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리아-셀레우코스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우리아-셀레우코스 전쟁은 기원전 305년경, 마우리아 제국의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와 셀레우코스 제국의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간에 벌어진 전쟁이다. 이 전쟁은 알렉산드로스 제국 붕괴 후 동방 영토를 차지한 셀레우코스와 마우리아 제국의 세력 확장이 맞물려 발생했다. 전쟁 결과, 셀레우코스는 힌두쿠시 산맥, 펀자브, 아프가니스탄 일부를 마우리아 제국에 할양하고, 500마리의 전투 코끼리를 받았다. 이 평화 조약은 두 제국 간의 국경을 안정시키고, 외교 관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마우리아 제국은 아프가니스탄을 통해 북서부로부터의 침략을 방어하고, 인도 남부로 세력을 확장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우리아 제국이 참전한 전쟁 - 난다-마우리아 전쟁
난다-마우리아 전쟁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난다 제국을 멸망시키고 마우리아 제국을 건국하기 위해 벌인 고대 인도 전쟁이다. - 마우리아 제국이 참전한 전쟁 - 칼링가 전쟁
칼링가 전쟁은 기원전 265년경 아소카 왕이 칼링가 지역을 침공한 전쟁으로, 마우리아 제국의 확장 정책과 칼링가의 전략적 중요성이 배경이 되었으며, 아소카 왕의 회심과 불교 장려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어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셀레우코스 제국이 참전한 전쟁 - 로마-셀레우코스 전쟁
로마-셀레우코스 전쟁은 안티오코스 3세의 세력 확장과 로마의 동방 진출 충돌, 그리고 아이톨리아 동맹의 중재 시도를 계기로 기원전 192년부터 188년까지 벌어진 전쟁으로, 로마의 승리와 아파메아 조약으로 종결되어 셀레우코스 제국은 소아시아 대부분을 잃고 로마의 동지중해 패권이 확립되었다. - 셀레우코스 제국이 참전한 전쟁 - 마카베오 전쟁
마카베오 전쟁은 기원전 2세기 셀레우코스 제국의 종교 탄압에 맞서 마타티아스와 그의 아들들, 특히 유다 마카베오가 주도한 유대인들의 반란으로, 유대교 자유 수호, 하스몬 왕조 성립, 하누카 축제 기원 등의 의미를 가지나, 헬레니즘 문화 유입, 유대교 내부 갈등, 셀레우코스 왕조의 정치·경제적 상황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사건으로 단순한 독립 전쟁으로만 보기는 어렵다. - 고대 그리스-인도 관계 - 메가스테네스
메가스테네스는 헬레니즘 시대 이오니아 출신 그리스인으로,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의 대사로서 마우리아 왕조에 파견되어 《인디카》를 저술했으며, 이 책은 현재 소실되어 후대 인용을 통해서만 내용을 알 수 있고 고대 인도 사회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지만 신뢰성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고대 그리스-인도 관계 - 야바나
야바나는 고대 그리스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페르시아 제국에서 처음 사용된 이후 여러 언어에서 변형되어 사용되었으며, 역사적으로는 인도, 이슬람교, 현대 그리스를 지칭하는 데도 사용되었다.
