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당조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당조아인은 막 왕조의 제2대 황제이다. 그는 1517년에 태어나 1540년에 사망했다. 1530년 부친 막당중으로부터 선위받아 황위에 올랐으나, 후 레 왕조 유신들의 반격으로 남북조 시대가 시작되었다. 막당조아인은 재위 기간 동안 과거 제도를 시행하고 국자감을 중수하는 등 문화와 교육을 중시했다. 그의 사후 아들 막푹하이가 황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퐁 출신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 하이퐁 출신 - 미셸 앙리
    미셸 앙리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소설가로서, 삶의 현상학 구축에 기여하고 마르크스, 칸딘스키, 기독교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으로 알려져 있다.
  • 막 왕조의 황제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 막 왕조의 황제 - 막푹응우옌
    막푹응우옌은 1546년 막 왕조의 황제가 되어 영정으로 개원했으나, 반란과 침략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1564년 사망 후 아들이 뒤를 이었다.
  • 1540년 사망 - 요한 게오르크 파우스트
    르네상스 시대 독일의 방랑자이자 점성가, 연금술사로 알려진 요한 게오르크 파우스트는 실존 여부가 불분명하지만, 후대에 악마와 계약한 마법사 "파우스트"의 원형으로 다양한 문헌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며 불멸의 캐릭터로 자리 잡았다.
  • 1540년 사망 - 김극성
    김극성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별시문과 급제 후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공신에 책록되었고, 여러 요직을 거쳐 우의정에 이르렀으며, 김안로 사후 복귀하여 활약한 인물로, 시호는 충정이다.
막당조아인
기본 정보
막 태종 황제의 동상
칭호대월 황제
이름막당조아인(莫登瀛)
왕조막 왕조
재위 기간1529년 – 1540년 1월 25일
선대 황제막 태조
후대 황제막 히엔통
묘호태종(太宗)
시호문황제(文皇帝)
연호대정(大正)
부친막 태조
모친응우옌 티 응옥 토안
출생 연도1500년
사망일1540년 1월 25일 (향년 39–40세)

2. 생애

막당조아인은 재위 기간 동안 후 레 왕조 부흥 세력과 명나라의 압박에 맞서 싸워야 했다.

1530년, 타인호아 사람 레이(黎意)가 스스로 후 레 왕조 종실의 외손이라고 칭하며 자주(椰州)에서 병사를 일으켰다. 막당중은 병사를 이끌고 레이를 마텃강(馬漆江)에서 공격하였으나 막 왕조의 군대가 연전연패하자 어쩔 수 없이 탕롱으로 물러났고, 태사(太師) 인국공(麟國公) 막꾸옥찐(莫國楨)을 남겨 방어하도록 하였다. 막꾸옥찐 또한 전투에서 패하였고, 레이가 서도성(西都城, 현재의 타인호아)을 공격해 들어가자 세력이 크게 떨쳤다. 그해 8월, 막당조아인이 타인호아로 진격해 막꾸옥찐의 군사와 호앙호아강(弘化江)에서 합친 뒤 레이의 군사와 교전하였으나 두 차례의 전투에서 레이에게 대패하였고, 막당조아인은 탕롱으로 퇴각하였다. 이 전투는 막 왕조로 하여금 레이의 이름만 듣고도 간담이 서늘해지게 만들었다. 다만 오래지 않아 레이가 교만해져 방비를 하지 않았고, 결국 자주에서 막꾸옥찐의 기습을 받아 사로잡힌 뒤 탕롱에 압송되어 거열을 당해 죽었다. 레이의 잔당은 애뢰(哀牢, 라오스)로 달아나 후 레 왕조의 유신인 응우옌낌에게 의탁하였고, 이는 응우옌낌의 세력을 강대해지게 하였다.[3]

막당조아인은 황제 즉위 후, 후 레 왕조를 계승하는 법령을 정비하고, 군대에 들어간 자에게 조세를 면제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막 왕조의 번성을 이끌었다.

