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젤란 흐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젤란 흐름은 마젤란 은하 부근에서 발견된 고속도 구름으로, 은하수에 대해 극성을 띠며 최소 180도까지 뻗어 있다. 1972년 중성 수소 가스 형태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마젤란 은하와의 연결이 확인되었다. 마젤란 은하의 가까운 거리와 관측 장비의 발달로 6차원 위상 공간 정보 획득이 가능해지면서, 과거 궤도 계산과 별 생성 역사 연구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 이후 다양한 형성 모델이 제시되었으며, 조석력과 램 압력 등의 요소를 활용하여 은하 헤일로로부터의 영향, 기체 역학, 별 형성, 화학적 진화 등을 설명하려 한다. 2018년 연구에서는 선행 팔의 가스가 소마젤란 은하와 유사한 조성을 보인다는 점이 밝혀졌고, 2019년에는 젊은 별 무리인 Price-Whelan 1이 발견되어 선행 팔의 위치와 별 형성 시기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마젤란 은하 - NGC 121
NGC 121은 관측 정보 부족으로 분석이 불가능하며, 추가 정보 확보와 관련 연구가 시급하다. - 1965년 발견한 천체 - 이케야-세키 혜성
이케야-세키 혜성은 1965년 이케야 가오루와 세키 쓰토무에 의해 발견된 태양 관통 혜성으로, 1882년 대혜성과 유사한 궤도를 가지며 크로이츠 혜성군에 속하고, 근일점 통과 시 밝게 빛났으며 핵 분열 현상을 보였고, 국제적인 관측 대상이 되었다. - 1965년 발견한 천체 - 백조자리 NML
백조자리 NML은 1965년에 발견된 극대 거성으로, 매우 크고 밝으며 부피 면에서 관측된 별 중 두 번째로 크고, 940일 주기의 반주기 변광성이며, 질량 손실률이 높아 먼지 껍질을 형성한다.
마젤란 흐름 | |
---|---|
개요 | |
위치 | 우리 은하 주변, 마젤란 은하에서 뻗어나옴 |
발견 | 1970년대 |
구성 | 중성 수소 기체, 별 |
특징 | 고속 구름 형태의 가스 흐름, 마젤란 은하와 우리 은하 사이의 상호작용 결과로 추정 |
상세 정보 | |
설명 | 마젤란 은하에서 뻗어나온 고속 구름 형태의 가스 흐름 |
기원 | 마젤란 은하와 우리 은하 사이의 중력적 상호작용 (조석력 또는 램 압력 박리) |
주요 구성 요소 | 중성 수소 기체 (HI), 일부 별 (주로 마젤란 은하에서 유래) |
물리적 특징 | 매우 희박한 밀도, 높은 속도 (우리 은하에 대해 상대적으로) |
구조 | 주 흐름 (Main Stream): 마젤란 은하에서 가장 멀리 뻗어나온 부분 선행 팔 (Leading Arm): 마젤란 은하 앞쪽으로 뻗어나온 부분 |
연구 방법 | 전파 망원경 관측 (중성 수소 기체 탐지), 광학 망원경 관측 (별의 분포 및 속도 측정) |
중요성 | |
우리 은하 진화 연구 | 마젤란 흐름은 우리 은하의 가스 함량 증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우리 은하의 별 형성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함 |
은하 간 상호작용 연구 | 마젤란 흐름은 은하 간 중력적 상호작용의 대표적인 사례이며, 이를 통해 은하 진화 과정을 연구할 수 있음 |
암흑 물질 연구 | 마젤란 흐름의 구조와 운동은 암흑 물질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
관련 천체 | |
마젤란 은하 | 마젤란 흐름의 기원 천체 |
마젤란 다리 | 마젤란 은하와 소마젤란 은하 사이의 가스 및 별 연결 다리 |
우리 은하 | 마젤란 흐름이 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은하 |
2. 발견 및 초기 관측
1965년, 마젤란 은하 부근에서 이상 속도를 가진 성간 구름이 발견되었다. 이 가스는 하늘에서 최소 180도까지 뻗어 있으며, 대략 55 파섹(180,000 광년) 거리에 해당한다. 이 가스는 매우 정렬되어 있으며 은하수에 대해 극성을 띤다. 속도 범위는 국소 표준 정지(LSR)를 기준으로 -400에서 400 km s−1로 매우 넓으며, 은하수의 다른 부분과는 속도 패턴이 일치하지 않아 전형적인 고속도 구름으로 결정되었다.[2]
1965년, 마젤란 은하 부근에서 이상 속도를 가진 성간 구름이 발견되었다. 이 가스는 하늘에서 최소 180도까지 뻗어 있으며, 대략 55 파섹(180,000 광년) 거리, 180 파섹(600,000 광년)에 해당한다. 이 가스는 매우 정렬되어 있으며 은하수에 대해 극성을 띤다. 속도 범위는 매우 넓으며(국소 표준 정지(LSR)를 기준으로 -400 ~ 400 km s−1), 속도 패턴은 은하수의 다른 부분과 일치하지 않아 전형적인 고속도 구름으로 결정되었다.
