념상 여성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여겨진 과학에 대한 관심 때문에 마리아 안나는 상류 사회에서 환영받지 못했다. 그러나 과학계와 예술계에서는 그녀의 학문적 열정과 후원을 높이 평가했다.

아버지 프란츠 1세 황제가 프리메이슨이었기에, 마리아 안나 역시 프리메이슨에 깊은 호의를 가졌다. 빈에 머물던 시절, 마리아 안나는 빈 프리메이슨 활동의 중심인물인 광물학자 이그나츠 폰 본과 함께 자연사 편찬 작업을 진행하고 그의 연구를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또한 빈의 프리메이슨 지부에 많은 기부를 하기도 했다.

1783년 클라겐푸르트로 이주한 후, 이그나츠 폰 본의 주선으로 클라겐푸르트에 프리메이슨 지부가 설립되었고, 지부는 마리아 안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녀는 이 지부의 후원자로서 활동하며 회원들의 아내들을 위한 사교 모임을 정기적으로 열었다.

지식인 및 문화계 인사들과의 교류는 마리아 안나가 유적 발굴과 보존에 관심을 두는 계기가 되었다. 1783년 촐펠트 평원에서 시작된 고고학 발굴 조사에 3만 굴덴을 투자했고, 이 조사를 통해 고대 로마 시대 도시 유적인 비르눔(Virunum)이 발굴되었다.

2. 5. 죽음과 유산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가 1780년 11월 29일 사망하자, 4개월 뒤 마리아 안나는 클라겐푸르트로 영구히 이주했다. 그곳에서 수도원장이었던 자베리아 가세르(Xaveria Gasser)와 깊은 우정을 쌓았다. 마리아 안나의 아낌없는 재정 지원 덕분에 수도원 병원은 확장될 수 있었으며, 그녀의 개인 주치의가 병원 환자들을 돌보았다. 또한 클라겐푸르트 시에 대한 복지 지원도 아끼지 않았다.

그녀는 수녀, 예술가, 과학자, 귀족 등 다양한 친구들과 교류했으며, 그중에는 카린티아의 철강 산업가인 막시밀리안 타데우스 폰 에거(Maximilian Thaddäus von Egger)도 있었다. 교류하던 이들 중 일부는 프리메이슨 단원이기도 했다. 1783년에는 클라겐푸르트프리메이슨 로지가 Zur wohltätigen Marianna|자선적인 마리안나deu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그녀에게 헌정되기도 했다. 마리아 안나는 클라겐푸르트에서 과학 연구에 몰두했다. 특히 고고학에 깊은 관심을 보여, 졸펠트(Zollfeld) 유적 발굴을 위해 3만 플로린을 기부하고 직접 발굴 작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여동생 마리아 엘리자베트와는 각별한 사이로, 사망할 때까지 같은 수도원에서 함께 지냈다. 막내 여동생인 마리 앙투아네트1770년 프랑스로 시집가기 위해 베르사유로 향하던 중 클라겐푸르트에 들러 하룻밤을 묵기도 했다.

1788년 겨울부터 마리아 안나의 건강은 급격히 나빠졌다. 호흡 곤란이 심해져 휠체어 없이는 거의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1789년 봄부터 병세가 악화된 마리아 안나는 그해 11월 19일, 그녀의 평안을 기원하는 주민들이 성 주변을 둘러싼 가운데 성 엘리사벳 축일에 세상을 떠났다. 임종 직전 그녀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참으로 좋은 나라이고, 나는 항상 이 나라를 사랑했습니다. 행복하게 살았던 좋은 사람들이 있고, 나는 그들을 떠나는 것이 아쉽습니다."

마리아 안나의 묘비, 2007년 촬영.


그녀가 생전에 직접 준비한 묘비에는 라틴어로 다음과 같은 글귀가 새겨졌다.

