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레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어'로 불리기도 하며, 인도네시아어와는 일부 어휘 및 표현의 차이가 존재한다. 말레이어는 고대 말레이어, 고전 말레이어를 거쳐 현대에 이르렀으며, 루미 문자(라틴 문자)와 자위 문자(아랍 문자)를 함께 사용한다. 말레이어는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어근에 접사나 단어 반복을 통해 새로운 단어를 생성한다. 말레이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어휘, 발음, 문법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의 언어 - 이반어
    이반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보르네오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사라왁 말레이어 및 말레이어와 관련이 깊고, 구글 번역에도 지원이 추가되었다.
  • 말레이어 - 자위 문자
    자위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해 14세기경 만들어져 말레이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브루나이 공식 문자이자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종교, 문화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체계이다.
  • 말레이어 - 말레이시아어
    말레이시아어는 말레이시아의 실질적 공용어로서, 말레이어와 혼용되지만 정치적 논쟁이 있으며, 인도네시아어와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고, 표준어를 기반으로 싱가포르와 브루나이에서도 사용되나, 방언 차이, 신조어, 이슬람 보수주의, 영어 코드 전환 등으로 변화하며 '바하사 로작' 현상을 겪고 있다.
  • 싱가포르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싱가포르의 언어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말레이어
지도 정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사용 지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및 브루나이 (공식 언어), 동티모르 (딜리 말레이 사용), 태국 남부 및 코코스 제도 (말레이어 사용)
언어 정보
이름말레이어
자기 이름Bahasa Melayu
자기 이름 (아랍 문자)بهاس ملايو
다른 이름말레이-인도네시아어
사용 민족말레이인
인도네시아의 다양한 민족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사용자 참고
사용 국가브루나이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남부
크리스마스섬
코코스 제도
미얀마
캄보디아
베트남
중국 (우츠울/하이난성)
모국어 화자 수약 8228만 5706명
모국어 화자 수 기준 시점2004–2010년
총 화자 수 (모국어 및 제2언어)2억 명–2억 9천만 명 (2009년)
총 화자 수 (인도네시아어 사용자 포함)2억 명- 2억 9천만 명 (2009년)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말레이어군
조상 언어고대 말레이어
조상 언어 2고전 말레이어
조상 언어 3근대 이전 말레이어
표준어 1인도네시아어
표준어 2말레이시아 말레이어
문자로마자 (말레이어 알파벳)
아랍 문자 (자위 문자)
아랍 문자 (페곤 문자) (인도네시아)
타이 문자 (태국)
말레이어 점자
역사적 문자팔라바 문자
카위 문자
울루 문자
레장 문자
공용어 지정 국가브루나이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유네스코 (인도네시아어)
소수 언어 사용 지역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표준어 외에, 수마트라섬칼리만탄에서 지역 언어 지위)
동티모르 (딜리 말레이어 외에, 인도네시아어가 업무 및 무역 언어)
태국 (파타니 말레이어, 시부리 말레이어, 방콕 말레이어)
언어 관리 기관인도네시아 언어 개발 및 육성청
말레이시아 언어 문학원
브루나이 언어 문학국
싱가포르 말레이어 협의회
MABBIM (3자 합작 투자)
ISO 639-1ms
ISO 639-2bmay
ISO 639-2tmsa
ISO 639-3msa
Linguasphere Code31-MFA-a
수동 코딩된 말레이어Manually Coded Malay
글롯토로그nucl1806
글롯토로그 참조 이름핵 말레이어군
발음/baˈha.sa məˈla.ju/
언어별 정보 (ISO 639-3)
zlm말레이어 (개별 언어)
ind인도네시아어
zsm표준 말레이어
abs암본 말레이어
mbf바바 말레이어
pea바바 인도네시아어
mhp발리어 말레이어
bjn반자르어
mfb방카
btj바칸
bew베타위어
bve베라우
kxd브루나이어
ccm체티 말레이어
coa코코스 말레이어
liw
goq고랍
hji하지
jax잠비
vkk카우르
meo케다
mfa클란탄-파타니
kvr케린치
mqg코타 방운 쿠타이
mkn쿠팡
mfp마카사르
xmm마나도
min미낭카바우
mui무시
zmi느그리슴빌란
max북몰루카
pmy파푸아
pel페칼
msi사바
sci스리랑카 말레이어
pse남부 바리산
vkt텡가롱 쿠타이

