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느그리슴빌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느그리슴빌란주는 말레이시아 반도 서해안에 위치한 주로, 14,000년 전부터 인류가 정착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15세기 미낭카바우족의 정착으로 모계 사회인 아다트 페르파티가 도입되었으며, 18세기 조호르 왕국이 약화되면서 9개의 족장령이 통합되어 느그리슴빌란이 건국되었다. 19세기 나닝 전쟁 이후 영국 식민 지배를 거쳐 1948년 말레이 연방에 합류, 1963년 말레이시아의 주가 되었다. 현재는 제조업, 서비스, 농업 등이 경제의 주축을 이루며, 다민족 구성과 느그리슴빌란 말레이어 사용, 독특한 정치 체제와 아다트 페르파티 문화가 특징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세리 메난티 왕립 박물관, 포트딕슨 해변 등이 있으며, 세렘반, 포트딕슨 등지에 고등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주 - 사바주
    사바주는 말레이시아 동말레이시아에 위치한 주로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복잡한 역사적 배경과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가진 곳이다.
  • 말레이시아의 주 - 사라왁주
    사라왁주는 보르네오섬 북서부에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주로, 다양한 문화와 풍부한 천연 자원을 지니고 있으며 한때 브루나이 제국의 영향 아래 사라왁 술탄국으로 시작해 백인 라자 시대를 거쳐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말레이시아 연방에 가입했다.
  • 반도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는 말레이시아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주석 채굴을 위한 중국인 정착지에서 시작되어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말레이시아 수도가 되었고, 급속한 도시 발전과 함께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로 자리매김하며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 반도 말레이시아 - 클란탄주
    켈란탄주는 말레이시아 동부 해안에 위치하여 켈란탄 강 유역의 비옥한 평야와 열대 기후를 가지며 쌀, 고무, 열대 과일 생산이 활발하고 푸난 왕국, 크메르 제국, 시암 등과 관계를 맺으며 발전, 15세기 독립 술탄국으로 성장,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1909년 영국-시암 조약 이후 영국령 말레이아의 비연합주가 되었으며, 1990년 이후 말레이시아 이슬람당(PAS)이 지배하며 독특한 이슬람 문화와 정치적 성향을 유지,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며 전통 공예와 독특한 음식 문화를 보존하고 있는 곳이다.
  • 믈라카 해협 - 센토사섬
    싱가포르 본섬 남쪽에 위치한 센토사섬은 "평화와 평온"을 의미하는 말레이어 이름을 가진 휴양 섬으로, 과거 군사 기지이자 전쟁 포로 수용소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위락 시설을 갖춘 관광지로 개발되었으며, 2018년에는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되기도 했다.
  • 믈라카 해협 - 조호르주
    조호르주는 말레이 반도 남부에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주로, 남중국해, 조호르 해협, 말라카 해협에 둘러싸여 열대 우림 기후와 다양한 지형,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지니며, 조호르 술탄국 건국 후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말레이시아 연방에 합류, 현재 입헌군주제 하에 서비스업, 제조업, 농업을 기반으로 경제 성장 중이나 환경 문제와 외교적 과제에 직면해 있다.
느그리슴빌란주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느그리슴빌란 다룰 쿠수스
다른 이름노고리 솜빌란 ()
森美兰 (간체) (병음)
森美蘭 (번체)
நெகிரி செம்பிலான் () (로마자 표기)
별칭'아닷 베르아닷' (관습적인 주)
국가말레이시아
수도스렘반
왕실 수도스리 므난티
주가
건국1895년 (연합 말레이 주 편입)
면적6,686 km²
인구 (2015년)1,098,50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칭느그리
차량 번호판N
우편 번호70xxx ~ 73xxx
지역 번호06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정치와 정부
정부 형태의회 군주제, 선출 군주제
최고 통치자무흐리즈
주 수상아미누딘 하룬 (파카탄 하라판 - PKR)
연방 편입1895년 (연합 말레이 주)
일본 점령기1942년
말라야 연방 편입1948년
말라야 연방 독립1957년 8월 31일
인구 통계
인간 개발 지수 (2022년)0.817 (매우 높음, 7위)
기타
국가 찬가느그리슴빌란의 통치자에게 축복을 (느그리슴빌란의 위대한 통치자를 축복하십시오) [[File:Berkatlah_Yang_DiPertuan_Besar_Negeri_Sembilan_instrumental.ogg]]
최고 해발 고도1462m (큰 한투 산)
기타 정보
느그리슴빌란 주 깃발
깃발
느그리슴빌란 문장
문장

2. 역사

느그리슴빌란 주의 역사는 15세기 수마트라에서 이주해 온 미낭카바우족이 말라카 왕국과 조호르 왕국의 보호 아래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모계 사회 관습인 아다트 페르파티를 도입하여 지역 관습으로 만들었다.[6][7]

링기 강과 무아르 강은 말라카 왕국 시대부터 주요 무역로였다. 링기 강은 주석이 풍부한 수가이 우종 지역을 말라카 항구 도시와 연결했으며, 무아르 강은 서팅 강을 통해 파항 강과 연결되어 말라카 해협과 남중국해 사이를 잇는 랄루안 페나리칸(말레이어로 '육로')의 일부를 형성했다.

느그리슴빌란이라는 이름은 "아홉 개의 주"를 의미하며, 미낭카바우족이 정착한 아홉 개의 족장령(''노고기'' 또는 ''루악'')에서 유래했다. 1773년 느그리슴빌란은 9개의 족장령 연합체로 구성되었으며, 각 족장령은 다음과 같다.

족장령 (루악)
수응아이 우종(Sungai Ujong)
젤레부(Jelebu)
렘바우(Rembau)
조홀(Johol)
젤라이(Jelai)
울루 파항(Ulu Pahang)
나닝(Naning)
세가맛(Segamat)
클랑(Klang)



19세기, 울루 파항은 파항의 베라 지역이 되었고, 세가맛은 조호르에, 클랑은 셀랑고르의 쿠알라 랑갓 지역에 각각 병합되었다. 나닝은 1832년 나닝 전쟁(Naning War) 이후 말라카 해협 식민지의 말라카에 편입되었다.