마우리아-셀레우코스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 | 마우리아-셀레우코스 전쟁 |
![]() | |
영토 | 마우리아 제국이 파로파미사다이, 아리아 사트라피, 아라코시아, 간다라 지역을 차지함 |
날짜 | 기원전 305년 ~ 기원전 303년 |
장소 | 인더스강 유역 |
결과 | 마우리아 제국의 승리 |
이유 | 마우리아 제국이 셀레우코스 제국에게 파로파미사다이, 아리아 사트라피, 아라코시아, 간다라 지역을 할양받음 셀레우코스 제국이 마우리아 제국으로부터 전투 코끼리 500대를 선물받음.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마우리아 제국 |
교전국 2 | 셀레우코스 제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차나키야 |
지휘관 2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
군사력 | |
군대 1 | 보병: 600,000명 기병: 30,000명 전투 코끼리: 9,000마리 |
군대 2 | 보병: 260,000명 기병: 40,000명 |
병력 1 | 639,000명 |
병력 2 | 300,000명 |
사상자 | |
사상자 1 | 상세불명 |
사상자 2 | 상세불명 |
2. 배경
찬드라굽타 마우리아는 기원전 321년경 마가다의 통치자가 되었다. 그는 갠지스 평원 지대의 난다 왕조를 정복하고 파탈리푸트라를 점령하여 마우리아 제국을 건국하였다.[9]
한편, 알렉산드로스 3세 사후 디아도코이 전쟁으로 알렉산드로스 제국이 분열되면서,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는 동방 영토를 장악하고 셀레우코스 제국을 세웠다.[9] 그는 메소포타미아, 아르메니아, 파르티아, 박트리아 등 인더스강 인근 민족들을 정복하여 프리기아에서 인더스강까지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확보했다.[9]
알렉산드로스는 사트라프를 임명하여 인더스 계곡을 통치하게 했으나, 마우리아는 이 지역을 병합하여 인더스 강 유역에 대한 통치를 확립하였다. 찬드라굽타의 승리는 셀레우코스가 동쪽 측면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했고, 결국 마우리아 제국과 셀레우코스 제국 간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2. 1. 마우리아 제국의 확장
찬드라굽타 마우리아는 기원전 321년경 마가다의 통치자가 되었다. 그는 갠지스 평원 지대의 통치자인 난다 왕조를 정복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11년 동안 게릴라전을 펼쳐 난다의 수도인 파탈리푸트라를 점령하였다. 이로 인해 난다 왕조가 멸망하고 마우리아 제국이 건국되었다.[9]오늘날 아프가니스탄의 페르시아 지방은 간다라 왕국과 인더스 계곡 주와 함께 모두 알렉산드로스 3세에게 복속되어 알렉산드로스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알렉산드로스 사후 디아도코이 전쟁으로 그의 제국은 분열되었다. 그의 장군들은 알렉산드로스의 제국을 장악하기 위해 싸웠다. 동부 영토에서 이 장군들 중 한 명인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이곳을 장악하고 셀레우코스 제국을 세웠다. [9]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영토를 통치하는 사트라프를 임명했다. 마찬가지로 인더스 계곡을 통치하기 위해 사트라프가 임명되었다. 마우리아는 니카노르, 필리프, 에우데모스, 페이톤 이 4명의 사트라프가 관리하는 지역을 병합했다. 이것은 인더스 제방에 대한 마우리아의 통치를 확립하였다. 찬드라굽타의 승리는 셀레우코스가 자신의 동쪽 측면을 확보해야 한다고 확신하게 만들었고, 마케도니아 영토를 그곳에 유지하기 위해 셀레우코스는 인더스 계곡에서 확장하며 부상하던 마우리아 제국과 갈등을 겪었다.
2. 2. 셀레우코스 제국의 동진
셀레우코스 1세는 메소포타미아, 아르메니아, 파르티아, 박트리아 등 알렉산드로스 3세가 정복했던 인더스강 인근 민족들을 정복하여, 그의 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광대한 영토를 확보했다. 프리기아에서 인더스강까지 전 지역이 셀레우코스 1세의 지배를 받았다.[9] 그는 동방 영토를 안정시키고 확장하기 위해 인더스 강 유역으로 진출하였다.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의 승리는 셀레우코스 1세가 자신의 동쪽 측면을 확보해야 한다고 확신하게 만들었고, 마케도니아 영토를 그곳에 유지하기 위해 셀레우코스 1세는 인더스 계곡에서 확장하며 부상하던 마우리아 제국과 갈등을 겪었다.3. 전쟁 과정
전쟁의 세부 사항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다. 아피아노스는 셀레우코스가 인더스를 건너 인도인의 왕 산드로코투스와 전쟁을 벌였는데, 그 하천 유역에 살면서 서로 이해하고 결혼 관계를 맺었다고 적었다.[10]