2. 명칭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어'''(Bahasa Melayu|바하사 믈라유ms) 또는 말레이시아어(Bahasa Malaysia|바하사 말레이시아ms)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바하사 인도네시아id)라고 부르며, 싱가포르브루나이에서는 말레이어(Bahasa Melayu|바하사 믈라유ms)라고 한다. 말레이어의 원어 발음 Melayu|믈라유ms는 "믈라유"에 가깝다.

한국어에서 '말레이어'라는 단어는 여러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첫째는 인도네시아국어인도네시아어와 구분되는 말레이시아의 국어, 즉 말레이시아어(Bahasa Malaysia|바하사 말레이시아ms)를 의미할 수 있다. 둘째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말레이계 방언 전체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로 쓰일 수도 있다. 이처럼 넓은 의미를 나타낼 때는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를 포괄하여 '말레이인도네시아어' 또는 줄여서 '마인어'(馬印語)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언어학적으로 말레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서오스트로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의 국어공용어인 '말레이어'(bahasa Melayu|바하사 믈라유ms)와 인도네시아의 국어 및 동티모르의 공용어인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바하사 인도네시아id)는 사실상 동일한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넓게 보면 태국 남부의 말레이계 무슬림이 사용하는 자위어(ภาษายาวี, بهاس جاوي|바하사 자위ms) 등 문법과 어휘 면에서 공통점이 있는 30개 이상의 언어들도 말레이어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말레이어"라는 명칭은 말레이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 전반을 가리키는 넓은 의미와, 말레이시아·브루나이·싱가포르의 국어 및 공용어만을 특정하는 좁은 의미, 두 가지로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 내부에서는 국어의 명칭을 두고 여러 차례 변화가 있었다.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이 성립된 후 "말레이시아어"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기존의 "말레이어"와 함께 사용되었다. 1986년에는 연방 헌법 152조의 명칭을 따라 "말레이어"로 통일되었다. 하지만 2007년, 말레이시아 정부는 국민 통합을 강화한다는 명분으로 "말레이시아어"라는 명칭을 다시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정부 방침에 대해 2015년, 아브둘라 하산(Abdullah Hassan)과 자이나브 아비딘 볼한(Zainab Abidin Bolhan) 등은 "말레이시아어" 명칭 사용 중지를 요구하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니 샤피아 칼림(Nik Safiah Karim)과 아왕 살리안(Awang Sariyan) 같은 언어학자들 역시 명칭 변경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42]

한편, 인도네시아에서는 "말레이어"라는 말이 주로 말레이 민족이 사용하는 지역 언어를 가리키는 데 쓰인다. 더 나아가 수마트라섬 중동부, 리아우 제도, 보르네오섬 일부 지역에서는 언어학적으로는 말레이어에 해당하는 언어를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바하사 인도네시아id)라고 부르기도 한다.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백과의 경우, 말레이어판 위키백과와 인도네시아어판 위키백과가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때문에 말레이어판 위키백과는 인도네시아어를 제외한 좁은 의미의 말레이어로 작성되고 있다.

