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허는 16세기 후반 훌룬 구룬의 나라 씨족을 정복하고 여허강 유역에 정착한 투메드인에서 시작된 부족이다. 시조 싱건 다르한 이후 여러 수장을 거치며 명나라와 관계를 맺었으나, 1583년 칭기야누와 양기누 형제가 사망하고, 이후 건주 여진의 누르하치와 대립했다. 1593년 구러 산 전투에서 패배하고 1619년 사르후 전투 이후 누르하치에게 멸망하여 허투알라 인근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서여진 - 멍거불루
    멍거불루는 1360년경 건국된 하대의 국주로, 명나라 개입과 건주 여진과의 갈등, 내부 분열을 겪으며 누르하치에게 멸망당했다.
  • 해서여진 - 울라 (여진)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만주 지역에 존재했던 여진족의 부족 또는 국가인 울라는 타이란과 부얀 시기에 세력을 확장하고 우라성을 축조했으나, 누르가치에게 멸망당했으며, 만주족의 주요 씨족 중 하나로 청나라 황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 금나라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금나라 - 정강의 변
    정강의 변은 1125년부터 1127년까지 금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한 사건으로,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포로로 잡혀가고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 만주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만주 - 외만주
    외만주는 19세기 청나라 동북 지역으로, 러시아가 아무르 강 유역을 병합한 후 러시아 만주라고도 불렸으나,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되어 현재 러시아 영토가 되었으며, 중국은 불평등 조약을 근거로 영토 반환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부정하며 영토 분쟁과 역사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여허
개요
이름여허 나라
만주어ᠶᡝᡥᡝ
한자葉赫 (엽혁)
역사적 배경
후룬 4부후룬
우라
호이파
하다
여허ᠶᡝᡥᡝ

2. 역사

여허는 투메드 출신 싱건 다르한(ᠰᡳᠩᡤᡝᠨ
ᡩᠠᡵᡥᠠᠨ|Tumet Singgen Darhanmnc)이 훌룬 구룬의 장(ᠵᠠᠩ|Jangmnc)이 다스리던 나라 씨족을 정복하고 그곳에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1][2] 싱건 다르한은 자신의 성씨를 투메드에서 나라로 바꾸었고, 이후 여허강 유역으로 이주하면서 여허라고 불리게 되었다.

싱건 다르한의 뒤를 이어 시르커 밍가투, 치르가니, 추쿵거, 타이추, 타탄주를 거쳐 칭기야누와 양기누 형제가 버일러를 자칭하며 여허를 다스렸다. 1583년 칭기야누와 양기누는 명나라 이성량과의 충돌로 사망하고, 이후 칭갸누의 아들 부자이와 양기누의 아들 나림불루가 각각 그 지위를 계승했다.

1593년 여허는 다른 부족들과 연합하여 건주여진의 누르하치를 공격했으나 크게 패하고 부자이는 전사했다. 부자이 사후 동여허는 부양구가 계승했고, 누르하치와 혼인동맹을 맺었으나, 나림불루는 이를 파기했다. 1604년 누르하치는 몽고 저저의 죽음을 빌미로 여허를 침공했다.

1609년 나림불루가 사망하고 동생 긴타이시가 계승했다. 1613년 누르하치는 다시 여허를 침공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1619년 사르후 전투에서 여허는 명나라를 지원했으나 패배했다. 같은 해 9월 누르하치는 여허를 함락시켰고, 긴타이시와 부양우는 처형당했다. 부양우의 동생 부르항우 등은 목숨을 구제받고 팔기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여허는 허투알라 인근으로 강제 이주되어 무인지대가 되었다.

2. 1. 건국 및 초기 역사

여허는 투메드인이었던 싱건 다르한(ᠰᡳᠩᡤᡝᠨ
ᡩᠠᡵᡥᠠᠨ|Tumet Singgen Darhanmnc)이 훌룬 구룬의 장(ᠵᠠᠩ|Jangmnc)의 나라 씨족을 정복하고 그 지역에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1][2] 싱건 다르한은 자신의 성씨를 투메드에서 나라로 바꾸었고, 이후 여허강 유역으로 이주하면서 여허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1][2]

