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타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타이는 왕타이 사후 하다 부족 내 왕위 쟁탈전을 틈타 독립하여 해서여진의 맹주 지위를 얻었으나, 명나라의 지원을 받는 여허에게 맹주 자리를 내주었다. 그는 동생 부잔타이를 누르하치의 건주여진 공격에 투입했으나 패배하고 부잔타이가 생포되자, 누르하치와 우호 관계를 맺었다. 1596년, 만타이는 장남 초후리와 함께 암살되었으며, 사후 누르하치가 부잔타이를 울라로 보내 즉위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라나라 할라 - 압타이
    압타이는 청나라 초기에 누르하치의 딸과 혼인하여 권력을 얻었지만, 홍타이지와의 갈등 및 국상 기간 중 부적절한 행동으로 작위를 박탈당한 인물이다.
  • 울라나라 할라 - 효경헌황후
    효경헌황후 울라나라씨는 옹정제의 원비이자 황후로, 옹정제의 적복진으로 책봉된 후 황후가 되었으며, 요절한 아들 홍휘를 두었고 사망 후 효경헌황후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청서릉 태릉에 안장되었다.
  • 1596년 사망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596년 사망 - 프랜시스 드레이크
    프랜시스 드레이크는 잉글랜드 해군 제독이자 탐험가, 사략선 선장으로, 세계 일주를 성공하고 무적함대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노예 무역과 사략 행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여진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여진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만타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만타이
직위울라 수장
전임부간
후임부잔타이
사망일1596년
사망지울라 수와얀 시란
가족 관계
부친부간
배우자두두후
자녀아들) 초후리, 남다리, 압타이, 부다리
딸) 아바하이
형제부단, 부잔타이

2. 생애

만타이는 혼란한 정세 속에서 부족의 독립을 꾀하고, 한때 해서여진의 맹주 지위를 얻기도 했다.

만타이에게는 네 명의 아들이 있었다. 나이순으로 초호리(撮胡里), 남다리(納穆達里), 압타이(阿布泰), 부다리(布打里)였다.[10] 울라 멸망 후, 만타이의 아들들은 만주팔기(滿洲八旗) 정백기(正白旗)에 소속되었다. 압타이는 화석공주(和碩公主)와 결혼하여 청나라의 부마인 어푸(efu, 額駙)에 봉해졌고, 도통겸좌령(都統兼佐領)까지 역임하였다.[11] 남다리는 울라 멸망 후 닝구타(Ningguta, 寧古塔)로 이주하여 버일러(貝勒)에 즉위하였다. 남다리 사후 아들 바인타이주(拜音泰柱)는 울라로 돌아와 두등시위(頭等侍衛)를 역임하였고,[10] 조선 원정에서 피도(皮島)를 공격하다 전사하여 운기위(雲騎尉) 세직(世職, 세습 관직)을 하사받았다.[12]

만타이의 딸 아바하이(Abahai, 阿巴亥)는 진외할아버지 누르하치(努爾哈赤)와 결혼하여 대비(大妃)가 되었으며, 아지거(Ajige, 阿濟格), 도르곤(Dorgon, 多爾袞), 도도(Dodo, 多鐸) 세 황자를 낳았다.

2. 1. 즉위와 세력 확장

만타이는 하다 부족 내 왕위 쟁탈전을 틈타 독립했다. 남쪽으로 진격하여 여허와 연합하고, 수완과 시버 두 부를 분할 점령했다.[2][3] 하다로 도주한 멍거불루의 즉위를 지원하고, 동생 부잔타이를 파견하여 호이파와의 분쟁을 조정하게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만타이는 해서여진의 맹주 지위를 얻었으나, 의 지원을 받는 여허의 맹주 지위는 인정해야 했다.[4]

1593년 가을, 만타이는 동생 부잔타이를 대신 출정시켜 여허가 중심이 되는 구부(九部) 연합군 군사 작전에 참여하게 하였다. 구부 연합군은 누르하치의 건주여진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으나 대패하였고, 여허 버일러 부자이는 살해되었으며 부잔타이는 생포되었다.[6] 이후 만타이는 누르하치와 우호를 맺기로 하고, 1596년 부잔타이 가족 20여 명을 건주로 압송하여 부잔타이와 함께 살도록 하였다.[7]

2. 2. 구부 전투와 건주여진과의 관계 변화

1593년 가을, 만타이는 동생 부잔타이에게 군사 3천 명을 주어 여허가 주도하는 구부(九部) 연합군에 참여시켰다. 구부 연합군은 누르하치의 건주여진을 공격했으나 크게 패했고, 여허 버일러 부자이는 전사하고 부잔타이는 생포되었다.[6] 만타이는 건주여진에 예물을 보내 부잔타이를 돌려받으려 했으나, 누르하치는 이를 거절했다.[6]

이후 만타이는 누르하치와 우호를 맺기로 결정하고, 1596년에는 부잔타이 가족 20여 명을 건주로 보내 부잔타이와 함께 살게 했다.[7]

2. 3. 최후

여허울라는 영토를 분할한 이후 인접하게 되면서 변경에서 분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만타이는 무리를 이끌고 변경 지역인 수와얀 시란(Suwayan Siran, 오늘날 중국 길림성 장춘시 쌍양하)으로 가서 월경한 여허인을 몰아내고 새로운 토목 공사를 벌였다.[7] 1596년 7월, 만타이와 장남 초후리(撮胡里)가 암살되었다. 암살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흔히 언급되는 설로는 만타이와 초후리가 '마을의 두 유부녀를 강간하자 남편이 밤에 들어가 이들을 암살하였다'는 것이다.[8]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만타이의 숙부 힝니야(Hingniya, 興尼牙)가 여허의 지지 하에 정변을 일으켜 만타이 부자를 죽이고 부녀를 간음하였다가 살해되었다는 요설을 퍼뜨렸다는 것이다.[9] 만타이 사후 누르하치는 부잔타이를 울라로 보내 즉위시켰고, 힝니야는 왕위 쟁탈에서 패배하고 여허로 도주하여 투항하였다.[8]

3. 가족 관계

만타이는 아들 넷을 두었는데, 순서대로 초호리(撮胡里), 남다리(納穆達里), 압타이(阿布泰), 부다리(布打里)였다.[10] 만타이의 딸 아바하이(Abahai, 阿巴亥)는 누르하치(努爾哈赤)와 혼인하여 대비(大妃)가 되었고, 아지거(Ajige, 阿濟格), 도르곤(Dorgon, 多爾袞), 도도(Dodo, 多鐸) 세 황자를 낳았다.

울라가 멸망한 후, 만타이의 후손들은 만주팔기(滿洲八旗) 정백기(正白旗)에 소속되었다.[11] 아들 압타이는 화석공주(和碩公主)와 혼인하여 어푸(efu, 額駙, 청나라의 부마)에 봉해졌으며, 도통겸좌령(都統兼佐領)까지 역임하였다.[11] 남다리는 울라 멸망 후 닝구타(Ningguta, 寧古塔)로 이주하여 버일러(貝勒)가 되었다. 남다리의 아들 바인타이주(拜音泰柱)는 울라로 돌아와 두등시위(頭等侍衛)를 역임하였고,[10] 조선 원정에 참전했다가 피도(皮島) 공격 중에 전사하여 운기위(雲騎尉) 세직(世職, 세습 관직)이 하사되었다.[12]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