3. 역사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말레이인의 기원은 고대 남부 티베트인과 자바인 등을 포함한 누산타라(Nusantara|누산타라ms; 말레이 제도) 지역 원주민들의 혼혈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은 주로 현재 인도네시아자와섬, 수마트라섬 일대에 정착했으며, 현지 원주민과 혼혈을 이루며 오늘날의 말레이인을 형성했다. 따라서 말레이인의 초기 주요 정착지는 현재의 말레이시아가 아닌 인도네시아 지역이었다. 말레이시아에는 본래 오랑아슬리나 이반, 카다잔/두순, 무룻 등 말레이인과 관련 없는 원주민들이 거주했으나, 많은 말레이인이 인도네시아에서 말레이시아로 이주하면서 현재 말레이시아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말레이어 사용 범위도 자연스럽게 넓어졌다.

그러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식민 지배를 겪으면서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공동체는 서로 다른 국가로 나뉘게 되었다. 영국이 지배했던 영국령 말라야는 현재의 말레이시아로, 네덜란드가 지배했던 네덜란드령 인도는 현재의 인도네시아로 이어졌다. 또한, 포르투갈이 지배했던 지역은 말레이시아 말라카 주의 일부가 되었고, 스페인이 지배했던 타와우, 산다칸 등 일부 지역은 말레이시아 사바 주의 일부가 되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초기에는 말레이어 사용이 보편적이지 않았다. 당시 널리 쓰이던 자와어는 사용 지역이 제한적이었고, 다른 민족이 배우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말레이어가 인도네시아 지역에 퍼지기 시작한 것은 서구 열강의 영향이 컸다. 포르투갈령 말라카와 네덜란드령 인도의 몰루카 제도 사이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말라카 해협을 통해 말레이어가 전파되었고, 이후 바타비아(현재의 자카르타)까지 퍼지면서 중요성이 커졌다. 당시 네덜란드령 인도의 공용어였던 네덜란드어는 주로 지배 계급만 사용했기 때문에, 원주민 간 및 식민지 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말레이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네덜란드는 처음에는 말레이어를 '난잡한 말레이어'(Brabbel Maleisch|브라벌 말레이스nl)라고 비하하기도 했지만, 효율적인 식민 통치와 교류를 위해 결국 말레이어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사용을 장려했다.

말레이어는 이후 각 지역의 국가 통합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1928년 10월 28일 청년의 맹세(Sumpah Pemuda)를 통해 말레이어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43] 이는 1945년 독립 후 말레이어를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바하사 인도네시아id)라는 이름으로 공용어로 지정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43]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어 사용이 비교적 자연스러웠으며, 민족의식이 성장하면서 말레이어를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고, 1957년 독립과 함께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

현재 말레이어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외에도 싱가포르, 브루나이 등지에서도 사용된다.[43] 하지만 명칭에는 차이가 있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에서는 '말레이어'라고 부르는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어'라고 부른다. 일부 브루나이인들은 자국어를 '브루나이어'(Bahasa Brunei|바하사 브루나이ms)라고 부르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어를 '말레이시아어'(Bahasa Malaysia|바하사 말레이시아ms)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미국에서 영어를 '미국어'라고 부르지 않는 것과 비교하며 비판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3. 1. 고대 말레이어

7세기에 팔렘방에서 시작하여 수마트라 대부분, 자바, 리아우 제도, 방카 벨리퉁, 싱가포르, 말레이 반도(크라 반도라고도 함), 태국, 캄보디아, 남베트남, 칼리만탄, 사라왁, 브루나이, 사바까지 확장되었고, 13세기에 잠비의 다르마스라야 왕국으로 끝난 스리비자야 제국의 확장 지도.