실제로 전쟁이 일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 군사 역사학자 존 D. 그레인저는 셀레우코스가 인더스강을 건너면 "등에는 큰 강이 있고 그 앞에 적대적인 대륙이 있는 함정에 빠질 것"이라며 그 결과 인더스에서 훨씬 더 멀리 나아갈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레인저에 따르면 전쟁의 세부 사항은 불분명하지만 그 결과는 분명히 "결정적인 인도의 승리"였음에 틀림없다. 찬드라굽타가 힌두쿠시까지 셀레우코스의 군대를 몰아내고 그 결과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에 해당하는 큰 영토를 차지하게 되었다.[11] 웨이틀리와 헤켈은 전쟁 이후에 확립된 마우리아-셀레우코스의 우호 관계의 수준은 적대 행위가 아마도 "장기적이거나 비참하지 않았을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4. 결과
기원전 303년, 마우리아 제국과 셀레우코스 제국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12] 이 조약으로 셀레우코스는 힌두쿠시, 펀자브, 아프가니스탄 일부를 찬드라굽타에게 양도하고, 500마리의 전투 코끼리를 받았다. 또한 양국은 셀레우코스의 딸과 찬드라굽타의 결혼으로 결혼 동맹을 맺었다. 이 평화 협정은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었다. 셀레우코스 제국은 이프소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기원전 64년까지 지중해와 중동에서 강력한 세력으로 존속할 수 있었다. 마우리아 제국은 아프가니스탄 지역 통제로 북서부 인도의 침략을 막고, 남쪽으로 데칸고원까지 영토를 확장할 수 있었다.[12]
4. 1. 영토 변화
셀레우코스 제국은 기원전 303년 평화 협정을 통해 힌두쿠시, 펀자브, 아프가니스탄 일부를 마우리아 제국에 할양하였다.[12] 이후 셀레우코스와 마우리아 제국 사이의 경계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메가스테네스 대사와 아소카의 사절 등을 통해 우호적인 외교 관계가 반영되었다.4. 2. 군사적 이점
셀레우코스는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게서 500마리의 전투 코끼리를 선물받았는데, 이는 이후 서부의 디아도코이 전쟁에 영향을 미쳤다.[12] 찬드라굽타의 전쟁 코끼리 선물은 사료 부담과 귀환 행진을 완화시켰을 수 있으며, 그의 권력에 대한 주요 위협이 모두 제거되었기 때문에 대규모 군대의 규모와 비용을 적절하게 줄일 수 있었다.마우리아에게서 획득한 전쟁 코끼리로 셀레우코스는 이프소스 전투에서 그의 동맹국들과 함께 그의 라이벌인 안티고노스를 물리칠 수 있었다. 아프가니스탄의 마우리아 영토 통제는 북서부에서 인도의 침략을 막는 데 도움이 되었다.
4. 3. 외교 관계 수립
마우리아 제국과 셀레우코스 제국은 기원전 303년에 평화 협정을 맺었다. 이 평화 협정에서 셀레우코스 니카토르는 힌두쿠시, 펀자브 및 아프가니스탄 일부를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게 양도하였고,[12] 대신에 셀레우코스는 찬드라굽타 마우리아로부터 500마리의 전투 코끼리를 선물받았으며, 이는 이후 서부의 디아도코이 전쟁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셀레우코스와 찬드라굽타는 셀레우코스의 딸과 찬드라굽타의 결혼으로 결혼 동맹을 맺기로 합의하였다.이 평화 협정은 서로에게 유익한 결과로 나타났다. 셀레우코스와 마우리아 제국 사이의 경계는 이후 세대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우호적인 외교 관계는 메가스테네스 대사와 찬드라굽타의 손자 아소카가 서쪽으로 보낸 사절 등으로 반영되었다.
4. 4. 마우리아 제국의 영향력 확대
마우리아 제국은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통제하면서 북서쪽에서 올 수 있는 침략을 막을 수 있었다.[12] 또한 찬드라굽타 마우리아는 인도 남부의 데칸고원까지 세력을 넓혔다.[12]참조
[1]
서적
Western civilization
http://archive.org/d[...]
Boston, MA :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12
[2]
서적
Unknown
https://archive.org/[...]
[3]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http://archive.org/d[...]
1953
[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1911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5]
서적
Ancient India
http://archive.org/d[...]
[6]
웹인용
-- Schwartzberg Atlas -- Digital South Asia Library
https://dsal.uchicag[...]
2024-02-21
[7]
서적
Advanced history of India
http://archive.org/d[...]
Macmillan & Company
1953
[8]
서적
War: From Ancient Egypt to Iraq
[9]
웹인용
Appian, The Syrian Wars 11
https://www.livius.o[...]
[10]
웹인용
Appian, The Syrian Wars 11
https://www.livius.o[...]
[11]
서적
[12]
서적
Commanders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