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겐푸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겐푸르트는 오스트리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뵈르터 호의 동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케른텐 주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전설에 따르면 용을 물리친 용감한 사람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1252년 도시 특권을 부여받았다. 19세기에 카린티아 슬로베니아 문화의 중요한 중심지였으며, 1938년 인구 증가와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피해를 겪었다. 1961년 오스트리아 최초의 보행자 전용 구역을 도입했고, 1968년에는 '올해의 유럽 도시'로 선정되었다. 클라겐푸르트는 현재 오스트리아에서 여섯 번째로 큰 도시이며, 주요 산업은 경공업, 전자, 관광이다. 클라겐푸르트 공항과 중앙역을 통해 교통이 편리하며, 다양한 문화 시설과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여러 자매 도시들과 교류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라겐푸르트 - 클라겐푸르트 공항
클라겐푸르트 공항은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에 위치한 공항으로, 군 비행장으로 사용되다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었으며, 여객 수 감소 후 라이언에어 복귀 및 새로운 항공사 설립 시도 등 변화를 모색하며 주요 도시 연결 노선을 운영하고 교통망과 연결되어 있다. - 케른텐주의 도시 - 필라흐
필라흐는 오스트리아 케른텐주에 있는 도시로, 남유럽과의 물류 거점이며 스키 점프 월드컵 개최 및 다양한 축제가 열리는 곳이다. - 케른텐주의 도시 - 슈피탈안데어드라우
슈피탈안데어드라우는 오스트리아 케른텐주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 시장 도시의 특권과 르네상스 시대 포르치아 성 건설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케른텐 응용 과학 대학교가 위치하고 교통이 편리하여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오스트리아의 주도 - 빈
오스트리아의 수도이자 연방 주이며 다뉴브 강에 위치한 빈은 로마 시대 군사 기지에서 기원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중심지로서 정치,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빈 회의 개최와 음악 발전, 국제 기구 유치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회복하여 현재 유럽 연합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 오스트리아의 주도 - 린츠
린츠는 오스트리아 상오스트리아 주의 주도로, 다뉴브 강 연안의 상업 및 산업 도시이며, 로마 시대 요새에서 기원하여 중세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고, 2차 세계대전의 어두운 역사를 딛고 현재는 문화 도시이자 미디어 아트 중심지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도시이다.
클라겐푸르트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클라겐푸르트 암 뵈르터제 |
슬로베니아어 명칭 | Celovec |
오스트리아-바이에른어 명칭 | Klognfuat |
위치 | 오스트리아 케른텐주 |
행정 구역 | 헌장 도시 |
시장 | 크리스티안 샤이더 (팀 케른텐) |
면적 | 120.11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446 미터 |
시간대 | CET |
섬머타임 | CEST |
UTC 오프셋 | +1 |
UTC 섬머타임 오프셋 | +2 |
차량 등록 번호판 | K |
우편 번호 | 9020, 9061, 9063, 9065, 9073, 9201 |
지역 번호 | 0463 |
공식 웹사이트 | www.klagenfurt.at |
인구 | |
총 인구 | 100,817 명 (2016년) |
인구 밀도 | 830 명/제곱킬로미터 |
추가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역사
클라겐푸르트는 1252년 도시 특권을 얻었다.[6] 1514년 대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복구되었다. 1863년 클라겐푸르트를 통과하는 철도가 개통되어 교통의 요충지이자 케른텐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1925년에는 오스트리아 최초의 항공 노선이 개통되었다.
19세기 클라겐푸르트는 카린티아 슬로베니아 문화의 중심지였다. 안톤 마르틴 슬롬셰크, 유리 야펠, 안톤 야네지치, 안드레이 아인슈필러, 마티야 마야르 등 슬로베니아 지식인들이 활동했고, 프랑스 프레셰렌도 잠시 일했다. 1851년 헤르마고라스 학회 출판사가 설립되었고, '''슬로벤스키 글라스니크''' 등 슬로베니아어 신문도 발행되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슬로베니아의 영향력은 감소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 독일계 특징이 강해졌다.
1919년 클라겐푸르트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군대에 점령되어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될 위기에 처했으나, 1920년 카린티아 주민투표 결과 오스트리아에 남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클라겐푸르트는 41차례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10] 1945년 5월 영국 육군 영국 제8군과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동시에 도착했다.[14] 유고슬라비아군은 도시와 주변 지역을 장악하려 했지만, 영국과 미국의 압력으로 철수했다.[17]
1961년 클라겐푸르트는 오스트리아 최초의 보행자 전용 구역을 도입했다. 1968년 "올해의 유럽 도시" 칭호를 받았고, 유럽 노스트라 공로 훈장을 세 차례 수상했다. 1973년 주변 시정촌들을 합병해 인구가 약 9만 명으로 증가했다.