싱건 다르한 사후 아들 시르커 밍가투(ᠴᡳᡵᡤᠠᠨᡳ|Sirke Minggatumnc)가 수장 자리를 계승했고, 시르거 밍가투 사후에는 그의 아들 치르가니(ᠴᡳᡵᡤᠠᠨᡳ|Cirganimnc)가 계승했다.[3] 치르가니는 1484년 명나라로부터 관직을 받았으나,[4] 16세기 초 명나라로의 입공을 막았다는 이유로 명군에게 살해당했다.[6]

치르가니 사후 아들 추쿵거(ᠴᡠᡴᡠᠩᡤᡝ|Cukunggemnc)가 수장이 되었고, 명나라 변경을 자주 공격했다.[7] 1513년 명나라의 회유로 관직을 받았으나,[8] 1551년경 하다의 왕주 와일란에게 살해당하고 칙서를 빼앗겼다.[10][11]

추쿵거 사후 아들 타이추(ᡨᠠᡳᠴᡠ|Taicumnc)가 수장을 계승했고,[12] 그의 장남 타탄주(ᡨᠠᡳᡨᠠᠨᠵᡠ|Tatanjumnc)는 하다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타탄주 사후 그의 차남과 3남인[13] 칭기야누(ᠴᡳᠩᡤᡳᠶᠠᠨᡠ|Cinggiyanumnc)와 양기누(ᠶᠠᠩᡤᡳᠨᡠ|Yangginumnc) 형제가 제부를 정복하고 각각 성에 거주하며 버일러를 자칭했다.[14]

1583년 1월 경, 칭기야누와 양기누는 명나라 이성량과의 충돌로 인해 아들들과 함께 사망했다.[15][16] 이후 이성량은 여허를 공격했으나 큰 피해를 입고 회군했다.[17]

칭갸누의 아들 부자이(ᠪᡠᠵᠠᡳ|Bujaimnc)와 양기누의 아들 나림불루(ᠨᠠᡵᡳᠮᠪᡠᠯᡠ|Narimbulumnc)는 각각 부친의 지위를 계승했다. 1593년 여허는 다른 부족들과 연합하여 건주여진의 누르하치를 공격했으나 크게 패했고, 부자이는 전사했다.[19][20][21]

부자이 사후 동여허는 부양구(ᠪᡠᠶᠠᠩᡤᡡ|Buyanggumnc)가 계승했고, 누르하치와 혼인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나림불루는 건주와의 동맹을 파기했다.[22] 1603년 몽고 저저가 위독하여 누르하치가 장모를 건주로 오게 하려 했으나 나림불루가 허락하지 않았고, 몽고 저저는 병사했다. 1604년 누르하치는 이를 빌미로 여허를 침공했다.[23]

1609년 나림불루가 병사하고 동생 긴타이시가 계승했다. 1613년 누르하치는 여허를 재침공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긴타이시는 명나라에 지원을 요청했다.[24] 1619년 사르후 전투에서 여허는 명나라를 지원했으나 패배했다.[25] 그해 9월 누르하치는 여허를 함락시켰고, 긴타이시와 부양우는 처형당했다.[27][28] 부양우의 동생 부르항우(ᠪᡠᡵᡥᠠᠩᡤᡡ|Burhanggūmnc) 등은 목숨을 구제받고 팔기에 편입되었다.[29][30] 이후 여허는 허투알라 인근으로 강제 이주되어 무인지대가 되었다.[31]

2. 2. 칭기야누와 양기누

여허의 시조 싱건 다르한(ᠰᡳᠩᡤᡝᠨ
ᡩᠠᡵᡥᠠᠨ|Tumet Singgen Darhanmnc)은 본래 투메드인이었으나 훌룬 구룬의 장(ᠵᠠᠩ|Jangmnc)의 나라 씨족을 정복하고 그 지역에 정착한 후 성씨를 투메드에서 나라로 바꾸었다. 이후 여허강 유역으로 이주하면서 여허라고 불리게 되었다.[1][2] 싱건 다르한 사후 여허의 수장은 아들 시르커 밍가투(ᠴᡳᡵᡤᠠᠨᡳ|Sirke Minggatumnc)가 계승했고, 시르거 밍가투 사후에는 그의 아들 치르가니(ᠴᡳᡵᡤᠠᠨᡳ|Cirganimnc)가 계승했다.[3] 치르가니는 1484년 명나라에게서 관직을 받았다.[4] 그러나 16세기 초 명나라로의 입공을 막았다는 이유로 명나라 군대에게 죽임을 당했다.[6]