1874년 영국 제국은 수응아이 우종의 지도권 다툼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영국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고 영국 거주민의 통제하에 두었다.[9] 1883년에는 젤레부가, 1887년에는 름바우가 영국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889년, 스리 므난티 영토가 탐핀, 름바우 영토와 합쳐져 '스리 므난티 연합'이 형성되었고, 1895년에는 수응아이 우종과 젤레부 영토가 연합에 합류하여 현재의 느그리슴빌란 주 경계가 확립되었다.[12] 마틴 리스터가 새 주의 첫 번째 거주민이 되었고, 느그리슴빌란 주는 같은 해에 연합 말레이 주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1942년~1945년)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1948년 말레이 연방에 합류하였고, 1963년 말레이시아의 주가 되었다.

2. 1. 고대 및 중세

느그리슴빌란의 초기 인류 정착은 약 14,000년 전 젤레부 지역 심팡 페르탕 근처의 파소 동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동굴군에서 발견된 석기와 음식 잔해는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기원전 12,000년경으로 추정된다.[5] 초기 주민들은 세멜라이, 세마이, 셈항족, 자쿤 등의 조상으로, 수렵 채집 생활을 하거나 자급자족 농업에 종사했다.

15세기, 수마트라 출신의 미낭카바우족이 말라카 왕국, 이후 조호르 왕국의 보호 아래 오늘날의 느그리슴빌란에 정착했다. 이들은 모계 사회 관습인 아다트 페르파티를 도입하여 지역 관습으로 만들었다.[6][7]

무아르 강의 발원지 근처 쿠알라 필라. 무아르 강은 링기 강과 함께 중세 느그리슴빌란의 가장 중요한 무역로 중 하나였다.


링기 강과 무아르 강은 말라카 왕국 시대부터 주요 무역로로 사용되었다. 링기 강은 주석이 풍부한 수가이 우종 지역을 말라카 항구 도시와 연결했으며, 무아르 강은 서팅 강을 통해 파항 강과 연결되어 말라카 해협과 남중국해 사이를 잇는 랄루안 페나리칸(말레이어로 '육로'를 의미)의 일부를 형성했다.

2. 2. 아홉 개의 족장령 (Nine chiefdoms)

느그리슴빌란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아홉 개의 주(州)"를 의미한다. 이는 미낭카바우족이 정착한 아홉 개의 족장령(chiefdoms), 느그리슴빌란 방언(네게리슴빌란 방언)으로는 ''노고기''(Nagari), 또는 ''루악''(미낭카바우어: ''luak'', ''luhak'')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1773년 라자 멜레와르(Raja Melewar) 즉위 당시 느그리슴빌란의 원래 아홉 개의 족장령(''luak'')의 연합


현대 느그리슴빌란의 ''루악''들. 수응아이 우종(Sungai Ujong) 남쪽의 이름 없는 ''루악''은 링기(Linggi)이다. 세렘반(Seremban) 주립 박물관.


느그리슴빌란은 건국 당시 9개의 족장령(루악, ''luaks'')의 느슨한 연합체였으며, 그 이름의 유래이기도 하다. 1773년 느그리슴빌란의 최초 형태를 구성했고, 주의 이름을 짓게 된 9개의 족장령 또는 영토는 다음과 같다.

족장령 (루악)
수응아이 우종(Sungai Ujong)
젤레부(Jelebu)
렘바우(Rembau)
조홀(Johol)
젤라이(Jelai)
울루 파항(Ulu Pahang)
나닝(Naning)
세가맛(Segamat)
클랑(Klang)



역사적으로 모든 루악(''luak'')은 중앙에 위치한 세리 메난티(Seri Menanti)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었다.[8] 19세기에 울루 파항(Ulu Pahang)은 파항(Pahang)의 베라(Bera) 지역이 되었고, 세가맛(Segamat)은 조호르(Johor)에 병합되었으며, 클랑(Klang)은 셀랑고르(Selangor)의 쿠알라 랑갓(Kuala Langat)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나닝(Naning)은 1832년 나닝 전쟁(Naning War) 이후 말라카 해협 식민지(Straits Settlement)의 말라카(Malacca)에 편입되었다.

2. 3. 식민지 시대

1874년, 영국 제국은 수응아이 우종의 지도권 다툼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영국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고, 그 지역을 영국 거주민의 통제하에 두었다.[9] 1883년에는 젤레부가, 1887년에는 름바우가 영국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이러한 영국의 개입은 현지 주민들에게 반감을 샀으며, 결국 내전과 분열로 이어졌다.

1875년, 영국군은 아랍 용병 및 구르카 용사와 함께 파로이에서 말레이 방어군과 전투를 벌였다. 초기에는 영국군이 패배했지만, 결국 승리하여 말레이 요새를 점령했다. 이 전투로 양측 모두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9] 이후 영국군은 부킷 푸투스를 요새화한 말레이 군대를 공격하여 승리했다. 테라치 계곡 주민들은 도망쳤고, 얌투안 안타의 궁전은 스리 므난티에서 파괴되었다.[11]

1889년, 스리 므난티 영토가 탐핀, 름바우 영토와 합쳐져 '스리 므난티 연합'이 형성되면서 현대 느그리슴빌란 주의 형성이 시작되었다. 1895년에는 수응아이 우종과 젤레부 영토가 연합에 합류하여 현재의 느그리슴빌란 주 경계가 확립되었다.[12] 마틴 리스터가 새 주의 첫 번째 거주민이 되었고, 느그리슴빌란 주는 같은 해에 연합 말레이 주의 일부가 되었다.

2. 4. 현대

20세기 전반기, 느그리슴빌란 주의 농촌 지역에서는 천연 고무(''파라고무'') 수요로 인해 대규모 삼림 벌채가 발생했다. 1903년에는 6,188개의 농장이, 1939년에는 396,065개의 농장이 집계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기간(1942년~1945년)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1948년 말레이 연방에 합류하였고, 1963년 말레이시아의 주가 되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스름반과 닐라이가 과밀화된 클랑밸리 도시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로 주목을 받았다. 이 두 도시는 새로운 공장과 산업 단지의 중심지가 되면서 주의 현대화 발전에 기여했다.

2009년 9월 9일, 주택 및 지방 정부부는 인구 증가를 경험한 주도 스름반의 도시(Bandar Raya) 승격 신청을 승인했다. 이를 위해 스름반 시의회는 닐라이 시의회와 통합되어야 했다. 여러 차례 연기 끝에 스름반은 2020년 1월 20일 공식적으로 도시 지위를 얻었다.

