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의 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의 군주는 오스트리아를 통치했던 군주들에 대한 문서이다. 오스트리아의 군주는 시대별로 오스트마르크 변경백, 오스트리아 변경백, 오스트리아 공작, 오스트리아 대공, 오스트리아 황제로 구분된다. 976년 바벤베르크 가문이 오스트리아 변경백을 세습하였고, 1156년 바이에른 공작령으로부터 독립하여 오스트리아 공작령으로 격상되었다. 1453년에는 대공국으로 승격되었으며, 1804년에는 오스트리아 제국이 선포되었다. 1867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재편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1918년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스트리아의 군주 | |
---|---|
개요 | |
![]() | |
왕가 칭호 | 변경백, 공작, 대공, 황제 |
국가 | 오스트리아 |
최초 통치자 | 레오폴트 1세 (변경백으로서) |
마지막 통치자 | 카를 1세 (황제로서) |
경칭 | 대공국 시대: 왕족 전하 황족 전하 |
거주지 | 호프부르크 왕궁, 빈 (공작 시대부터) |
임명권자 | 해당사항 없음 |
시작 | 976년 7월 21일 |
종료 | 1918년 11월 12일 |
2. 오스트마르크 변경백
오스트마르크(동방 변경백국)는 신성 로마 제국의 동쪽 국경 지대에 설치된 변경백국이었다.
- 하인리히
- 빌헬름 1세 (빌헬름 가문)
2. 1. 빌헬름 가문 및 아리보 가문
- 빌헬름 2세 - 빌헬름 가문
- 엥겔샬크 1세 - 판노니아 변경백 겸직
- 아리보 1세 - 아리보 가문
- 엥겔샬크 2세 - 엥겔샬크 1세의 아들
- 아르눌프
- 리우트폴트 (894년 ~ 907년)
- 부르크하르트 (960년 ~ 976년)
3. 오스트리아 변경백
976년 바벤베르크 가문의 레오폴트 1세가 최초의 변경백이 된 이후, 오스트리아 변경백 지위는 그의 아들 하인리히 1세, 손자 아달베르트, 증손자 에른스트로 이어졌다. 에른스트의 아들 레오폴트 2세, 그의 아들 성 레오폴트 3세, 성 레오폴트 3세의 아들 레오폴트 4세를 거쳐 하인리히 2세 때 공작령으로 승격되었다.
3. 1. 바벤베르크 가문
976년부터 바벤베르크 가문이 오스트리아 변경백을 세습했다. 레오폴트 1세를 시작으로 하인리히 1세, 아달베르트, 에른스트가 변경백을 역임했다. 레오폴트 2세, 레오폴트 3세, 레오폴트 4세를 거쳐 하인리히 2세 때 공작령으로 승격되었다.이름 | 지위계승년 | 퇴임년 | 비고 |
---|---|---|---|
레오폴트 1세 | 976년 | 994년 | |
하인리히 1세 | 994년 | 1018년 | 레오폴트 1세의 아들 |
아달베르트 | 1018년 | 1055년 | 하인리히 1세의 아들 |
에른스트 | 1055년 | 1075년 | 아달베르트의 아들 |
레오폴트 2세 | 1075년 | 1095년 | 에른스트의 아들 |
레오폴트 3세 | 1095년 | 1136년 | 레오폴트 2세의 아들, 성인. |
레오폴트 4세 | 1136년 | 1141년 | 레오폴트 3세의 아들, 바이에른 공작 (1139-1141). |
하인리히 2세 | 1141년 | 1156년 | 레오폴트 4세의 아들, 바이에른 공작. |
4. 오스트리아 공작
1156년 오스트리아는 공작령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바벤베르크 가문이 통치하다가 1246년부터 1282년까지 여러 군주들이 공작위를 주장하는 공위기가 있었다.[1]
이름 | 가문 | 작위계승년 | 퇴임년 | 비고 |
---|---|---|---|---|
하인리히 2세 | 바벤베르크 가문 | 1156년 | 1177년 | 레오폴트 4세의 아들, 바이에른 공작 |
레오폴트 5세 | 바벤베르크 가문 | 1177년 | 1194년 | 하인리히 2세의 아들 |
프리드리히 1세 | 바벤베르크 가문 | 1195년 | 1198년 | 레오폴트 5세의 아들 |
레오폴트 6세 | 바벤베르크 가문 | 1198년 | 1230년 | 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 |
프리드리히 2세 야조미르고트 | 바벤베르크 가문 | 1230년 | 1246년 | 레오폴트 6세의 아들, 바벤베르크 가문의 최후 통치자 |
공위기 | 1246년 | 1282년 | 여러 군주들이 공작위를 주장 |
4. 1. 바벤베르크 가문
1156년 오스트리아는 공작령으로 승격되었다. 하인리히 2세를 시작으로 레오폴트 5세, 프리드리히 1세, 레오폴트 6세가 공작을 역임했다.[1] 프리드리히 2세 사후 바벤베르크 가문의 남계가 단절되었다.[5]이름 | 작위계승년 | 퇴임년 | 비고 |
---|---|---|---|
하인리히 2세 | 1156년 | 1177년 | 레오폴트 4세의 아들, 바이에른 공작 |
레오폴트 5세 | 1177년 | 1194년 | 하인리히 2세의 아들 |
프리드리히 1세 | 1195년 | 1198년 | 레오폴트 5세의 아들 |
레오폴트 6세 | 1198년 | 1230년 | 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 |
프리드리히 2세 야조미르고트 | 1230년 | 1246년 | 레오폴트 6세의 아들, 바벤베르크 가문의 최후 통치자 |
4. 2. 바덴 가문 및 프르셰미슬 가문
헤르만 6세 (1248년 - 1249년)는 바덴 변경백이었다.[1] 프리드리히 1세 (1250년 - 1251년)도 바덴 변경백이었다.[2] 오타카르 2세 프르셰미슬(1251년 - 1278년)이 그 뒤를 이었다.[3]4. 3. 합스부르크 가문
1278년 마르히펠트 전투에서 승리한 합스부르크 가의 루돌프 1세가 오스트리아 공작령을 차지했다.[1] 루돌프 1세는 아들 알브레히트 1세에게 오스트리아 공작위를 물려주었다.[1] 이후 알브레히트 1세, 루돌프 3세, 프리드리히 1세, 레오폴트 1세가 공동 통치했다.[1] 알브레히트 2세, 오토 공작을 거쳐[1] 루돌프 4세는 '대공' 칭호를 자칭하며 오스트리아의 지위를 높이려 했다.[1] 알브레히트 3세 이후 알브레히트 계열과 레오폴트 계열로 분리되어 통치되었다.[1]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루돌프 1세 | 1278년 - 1282년 | 로마왕 |