마젤란 은하 사이의 중성가스구름인 마젤란 흐름은 1972년 워너와 워릭슨에 의해 처음 밝혀졌고, 마젤란 성운과의 관계는 같은 해 메튜슨에 의해 밝혀졌다. 1965년에는 이 지역에서 특이한 속도의 가스 구름이 알려졌지만, 당시에는 지도에 표시되지 않았고 마젤란 성운과의 연관성도 밝혀지지 않았다. 이 가스는 약 55kpc 거리에 있으며, 속도 범위는 -400 km/s에서 400 km/s로 매우 넓어 다른 은하의 속도 패턴을 따르지 않는다.
하지만 이 가스는 지도화되지 않았고, 두 마젤란 은하와의 연결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1972년 Wannier & Wrixon에 의해 마젤란 은하 근처에서 중성 수소(HI) 가스 형태의 마젤란 흐름이 발견되었고,[3] 1974년 Mathewson 외에 의해 마젤란 은하와의 연결이 이루어졌다.[4]
마젤란 은하가 가깝고 관측 장비의 분해능이 향상되면서 항성의 연주시차 측정 정밀도가 향상됨에 따라 대마젤란 은하와 소마젤란 은하의 위상 공간 모습 (단, 지구에 대한 횡단 방향의 시선 속도에는 큰 오차가 따름)이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세 은하의 형태나 질량과 같은 거대한 가설과 서로 운동하는 물체 사이에서 작용하는 역학적 마찰의 성질을 조합한 과거의 궤도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별의 관측을 통해 별 형성의 역사도 알 수 있다.
3. 관측
하지만 이 가스는 지도화되지 않았고, 두 마젤란 은하와의 연결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젤란 스트림은 1972년 Wannier & Wrixon에 의해 중성 수소(HI) 가스 형태로 마젤란 은하 근처에서 발견되었다.[3] 마젤란 은하와의 연결은 1974년 Mathewson 외에 의해 이루어졌다.[4]
마젤란 은하가 가깝고, 개별 별과 그들의 시차, 고유 운동을 해결할 수 있었기에, 후속 관측을 통해 두 은하의 전체 6차원 위상 공간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횡 방향 속도에 대해서는 매우 큰 상대 오차를 가짐). 이를 통해 은하수에 대한 대, 소 마젤란 은하의 과거 궤도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 계산은 세 은하의 모양과 질량, 움직이는 물체 간의 동역학적 마찰 특성에 대한 큰 가정을 필요로 했다. 개별 별의 관측을 통해 별 생성 역사의 세부 사항이 밝혀졌다.
마젤란 구름에 가깝다는 점과 관측 장비의 분해능 향상으로 항성의 연주시차 측정 정밀도가 향상됨에 따라 대마젤란 구름과 소마젤란 구름의 위상 공간 모습(단, 지구에 대한 횡단 방향 시선 속도에는 큰 오차가 따름)이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세 은하의 형태나 질량과 같은 거대한 가설과 서로 운동하는 물체 사이에서 작용하는 역학적 마찰의 성질을 조합한 과거의 궤도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별의 관측을 통해 별 형성의 역사를 알 수 있다.
4. 모델
마젤란 흐름의 형성을 설명하는 모델은 1980년부터 제작되었다. 초기 모델은 컴퓨팅 성능의 한계로 매우 단순했고 자체 중력이 없었으며 입자 수도 적었다. 대부분의 모델은 마젤란 은하를 이끄는 특징을 예측했는데, 이는 지구의 조수가 '선도'하는 달의 중력에 의해 유발되는 것처럼, 입자가 우선적으로 끌어당겨지는 서로 반대 방향의 두 가지 방향을 예측하는 '조석' 모델이었다. 그러나 예측된 특징은 관측되지 않았다.
1998년 파크스 천문대의 HIPASS 팀이 수행한 전천 탐사 분석 연구를 통해 중요한 새로운 관측 데이터가 생성되었다. Putman et al.은 마젤란 은하를 이끄는 고속도 구름 덩어리가 실제로 마젤란 은하와 완전히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선도 암" 특징의 존재를 확인했다. 또한 Lu et al. (1998)과 Gibson et al. (2000)은 흐름과 마젤란 은하 사이의 화학적 유사성을 확립했다.