치르가니 사후 아들 추쿵거(ᠴᡠᡴᡠᠩᡤᡝ|Cukunggemnc)가 수장 지위를 계승, 아버지의 뜻을 이어 다른 여진 추장과 연합하여 명나라 변경을 자주 공격했다.[7] 1513년, 명나라의 회유를 받고 아버지의 지위를 이어받았다.[8] 1524년에는 지위가 승격되었다.[9] 그러나 추쿵거는 1551년 무렵 하다의 왕주 와일란에게 살해당했고,[10] 여허는 하다에게 모든 칙서를 빼앗겼다.[11]

추쿵거 사후 아들 타이추(ᡨᠠᡳᠴᡠ|Taicumnc)가 수장을 계승했고,[12] 타이추 이후 그의 장남 타탄주(ᡨᠠᡳᡨᠠᠨᠵᡠ|Tatanjumnc)는 추쿵거를 죽이고 칙서를 강탈한 하다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타탄주 사후 그의 차남과 3남인[13] 칭기야누(ᠴᡳᠩᡤᡳᠶᠠᠨᡠ|Cinggiyanumnc)와 양기누(ᠶᠠᠩᡤᡳᠨᡠ|Yangginumnc) 형제가 여러 부족을 정복하여 각각의 성에 거주하니, 하다인들이 신속하였고, 형제가 마침내 모두 버일러를 자칭했다.[14]

명나라 요동총병관(遼東總兵官) 이성량은 여허에게 칙서를 하사할 것을 허락하였고, 1583년 1월 전후 칭기야누와 양기누는 통시를 하기 위해 진북관에 이르렀는데, 이때 개원의 관왕묘(關王廟)에서 양측이 충돌하여 두 버일러와 그 아들들이 모두 죽었다.[15][16]

2. 3. 누르하치와의 대립 및 멸망

누르하치는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원수를 갚는다는 명분으로 군사를 일으켜, 수년간 니칸 와이란을 제거하고 숙수후, 후너허, 왕야, 동오, 저천 등을 정복했다.[18] 이에 여허의 국주 나림불루와 부자이는 1593년 하다의 멍어불루, 울라의 부잔타이, 호이파의 바인다리, 코르친 몽골의 옹가대 등과 9부 연합군을 결성하여 건주여진을 공격했다.[19] 그러나 누르하치는 구러 산에 매복과 장애물을 설치해 연합군을 대패시켰고, 이 과정에서 부자이는 전사했다.[20][21]

부자이 사후 동여허는 부양구가 계승했다. 1597년 부양구는 여동생 몽고 저저를 누르하치에게 시집보냈고, 나림불루는 동생 긴타이시의 딸을 다이샨에게 시집보내 건주와 혼인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나림불루는 건주와 몽골 사이의 갈등을 유발하고, 울라의 부잔타이와 동맹을 맺어 건주와의 동맹을 파기했다.[22]

1603년 몽고 저저가 병에 걸려 위독해지자 누르하치는 장모를 건주로 초청했으나, 나림불루가 이를 거절했고 몽고 저저는 결국 사망했다. 1604년 누르하치는 이 사건을 빌미로 여허를 침공해 장 성과 아키란 성 등을 함락하고 많은 여허인과 가축을 노획했다.[23]

1609년 나림불루가 사망하자 동생 긴타이시가 동여허를 계승했다. 긴타이시와 부양우는 1613년 울라 멸망 후 여허로 망명한 부잔타이의 송환 요구를 거부했다. 이에 누르하치는 여허를 재침공해 19개 성을 파괴하고 우수 성의 여허인 300여 호를 포획했다. 긴타이시와 부양우는 명나라에 지원을 요청해 조총병 1,000여 명을 원조받았다.[24]

1619년 사르후 전투에서 여허는 명군을 원조했으나 패배했다.[25] 같은 해 9월 누르하치는 여허를 급습했고,[26] 동여허가 함락되어 긴타이시는 처형당했다.[27] 서여허의 부양우도 항복 후 처형되었다.[28] 부양우의 동생 부르항우 등은 목숨을 구제받았고, 여허인들은 팔기에 편입되었다.[30] 이후 여허는 무인지대가 되었다.[31]

3. 주요 인물

wikitext

이름만주어 표기
싱건 다르한Singgen Darhanmnc
시르커 밍가투Sirke Minggatumnc
치르가니Cirganimnc
추쿵거Cukunggemnc
타이추Taicumnc
이름만주어 표기
칭기야누Cinggiyanumnc
부자이Bujaimnc
부양구Buyanggūmnc
이름만주어 표기
양기누Yangginumnc
나림불루Narimbulumnc
긴타이시Gintaisimnc