말레이어의 역사는 고대 말레이어, 과도기, 고전 말레이어, 후기 근대 말레이어, 현대 말레이어의 다섯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고대 말레이어는 고전 말레이어의 실제 조상으로 여겨진다.[18]

고대 말레이어는 인도의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다. 산스크리트어에서 빌려온 단어들은 고대 말레이어 어휘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대 말레이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돌 비문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에서 발견되었는데, 그란타 문자의 팔라바 문자로 쓰여 있으며 683년 5월 1일자이다.[19] 케두칸 부킷 비문으로 알려진 이 비문은 1920년 11월 29일 네덜란드인 M. 바텐부르크가 남수마트라 케두칸 부킷의 무시 강 지류인 타탕 강변에서 발견했다. 크기는 45cm × 80cm의 작은 돌이다. 수 세기 동안 스리비자야는 그 확장, 경제력, 군사력을 통해 말레이 제도 전역에 고대 말레이어를 널리 퍼뜨렸다. 고대 말레이어는 상인들의 공용어였으며, 지역의 여러 항구와 시장에서 사용되었다.[20]

3. 2. 고전 말레이어

트랑가누 비석(말레이어: Batu Bersurat Terengganums; 자위 문자: )은 말레이시아 트렝가누주에서 발견된 자위 문자로 쓰인 화강암 석비로, 고전 말레이어 비문의 가장 초기 증거로 여겨진다. 이 비문은 이슬람력 702년(서기 1303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며, 동남아시아 말레이 세계에서 자위 문자가 사용된 가장 오래된 증거이자 이 지역에 이슬람교가 국교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비문에는 '세리 파두카 투안'이라는 트렝가누 통치자가 백성들에게 이슬람을 전파하고 지지할 것을 촉구하며, 지침이 될 10가지 기본 샤리아 법을 제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고전 말레이어는 말라카 왕국(1402년~1511년) 시대에 이 지역의 공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이 시기 말레이어는 이슬람 문학의 영향을 받아 급격히 발전했다.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아랍어, 산스크리트어, 타밀어 어휘가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언어의 성격이 변화했는데, 이것이 바로 '고전 말레이어'이다. 말라카 왕국 시대에 언어는 현대 말레이어 사용자들이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발전했다. 말라카 왕국 멸망 후 왕가가 조호르 왕국을 세우면서 고전 말레이어는 계속 사용되었다. 고전 말레이어는 네덜란드령 리아우 제도와 영국령 조호르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리아우 말레이어가 고전 말레이어에 가깝다고 여겨지기도 하지만, 리아우에서 사용되는 말라카 말레이어와 리아우 방언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크지 않다.[22]

말레이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편지 중 하나는 현재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 테르나테의 술탄 아부 하야트가 1521년에서 1522년 사이에 보낸 편지이다. 이 편지는 포르투갈 탐험가 프란시스쿠 세랑과 접촉한 후 포르투갈 왕에게 보낸 것이다.[23] 이 편지는 말레이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쓴 흔적을 보여준다. 당시 테르나테 사람들은 서파푸아어족에 속하는 테르나테어를 모어로 사용했으며, 말레이어는 여러 민족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공용어로 사용되었다.[23]

4. 계통 분류

말레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이 어족은 동남아시아, 태평양의 여러 섬, 그리고 일부 대륙 아시아 지역의 언어들을 포함한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인도양마다가스카르에서 사용되는 말라가시어 역시 이 어족에 속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서로 쉽게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는 아니지만, 그 유사성은 종종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말레이어와 같이 비교적 변화가 적었던 언어에서는 공통 조상 언어인 프로토-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유래한 어근들이 많이 남아있다. 혈연 관계, 건강, 신체 부위, 흔한 동물 등에 대한 단어에서 많은 동족어를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숫자의 유사성은 매우 두드러진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에서 말레이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하위 분류인 핵심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며, 다시 그 아래의 말레이숨바와어군을 거쳐 말레이어군으로 분류된다.[44] 말레이어군에는 말레이어와 미낭카바우어가 함께 속하는데, 이 두 언어는 계통상 가깝다. 인도네시아의 주요 언어 중 자와어는 말레이숨바와어군 단계에서 갈라져 나왔고, 순다어마두라어는 말레이어군 단계에서 갈라져 나와 말레이어와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있다.[44]