이후 더 정교해진 모델들은 모두 선도 암 특징 가설을 검증했다. 이 모델들은 조석력을 통한 중력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일부 모델은 램 압력 박리를 형상화 메커니즘으로 사용한다. 최근 모델은 헤일로에서 비롯되는 항력뿐만 아니라 기체 역학, 별 형성, 화학적 진화를 포함하고 있다. 조석력은 질량이 작고 중력적으로 덜 결속된 소마젤란 은하에, 램 압력 박리는 기체 저장소가 더 큰 대마젤란 은하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젤란 구름에 가깝다는 점과 관측 장비의 분해능 향상으로 항성의 연주시차 측정 정밀도가 향상되면서 대마젤란 은하와 소마젤란 은하의 위상 공간 모습이 밝혀졌다. (단, 지구에 대한 횡단 방향의 시선 속도에는 큰 오차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세 은하의 형태나 질량 등 거대한 가설과 서로 운동하는 물체 사이에서 작용하는 역학적 마찰의 성질을 조합한 과거의 궤도 계산이 가능해졌다. 별 관측을 통해 별 형성 역사도 알 수 있다.[4][5]
4. 1. 모델 목록
1980년 이래로 마젤란 흐름의 형성에 대한 여러 모델들이 연구되었다. 초기 모델들은 컴퓨터 성능의 한계로 인해 자체 중력이 없고 입자 수가 적은 매우 단순한 형태였다. 대부분의 모델들은 마젤란 은하를 이끄는 특징을 예측했는데, 이는 지구의 조수를 일으키는 달의 중력처럼 입자들이 우선적으로 끌어당겨지는 서로 반대 방향의 두 가지 방향을 예측하는 '조석' 모델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예측은 관측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후 파크스 천문대의 HIPASS 팀이 1998년에 수행한 전천 탐사 분석 연구를 통해 새로운 관측 데이터가 생성되었다. Putman et al.은 마젤란 은하를 이끄는 고속도 구름 덩어리가 실제로 마젤란 은하와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하여, "선도 암" 특징의 존재를 확인했다. 또한 Lu et al. (1998년)과 Gibson et al. (2000년)은 흐름과 마젤란 은하 사이의 화학적 유사성을 밝혀냈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더욱 정교한 모델들이 개발되었다. 이 모델들은 모두 선도 암 특징 가설을 검증했으며, 조석력을 통한 중력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일부 모델은 램 압력 박리를 형상화 메커니즘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최근 모델들은 헤일로에서 비롯되는 항력, 기체 역학, 별 형성, 화학적 진화 등을 포함하여 더욱 복잡한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
조석력은 질량이 작고 중력적으로 덜 결속된 소마젤란 은하에, 램 압력 박리는 기체 저장소가 더 큰 대마젤란 은하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젤란 흐름 연구에 사용된 주요 모델은 다음과 같다.
발표 연도 | 저자 | 저널 | 주요 특징 |
---|---|---|---|
2003년 | 요시자와 아키라 M., 노구치 마사후미 | 왕립 천문학회 월간 보고 | 소마젤란은하의 역학적 진화와 별 형성 역사를 다루며, 은하와 대마젤란은하와의 상호 작용 영향을 분석.[1] |
2005년 | 마스트로피에트로, C. 외 | 왕립 천문학회 월간 보고 | 대마젤란은하와 은하 사이의 중력 및 유체 역학적 상호 작용을 연구.[2] |
2006년 | 코너스, 팀 W. 외 | 왕립 천문학회 월간 보고 | 마젤란 스트림의 N-바디 시뮬레이션을 수행.[3] |
5. 최근 관측
마젤란 성운을 관측하여 각 별과 시차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6차원 상의 우주 정보를 얻어 과거 궤도 계산이 가능해졌다. 각 별의 관측은 별 형성의 역사 또한 알려준다.
2018년 연구에서는 마젤란 흐름 선행 팔의 가스 화학 성분이 대마젤란 은하보다 소마젤란 은하의 조성과 더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흐름을 통과하는 배경 퀘이사의 빛을 관찰하고, 흐름에 흡수되거나 통과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확인되었다.[6] 이 분석은 가스가 소마젤란 은하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마젤란 흐름에 작용하는 두 은하의 중력 경쟁에서 대마젤란 은하가 '승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19년에는 가이아 데이터를 사용하여 젊은 별 무리인 Price-Whelan 1이 발견되었다. 이 별 무리는 낮은 금속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마젤란 은하 선행 팔에 속한다. 이 별 무리의 발견은 마젤란 은하 선행 팔이 우리 은하로부터 9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이전에 생각했던 거리의 절반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별 무리는 비교적 젊은데, 이는 선행 팔에서 최근에 별이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7]
참조
[1]
논문
The Origin of the Magellanic Stream and Its Leading Arm
2008-05-20
[2]
뉴스
Hubble finds source of Magellanic Stream
http://www.spacetele[...]
2013-08-14
[3]
논문
An Unusual High-Velocity Hydrogen Feature
1972-05
[4]
논문
The Magellanic Stream
1974-06
[5]
웹사이트
Hubble measures content of the leading arm of the Magellanic Stream
https://www.spacetel[...]
2018-04-04
[6]
뉴스
Hubble Solves Cosmic 'Whodunit' with Interstellar Forensics
http://hubblesite.or[...]
2018-03-23
[7]
웹사이트
IoW_20200109 - Gaia - Cosmos
https://www.cosmos.e[...]
2020-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