같은 해 11월 9일, 느그리슴빌란 주는 증가하는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해 이동 통제령 봉쇄 조치를 받았다.

3. 지리

말라카 해협에 접해 있는 느그리슴빌란은 말레이시아 반도 서해안에 위치하며, 남부 지역 또는 중부 지역으로 분류된다.[14][15][16] 면적은 6,686km²로 말레이시아에서 네 번째로 작다.

티티왕사 산맥이 세렘반을 굽어보고 있다.


우주에서 본 링기 강 유역의 서쪽 끝. 사진 오른쪽에는 티티왕사 산맥 남쪽 끝에 위치한 탐핀 마을이 보인다.


느그리슴빌란 주는 중앙의 티티왕사 산맥으로 나뉜 두 개의 평야로 구성되어 있다. 티티왕사 산맥은 주의 중앙을 약 92km에 걸쳐 뻗어 있으며, 이로 인해 주는 서쪽과 동쪽 지역으로 나뉜다. 서쪽은 포트딕슨, 세렘반, 렘바우 지구로 구성되고, 동쪽은 젤레부, 꾸알라 필라, 젬폴, 탐핀 지구를 포함한다. 서쪽은 동쪽에 비해 더 개발되어 있고 복잡한 도로망을 갖추고 있다.[17]

티티왕사 산맥은 랑갓 강, 링기 강, 무아르 강, 파항 강의 분할선 역할을 한다. 링기 강과 무아르 강은 주의 주요 강이며, 주민들에게 중요한 수자원이다.[18] 주의 열대우림은 티티왕사 산림 복합지의 일부를 형성한다.

큰 유령 산(Mount Besar Hantu)(1,462m)은 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며, 파항과의 경계 근처 젤레부 지역에 위치한다.

느그리슴빌란은 열대 우림 기후(쾨펜 기후 구분: '''Af''')를 가지며, 연중 덥고 습하다. 뇌우는 주로 계절풍 전환기에 자주 발생한다. 건기는 8월에서 9월까지 지속되며, 남서 계절풍이 바리산 산맥에 의해 차단되어 강우 그림자 효과가 나타난다. 북동 계절풍 시기에는 지속적인 폭우가 내린다.

다음은 세렘반의 기후 자료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30.931.732.532.231.731.331.130.931.231.231.031.0
평균 기온 (°C)26.627.227.727.827.527.126.926.826.927.026.926.8
평균 최저 기온 (°C)22.322.722.923.423.423.022.722.822.722.822.922.6
평균 강수량 (mm)114110178232180119127143158237252193

[21]

4. 행정 구역

느그리슴빌란 주는 7개의 지구와 14개의 루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응아이 우종, 렘바우, 조홀, 젤레부는 운당(Undang)에 의해 통치되어 루악 베룬당(Luak Berundang)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리 메난티 주변의 루악들은 루악 타나 멩간둥(Luak Tanah Mengandung)으로 통칭된다. 탐핀 루악은 준자치적인 지위를 가진다.[19][20]

4. 1. 지구 (Districts)

행정 구역상으로 느그리슴빌란 주는 다음의 7개 지구(District)로 구성되어 있다.

지구 이름
주레부 군
젬폴 군
쿠알라필라 군
포트딕슨 군
렘바우 군
세렘반 군
탐핀 군


4. 2. 루악 (Luaks)

느그리슴빌란 주에는 14개의 루악(Luak)이 있다.

루악 이름
수응아이 우종
렘바우
젤레부
조홀
탐핀
울루 무알
테라치
이네
젬폴
구눙 파시르
게멘체
파시르 베사르
아예르 쿠닝
링기

[19][20]

수응아이 우종, 렘바우, 조홀, 젤레부는 운당(Undang)에 의해 통치되므로 루악 브룬당(Luak Berundang)으로 알려져 있다. 게멘체, 아예르 쿠닝, 파시르 베사르는 조홀의 보호령이며, 링기는 수응아이 우종의 보호령이다. 즉 두 루악 브룬당 아래 4개의 루악이 보호받고 있는 것이다.

세리 메난티 주변의 테라치, 울루 무알, 젬폴, 구눙 파시르, 이네와 같은 루악들은 집합적으로 루악 타나 멩간둥(Luak Tanah Mengandung)으로 알려져 있다.

탐핀 루악은 탐핀의 아다트(Adat) 영토(말레이어: ''Wilayah Adat Tampin'')로도 알려져 있으며, 준자치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툰쿠 베사르가 통치한다.[19][20]

4. 3. 지방 자치 단체

종류이름한국어 발음
주레부 군젤레부 군
젬폴 군젬폴 군
쿠알라필라 군쿠알라필라 군
포트딕슨 군포트딕슨 군
렘바우 군렘바우 군
세렘반 군세렘반 군
탐핀 군탐핀 군
세렘반 시세렘반 시
닐라이 시닐라이 시
포트딕슨 시포트딕슨 시


5. 인구 통계

느그리슴빌란주의 인구는 1970년 481,563명에서 2020년 1,199,974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연도인구
1970481,563
1980551,442
1991692,897
2000829,774
2010986,204
20201,199,974

[47]

5. 1. 민족

느그리슴빌란의 총 인구는 2015년 기준 1,098,500명이다.[2][47] 민족 구성은 말레이시아 말레이계(대부분 미낭카바우계) 62만 명(56.6%), 기타 부미푸트라 2만 700명(1.9%), 말레이시아 중국계 23만 4,300명(21.3%), 말레이시아 인도계 15만 4,000명(14%), 기타 4,200명(0.4%), 비시민권자 6만 3,300명(5.8%)이다.[2] 이 주는 다른 말레이시아 주와 비교하여 인도계 비율이 가장 높다. 오늘날까지도 이 주는 말레이시아에서 아다트 페르파티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5. 2. 종교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느그리슴빌란 주민의 종교 비율은 다음과 같다.[48]

종교비율 (%)
이슬람교60.3
불교21.2
힌두교13.4
기독교2.4
무종교/불명1.1
무종교0.8
중국 민간 종교0.5
기타0.3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느그리슴빌란 주 인구의 60.3%는 무슬림, 21.2%는 불교도, 13.4%는 힌두교도, 2.4%는 기독교인이다. 1.1%는 종교를 밝히지 않았고, 0.8%는 무종교이며, 0.5%는 도교 또는 중국 민간 종교 신자이고, 0.3%는 다른 종교 신자이다.