2. 1. 기원과 중세
카린티아의 언어학자 프리무스 레시아크와 에버하르트 크란츠마이어는 클라겐푸르트라는 도시 이름이 문자 그대로 '한탄의 여울' 또는 '불평의 여울'로 번역되는 것에 주목했다. 이들은 불운을 가져오는 요정이나 악령이 위험한 물가나 늪지대에 서식한다는 미신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했다. 구 슬로베니아어에서 ''cviljovec''는 그러한 울부짖는 여자 유령이나 ''cvilya''가 출몰하는 장소를 의미한다.[5] 따라서 그들은 클라겐푸르트의 이름이 인근 습지의 원래 슬로베니아어 이름을 독일 정착민들이 번역한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1615년에 기록된 ''v Zelouzi''('Celovec 안에', 클라겐푸르트의 슬로베니아어 이름) 형태의 클라겐푸르트에 대한 가장 초기의 슬로베니아어 언급[6]은 400년이나 더 최근 것이며, 따라서 독일어에서 번역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최근 해석은 구 슬로베니아어 ''cviljovec'' 자체가 이탈리아어 ''l'aquiliu'' '물가 또는 물속의 장소'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울부짖는 마녀 이론을 쓸모없게 만든다.[7][8]학자들은 여러 시대에 걸쳐 도시의 특이한 이름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14세기에 수도원장이자 역사가인 비크트링의 요한(John of Viktring)은 그의 ''Liber certarum historiarum''에서 클라겐푸르트의 이름을 ''Queremoniae Vadus'' '불평의 여울'로 번역했다. 1612년 카린티아 삼부회의 클라겐푸르트 대학 강사이자 공국 역사 최초의 인쇄본 편집자였던 히에로니무스 메기저(Hieronymus Megiser)는 이 이름이 '글란 강을 가로지르는 여울'을 의미한다고 믿었다.[7] 그러나 이것은 언어학적 이유로 불가능하다. 일반 대중들 또한 제빵 견습생이 절도 혐의로 기소되어 처형되었지만, 며칠 후 의혹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그 소년의 무죄가 증명되자 시민들의 "한탄"(''Klagen'')이 계속되었다는 이야기에서 설명을 찾았다. 이 이야기는 나중에 피우스 2세가 된 아에네아스 실비우스 피콜로미니가 전했다.[6]

전설에 따르면, 용감한 사람들이 호수 근처의 황무지에서 끔찍한 날개 달린 "린드부름"을 처치한 후 클라겐푸르트가 건설되었다고 한다. 이 린드부름은 인근 공국을 괴롭히고 있었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황무지 가장자리에 탑을 세워 용을 감시했고, 사슬과 갈고리로 장착된 황소를 이용하여 용을 유인하여 짐승의 입천장을 잡았다고 한다. 그 후 전투 현장에 마을이 세워졌고, 나중에 도시로 확장되었으며, 감시탑은 성으로 바뀌었다. 이 업적은 도시 중심부에 있는 웅장한 9톤의 르네상스 기념물로 기념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은 스판하임 공작 헤르만이 이 지역의 상업로를 가로지르는 요새로 건설했다. 최초의 언급은 12세기 후반에 공작 울리히 2세가 성 바울 수도원을 "''foro Chlagenvurth''"의 통행세에서 면제한 문서에 나온다.[6] 당시 정착지는 잦은 홍수 피해를 입는 지역이었기에, 1246년 헤르만 공작의 아들인 베른하르트 폰 스판하임 공작이 더 안전한 곳으로 옮겼고, 따라서 시장의 실질적인 창립자로 여겨진다. 1252년에는 시 권한을 부여받았다.
후대에 클라겐푸르트는 화재, 지진, 메뚜기 떼의 침입,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겪었고, 농민 전쟁으로 황폐해졌다. 1514년 화재로 도시가 거의 전소되었고, 1518년 막시밀리안 1세 황제는 시민들의 강력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재건에 실패하자 클라겐푸르트를 령주회의(즉, 공국의 귀족들)에게 양도했다. 이러한 일은 전례가 없었다. 그러나 새로운 소유주들은 클라겐푸르트의 경제 부흥과 정치·문화적 발전을 가져왔다. 도시를 호수와 연결하는 운하가 도시 재건을 위한 목재 공급로이자 새로운 해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귀족 가문들은 공국의 새로운 수도에 저택을 짓고, 이탈리아 건축가 도메니코 델랄리오의 르네상스 사상에 따라 기하학적인 바둑판식 배치로 도시가 확장되었다. 새로운 시 중심 광장인 ''노이어 플라츠''가 건설되었고, 반세기 만에 완공된 새로운 요새는 클라겐푸르트를 알프스 북쪽에서 가장 강력한 요새로 만들었다.
