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가스테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가스테네스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의 그리스 대사로,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의 궁정에 머물며 인도를 방문했다. 그는 인도에서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디카》를 저술했으나, 현재는 원본이 소실되고 후대 학자들의 인용을 통해 내용이 전해진다. 《인디카》는 헬레니즘 시대 이후 학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여겨졌으며, 고대 저술가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현대 학자들은 메가스테네스를 전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하며, 그의 기록이 후대 작가들에게 중요한 정보원이 되었다고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세기 역사가 - 크세노폰
    크세노폰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고대 아테네 출신의 군인이자 역사가, 작가, 철학자로, 《아나바시스》를 통해 페르시아 원정에서의 용병 지휘 경험을, 《헬레니카》를 통해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의 그리스 역사를 기록했으며, 《키로파에디아》에서는 이상적인 통치자의 모습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쳐 역사, 정치, 철학, 군사 분야에 걸쳐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4세기 역사가 - 크테시아스
    크테시아스는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출신 의사이자 역사가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시의로 쿠낙사 전투에 참전했으며, 아시리아와 페르시아 역사를 다룬 《페르시카》와 《인디카》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페르시카》의 역사적 신뢰성은 논쟁 중이다.
  • 고대 그리스의 탐험가 - 네아르코스
    네아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의 탐험가이자 장군으로, 인더스 강을 따라 항해하여 페르시아만까지 도달했으며, 그의 항해 기록은 아리아노스의 저서 《인디카》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 고대 그리스의 탐험가 - 피테아스
    피테아스는 기원전 4세기경 마살리아 출신의 그리스 탐험가이자 지리학자로, 북서 유럽 해안을 탐험하며 브리튼 제도를 방문하고 툴레라는 북방의 땅을 발견했다고 주장했으며, 그의 기록은 브리튼 제도와 북해 지역에 대한 초기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셀레우코스 제국 사람 - 마카베오
    마카베오는 유다 마카베오와 그의 형제들을 포함하는 하스몬 왕조를 대표하는 이름으로, 기원전 2세기 헬레니즘의 유대교 탄압에 대항하여 게릴라전을 통해 승리하고 성전을 탈환하여 하누카 축제를 시작했으며, 마카베오기 상, 하에 기록되어 있고, 기독교에서는 성인으로 숭배한다.
  • 셀레우코스 제국 사람 - 포세이도니오스
    포세이도니오스는 다재다능한 고대 그리스 스토아 학파 철학자로, 과학적 관찰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우주와 인간의 삶을 탐구하며 지리학, 천문학, 역사 분야에 기여했고, 로도스 학파를 이루어 폼페이우스, 키케로 등 유명한 로마인들을 제자로 배출했다.
메가스테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Μεγασθένης
로마자 표기Megasthenēs
직업역사가 및 외교관
생애
사망일기원전 290년경
업적
주요 작품인디카

2. 생애

메가스테네스는 이오니아 출신의 그리스인으로, 셀레우코스 제국아라코시아 태수 시비르티우스 휘하에서 근무했다.[13] 이후 셀레우코스 1세의 대사로 임명되어 마우리아 왕조의 수도 파탈리푸트라(현재의 파트나)로 파견되었다.[14] 아리아노스의 기록에 따르면, 메가스테네스는 아라코시아에 거주하면서 종종 인도의 왕 산드로코투스(찬드라굽타 마우리아)를 방문했다고 한다.[22]

메가스테네스가 마우리아 왕조의 궁정에 머문 시기는 기원전 305년에서 281년 사이로 추정되나, 정확한 시기와 체류 기간은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3]

2. 1. 인도 방문과 《인디카》 저술

메가스테네스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의 그리스 대사로서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의 궁정에 머물렀다. 아리아노스는 메가스테네스가 사트라프 시비르티오스와 함께 아라코시아에 살다가 인도를 방문했다고 설명한다.[19][20][21] 그는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의 치세 도중 인도를 방문하였는데,[23] 그가 인도를 방문한 정확한 날짜와 인도 체류 기간은 확실하지 않다. 메가스테네스의 인도 방문 또는 방문 날짜는 불확실하며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있다. AB 보스워스는 셀레우코스 이전의 초기 날짜를 주장하였는데,[23] 이는 스톤맨(Stoneman)과 마우리아-셀레우코스 전쟁의 평화협정이 일어난 기원전 303년이었다.[24]



메가스테네스는 마우리아의 수도인 파탈리푸트라를 방문하였으나,[23] 그가 방문한 인도의 다른 지역은 확실하지 않다. 그는 이 지역의 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도 북서부의 펀자브를 통과한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 그는 야무나강갠지스강을 따라 파탈리푸트라로 여행했을 것이다.[23]

메가스테네스는 《인디카》의 형식으로 인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지만 이 작품은 오늘날 소실되고 대신 후기 작가들의 인용 형태로 남아 있다.

메가스테네스 이후 인도 궁정에 파견된 다른 그리스 사절은 빈두사라 시대의 대사로 활동한 데이마코스와 아소카 시대의 대사로 활동한 디오니시오스가 있다.[25]

기원전 4세기 무렵, 셀레우코스 1세가 마우리아 왕조의 왕 찬드라굽타의 우위를 인정하고 4개 주의 지배권을 넘겨주고 강화 조약을 맺자, 메가스테네스는 아라코시아 총독 시뷔르티오스의 밑으로 들어가, 그 다음에는 대사로서 마우리아 왕조의 수도 파탈리푸트라로 향했다.