2. 1. 초기 생애 및 즉위

1517년, 막당중후 레 왕조의 권신 쩐쩐과 친분을 맺기 위해 막당조아인을 쩐쩐의 딸과 결혼하도록 하였다. 막당중은 전투에서 공을 세워 점차 정권을 장악하였고, 1522년레 소종의 명의를 빌려 막당조아인을 '''육미후'''(Dục Mỹ hầu|육미후vi)로 봉하고 금광전(金光殿)을 관리하도록 했다.[3] 1527년, 막당중이 제위를 찬탈하고 막 왕조를 세웠고, 첫째 아들 막당조아인을 황태자로 책립하였다.[3]

1530년 정월 초하루, 막당중이 연로함을 이유로 막당조아인에게 양위하였고, 스스로는 태상황을 칭하고 물러나 응이즈엉현(宜陽縣) 고재(古齋)의 상광전(祥光殿)에 은거하며 물고기를 잡는 것을 업으로 삼고 노닐며 즐겼다.[3] 막당조아인이 마침내 즉위하였다. 그러나 사실상 당시 후 레 왕조 유신들의 세력이 매우 컸기 때문에 막당중은 은퇴하였지만 여전히 조정의 정치를 멀리서 통제하고 있었고, 실제 목적은 막당조아인을 밖에서 지원하는 것이었다.[3]

막당조아인은 까오도이 마을, 빈하현(현재의 남떤, 남삭현, 하이즈엉성)에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는 막당중이었고, 그의 어머니는 응우옌 티 응옥떤이었다.[2] 그는 막당중의 장남이었다.[2] 생년은 미상이며, 출생지도 미상이다. 막당용의 아들로 태어났다. 1529년 부친이 퇴위한 후, 1530년에 황위에 올랐다.[2]

2. 2. 남북조 시대의 혼란

1533년, 응우옌낌은 스스로 레 소종의 아들이라고 칭하는 레닌(黎寧)을 찾아내 그를 황제로 옹립하였고, 응우옌호아로 개원하니 이가 곧 레 장종이며, 후 레 왕조를 중흥시켰다. 이들은 서도성을 공격해 들어갔으며, 점차 대월의 남부 지역을 점거하였다. 막당조아인은 북부 지역으로 물러나 지키니 이것이 남북조 시대의 시작이다.[3]

동시에 레 장종은 명나라로 사신을 보내 스스로 후 레 왕조의 자손이라고 칭하며 막씨가 제위를 찬탈한 일을 고하였다. 가정제는 함녕후(咸寧侯) 구란(仇鸞)을 총독군무(總督軍務)로 삼고, 병부상서(兵部尙書) 모백온(毛伯溫)을 참찬군무(參贊軍務)로 삼아 군사를 징집해 베트남으로 진공할 준비를 하게 하니, 전쟁이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갔다.

2. 3. 사망

1540년 3월 3일(다이찐 11년 정월 25일), 막당조아인이 사망하였다. 시호는 '''흠철문황제'''(欽哲文皇帝), 묘호는 '''태종'''(太宗)이다.[3] 첫째 아들인 막푹하이가 뒤를 이었다.

3. 정치 및 문화 정책

막당조아인은 재위 기간 동안 문화와 교육을 매우 중시하였다. 1532년, 1535년, 1538년에 세 차례 과거를 시행하였는데, 응우옌빈키엠1535년 과거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536년에는 겸군공(謙郡公) 막딘코아(莫廷科)를 파견하여 국자감(國子監)을 중수하도록 하였고, 1537년에는 태학(太學)을 직접 시찰하였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부친막당중
모친응우옌티응옥뚜옌(阮氏玉璇) - 통군공(通郡公) 응우옌티웅(阮時雍)의 딸, 레 공황 황후의 자매
형제
자매
아내
자녀


참조

[1] 서적 The A to Z of Vietnam
[2] 서적 Tiền Kim Loại Việt Nam https://books.google[...] Bảo tàng lịch sử Việt Nam
[3] 서적 大越通史·逆臣傳·莫登瀛傳
[4] 웹사이트 明史·安南傳 http://www.guoxue.co[...] 2019-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