2. 2. 근세: 르네상스와 발전
카린티아의 언어학자 프리무스 레시아크와 에버하르트 크란츠마이어는 도시 이름이 문자 그대로 '한탄의 여울' 또는 '불평의 여울'(여울)로 번역되는 것과 관련하여, 불운을 가져오는 요정이나 악령이 위험한 물가나 늪지대에 서식한다는 미신적인 생각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했다. 구 슬로베니아어에서 ''cviljovec''는 그러한 울부짖는 여자 유령이나 ''cvilya''가 출몰하는 장소를 의미한다.[5] 따라서 그들은 클라겐푸르트의 이름이 인근 습지의 원래 슬로베니아어 이름을 독일 정착민들이 번역한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1615년에 기록된, ''v Zelouzi''('Celovec 안에', 클라겐푸르트의 슬로베니아어 이름) 형태의 클라겐푸르트에 대한 가장 초기의 슬로베니아어 언급[6]은 400년이나 더 최근 것이며, 따라서 독일어에서 번역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최근 해석은 구 슬로베니아어 ''cviljovec'' 자체가 이탈리아어 ''l'aquiliu''('물가 또는 물속의 장소')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울부짖는 마녀 이론을 쓸모없게 만든다.[7][8]학자들은 여러 시대에 걸쳐 도시의 특이한 이름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14세기에 수도원장이자 역사가인 비크트링의 요한(John of Viktring)은 그의 ''Liber certarum historiarum''에서 클라겐푸르트의 이름을 ''Queremoniae Vadus''('불평의 여울')로 번역했다. 1612년 카린티아 삼부회의 클라겐푸르트 대학 강사이자 공국 역사 최초의 인쇄본 편집자였던 히에로니무스 메기저(Hieronymus Megiser)는 이 이름이 '글란 강을 가로지르는 여울'을 의미한다고 믿었다.[7] 그러나 이것은 언어학적 이유로 불가능하다. 일반 대중들은 제빵 견습생이 절도 혐의로 기소되어 처형되었지만, 며칠 후 의혹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그 소년의 무죄가 증명되자 시민들의 "한탄"(''Klagen'')이 계속되었다는 이야기에서 설명을 찾았다. 이 이야기는 나중에 피우스 2세가 된 아에네아스 실비우스 피콜로미니(Aeneas Silvius Piccolomini)가 전했다.[6]
후대에 클라겐푸르트는 화재, 지진, 메뚜기 떼의 침입,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겪었고, 농민 전쟁으로 황폐해졌다. 1514년 화재로 도시가 거의 전소되었고, 1518년 막시밀리안 1세 황제는 시민들의 강력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재건에 실패하자 클라겐푸르트를 령주회의(공국의 귀족들)에게 양도했다. 이러한 일은 전례가 없었다. 그러나 새로운 소유주들은 클라겐푸르트의 경제 부흥과 정치·문화적 발전을 가져왔다. 도시를 호수와 연결하는 운하가 도시 재건을 위한 목재 공급로이자 새로운 해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귀족 가문들은 공국의 새로운 수도에 저택을 짓고, 이탈리아 건축가 도메니코 델랄리오의 르네상스 사상에 따라 기하학적인 바둑판식 배치로 도시가 확장되었다. 새로운 시 중심 광장인 ''노이어 플라츠''가 건설되었고, 반세기 만에 완공된 새로운 요새는 클라겐푸르트를 알프스 북쪽에서 가장 강력한 요새로 만들었다.
2. 3. 산업화 시대와 슬로베니아 문화의 중심지
1809년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당시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은 도시 성벽을 파괴했다. 시민들이 거액을 모금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쪽 문 하나와 서쪽의 작은 구간만 남아, 한때 위대한 요새였던 것의 흔적만 남게 되었다.[9] 1863년 장크트파이트안데어글란으로 이어지는 철도 연결은 도시 경제를 부흥시켰고, 빈-트리에스테 철도 건설 또한 도시에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괴된 인상적인 중앙역을 가져다주며 클라겐푸르트를 이 지역의 중심지로 확고히 했다.
19세기 동안 이 도시는 카린티아 슬로베니아 문화의 중요한 중심지로 발전했다. 1999년 시성된 마리보르의 첫 번째 주교 안톤 마르틴 슬롬셰크, 언어학자 유리 야펠과 안톤 야네지치, 정치인 안드레이 아인슈필러, 그리고 활동가 마티야 마야르 등 많은 중요한 슬로베니아 공인들이 클라겐푸르트에서 살거나 공부하거나 일했다. 슬로베니아의 국민 시인인 프랑스 프레셰렌도 이곳에서 짧은 기간 동안 직업 생활을 했다. 1851년 7월 27일, 슬롬셰크 주교, 안톤 야네지치 선생, 안드레이 아인슈필러 사제의 주도로 클라겐푸르트에서 헤르마고라스 학회 출판사가 설립되었다.[9] 이 출판사는 1919년 프레발예로, 1927년 첼리에로 이전했지만 1947년 클라겐푸르트에 재설립되었다. '''슬로벤스키 글라스니크'''를 포함한 여러 슬로베니아어 신문도 이 도시에서 발행되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까지 클라겐푸르트에서 슬로베니아의 문화적, 정치적 영향력은 급격히 감소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에는 오스트리아 독일계의 특징이 압도적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19년 이 도시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새로 설립된 남슬라브 왕국에 편입될 것을 주장했다. 1920년 유고슬라비아 점령군은 도시 중심부에서 철수했지만, 비크트링과 에벤탈과 같은 남부 교외에는 남아 있었다. 1920년 10월, 카린티아 혼합 언어 지역인 "A 지역" 유권자 대다수가 오스트리아에 남기로 결정한 카린티아 주민투표 이후에 결국 철수했다.