같은 조사에서 중국계 인구의 92.9%는 불교도, 3.6%는 기독교인, 1.9%는 중국 민간 종교 신자, 0.8%는 무슬림으로 나타났다. 인도계 인구의 대다수는 힌두교도(89.0%)이며, 기독교인(5.0%), 무슬림(3.2%), 불교도(1.4%) 순이다. 말레이계가 아닌 부미푸테라 공동체는 대부분 무종교(39.7%)이며, 기독교인(28.3%)과 무슬림(20.2%)이 그 뒤를 잇는다.[49] 말레이시아 헌법에 정의된 바와 같이 모든 말레이인은 무슬림이다.[50]

5. 3. 언어

느그리슴빌란 주민들은 말레이어의 독특한 변종인 느그리슴빌란 말레이어(바소 노고히, Baso Nogoghi)를 사용한다.[2] 이 방언은 말레이반도의 다른 말레이어 변종보다는 미낭카바우어를 포함한 인근 수마트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 표준 말레이어는 주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며, 중국계 주민들은 그들의 언어와 방언을 사용한다.[2] 타밀어는 인도계 사회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텔루구어, 말라얄람어, 펀자브어 사용자도 느그리슴빌란의 도시에 소수 존재한다.[2]

6. 정치

느그리슴빌란주의 통치 형태는 입헌군주제이며, 모계 사회에서 세계 유일의 선거 군주제이다. 이러한 제도는 연방 군주제의 부분적인 기반이 되었다.[12]

주의 행정권은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 수응아이 우종, 젤레부, 조홀, 렘바우의 운당, 그리고 틈핀의 뜽쿠 브사르에게 있다.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는 주의 이슬람 종교 수장이자, 모든 명예와 존엄의 원천이다. 현직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는 무흐리즈(네게리 슴빌란)이다.[12]

말레이시아의 다른 왕족 주와 달리, 느그리슴빌란의 통치자는 운당(Undang)이라는 칭호를 가진 영토 수장들에 의해 선출된다. 주 통치자 선거에서 투표권을 갖는 4명의 운당은 다음과 같다.[12]

운당
수응아이 우종의 운당
젤레부의 운당
조홀의 운당
렘바우의 운당



운당 자신은 선거에 출마할 수 없으며, 통치자 선택은 "라자 라딘 이브니 라자 렝강의 합법적인 후손"인 남성 무슬림으로 제한된다.[12]

주 행정평의회는 주무장관(수상)을 의장으로 하여 1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가 임명한다.[12] 현재 네그리 슴빌란 주의 주무장관은 아미누딘 하룬이다.

주 의회는 단원제이며, 주 전역의 단일 선거구를 대표하는 36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12] 선거는 5년을 넘지 않는 기간마다 개최된다. 의회는 주도인 세렘반의 위스마 네게리에서 소집된다.

소속연합/정당 대표상태의석
2023년 선거현재
파카탄 하라판
바리산 나시오날
아미누딘 하룬여당3131
페리카탄 나시오날리즈완 아마드야당55
여당 과반수2626


6. 1. 헌법

네게리슴빌란 주 헌법은 1959년 3월 26일에 발효되었다.[12] 이 헌법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주의 통치 형태가 입헌군주제이고, 모계 사회에서 세계 유일의 선거 군주제임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는 연방 군주제의 부분적인 기반이 되었다.

6. 2. 통치자 (The Ruler)

Duli Yang Maha Muliams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 느그리슴빌란 (현재 칭호는 Duli Yang Maha Mulia Yang di-Pertuan Besar Negeri Sembilan Darul Khusus Tuanku Muhriz ibni Almarhum Tuanku Munawirms)은 느그리슴빌란 주의 통치자의 공식 칭호이다. 이스타나 베사르는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의 공식 관저이다.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는 종신직이며, 4개의 주요 루악(Luak)을 다스리는 운당(Undang)들에 의해 선출된다.[12]

주 헌법에 따르면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 수응아이 우종(Sungai Ujong)의 운당, 젤레부(Jelebu)의 운당, 조홀(Johol)의 운당, 렘바우(Rembau)의 운당, 그리고 틈핀(Tampin)의 뜽쿠 브사르(Tengku Besar)에게 주의 행정권이 있다. 또한,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는 주의 이슬람 종교 수장이자, 주의 모든 명예와 존엄의 원천이다. 현직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는 무흐리즈(네게리 슴빌란)로, 2008년 12월 27일 사망한 자파르(네게리 슴빌란)의 뒤를 이었다.[12]

말레이시아의 다른 8개 왕족 말레이 주와 달리, 느그리슴빌란의 통치자는 주의 영토 수장 또는 통치 수장들에 의해 선출된다. 이 통치 수장들은 운당(Undang)이라는 칭호를 갖는다. 다음의 네 명의 운당만이 주 통치자 선거에서 투표권을 갖는다.[12]

운당
수응아이 우종의 운당
젤레부의 운당
조홀의 운당
렘바우의 운당



운당 자신은 선거에 출마할 수 없으며, 이들의 통치자 선택은 말레이시아인이자 "라자 라딘 이브니 라자 렝강의 합법적인 후손"인 남성 무슬림으로 제한된다.[12]

의회는 주도인 세렘반에 있는 위스마 느그리에서 소집된다.

6. 3. 행정부 및 입법부

주 행정평의회는 주무장관(수상)을 의장으로 하여 1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무장관과 평의회 구성원들은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가 통치 정당 또는 연합 소속의 주 의회 의원들 중에서 임명한다.[12] 현재 네그리 슴빌란 주의 주무장관은 아미누딘 하룬이다.

단원제 네그리 슴빌란 주 의회는 네그리 슴빌란의 주 입법부이다. 주 전역의 단일 선거구를 대표하는 36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12] 선거는 5년을 넘지 않는 기간마다 개최되며, 일반적으로 연방 의회 선거와 동시에 치러진다. 의회는 주도인 세렘반에 있는 위스마 네게리에서 소집된다.