알브레히트 1세 | 1282년 - 1308년 | 로마왕 |
루돌프 2세 | 1282년 - 1283년 | |
루돌프 3세 | 1298년 - 1307년 | 보헤미아 왕(루돌프 1세) |
프리드리히 1세 | 1308년 - 1330년 | 로마왕(프리드리히 3세), "미남왕" |
레오폴트 1세 | 1308년 - 1326년 | |
알브레히트 2세 | 1330년 - 1358년 | "현명공" |
오토 | 1330년 - 1339년 | "유쾌공" |
레오폴트 2세 | 1339년 - 1344년 | |
루돌프 4세 | 1358년 - 1365년 | 대공 (자칭), "건설공" |
알브레히트계 | ||
알브레히트 3세 | 1365년 - 1395년 | |
알브레히트 4세 | 1395년 - 1404년 | |
알브레히트 5세 | 1404년 - 1439년 | 로마왕(알브레히트 2세) |
라디슬라우스 | 1440년 - 1457년 | |
레오폴트계 | ||
레오폴트 3세 | 1365년 - 1386년 | 내 오스트리아 공작 |
빌헬름 | 1386년 - 1406년 | 내 오스트리아 공작, 레오폴트 4세 (전방 오스트리아 공작, 1386년 - 1411년) |
에른스트 | 1406년 - 1424년 | 내 오스트리아 공작, "철공", 프리드리히 4세 (전방 오스트리아 공작, 1411년 - 1439년) |
5. 오스트리아 대공
1453년 프리드리히 5세 때 오스트리아는 대공국으로 승격되었다.[13]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은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광대한 영토를 다스렸다. 막시밀리안 2세 이후에는 내 오스트리아와 전방 오스트리아로 분할되어 통치되기도 했다. 레오폴트 1세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며 오스트리아의 국력을 신장시켰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통해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토를 지켜냈다.[13]
1806년 이후 오스트리아 대공위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예속되었다.
5. 1. 합스부르크 가문
1453년 프리드리히 5세 때 오스트리아는 대공국으로 승격되었다.[13] 이후 알브레히트 6세, 막시밀리안 1세, 카를 1세, 페르디난트 1세를 거치며 합스부르크 가문은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광대한 영토를 다스렸다.막시밀리안 2세 이후에는 내 오스트리아와 전방 오스트리아로 분할되어 통치되기도 했다. 카를 2세는 내 오스트리아 대공(1564년 - 1590년)을, 페르디난트 2세는 전방 오스트리아 대공(1564년 - 1595년)을 맡았다. 이후 레오폴트 5세(1619년 - 1632년), 페르디난트 카를(1628년 - 1662년), 지기스문트 프란츠(1662년 - 1665년) 등이 전방 오스트리아를 통치했다.
루돌프 2세, 마티아스,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3세를 거쳐 레오폴트 1세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며 오스트리아의 국력을 신장시켰다. 요제프 1세, 카를 6세를 거쳐 마리아 테레지아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통해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토를 지켜냈다.[13]
5. 2.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마리아 테레지아와 프란츠 슈테판의 결혼으로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이 시작되었다. 요제프 2세, 레오폴트 2세를 거쳐 프란츠 2세는 나폴레옹 전쟁의 혼란 속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위를 포기하고 오스트리아 황제를 칭했다.[1]
1806년 이후 오스트리아 대공위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예속되었다. 이후의 대공에 관해서는 오스트리아의 황제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6.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2세부터 오스트리아 황제를 겸임했다.
6. 1.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 요제프 2세 (1780년 - 1790년)[1]
- 레오폴트 2세 (1790년 - 1792년)[2] (신성 로마 황제로는 레오폴트 2세)
- 프란츠 2세 (1792년 - 1835년)[3]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
이후에는 오스트리아 황제를 겸임했다.[3]
참조
[1]
문서
[2]
간행물
Continuatio Prædictorum Vindobonensium
MGH SS
1125
[3]
문서
[4]
간행물
Continuatio Scotorum
MGH SS IX
1227
[5]
간행물
Continuatio Zwetlenses III
MGH SS IX
1252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9-06-01
[11]
서적
The Habsburg Monarchy, 1490-1848: Attributes of Empire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017-03-07
[12]
문서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