3. 1. 여허

이름만주어 표기
싱건 다르한

|-

| 시르커 밍가투 ||

|-

| 치르가니 ||

|-

| 추쿵거 ||

|-

| 타이추 ||

|}

3. 2. 서여허

3. 3. 동여허


  • 양기누()
  • 나림불루()
  • 긴타이시()

  • --

수정 내용:

  • `` 형태는 `` 템플릿을 사용하도록 지시사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전 출력물은 `` 템플릿 내부에 또 다른 템플릿(``)을 중첩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템플릿은 제거 대상이므로, 전체 구조를 `...|...mnc` 형태로 변경해야 합니다. 하지만 주어진 source 에는 한국어 발음 표기가 없으므로, `...mnc` 형태로만 출력합니다.

4. 씨족

ᠨᠠᡵᠠ
ᡥᠠᠯᠠ|Yehe Nara Hala}})는 만주족 나라 할라의 지파로 해서여진 여허의 국성이었다. 그 시조는 16세기 후반 투메드 몽골의 귀족인 싱건 다르한으로, 이후 그의 후손들은 훌룬의 나라 씨족의 부락을 정복한 뒤 자신의 할란(哈拉, Hala)를 투머트(ᡨᡠᠮᡝᡨ|Tumetmnc)에서 나라(ᠨᠠᡵᠠ|Naramnc)로 고치고, 이후 강명을 연고로 여허(葉赫, ᠶᡝᡥᡝ|Yehemnc)라는 무쿤(穆昆, Mukūn)을 더하여 '''여허나라'''(葉赫那拉, ᠶᡝᡥᡝ
ᠨᠠᡵᠠ|Yehe Naramnc)라 일컬었다.[32]

신해혁명으로 청 제국이 무너졌지만, 공화정이 실현되지 못하고 군벌의 통치가 뒤를 이었으며 민족 차별 정책이 시행되었다. 전국 각지의 주방팔기(駐防八旗)들은 서안, 남경, 항주, 형주 등지에서 무고한 만주족 관병을 살해하는 사건이 도처에서 일어났다. 이에 따라 만주인들은 어쩔 수 없이 한족(漢族)의 성씨로 바꾸는 경우가 많았다. 만주족이 많은 북경에서는 극히 현귀한 집안으로 족속과 성씨를 바꿀 방법이 없는 소수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상당수의 만주인들은 족속과 성씨를 바꾸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생계를 유지할 방법조차 찾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미 가지고 있던 직장이나 일자리도 잃어버릴 수 밖에 없었다.[33] 따라서 중화민국이 건립되자 여허나라씨는 한성(漢姓)인 나(那), 엽(葉), 장(張), 나(羅), 소(蘇)로 가장했다.[34]

참조

[1] 서적 滿州實錄
[2] 서적 [[팔기만주씨족통보]]
[3] 서적 滿州實錄
[4] 서적 憲宗純皇帝實錄
[5]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6] 서적 武宗毅皇帝實錄
[7] 서적 中国少数民族史大辞典 吉林教育出版社 1995-12
[8] 서적 武宗毅皇帝實錄
[9] 서적 武宗毅皇帝實錄
[10] 서적 叶赫那拉氏家族史研究 吉林文史出版社
[11] 서적 海西女真史料 吉林文史出版社
[12] 서적 滿州實錄
[13] 서적 葉赫那蘭氏八旗族譜
[14] 서적 滿州實錄
[15] 서적 滿州實錄
[16] 서적 [[명사|明史]]
[17] 서적 滿州實錄
[18] 서적 努爾哈赤傳 北京出版社出
[19] 서적 滿州實錄
[20] 서적 《[[선조실록]]》
[21]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22]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23]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24] 서적 太祖武皇帝實錄
[25] 서적 明と淸の決戰 東京
[26] 서적 別錄
[27] 서적 [[만문로당|満文老檔]]
[28] 서적 [[만문로당|満文老檔]]
[29] 서적 [[만문로당|満文老檔]]
[30] 서적 [[만문로당|満文老檔]]
[31] 서적 瀋陽日記
[32] 서적 八旗满洲氏族通谱 辽海出版社
[33] 서적 滿族歷史與文化簡編
[34] 서적 《满族姓氏寻根词典》 辽宁民族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