2. 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와 카린티아 주민투표
1514년 대화재로 도시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복구에는 시간이 걸렸다. 1863년 클라겐푸르트를 통과하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교통망의 요충지이자 케른텐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1925년에는 오스트리아 최초의 항공 노선이 개통되었다.2. 5.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의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클라겐푸르트는 41차례의 폭격을 받았다. 이 폭격으로 612명이 사망했고, 건물 443채가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1,132채가 손상되었다.[10] 폭격으로 발생한 110000m3의 잔해를 치우고 나서야 시민들은 도시 재건에 착수할 수 있었다.[10]1945년 초, 전쟁 종식이 확실해지자 1934년 이전 민주주의 단체 대표자들은 국방군 고위 장교 및 행정부 관리들과 함께 논의를 진행했다.[10] 클라겐푸르트 남쪽 구릉지대의 파르티잔 대표들도 만났는데, 이들은 클라겐푸르트에 주둔한 강력한 친위대 병력을 고려하여 무력으로 도시를 점령하지 않기로 합의했다.[10] 그러나 카린티아 남동부가 유고슬라비아 영토가 되어야 한다는 공식 성명은 고수했다.[11]
1945년 5월 3일, 알렉산더 뢰어 장군은 더 이상의 파괴와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E집단군의 일원으로 클라겐푸르트를 "개방 도시"로 선포하는 데 동의했다.[12] 이는 영국과 미국군이 도시를 공격할 경우에 적용되는 조치였다.[12] 이 선언은 여러 차례 방송되었고 이틀 후에는 ''Kärntner Nachrichten''에도 게재되었다.[12]
1945년 5월 7일, 임시 주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위원회가 소집되었고, 가우라이터이자 라익스슈타트할터인 프리드리히 라이너의 사임 보고와 새로운 당국에 대한 권력 이양 등의 결정이 이루어졌다.[13] 5월 8일, ''Kärntner Zeitung''에 이 선언이 실렸다.[13] 다음 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클라겐푸르트의 새 시장에게 오스트리아 국기를 내리고 유고슬라비아 국기를 게양하라고 요구했으나, 영국 시 행정관 왓슨 대위는 이를 즉시 금지했다.[13]
1945년 5월 8일 오전 9시 30분, 리처드 맥크리어리 장군이 지휘하는 영국 육군 영국 제8군이 클라겐푸르트에 진입하여 새로운 민주적 시 및 주 당국과 만났다.[14] 모든 전략적 요충지와 중요 건물이 즉시 점령되었고, 호라티우스 머레이 소장은 제438 독일 사단의 공식 항복을 위해 노엘데헨 장군에게 인계되었다.[14] 세 시간 후, 파르티잔 부대가 유고슬라비아 제4군 정규군과 동시에 도착했다.[14] 이들은 도시와 주변 남부 카린티아 지역을 장악하고, 에곤 레메크 소령이 이끄는 "카린티아 군사 지역 사령부"를 설립했다.[15]
영국의 압력과 미국의 외교적 지원 아래 며칠 후 유고슬라비아군은 도시에서 철수했지만,[17] 프란츠 페테크가 주재하는 카린티아-슬로베니아 평행 민정부(카린티아 국민평의회)를 설립했다. 영국군의 보호를 받은 임시 주정부는 이 지역의 새로운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전망을 포괄하는 종합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2. 6. 현대
1961년, 클라겐푸르트는 오스트리아에서 최초로 보행자 전용 구역을 도입한 도시가 되었다. 다른 나라 도시들과의 우호적인 자매결연 아이디어는 1930년대 초 클라겐푸르트와 독일 비스바덴 간의 첫 번째 자매도시 협약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수많은 자매도시 협약이 체결되었고, 그 결과 1968년 클라겐푸르트는 "올해의 유럽 도시"라는 칭호를 받았다. 클라겐푸르트는 또한 고대 중심지의 모범적인 복원과 재개발에 대한 상으로 유럽 노스트라(Europa Nostra) 공로 훈장을 세 차례나 수상하여 유럽 도시 중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973년, 클라겐푸르트는 인근의 4개 시정촌, 즉 그랜드 시스터시안 수도원이 있는 비크트링, 뵐프니츠, 회르텐도르프, 그리고 성 페터 암 비흘(St. Peter am Bichl)을 합병했다. 이들 시정촌의 합병으로 클라겐푸르트의 인구는 약 9만 명으로 증가했다. 1863년, 클라겐푸르트를 통과하는 철도가 개통되었다. 이후 교통망의 요충지로서 케른텐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1925년에는 오스트리아 최초의 항공 노선이 개통되었다.
3. 지리
뵈르터 호의 동쪽 기슭에 있는 클라겐푸르트는 케른텐 주의 경제·문화 중심지이다. 주로 여름에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오스트리아 전역으로 뻗어 나가는 간선도로와 간선철도가 있어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인근 도시로는 서쪽으로 약 35km 거리에 필라흐, 북동쪽으로 100km 거리에 그라츠, 남쪽으로 65km 거리에 슬로베니아의 류블랴나가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클라겐푸르트는 오스트리아 남부, 슬로베니아 국경 근처에 위치한 도시이다. 오스트리아 중남부에 위치하며, 서쪽의 인스브루크(Innsbruck)와 북동쪽의 빈(Vienna)으로부터 거의 같은 거리에 있다.클라겐푸르트는 해발 446m에 위치하며, 면적은 120.03km2이다. 뵈르터제(Wörthersee) 호수와 글란(Glan) 강변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도시는 여러 숲으로 덮인 언덕과 산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최대 높이가 1000m에 달하는 산들(예: 울리히스베르크(Ulrichsberg))도 있다. 도시 남쪽에는 카린티아주를 슬로베니아와 이탈리아 같은 인접 국가들과 구분하는 카라반켄(Karawanken) 산맥이 있다.