소속연합/정당 대표상태의석
2023년 선거현재
파카탄 하라판
바리산 나시오날
아미누딘 하룬여당3131
페리카탄 나시오날리즈완 아마드야당55
여당 과반수2626


7. 경제

제조업 부문은 느그리슴빌란 주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며, 서비스 및 관광(40.3%), 농업(6%), 건설(2.2%), 광업(0.3%)이 그 뒤를 잇는다.[51] 제조 활동에는 전기 공급 및 전자 제품, 섬유, 가구, 화학 제품, 기계, 금속 제품 및 고무 제품이 포함된다.

주요 산업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산업 단지
세렘반(Seremban)스나왕(Senawang), 반다르 스리 슨다얀(Bandar Sri Sendayan), 수응아이 가둣(Sungai Gadut), 반다르 엔스텍(Bandar Enstek), 닐라이(Nilai)
포트딕슨(Port Dickson)타나 므라(Tanah Merah)
름바우(Rembau)츰봉(Chembong)



켈로그(Kellogg's), 더치 레이디(Dutch Lady), 아지노모토(Ajinomoto), 코카콜라(Coca-Cola)(반다르 엔스텍 소재), 히노 자동차(Hino Motors)(반다르 스리 센다얀 소재), 야쿠르트(Yakult)(세렘반 2 소재), 삼성SDI(Samsung SDI), 온세미(Onsemi), NXP 반도체(NXP Semiconductors)(세나왕 소재), 네슬레(Nestlé)(쳄봉 소재) 등 여러 기업들이 느그리슴빌란 주에 공장을 설립했다.[51] 특히, 네슬레의 쳄봉 공장은 세계 최대의 밀로(Milo) 제조업체이자 회사의 세계 최대 규모의 우수 센터이다.[51]

느그리슴빌란 주는 농업 중심의 주이지만, 여러 산업 단지 조성으로 제조업 부문이 주 경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주 서부의 세렘반(Seremban)과 포트딕슨(Port Dickson)은 말레이시아 비전 밸리(Malaysia Vision Valley)의 일부로 지정되었다.[51] 말레이시아 비전 밸리는 2015년 사이미 달비(Sime Darby)와 연방 정부 및 주 정부 간의 합작 투자로 구상된 1534km2 규모의 새로운 성장 벨트로, 쿠알라룸푸르 대도시권의 남쪽 확장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2045년까지 느그리슴빌란 주를 발전된 주로 변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51][52][53]

농업 활동에는 고무와 팜유 농장, 가축, 과수원 및 채소 농업이 포함된다. 약 3099km2가 고무와 팜유 농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8. 문화

미낭카바우족은 고유한 문화유산인 ''아닷 프르파티''를 가져왔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보존 및 실천되고 있다. 아닷 프르파티는 이 지역 고유의 모계 상속 및 행정 체제이며, 남편이 가장이지만 상속은 어머니에서 딸로 이어진다.

미낭카바우의 영향은 춤과 음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느그리슴빌란주의 전통 음악으로는 차끌렘퐁, 디키르 레바나, 툼북 칼랑, 봉가이 등이 있다.[55][56][57][58] 사용되는 악기들은 미낭카바우족 조상의 고향인 수마트라와 약간의 유사성을 보인다. 탈리안 릴린(촛불춤), 렌탁 쿠다(말의 박자)와 같은 춤은 느그리슴빌란주에서 인기 있으며, 타리안 피링의 화려한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의 조화로운 움직임과 타리안 란다이의 경쾌한 리듬이 특징이다. 이러한 춤의 각 비트, 리듬, 움직임은 과거의 신화나 다른 시대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러한 공연들은 주로 전통 축제, 문화 행사, 만찬 겸 문화 공연에서 이루어진다.

8. 1. 아닷 프르파티 (Adat Perpatih)

미낭카바우족은 문화유산인 ''아닷 프르파티''를 가져왔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보존 및 실천되고 있다.[6][7] ''아닷 프르파티''는 이 지역 고유의 모계 상속 및 행정 체제로, 남편이 가장이지만 상속은 어머니에서 딸로 이어진다. 느그리슴빌란의 미낭카바우인들은 12개의 ''수쿠''(suku, 씨족)로 나뉘며, 각 수쿠는 ''름바가''(lembaga)로 알려진 족장이 이끈다. 각 수쿠는 ''페룻''(perut)이라는 하위 단위로 나뉘며, 각 페룻은 ''부아팍''(buapak, 남성) 또는 ''이부 소코''(ibu soko, 여성)로 알려진 족장이 이끈다. 부아팍과 이부 소코는 모두 ''아낙 부아''(anak buah)로 알려진 페룻의 부하들 사이에서 아닷(adat)과 종교 문제에 대해 참조할 수 있는 중요한 인물이다. 같은 씨족 구성원 간의 결혼은 금지된다. 12개의 수쿠와 각 수쿠의 기원 지역 이름은 다음과 같다.

수쿠 (Suku)
비두안다 (Dondozmi)
스리 르막 (Solomakzmi)
스리 믈렝강 (Somolenggangzmi)
아낙 아체
아낙 믈라카 (Anak Melakozmi)
티가 느넥 (Tigo Nenekzmi)
티가 바투 (Tigo Batuzmi)
타나 다타르
바투 함파르 (Tompazmi)
파야쿰부 (Payokumbohzmi)
바투 블랑 (Batu Bolangzmi)
뭉칼 (Mungkazmi)



이 지역에서 미낭카바우의 영향은 춤과 음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8. 2. 공연 예술

느그리슴빌란주의 전통 음악으로는 차끌렘퐁, 디키르 레바나, 툼북 칼랑, 그리고 봉가이와 같은 음악이 있다.[55][56][57][58] 사용되는 악기들은 미낭카바우족 조상의 고향인 수마트라와 약간의 유사성을 보인다.

탈리안 릴린(촛불춤)과 렌탁 쿠다(말의 박자)와 같은 춤은 느그리슴빌란주에서 인기 있으며, 타리안 피링의 화려한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의 조화로운 움직임과 타리안 란다이의 경쾌한 리듬이 특징이다. 이러한 춤의 각 비트, 리듬, 그리고 움직임은 과거의 신화 또는 단순히 다른 시대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는 이야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공연들은 일반적으로 전통 축제, 문화 행사 및 만찬 겸 문화 공연에서 이루어진다.

9. 교통

이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은 자동차이며, PLUS 고속도로, LEKAS 고속도로, 세렘반-포트딕슨 고속도로(Seremban–Port Dickson Highway) 등 세 개의 고속도로가 있다.[59] 세렘반 내부 순환 도로(Seremban Inner Ring Road)는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다차선 순환 도로 고속도로이다.