그가 인도에 체류한 것은 기원전 3세기 무렵까지로 알려져 있으며, 10년 이상 파탈리푸트라에 체류했다. 여러 차례 찬드라굽타 왕을 알현했을 뿐만 아니라, 때때로 소규모 여행을 하며 인도 동부의 상황을 관찰했다. 그러나 현재의 비하르 지방 이외의 땅에는 발을 들여놓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갠지스 강보다 동쪽에 대한 기록은 남기지 않았으며, 그 밖의 땅에 대한 기록도 이동 중에 보고 들은 것으로 보이는 매우 간략한 기술을 남기는 데 그쳤다.

메가스테네스는 인도에서 귀환한 후, 체류했던 시절의 견문을 정리하여 《인디카》(Indika)를 저술했다. 《인디카》는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로 인도를 방문한 사람에 의한 기록으로서 헬레니즘 시대 이후의 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불행하게도 이 책은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지만, "메가스테네스에 따르면"이라는 형태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인용되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부분적으로 내용을 알 수 있다.

후대의 그리스 학자 아리아노스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3. 평가

디오도로스(기원전 1세기)는 메가스테네스의 이야기 중 일부를 생략한 채 인용했고, 아리아노스(서기 2세기)만이 그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했다.[1] 반면 다른 작가들은 메가스테네스를 명시적으로 비판했다.[1]


  • 에라토스테네스(기원전 2세기)는 메가스테네스가 인도 관련 내용의 상당 부분을 자신에게서 차용했지만, 거짓말을 했다고 비난했다.[1]
  • 스트라본(서기 1세기)은 메가스테네스를 인도에 대한 허황된 이야기를 쓴 거짓말쟁이라고 칭하며, 데이마코스와 함께 "어떠한 신뢰도 줄 수 없다"고 평가했다.[1][2] 그는 또한 오네시크리토스, 네아르코스 등 다른 초기 인도 관련 작가들도 거짓말쟁이로 낙인찍었다.[1]
  • 대 플리니우스(서기 1세기)는 메가스테네스가 묘사한 인도의 기이한 종족들과 헤라클레스 및 디오니소스에 대한 설명을 비판했다.[3]


E. A. 슈반베크, B. C. J. 티머, 트루스델 스파르호크 브라운 등 현대 학자들은 메가스테네스를 대체로 신뢰할 수 있는 인도 역사 자료로 평가했다.[4] 슈반베크는 메가스테네스가 인도에서 숭배되는 신들을 묘사한 부분에만 결함이 있다고 보았다.[5] 브라운은 메가스테네스에 대해 더 비판적이지만, 그가 인도의 극히 일부만 방문했고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에 의존해야 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러한 관찰 중 일부는 오류가 있을 수 있지만, 나머지는 현대 연구자들이 무시할 수 없다.[2] 메가스테네스는 다른 사람들이 제공한 잘못된 정보로 인해 종종 오해를 받았지만, 그의 작품은 후대 작가들에게 인도를 알리는 주요 정보원이 되었다.[6]

4. 영향

메가스테네스 이후 데이마쿠스와 디오니시우스 등 다른 그리스 사절들이 빈두사라, 아쇼카 등 인도 궁정에 파견되었다.[10] 메가스테네스의 《인디카》는 후대 작가들에게 인도를 이해하는 주요 정보원으로 활용되었으며, 그의 기록은 인도 사회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간주된다. 특히 메가스테네스가 기록한 인도의 "7개의 카스트"는 인도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참조

[1] 뉴스 Hercules lived here: Megasthenes's 'Indika' https://www.thehindu[...] The Hindu 2020-08-08
[2] 서적 The Greek Experience of India Princeton 2019
[3] 간행물 Megasthenes (715) Macquarie University 2016
[4] 서적 The Historical Atlas, "Mediaeval Commerce (Asia)" https://legacy.lib.u[...] 1926
[5] 서적 From Polis to Empire, the Ancient World, C. 800 B.C.-A.D. 500: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6] 서적 The Spread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BRILL 2007
[7] 서적 Anabasis
[8] 문서 The Historical Setting of Megasthenes, Indica 1996
[9] 문서 The Greek Experience of India
[10] 서적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Comparative Studies in Greek and Indian Philosophies https://books.google[...] Allworth 2012
[11] 뉴스 Megasthenes https://www.britanni[...] Brittanica
[12] 뉴스 Hercules lived here: Megasthenes’s ‘Indika’ https://www.thehindu[...] The Hindu 2020-08-08
[13] 서적 The Greek Experience of India Princeton 2019
[14] 간행물 Megasthenes (715) Macquarie University
[15] 서적 From Polis to Empire, the Ancient World, C. 800 B.C.-A.D. 500: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6] 서적 The Land of the Elephant King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7] 서적 The Historical Atlas, "Mediaeval Commerce (Asia)" https://legacy.lib.u[...] 1926
[18] 서적 The Spread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BRILL 2007
[19] 서적 From Polis to Empire, the Ancient World, C. 800 B.C.-A.D. 500: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20] 서적 The Land of the Elephant King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1] 서적 The Spread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BRILL 2007
[22] 서적 Anabasis https://archive.org/[...] 1849
[23] 문서 The Historical Setting of Megasthenes, Indica 1996
[24] 문서 The Greek Experience of India
[25] 서적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Comparative Studies in Greek and Indian Philosophies https://books.google[...] Allworth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