뵈르터 호의 동쪽 기슭에 위치한 도시로, 케른텐 주의 경제·문화 중심지이다. 주로 여름에는 관광객들도 많이 찾는다.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며, 오스트리아 전역으로 간선도로와 간선철도가 뻗어 있다. 인근 도시로는 서쪽으로 약 35km 거리에 필라흐, 북동쪽으로 100km 거리에 그라츠, 남쪽으로 65km 거리에 슬로베니아의 류블랴나가 있다.
3. 2. 행정 구역
클라겐푸르트는 시이자 클라겐푸르트-란트 구의 행정 중심지이지만, 클라겐푸르트-란트 구와는 별개의 구이다. 두 지역의 번호판도 다르다(도시는 K, 구는 KL). 클라겐푸르트는 16개 구로 나뉜다.구역 |
---|
또한 25개의 카타스트랄게마인데(Katastralgemeinde)로 더 세분된다.
카타스트랄게마인데 |
---|
3. 3. 기후
클라겐푸르트는 전형적인 온대 습윤 기후(쾨펜 ''Dfb'', 트레워사 ''Dcbo'')를 가지고 있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안개가 자주 낀다. 여름은 따뜻하고 습하며, 잦은 뇌우가 발생한다. 클라겐푸르트는 연간 최고 기온이 25°C 이상인 날이 70.9일이고, 최고 기온이 30°C에 도달하는 날이 18.8일이다. 다소 추운 겨울은 남쪽 카라반켄 산맥에서 불어오는 푄 현상으로 인해 때때로 따뜻한 시기가 나타나면서 중단된다.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평균 기온은 7.1°C이었고,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은 9.9°C이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1.5 | 5.7 | 11.2 | 16.6 | 20.7 | 25.2 | 26.2 | 25.5 | 20.8 | 14.4 | 7.5 | 1.4 | - |
평균 기온 (°C) | -2.1 | 0.4 | 5.6 | 10.4 | 15.2 | 19.0 | 20.7 | 20.3 | 15.4 | 10.3 | 4.4 | -1.3 | - |
평균 최저 기온 (°C) | -5.6 | -4.8 | -0.4 | 4.3 | 8.7 | 12.8 | 13.9 | 13.7 | 10.0 | 5.5 | 1.3 | -3.9 | - |
강수량 (mm) | 27.0 | 38.0 | 46.3 | 63.1 | 85.6 | 105.0 | 119.0 | 130.8 | 102.1 | 90.9 | 84.8 | 50.4 | -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4.3 | 4.6 | 5.5 | 8.1 | 9.9 | 10.3 | 10.6 | 10.6 | 8 | 7.7 | 7.7 | 5.6 | - |
평균 상대 습도 (%) | 88 | 82 | 75 | 69 | 69 | 70 | 71 | 75 | 81 | 84 | 89 | 90 | -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94.5 | 135.2 | 187.7 | 197.1 | 230.8 | 239.2 | 257.1 | 248.4 | 191.9 | 134.7 | 68.1 | 67.8 | - |
4. 인구
연도 | 인구 |
---|---|
1910년 | 45,161명 |
1923년 | 43,536명 |
1934년 | 53,000명 |
1939년 | 61,286명 |
1951년 | 68,187명 |
1961년 | 75,684명 |
1971년 | 82,840명 |
1981년 | 87,321명 |
1991년 | 89,415명 |
2001년 | 90,141명 |
2011년 | 94,483명 |
2018년 | 100,316명 |
2020년 | 101,403명 |
2020년 1월 기준 클라겐푸르트의 주된 거주 인구는 101,403명이었다.[26] 2019년에는 클라겐푸르트에 거주하는 외국 출생 인구가 약 20,000명으로, 도시 전체 인구의 약 20%에 해당했다.
오스트리아에서 여섯 번째로 큰 도시인 클라겐푸르트는 2016년 기준으로 약 1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약 90%가 독일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크로아티아계와 슬로베니아계 주민들도 일부 거주한다. 주민의 약 70%는 가톨릭을 믿고 있다.
5. 경제
클라겐푸르트는 카린티아의 경제 중심지이며, 산업 기업의 20%가 이곳에 위치해 있다. 2001년 5월 기준으로 6,184개 기업에 63,618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었으며, 그중 33개 기업은 2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었다. 주요 경제 부문은 경공업, 전자 및 관광이며, 여러 인쇄소도 있다.
1948년 이후 클라겐푸르트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은 이전에 헤르초크플라츠로 알려졌던 베네딕터플라츠이다. 베네딕터플라츠에서는 다양한 식품을 판매하는 시장이 주 2회 열린다.
역사적인 시장 외에도 클라겐푸르트에는 여러 쇼핑센터가 있다. 2006년에 설립된 시티 아르카덴 쇼핑센터는 도심 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총 30000m2의 면적에 120개의 점포가 입점해 카린티아에서 가장 큰 쇼핑센터 중 하나이다. 설립 당시 오스트리아 전역에서 중앙 아케이드를 갖춘 최초의 쇼핑센터 중 하나였다.
도시에서 두 번째로 큰 쇼핑센터는 1998년에 설립되어 클라겐푸르트 중앙역 근처에 위치한 쥐트파크이다.