렘바우(Rembau) 근처 북남고속도로(North-South Expressway)의 페다스-링기(Pedas-Linggi) 분기점


버스 서비스는 myBAS가 운영한다. 또한, 주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세렘반과 젬폴(Jempol) 지역의 무료 버스 서비스 3개 노선이 있으며, 현재 MARA Liner가 운영하고 있다. MARA Liner는 렘바우(Rembau)와 탐핀(Tampin) 지역에서 4개의 시골 노선도 운영한다.

세렘반의 무료 버스


세렘반에는 주요 버스 터미널인 터미널 원(Terminal One)이 있으며, 쿠알라 필라(Kuala Pilah), 바하우(Bahau), 렘바우(Rembau)와 같은 네게리슴빌란(Negeri Sembilan)의 주요 지역과 알로르 세트르(Alor Setar), 이포(Ipoh), 말라카(Melaka)와 같은 말레이시아의 다른 지역을 연결한다.

KTMB의 세렘반 기차역


철도 서비스는 KTM 코뮤터(KTM Komuter)가 제공하며, 세렘반 기차역(Seremban Railway Station)이 주도의 주요 역이다. 세렘반은 클랑밸리 통합 교통 시스템(Klang Valley Integrated Transit System)의 일부이며, 탐핀(Tampin) 지역의 게마스 기차역(Gemas Railway Station)은 서해안선과 동해안선의 환승역이다.[59] 1995년에 도입된 통근열차 서비스로, 네게리 슴빌란(Negeri Sembilan)에서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와 주변 클랑밸리(Klang Valley) 교외 지역으로 향하는 지역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초의 철도 시스템이다.

이 지역에는 민간 공항이 없으며, 가장 가까운 공항인 셀랑고르(Selangor) 세팡(Sepang)의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Kuala Lumpur International Airport)(KLIA)은 닐라이 코뮤터역(Nilai Komuter station)에서 공항까지 운행하는 셔틀 버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60]

10. 음식

느그리슴빌란 전통 음식은 매우 매운 경향이 있는데, 가장 매운 고추 중 하나인 피리피리 고추(Bird's eye chili, cili padi)가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이다.[6]

테라치(Terachi)의 한 식당에서 제공되는 네그리 전통 음식
울금과 피리피리 고추를 넣은 코코넛 밀크(산탄, santan)로 만든 구라이(gulai)의 한 종류인 ''마삭 르막 라다 아피(Masak lemak lada api)''는 이 주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이 주의 대표적인 음식인 ''마삭 레막 라다 아피(Masak lemak lada api)''
느그리슴빌란 주민들은 훈제 음식(말레이어로 ''살라이'', salai)을 좋아하기로도 유명하며, ''슴빌랑 살라이''(훈제 메기), ''아얌 살라이''(훈제 닭고기) 등이 있다. 이러한 음식들 또한 ''마삭 레막 라다 아피'' 스타일로 조리될 수 있다.

렌당(Rendang)


다양한 허브, 향신료, 코코넛 밀크와 함께 고기를 볶아 만드는 풍부한 요리인 ''렌당(Rendang)'' 또한 느그리 슴빌란에서 유명하며, ''렌당''의 기원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탐핀 지구의 게멘체(Gemencheh) 지역의 ''렌당 마만(rendang maman)''은 ''마만(Cleome gynandra)'' 잎을 사용하여 만든다. 느그리 슴빌란의 또 다른 특산품은 ''레망(Lemang)''으로, 코코넛 밀크에 찹쌀을 넣고 숯불에 구운 대나무 통에 익힌 음식이다. 이는 보통 ''렌당''과 함께 제공된다.[6]

11. 관광

느그리슴빌란주는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 '''갈레리 디라자 투앙쿠 자파르, 포트딕슨, 세리 메난티 왕립 박물관, 육군 박물관, 다툭 산, 앙시 산''' 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 루컷 요새 및 박물관 – 루컷 역사 갤러리와 기타 유물을 포함하는 박물관이다.
  • 페나리칸 운송로 – 바하우 마을 근처에 있으며, 동쪽과 서쪽 강 사이의 짧은 간격을 배가 운송되었던 곳으로, 말레이 반도의 양쪽 해안 사이의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 말레이시아 역사상 최초의 동서 간 육로로 여겨진다.
  • 테라탁 자아바 – 현대 말레이어 발전에 크게 기여한 말레이시아 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자이날 아비딘 아마드를 기리는 박물관이다. 바하우 근처 바투 키키르의 캄풍 부킷 크르다스에 있는 그의 출생지에 위치해 있다.
  • 거석 유적 – 네게리슴빌란에는 쿠알라 필라 지역의 테라치, 탐핀 지역의 레파, 포트딕슨 지역의 펭칼란 켐파스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여러 거석 유적지가 있다.
  • 게멘체 다리 (수가이 켈라마) 기념관 – 연합군이 진격하는 일본군을 매복 공격한 제2차 세계 대전의 게마스 전투가 벌어진 곳을 기념하는 기념관이다.
  • 게마스 철도 박물관 – 탐핀 지역의 게마스는 케레타피 타나 메라유 베르하드(KTMB) 철도망의 동해안과 서해안 노선이 교차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전에 박물관 건물은 91년 동안 운영을 하다가 2013년에 운영이 중단된 구 게마스 기차역이었다. 이는 서해안 노선 세렘반-게마스 구간의 전철화 및 복선화 작업 완료와 일치한다.
  • 파소 동굴 – 파소 삼림 보호구역, 젤레부에 위치한 파소 동굴군은 말레이 반도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카르스트 동굴이자 남부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로, 말레이시아 과학대학교(USM)가 실시한 발굴 조사에서 14,000년 전 유물이 발견되었다.
  • 바투 말로이 동굴 – 쿠알라 필라 지역의 조홀에 위치한 바투 말로이 동굴은 2.4km 길이의 탈루스 동굴로, 강이 흐르는 화강암 암석이 쌓여 형성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긴 화강암 동굴로 알려져 있으며 동굴 탐험가들에게 인기가 있다.
  • 케나보이 주립공원 – 젤레부에 위치한 케나보이 주립공원은 티티왕사 산맥에 자리 잡고 있다. 자연 보호 구역은 네게리슴빌란에서 가장 높은 산인 부킷 베사르 한투(1,462m)와 라타 키장, 라타 딘딩, 라타 베룬구트와 같은 자연 명소로 가는 주요 진입로이다.
  • 탐핀 산 – 주의 남쪽 끝 탐핀에 위치한 탐핀 산은 764m 고도의 티티왕사 산맥의 지리적인 남쪽 끝이다.


