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다이라 이에타다 (후코즈 마쓰다이라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이에타다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활동한 후코즈 마쓰다이라가의 무장이다. 1555년에 태어나 1600년 후시미성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 특히 토목 기술에 능하여 성곽 보수 및 수리에 기여했으며, 1590년에는 무사시국 오비성의 성주가 되었다. 그는 17년간의 기록을 담은 『이에타다 일기』를 남겼으며, 이 일기는 당시 정치, 사회, 문화상을 파악하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키가하라 전투 - 나오에 장
    나오에 장은 우에스기 가문의 가신 나오에 가네쓰구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상경 요구에 반박하며 보낸 서신으로, 이에야스를 비판하는 강경한 내용으로 인해 세키가하라 전투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세키가하라 전투 - 오가키성
    오가키성은 1500년에 축성되어 센고쿠 시대 쟁탈전을 겪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나, 현재는 오가키 공원으로 조성되어 복원된 천수각과 함께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 일본의 일기 작가 - 세이 쇼나곤
    세이 쇼나곤은 헤이안 시대 궁중 여성으로 후지와라노 데이시를 섬기며 뛰어난 재치와 학식으로 이름을 알렸고, 궁정 생활을 배경으로 한 수필 『마쿠라노소시』를 남겨 일본 고전 문학의 중요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 일본의 일기 작가 - 무라사키 시키부
    헤이안 시대의 귀족 여성이자 작가인 무라사키 시키부는 『겐지 이야기』,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 『무라사키 시키부집』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겐지 이야기』는 일본 문학을 넘어 세계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후코즈 마쓰다이라씨 - 마쓰다이라 다다후사
    마쓰다이라 다다후사는 요시다 번주 마쓰다이라 다다토시의 장남으로, 시마바라 번주를 역임하며 번정 개혁과 문학 장려를 통해 마쓰다이라 문고를 설립했고, 종4위하에 올랐으나 후계자 문제로 은거 후 사망했다.
  • 후코즈 마쓰다이라씨 - 마쓰다이라 다다토시 (1582년)
    마쓰다이라 다다토시는 마쓰다이라 이에타다의 장남으로 태어나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기며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에 참전했고, 렌가에 능했던 무장이다.
마쓰다이라 이에타다 (후코즈 마쓰다이라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마쓰다이라 이에타다
본명마쓰다이라 이에타다 (松平 家忠)
별칭도모노스케
출생1555년
사망1600년 9월 8일
사망 장소후시미, 야마시로 국
씨족후코즈 마쓰다이라 가문
아버지마쓰다이라 고레타다
어머니우도노 나가모치의 딸
배우자미즈노 다다와케의 딸
자녀마쓰다이라 다다토시
마쓰다이라 다다사다
마쓰다이라 다다카즈
마쓰다이라 다다시게
마쓰다이라 다다타카
묘소고타 정 혼코지
가명마타하치(又八), 주도노스케(主殿助)
관직
직위오미가와 영주
임기 시작1594년
임기 종료1600년
계승자마쓰다이라 다다요시
군사 정보
소속도쿠가와 가문
주요 전투미카타가하라 전투 (1572년)
나가시노 전투 (1575년)
다카텐진 성 공방전 (1581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1584년)
오다와라 정벌 (1590년)
후시미 성 전투 (1600년)

2. 생애

고지 원년(1555년), 후코즈 마쓰다이라가 3대 당주 마쓰다이라 고레타다와 우도노 나가모치의 딸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가문의 거성(居城)인 미카와국 누카타군 후코즈성[9][5]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본가 당주인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1] 덴쇼 3년(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아버지 고레타다가 전사하자 21세의 나이로 가문의 가독을 이었다.

이후 이에야스의 핵심 가신으로 활동하며 미카타가하라 전투(1572년),[2] 다카텐진성 공방전 (1581년)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 전투 외에도 성곽 보수 및 축성 등 토목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하여 하마마쓰성, 스와하라성, 신시로성, 요코스카성 등의 보수 작업에 참여했다.

덴쇼 18년(1590년), 이에야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간토 지방으로 영지를 옮기자 이를 따라 무사시국 오시성[10][6](1만 석)의 성주가 되었다. 이는 당시 미성년자였던 이에야스의 넷째 아들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를 대신하여 잠시 성을 관리한 것으로, 이후 다다요시가 성인이 되자 시모사국 오미가와[11][7](가미다이성[1])로 다시 영지를 옮겼다.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를 앞두고 이에야스의 명령으로 도리이 모토타다, 나이토 이에나가 등과 함께 후시미성 수비를 맡았다. 이는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한 서군(西軍)의 거병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었으며, 이어진 후시미성 전투에서 분전했으나 성이 함락되면서 향년 46세로 전사했다.[3]

2. 1. 이에야스 가신 시절

고지 원년(1555년) 후코즈 마쓰다이라 가문의 3대 당주 마쓰다이라 고레타다와 우도노 나가모치의 딸 사이에서 장남으로, 가문의 거성인 미카와국 누카타군의 후코즈성[9][5]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본가인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1] 원복(성인식)을 치렀을 무렵에는 이에야스의 명령으로 히가시미카와 지역을 관리하던 사카이 다다쓰구(요시다성 성주 대리)의 지휘 아래 있었다.