6. 교통
클라겐푸르트 공항(Klagenfurt Airport)은 주요 국제공항으로, 유럽 주요 도시 및 해외 휴양지와 연결되어 있다.
클라겐푸르트 중앙역(Klagenfurt Hauptbahnhof)(Hauptbahnhofde)은 시내 남쪽에 위치해 있다.
이 도시는 A2 고속도로와 S37 고속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A2 고속도로는 빈(Vienna)을 거쳐 그라츠(Graz), 클라겐푸르트를 지나 빌라흐(Villach)까지 이어지며, 이탈리아 국경까지 계속된다. S37 고속도로는 빈을 거쳐 브룩 안 데어 무르(Bruck an der Mur)과 잔크트 파이트 안 데어 글란(Sankt Veit an der Glan)을 경유하여 클라겐푸르트로 이어진다. 로이블 고개 B91번 국도는 슬로베니아(Slovenia)의 수도 류블랴나(Ljubljana)로 이어지는데, 클라겐푸르트에서 불과 88km 떨어져 있다.
클라겐푸르트의 교통량은 많다 (2007년 기준 자동차 보유율: 인구 1000명당 572대).[28] 시내 노면전차(트램) 시스템과 트롤리버스 시스템은 1963년 4월에 운영이 중단되었다.[29] 1960년대, 클라겐푸르트는 많은 넓은 도로를 갖춘 자동차 친화적인 도시가 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일부 구간이 지하를 통과하는 고속도로 건설 계획까지 있었지만, 현재는 도시 북쪽을 우회하는 형태로 건설되었다. 시내 남쪽에 있는 중앙역에서 북, 서, 남, 동쪽에서 만나는 4개의 철도 노선이 시내 교통을 막는 문제는 주요 간선도로에 다수의 지하도를 건설함으로써 다소 완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8개의 버스 노선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비슷한 규모의 도시와 마찬가지로 현재도 교통 체증이 빈번하다. 기존 철도 선로를 이용한 고속 교통망 구축, 축구장까지 연결되는 고가 케이블카 설치, 또는 시내 중심부에서 호수까지 렌드 운하(Lend Canal)를 이용한 정기적인 모터보트 서비스 운영 등의 아이디어는 실현되지 않았다. 하지만 한가로운 여행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뵈르터제(Wörthersee)에 있는 휴양지를 연결하는 정기적인 모터보트 및 유람선 서비스가 운영된다.
7. 문화
클라겐푸르트에는 전문 예술단체가 있는 시립극장 겸 오페라하우스, 전문 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대학, 콘서트홀이 있다. 1826년에 설립된 무지크파인(Musikverein)이나 모차르트게마인데(Mozartgemeinde)와 같은 음악 단체, 사설 실험극장, 카린티아 주립 박물관, 현대미술관, 종교 미술 디오세산 박물관, 예술가의 집, 두 개의 시립 미술관과 여러 개의 사립 미술관, 유로파 공원에 있는 플라네타리움, 로베르트 무질 하우스와 같은 문학 기관, 그리고 권위 있는 잉게보르크 바흐만 상을 수여하는 저명한 독일 문학상 경연대회가 있다.
클라겐푸르트는 규모는 작지만 우수한 출판사들이 여러 곳 있으며, "클라이네 차이퉁"과 "카린티아 크로네"와 같은 일간지들을 포함한 여러 신문이나 지역판도 이곳에서 발행된다.
클라겐푸르트는 남쪽과 북쪽 모두에 산이 있고, 수많은 공원과 교외에 23개의 당당한 저택과 성이 있어 인기 있는 휴양지이다. 여름에는 알트슈타트차우버(Altstadtzauber, 구시가의 마법) 축제가 열린다.
카린티아 슬로베니아인의 여러 문화 및 정치 협회들도 이 도시에 본부를 두고 있는데, 1851년 클라겐푸르트에서 설립된 가장 오래된 슬로베니아 출판사인 헤르마고라스 협회가 포함된다.[30]
클라겐푸르트에서는 매년 여러 행사가 개최된다.
- 국제 잉게보르크 바흐만 상 시상식의 연례 강연 및 토론.[31]
- 비크트링 수도원에서 열리는 국제 여름 음악회 및 구스타프 말러 상 시상식.[32]
-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뵈어테르제 클래식(Wörtheresee Classics)" 축제.[33]
- 7월 노르베르트 아르트너 공원에서 열리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바디페인팅 축제인 월드 바디페인팅 페스티벌(World Bodypainting Festival).[34]
- 1981년부터 클라겐푸르트에서 개최되어 온 슬로베니아 학생들이 주최하는 이른바 "콘탁트나-레차 – 콘탁트린제-페스티벌(Kontaktna-leča – Kontaklinse-Festival)" 청소년 문화 축제.[35]
- 8월 둘째 주말에 열리는 "알트슈타트차우버(Altstadtzauber)"("구시가지 마법") 음악 및 예술 축제.[36]
- 2020년부터 개최된 이른바 클라겐푸르트 축제.[37][38]
- 매년 크리스마스 시즌에 열리는 크리스마스 마켓(Christmas market).