주의 항구 도시인 포트딕슨쿠알라룸푸르싱가포르에서 관광지로 인기가 있다.[61]

11. 1. 주요 관광지


  • 갈레리 디라자 투앙쿠 자파르 – 세렘반에 있는 갤러리로, 느그리슴빌란주의 전직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였던 투앙쿠 자파르의 생애를 전시하고 있다.[61]
  • 포트딕슨 – 도시 거주자들에게 인기 있는 주말 휴양지로, 1889년 영국군 장교 존 프레드릭 딕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61] 말라카 해협을 바라보는 아름다운 해변과 고급 호텔, 군 기지로 유명하다.
  • 세리 메난티 왕립 박물관 – 1992년까지 느그리슴빌란주 왕실의 궁전이었던 곳으로, 못이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지어진 5층짜리 목조 건물이다. 의상, 무기, 침실, 왕실 족보에 대한 문서 등이 전시되어 있다.[62]
  • 육군 박물관 – 포트딕슨 시루사 교외에 있는 말레이시아 최대 규모의 군사 박물관이다. 말레이시아 육군의 역사와 관련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63]
  • 다툭 산 – 렘바우에 있는 884미터 높이의 봉우리로, 정상에서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으며, 날씨가 좋으면 말라카 해협도 보인다. 쿠알라룸푸르에서 당일치기 여행으로 쉽게 갈 수 있다.
  • 앙시 산 – 세렘반과 쿠알라 필라 지역 경계에 있는 824m 높이의 봉우리로, 인기 있는 등산 장소이다.

12. 교육

말레이시아 이슬람 과학대학교, 닐라이


말레이시아 기술대학교, 렘바우 캠퍼스


느그리슴빌란주에는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주의 주요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이름약칭설립 연도위치
말레이시아 이슬람 과학대학교USIM1998년닐라이
마라 공과대학교UiTM1999년쿠알라 필라, 세렘반, 렘바우
기술교육대학교 교육캠퍼스IPG KPT2013년반다르 엔스텍, 닐라이



대학명약칭설립 연도소재지
인티 국제대학교INTI-IU1998년닐라이
마니팔 국제대학교MIU2011년닐라이 [64]
닐라이 대학교NU1997년닐라이
린턴 대학교UCL1995년만틴
말레이시아 신학대학교STM1979년세렘반
UCSI 대학교 및 국제학교UCSI1986년반다르 스프링힐


13. 의료

느그리슴빌란에는 공립 병원과 사립 병원이 있다.

'''공립 병원'''


  • 투앙쿠 자파르 병원(스름반)[65][66][67]
  • 투앙쿠 암푸안 나지하 병원(쿠알라 필라)
  • 포트딕슨 병원 (Hospital Port Dickson)
  • 탐핀 병원 (Hospital Tampin)
  • 젤레부 병원 (Hospital Jelebu)
  • 젬폴 병원 (Hospital Jempol)
  • 렘바우 병원 (Hospital Rembau)[68][69]


'''사립 병원'''

  • 닐라이 메디컬 센터(Nilai Medical Centre)[70]
  • 스름반 전문병원(Seremban Specialist Hospital)[71]
  • 콜럼비아 아시아 메디컬 센터 - 스름반(Columbia Asia Medical Centre - Seremban)[72]
  • 세나왕 전문병원(Senawang Specialist Hospital)
  • NSCMH 메디컬 센터(NSCMH Medical Centre)
  • 콜럼비아 아시아 병원(Columbia Asia Hospital)
  • 마와르 메디컬 센터(Mawar Medical Centre)