:MARIA ANNAlat (마리아 안나)

:PECCATRIXlat (죄 많은 여자)

:NATA DIE VI OCT: MDCCXXXVIIIlat (1738년 10월 6일 출생)

:DENATA DIE XIX NOV: MDCCLXXXIXlat (1789년 11월 19일 사망)

:REQUIESCAT IN PACElat (평안히 잠들다)

마리아 안나는 자신의 전 재산(15만 길더 이상)을 클라겐푸르트 수도원에 유증했다. 그녀의 개인 소지품과 거주했던 성 또한 매각되어 그 수입이 수도원에 전달되었다. 그녀의 오빠인 요제프 2세 황제는 개인적인 배려로 상속세를 최고 25%까지 감면해주었다. 그녀가 머물렀던 궁전은 현재 '마리안넨가세'(Mariannengasse)에 위치한 주교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

3. 프리메이슨과의 관계



아버지인 프란츠 슈테판 황제가 프리메이슨이었기 때문에, 마리아 안나 역시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프리메이슨에 깊은 호의를 품었다. 빈 시대에 마리아 안나는 빈의 프리메이슨 활동의 중심 인물인 광물학자 이그나츠 폰 보른과 함께 자연사의 편찬을 진행하는 동시에 보른의 연구에 투자를 했다. 또한 그녀는 프리메이슨의 빈 지부에 많은 선물을 했다.

클라겐푸르트로 이주한 후, 1783년에 보른의 주선으로 클라겐푸르트에 프리메이슨 지부가 설립되자, 지부에는 마리아 안나의 이름이 붙여졌다. 그녀는 프리메이슨의 훌륭한 후원자로서 행동하며, 회원들의 아내들을 위한 야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했다.

이러한 문화인과의 교류는 마리아 안나에게 유적 발굴과 보호에 대한 의욕을 불러일으켰다. 1783년에 시작된 촐펠트 평원의 발굴 조사에 그녀는 3만 굴덴을 투자했고, 그 결과 고대 로마 시대의 비르눔 유적이 발굴되었다.

4. 대중문화

마르티나 그렌체(Martina Grenze)의 역사 소설 '슈바르첸베르크 공주 사건 1757'(The Case of Princess Schwarzenberg 1757)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 미야노 하루( 宮野 はる일본어 )의 만화 『라 마키유즈 ~ 베르사유의 화장사 ~』( ラ・マキユーズ ~ヴェルサイユの化粧師~일본어 )에 등장한다. 이 만화는 『[https://comic-walker.com/comicbridge/ COMIC BRIDGE online]』(KADOKAWA)에서 연재되었으며, 과거 프랑스로 타임슬립한 화장품 개발 연구자인 주인공이 마리아 테레지아에 의해 오스트리아로 오게 되고, 그곳에서 마리아 아나와 교류하는 내용을 다룬다.[6] 작중 주인공은 마리아 아나의 깊은 학식에 감탄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5. 가계도

wikitext

1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4]
2프란츠 1세, 신성 로마 황제3마리아 테레지아
4로렌 공작 레오폴트5오를레앙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트6카를 6세, 신성 로마 황제7브라운슈바이크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틴
8로렌 공작 샤를 5세9오스트리아의 엘레오노레10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11팔라틴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트12레오폴트 1세, 신성 로마 황제13노이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막달레네14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루돌프 아우구스트15외팅겐-외팅겐의 크리스틴 루이즈


참조

[1] 서적 Leitner 1996
[2] 웹사이트 Marie Antoinette's: Family Tree: Meet Marie's Sister Marianne https://www.mariegos[...] 2022-04-13
[3] 서적 Marie Antoinette: The Journey
[4]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5] 문서 修道服を身につけた肖像画が残されているが、修道女にはなっていない。
[6] 웹사이트 ラ・マキユーズ~ヴェルサイユの化粧師~ 4 |無料試し読みなら漫画(マンガ)・電子書籍のコミックシーモア https://www.cmoa.jp/[...] 2023-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