8. 스포츠
EC KAC(Eishockey Club Klagenfurter Athletiksport Club)는 1909년 창단된 클라겐푸르트의 아이스하키팀으로, 오스트리아 최상위 리그에서 30회 우승을 차지한 명문 팀이다. 분데스리가 축구 클럽인 SK 아우스트리아 카른텐(SK Austria Kärnten)이 클라겐푸르트를 연고지로 하였으며, 2부 리그의 재창단 클럽인 아우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SV Austria Klagenfurt)도 클라겐푸르트에서 활동하고 있다.
클라겐푸르트는 오스트리아 아이언맨 대회의 시작과 결승 지점이다. 이 대회는 수영 3.8km, 사이클 180km, 마라톤 42km으로 구성되며, WTC 아이언맨 시리즈의 일부로 하와이 세계 선수권 대회로 이어진다.[39]
1969년에는 외르터제에서 세계 로잉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2016 비치발리볼 메이저 시리즈는 7월 26일부터 31일까지 클라겐푸르트에서 열렸다.[40]
클라겐푸르트는 최근 재건된 외르터제 스타디온(Wörthersee Stadion)에서 UEFA 유로 2008의 경기 세 경기를 개최했다. 2006 동계 올림픽 유치 도시 후보이기도 했으며, 오스트리아 풋볼 리그 퍼스트 리그에서 활동하는 미식축구팀 카린티아 블랙 라이온스(Carinthian Black Lions)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블랙 라이온스[41]는 카린티아 전역에서 팬들을 모으고 있으며, 클라겐푸르트와 빌라흐 양쪽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아이스하키와 축구가 인기 있으며,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 속한 SK 아우스트리아 카른텐(SK Austria Kärnten)과 오스트리아 아이스하키 리가에 속한 EC KAC가 클라겐푸르트를 연고지로 하고 있다.
9. 교육
클라겐푸르트 대학교와 카린티아 응용과학대학교(Fachhochschule Kärnten) 캠퍼스가 있다. 초등 및 중등 교사 양성과 교사 직무 연수 교육기관, 일반 성인교육 기관(VHS), 그리고 두 개의 직업 및 직업 교육 기관(WIFI와 BFI)이 있다. 1957년 설립된 슬로베니아어 김나지움과 슬로베니아어 상업 고등학교를 포함한 다른 오스트리아 교육기관들도 있다.
- 클라겐푸르트 대학교
- 카린티아 응용과학대학교(Fachhochschule Kärnten, FH Kärnten) 클라겐푸르트 캠퍼스
- 빅토어 프랑클 교육대학교(Pädagogische Hochschule Viktor Frankl)
- 클라겐푸르트 주립병원 산하 간호학교 및 조산학교가 있는 보건과학센터
- 구스타프 말러 음악대학교
여러 종류의 고등학교가 있다.
- 오스트리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유로파 김나지움(Europa-Gymnasium)
- BG/BRG 뫼싱거슈트라세(BG/BRG Mössingerstraße)
- 예술(음악과 미술)에 중점을 둔 BRG 클라겐푸르트-비크트링(BRG Klagenfurt-Viktring)
- 사립 가톨릭 학교인 ORG 성 우르술라(St. Ursula)
- 슬로베니아 연방 김나지움(Federal Gymnasium for Slovenes)
일반 및 직업 교육을 제공하는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 두 개의 공과대학(Höhere Technische Lehranstalt): HTL 라스텐슈트라세(HTL Lastenstrasse)와 HTL 뫼싱거슈트라세(HTL Mössingerstraße)
- 두 개의 상업고등학교: 한델스아카데미(Handelsakademie) 1호와 2호
- 슬로베니아어 상업고등학교 ("Handelsakademie")
- 요식업, 패션 및 디자인 고등학교
- 유아교육 학교
- 알파인 농업 및 영양 과학 학교
- 카리타스 자선단체(Caritas charity)의 사회 관리 학교
- 클라겐푸르트 인민대학(Volkshochschule)
- 노동조합 기술훈련학교(Berufsförderungsinstitut, BFI)
- 상공회의소 기술훈련학교(Wirtschaftsförderungsinstitut, WIFI)
- 야간학교 (김나지움 및 기계·전기 공학 학교)
- 발도르프 학교
- 오스트리아 카리타스 자선단체에서 운영하는 사회복지사 학교
- 카린티아 소방학교 (Carinthian State school of Fire Control)
10. 자매 도시
클라겐푸르트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44]
국가 | 도시 | 맺은 해 |
---|---|---|
독일 | 비스바덴 | 1930년[45] |
네덜란드 | 펜로 | 1961년 |
슬로베니아 | 노바고리차 | 1965년 |
이탈리아 | 고리치아 | 1965년 |
덴마크 | 글라드삭세시 | 1969년 |
독일 | 데사우 | 1970년 |
타지키스탄 | 두샨베 | 1973년 |
독일 | 다하우 | 1974년 |
폴란드 | 제슈프 | 1975년[46] |
루마니아 | 시비우 | 1990년 |
헝가리 | 절러에게르세그 | 1990년 |
우크라이나 | 체르니우치 | 1992년 |
이스라엘 | 노프 하갈릴 | 1993년 |
스페인 | 타라고나 | 1994년 |
중국 | 난닝시 | 2001년 |
캐나다 | 라발 | 2005년 |
이탈리아 | 리냐노 사비아도로 | 2021년 |
슬로베니아 | 코페르 | 2022년[47] |
참조
[1]
간행물
Gesetz vom 25. Oktober 2007, mit dem die Kärntner Landesverfassung und das Klagenfurter Stadtrecht 1998 geändert werden.
http://www.ris.bka.g[...]