덴쇼 원년(1572년)에는 미카타가하라 전투에 참전했으며,[2] 덴쇼 3년(1575년) 5월에는 나가시노 전투에 아버지 고레타다와 함께 참전했다. 이 전투에서 사카이 다다쓰구가 이끈 도비가스 산 공격대에 가담했으나, 아버지가 전사하면서 21세의 나이로 가문의 가독을 상속받았다.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덴쇼 시대 초기에 가리야성 성주 미즈노 노부모토의 동생인 미즈노 다다시게(水野忠重)의 딸을 아내로 맞이했다.

이후 여러 전투에 참전했지만, 전투 자체보다는 하마마쓰성, 마키노 성(스와하라성), 신시로성, 요코스카성 등 성곽 보수 및 수리 작업에 주로 참여했으며, 다카텐진성 공격 시에는 오카베 모토노부를 상대로 싸우며 전선 기지(부성) 구축에도 참여했다. 이는 당시 영지 내 고타 강이 자주 범람하여 복구 작업이 빈번했고, 이 과정에서 토목 기술을 익혔기 때문으로 보인다. 관련 내용은 그의 일기인 『이에타다 일기』에도 기록되어 있다.

덴쇼 18년(1590년) 오다와라 성 공방전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간토 지방으로 영지를 옮기게 되자, 이에타다도 이를 따랐다. 이에타다는 무사시국 사이타마군에 1만 석의 영지를 받고 오시성[10][6]을 거점으로 삼았다. 원래 오시 성은 이에야스의 넷째 아들 마쓰다이라 다다요시에게 주어진 영지(10만 석)였으나, 다다요시가 아직 어렸기 때문에 성인이 될 때까지 이에타다가 성주 대행으로 관리했다. 이후 다다요시가 정식 성주가 되자, 이에타다는 시모사국 오미가와[11][7]로 다시 영지를 옮겨 가미다이성(현재의 지바현 가토리시 사쿠라이)[1]을 새로운 거점으로 삼았다. 통칭은 마타하치(又八) 또는 마타하치로(又八郎)였으나, 덴쇼 20년(1592년) 무렵부터는 주전조(主殿助)라는 관직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게이초 4년(1599년), 이에타다는 교토 근처의 후시미성 수비를 맡게 되었다.[1] 이듬해인 게이초 5년(1600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령에 따라 도리이 모토타다, 나이토 이에나가 등과 함께 후시미 성을 지키며 이시다 미쓰나리 등 서군(西軍)의 거병을 유도하는 역할을 맡았다. 예상대로 미쓰나리가 군사를 일으키자, 이에타다는 세키가하라 전투의 전초전인 후시미성 전투에서 분전했으나, 성이 함락되면서 향년 46세로 전사했다.[3]

마쓰다이라 이에타다의 묘(아이치현 누카타군 고타초 혼코지)

2. 2. 후시미 성 전투와 죽음

게이초 5년(1600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령으로 토리이 모토타다, 나이토 이에나가 등과 함께 후시미성 수비를 맡았다. 이는 이시다 미쓰나리 등 서군(西軍)의 거병을 유도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었다.[5] 계획대로 미쓰나리가 거병하여 세키가하라 전투의 전초전인 후시미성 전투가 발발했고, 이에타다는 이 전투에서 싸우다 향년 46세로 전사했다.[3][5] 후시미 성은 결국 함락되었다.[5]

3. 이에타다 일기

마쓰다이라 이에타다는 『'''이에타다 일기'''』(家忠日記|이에타다 닛키일본어)라는 중요한 기록을 남긴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4] 이 일기는 덴쇼 3년(1575년)부터 분로쿠 3년(1594년) 10월까지 약 17년간의 사건들을 간결하게 기록한 것이다. 원본은 이에타다의 적손자이자 에도시대 초기 후코즈 마쓰다이라가의 당주였던 마쓰다이라 타다후사가 보수한 것이 현존한다.

일기에는 당시의 정치, 외교, 전쟁 상황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문화 활동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어 센고쿠 시대 후기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자세한 내용과 사료적 가치는 아래에서 상세히 다룬다.

3. 1. 내용

이에타다는 자신의 일기인 『'''이에타다 일기'''』(家忠日記|이에타다 닛키일본어)의 저자로도 알려져 있다.[4] 이 일기는 덴쇼 3년(1575년)부터 분로쿠 3년(1594년) 10월까지 17년간 그날 있었던 일을 간결하게 기록한 것이다. 원본은 이에타다의 적손자이자 에도시대 초기 후코즈 마쓰다이라가의 당주였던 마쓰다이라 타다후사가 보수한 것이 현존한다.