참조

[1] 웹사이트 Laporan Kiraan Permulaan 2010 http://www.statistic[...] Jabatan Perangkaan Malaysia 2011-01-24
[2] 웹사이트 Population by States and Ethnic Group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Information, 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Malaysia 2015-02-12
[3] 문서 IPA-ms|ˈnəgri
[4] 서적 Area Handbook for Malaysia and Singapore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5
[5] 뉴스 Penemuan artifak dapat rungkai asal usul Jelebu https://www.bharian.[...] 2015-12-22
[6] 웹사이트 Negeri Sembilan - History and Culture https://web.archive.[...] 2014-10-26
[7] 웹사이트 The Minangkabau of Negeri Sembilan https://museumvolunt[...] 2016-04-04
[8] 논문 The galactic polity in Southeast Asia https://www.journa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웹사이트 The Battle of Paroi https://www.sabrizai[...] 2024-03-18
[10] 웹사이트 The Battle of Bukit Putus https://www.sabrizai[...] 2024-03-18
[11] 웹사이트 The Battle of Bukit Putus https://www.sabrizai[...] 2024-03-18
[12] 웹사이트 Colonial Reports--annual, Issues 1570-1599 https://books.google[...] 2021-01-09
[13] 논문 When Rubber Came: The Negeri Sembilan Experience http://hdl.handle.ne[...] Kyoto University 1991-09
[14] 웹사이트 Five Regions in Malaysia | Download Scientific Diagram https://www.research[...] 2022-09-28
[15] 웹사이트 Peninsular Malaysia travel guide https://www.travelfi[...] 2022-09-28
[16] 웹사이트 Map of Malaysia showing the six regions. | Download Scientific Diagram https://www.research[...]
[17] 서적 Rumah Melayu Negeri Sembilan: satu analisis seni bina Melayu https://malayciviliz[...] Penerbit Fajar Bakti
[18] 서적 Rumah Melayu Negeri Sembilan: satu analisis seni bina Melayu https://malayciviliz[...] Penerbit Fajar Bakti
[19] 웹사이트 SeNanti@SeriMenanti: Pengertian Dan Senarai Luak-Luak Dalam Negeri Sembilan http://serimenanti.b[...] 2018-12-25
[20] 웹사이트 Sistem Sosial Adat Perpatih di Negeri Sembilan - the Patriots https://www.thepatri[...] 2018-11-08
[21] 웹사이트 Climate: Seremban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20-08-01
[22] 웹사이트 Laman Web Rasmi PKwNS - Utama https://web.archive.[...] 2022-01-19
[23] 웹사이트 JKR Negeri Sembilan - Selamat Datang Laman Web JKR Negeri Sembilan http://jkrns.ns.gov.[...]
[24] 웹사이트 Pejabat Tanah dan Galian Negeri Sembilan - MENU UTAMA https://web.archive.[...] 2022-01-19
[25] 웹사이트 Utama https://web.archive.[...] 2022-01-19
[26] 웹사이트 Utama http://forestry.ns.g[...]
[27] 웹사이트 Laman Web Rasmi Jabatan Pertanian - LAMAN UTAMA https://web.archive.[...] 2022-01-19
[28] 웹사이트 Jabatan Kebajikan Masyarakat https://www.jkm.gov.[...] 2023-03-07
[29] 웹사이트 PLANMalaysia@Negeri Sembilan - Utama https://web.archive.[...] 2022-01-19
[30] 웹사이트 Laman Utama https://web.archive.[...] 2022-01-19
[31] 웹사이트 Halaman Utama https://muftins.gov.[...] 2022-01-19
[32] 웹사이트 Portal Jabatan Hal Ehwal Agama Negeri Sembilan - Utama https://web.archive.[...] 2022-01-19
[33] 웹사이트 Jabatan Kehakiman Syariah Negeri Sembilan - Utama https://web.archive.[...] 2022-01-19
[34] 웹사이트 Majlis Agama Islam Negeri Sembilan - UTAMA https://www.mains.go[...]
[35] 웹사이트 LMNS - LEMBAGA MUZIUM NEGERI SEMBILAN - Utama https://web.archive.[...] 2022-01-19
[36] 웹사이트 Welcome to NS Corporation https://nscorp.gov.m[...] 2024-07-24
[37] 웹사이트 Portal Rasmi Perbadanan Perpustakaan Awam Negeri Sembilan http://nslibrary.gov[...] 2022-01-19
[38] 웹사이트 Utama https://www.yns.gov.[...] 2022-01-19
[39] 웹사이트 Perbadanan Kemajuan Negeri, Negeri Sembilan - Utama https://www.pknns.go[...] 2022-01-19
[40]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s https://www.ns.gov.m[...] 2022-01-19
[41] 웹사이트 Portal Rasmi Majlis Bandaraya Seremban (MBS) https://www.mbs.gov.[...] 2023-03-07
[42] 웹사이트 Portal Rasmi Majlis Perbandaran Post Dickson http://www.mppd.gov.[...] 2022-01-19
[43] 웹사이트 Portal Rasmi Majlis Perbandaran Jempol (MPJL) http://www.mdjl.gov.[...] 2023-03-07
[44] 웹사이트 Portal Rasmi Majlis Daerah Rembau (MDR) | http://www.mdr.gov.m[...]
[45] 웹사이트 Portal Rasmi Majlis Daerah Kuala Pilah (MDKP) http://www.mdkp.gov.[...] 2023-03-07
[46] 웹사이트 Portal Rasmi Majlis Daerah Tampin (MDT) http://www.mdtampin.[...] 2023-03-07
[47] 웹사이트 Data Sosioekonomi Negeri Sembilan Tahun 2015 https://web.archive.[...] 2017-12-08
[48] 웹사이트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12-06-17
[49] 웹사이트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12-06-17
[50] 서적 The Constitution of Malaysia: A Contextual Analysis Hart Publishing 2024-08-26
[51] 뉴스 Negri proposes RM640bil partnership with Federal Govt http://www.thestar.c[...] 2022-09-09
[52] 웹사이트 PLANMalaysia@Negeri Sembilan - Rancangan Struktur Negeri https://jpbd.ns.gov.[...] 2022-09-09
[53] 뉴스 Malaysia Vision Valley 2.0 officially launched, nine years on https://www.thesunda[...] 2022-09-09
[54] 웹사이트 Agropolis https://investns.com[...]
[55] 웹사이트 JKKN Pemetaan Budaya {{!}} THE MUSIC OF CAKLEMPONG https://pemetaanbuda[...] 2022-03-11
[56] 웹사이트 JKKN Pemetaan Budaya {{!}} THE MUSIC OF DIKIR REBANA https://pemetaanbuda[...] 2022-03-11
[57] 웹사이트 JKKN Pemetaan Budaya {{!}} THE MUSIC OF TUMBUK KALANG https://pemetaanbuda[...] 2022-03-11
[58] 웹사이트 JKKN Pemetaan Budaya {{!}} BONGAI MUSIC https://pemetaanbuda[...] 2022-03-11
[59] 웹사이트 Intercity services https://web.archive.[...] Keretapi Tanah Melayu Berhad 2007-12-19
[60] 웹사이트 About Airport Liner https://www.lcct.com[...] 2004-12-27
[61] 웹사이트 Port Dickson Beach http://www.tourism.g[...] 2013-04-28
[62] 웹사이트 Seri Menanti Royal Museum http://www.tourism.g[...] 2014-05-21
[63] 웹사이트 Army Museum http://www.tourism.g[...] 2014-05-22
[64] 웹사이트 Manipal International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4-10-27
[65] 웹사이트 Portal Rasmi Kementerian Kesihatan Malaysia https://www.moh.gov.[...] 2024-04-09
[66] 웹사이트 Negeri Sembilan - Hospital Kerajaan http://myhealth.moh.[...] 2011-10-10
[67] 웹사이트 Negeri Sembilan Government Official Portal - Health https://www.ns.gov.m[...] 2024-04-09
[68] 뉴스 Hospital Rembau dinaiktaraf [METROTV] https://www.hmetro.c[...] 2022-09-23
[69] 간행물 RANCANGAN PEMBANGUNAN NEGERI SEMBILAN, 2021-2025 https://drive.google[...] Pejabat Setiausaha Kerajaan Negeri Sembilan 2024-04-09
[70] 웹사이트 Aurelius Healthcare – Quality Healthcare for a Better Tomorrow https://www.aurelius[...] 2024-09-13
[71] 웹사이트 KPJ Healthcare Berhad http://www.ssh.kpjhe[...] 2013-08-06
[72] 웹사이트 Columbia Asia Group https://www.columbia[...] 2023-03-07
[73] 이미지 BI 2.PNG https://www.dosm.gov[...] 2024-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