Landesgesetzblatt
2008-01-16
[2]
문서
Lament ford on Lake Wörth
[3]
서적
Dvojezična Koroška/Zweisprachiges Kärnten
Mohorjeva/Hermagoras
[4]
사전
Klagenfurt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Ortsnamenbuch von Kärnten
[6]
서적
A Brief History of Klagenfurt
[7]
간행물
Kärnten. Deutsche und slowenische Namen/Koroška. Slovenska in nemška imena.
Österreichische Namenforschung
[8]
간행물
Wie Aquiliu zu Klagenfurt wurde
Paul Gleirscher
[9]
간행물
150th Anniversary of "Mohorjeva družba" Publishing House
http://www.posta.si/[...]
Pošta Slovenije
2001
[10]
서적
Kärnten 1945
[11]
서적
Der Partisanenkampf in Kärnten im Zweiten Weltkrieg
[12]
서적
Kärnten 1946. Vom NS-Regime zur Besatzungsherrschaft im Alpen-Adria-Raum
Universitätsverlag Carinthia
[13]
서적
Kärnten 1945
[14]
서적
Gemsen auf der Lawine. Der Partisanenkampf in Kärnten
Drava
[15]
서적
Zbornik dokumentov in podatkov v narodno osvobodilni vojni jugoslovanskih narodov
[16]
사진
Photos in August Walzl, Kärnten 1945
[17]
보고서
Report of Field Marshal Alexander to the Combined Chief of Staffs
WO 202/319/040927
War Office
1945-05-15
[18]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Klagenfurt-11231
https://www.nodc.noa[...]
NOAA
2024-02-15
[19]
웹사이트
Klagenfurt Climate Normals for 1961-1990
https://www.ncei.noa[...]
NOAA
2024-02-15
[20]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Lufttemperatur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1-16
[21]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Niederschlag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1-16
[22]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Schnee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1-16
[23]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Luftfeuchtigkeit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1-16
[24]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Strahlung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1-16
[25]
웹사이트
Klimadaten von Österreich 1971–2000 – Kärnten-Klagenfurt
http://www.zamg.ac.a[...]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1-16
[26]
웹사이트
Magistrat und Landeshauptstadt Klagenfurt am Wörthersee – Population
https://web.archive.[...]
2016-04-28
[27]
웹사이트
Statistisches Jahrbuch der Landeshauptstadt Klagenfurt am Wörthersee 2015
https://web.archive.[...]
Magistrat der Landeshauptstadt Klagenfurt am Wörtherse
2015-06-19
[28]
웹사이트
Statistik Austria
https://web.archive.[...]
Statistik Austria
2008-10-19
[29]
잡지
Overseas News
Ian Allan Publishing
1964-08
[30]
웹사이트
150TH ANNIVERSARY OF THE ST HERMAGORAS SOCIETY. Speech of Slovene President Milan Kucan in the Palace of St Hermagoras Society: Meeting the press.
http://www2.gov.si/u[...]
2001-09-28
[31]
웹사이트
Bachmannpreis
https://bachmannprei[...]
2019-12-19
[32]
웹사이트
Musikforum
https://musikforum.a[...]
2019-12-19
[33]
웹사이트
Wörthersee Classics Festival: Idee des Festivals
http://www.woerthers[...]
2019-12-19
[34]
웹사이트
Magistrat und Landeshauptstadt Klagenfurt am Wörthersee
https://www.klagenfu[...]
2019-12-19
[35]
웹사이트
Kontaktna leča / Kontaktlinse
https://www.facebook[...]
2019-12-19
[36]
웹사이트
Stadtrichter | Vorwort – Altstadtzauber
http://www.stadtrich[...]
2019-12-19
[37]
웹사이트
Klagenfurt erhält eigenes Kulturfestival
https://kaernten.orf[...]
2019-12-19
[38]
웹사이트
Klagenfurt Festival bringt Popkultur in die Lindwurmstadt
https://www.visitkla[...]
2019-12-19
[39]
웹사이트
Ironman Austria Contest
http://www.ironmanau[...]
[40]
웹사이트
:: A1 Beach Volleyball Grand Slam Klagenfurt presented by Volksbank ::
http://www.beachvoll[...]
Beachvolleyball.at
2011-09-15
[41]
웹사이트
Black Lions
http://www.carinthia[...]
[42]
논문
[43]
웹사이트
Rosa & Sebastian holen EM-Silber für Kärnten!
https://www.klick-ka[...]
2022-07-27
[44]
웹사이트
Klagenfurt's international city relations
https://www.klagenfu[...]
2022-10-17
[45]
웹사이트
Wiesbaden's international city relations
http://www.wiesbaden[...]
2012-12-24
[46]
웹사이트
Serwis informacyjny UM Rzeszów - Informacja o współpracy Rzeszowa z miastami partnerskimi
http://www.rzeszow.p[...]
rzeszow.pl
2010-02-02
[47]
웹사이트
Koper in Celovec odslej partnerski mesti
https://www.koper.si[...]
2022-10-07
[48]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Klagenfurt-11231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4-02-15
[49]
웹인용
Klagenfurt Climate Normals for 1961-1990
https://www.ncei.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4-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