일기에는 날씨나 계절 같은 평범한 일상뿐만 아니라, 전쟁 등 정치·정세·외교에 관한 기록도 많이 담겨 있다. 사건이나 날씨에 대한 자신의 감상이나 짧은 평가는 거의 적혀 있지 않지만, 노를 감상하거나 렌가, 다도를 즐겼다는 기록을 통해 이에타다가 문화적인 소양을 갖춘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처와 아들(쓰키야마 도노와 도쿠가와 노부야스)의 죽음에 대해서는 노부야스가 추방된 이후로는 언급하지 않는다.

『이에타다 일기』는 오다 정권에서 도요토미 정권으로 바뀌던 시기의 정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당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동쪽의 5개 국을 다스리며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고 있었는데, 일기는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한 센고쿠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정치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가이 다케다씨나 사가미 고호조씨 등 도쿠가와 가문과 외교적 또는 적대적 관계에 있던 다이묘 가문의 움직임을 알 수 있는 자료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일상적인 기록 역시 당시 무사 가문이나 다이묘들의 생활 모습, 습관 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었던 흑인 야스케에 대해 고슈 정벌 후 돌아오는 길에 목격하고 "이름은 야스케, 키 6척 2촌, 흑인 남성, 몸은 숯과 같음"(名は弥助、身の丈六尺二分、黒人男性、身はすみのごとく일본어)이라고 기록하여, 야스케가 흑인이었음을 뒷받침하고 그의 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덴쇼 8년 6월 15일(1580년)에 개기월식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어, 이에타다뿐만 아니라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월식을 관측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쇼기(일본 장기)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대국 상황을 그린 그림(국면도)이 일기에 등장한다. 다만, 이에타다가 직접 둔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마스카와 코이치는 대국자의 실력이 그다지 높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한편, 원본 내용과 메이지 시대 30년(1897년)에 간행된 사본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책의 내용에는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도쿄 대학의 이와사와 요시히코에 의해 제기되었다.[12]

3. 2. 사료적 가치

이에타다가 남긴 『'''이에타다 일기'''』(家忠日記|이에타다 닛키일본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센고쿠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4] 이 일기는 덴쇼 3년(1575년)부터 분로쿠 3년(1594년) 10월까지 17년간의 기록으로, 날씨나 계절 같은 일상적인 내용부터 전쟁, 정치, 외교에 관한 기술까지 폭넓게 담고 있다. 사건이나 날씨에 대한 이에타다 자신의 감상이나 평가는 거의 없지만, 감상, 렌가, 다도를 즐겼다는 기록을 통해 문화인으로서의 면모도 엿볼 수 있다. 원본은 이에타다의 적손자인 마쓰다이라 다다후사가 수정한 것이 현존한다.

특히 오다 정권에서 도요토미 정권으로 이행하던 시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동쪽 5개 국을 영유하며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던 상황에서 『이에타다 일기』는 당시의 정치 정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가이 다케다씨나 사가미의 고호조씨 등 도쿠가와 가문과 외교적 또는 적대적 관계에 있던 다이묘 가문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이에야스의 처자(쓰키야마도노와 도쿠가와 노부야스)의 죽음에 대해서는 노부야스 추방 이후 언급하지 않는다.

일상적인 기술 부분 역시 당시 무가나 다이묘들의 생활상과 습관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예를 들어,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었던 흑인 야스케에 대해 고슈 정벌 후 귀국길에 목격하고 "이름은 야스케, 키 6척 2촌, 흑인 남성, 몸은 숯과 같음"이라고 기록하여 야스케가 흑인이었음을 뒷받침하고 그의 키 정보를 전하고 있다. 또한 덴쇼 8년 6월 15일(1580년)에 개기월식이 발생했다는 기록도 있어, 이에타다뿐 아니라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월식을 관측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외에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쇼기 기보(棋譜)의 국면도가 일기에 그려져 있다. 이에타다가 직접 둔 것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쇼기 연구가 마스카와 코이치는 대국자의 실력이 그리 높지 않은, 급수자 정도 수준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한편, 도쿄 대학의 이와사와 요시히코는 일기 원본의 내용과 메이지 30년(1897년)에 간행된 사본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책들 사이에 내용상 차이가 있음을 지적했다.[12]

참조

[1] 서적 "Matsudaira Ietada" in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0 2000
[3] 웹사이트 松平家忠 https://web.archive.[...] 2008-02-19
[4] 간행물 "Matsudaira Ietada" in ''Kodansha Encyclopedia of Japan,'' Vol. 5 Kodansha 1983
[5] 문서 愛知県幸田町深溝
[6] 문서 埼玉県行田市
[7] 문서 千葉県香取市
[8] 웹사이트 <論説>家忠日記の原本について https://www.hi.u-tok[...] 1968-03-01
[9] 문서 아이치현 코우타쵸 후코즈
[10] 문서 사이타마현 교다시
[11] 문서 치바현 카토리시
[12] 웹인용 <論説>家忠日記の原本について https://www.hi.u-tok[...] 196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