말레이어군은 말레이 상인들을 통해 말레이 반도와 인도네시아 군도 전역으로 퍼져나간,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여러 언어 변이체들의 집합체이다. 흔히 '말레이어'라고 불리는 다양한 형태들 중 어떤 것을 특정 언어의 방언으로 보아야 하고, 어떤 것을 별개의 말레이계 언어로 분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브루나이의 구어체인 브루나이 말레이어나 말레이 반도의 일부 방언인 케다 말레이어는 표준 말레이어와 쉽게 통하지 않지만, 브루나이어와 케다어는 서로 매우 가깝다.[24] 언어학적으로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의 국어 및 공용어인 '말레이어'(bahasa Melayu|바하사 믈라유ms)와 인도네시아의 국어이자 동티모르의 공용어인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바하사 인도네시아id), 그리고 태국 남부의 말레이계 무슬림이 사용하는 자위어(ภาษายาวี|파사 야위th, بهاس جاوي|바하사 자위ms) 등 문법과 어휘에 공통점이 있는 30개 이상의 언어 변이체들이 모두 말레이어군에 포함된다.

말레이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에스놀로그는 고대 말레이어의 원형이 수마트라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45] 반면, 말레이시아의 역사언어학자들은 보르네오 서부일 가능성에 동의한다.[14] 기원전 1000년경 보르네오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프로토말레이어(Proto-Malayic)는 이후 모든 말레이어 계열 언어의 조상어로 여겨진다. 이 프로토말레이어의 조상어인 프로토말레이폴리네시아어(Proto-Malayo-Polynesian)는 프로토-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기원전 2000년 이전에 분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오스트로네시아족이 타이완에서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으로 남쪽으로 확장한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15]

5. 문자

말레이어는 주로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에 기반한 문자로 표기된다.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은 루미(Rumi)라고 하며,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에서 공식 문자로 사용된다.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방식은 자위(Jawi)라고 부른다.

타지 알-살라틴(Taj al-Salatin), "왕관의 왕들"(The Crown of Kings). 1824년 페낭에서 자위 문자로 필사되었다. (영국 도서관)


팔라바 문자를 사용한 케두칸 부킷 비문. 인도네시아 남부 수마트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고대 말레이어 기록 중 하나이다.


중부 및 남부 수마트라의 고유 문자 체계였던 렌콩 문자.


역사적으로 말레이어는 다양한 문자로 기록되었다. 이슬람교가 전파되기 이전에는 인도의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된 팔라바 문자, 카위 문자, 렌콩 문자 등이 사용되었다. 이슬람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자위 문자가 점차 이들 문자를 대체하여 말라카 술탄국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다. 자위는 누산타라 지역민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면서 아랍 문자를 말레이어 표기에 적용한 것이다.

17세기 이후 네덜란드영국의 식민 지배 과정에서 라틴 문자인 루미가 도입되기 시작했다.[25] 말레이시아에서는 영국 식민정부가 라틴 문자에 기반한 자아바(Za'aba) 철자법을 도입했고, 인도네시아에서는 네덜란드 식민정부가 정한 판 옵휘센(van Ophuijsen) 철자법을 사용하다가 이를 일부 개정한 수완디(Soewandi) 철자법을 사용했다.

두 라틴 문자 철자법 간의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에 불편함이 생기자, 1972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합의를 통해 맬린도(Malindo) 또는 이와이디(EYD; Ejaan Yang Disempurnakan, 개선된 철자법)라는 통일된 철자법을 제정했다.[43] 주요 변경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아바 (말레이시아 구 철자법)수완디 (인도네시아 구 철자법)이와이디 (통일 철자법)
uoeu
chtjc
shsjsy
nynjny
yjy
jdjj
khchkh



현재 말레이시아어는 이와이디를 거의 따르고 있지만, 인도네시아어는 일부 이름이나 지명 표기 시 여전히 수완디 철자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Sukarno)를 'Soekarno'로, 도시 욕야카르타(Yogyakarta)를 'Jogjakarta'로 표기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말레이시아에서도 사라왁주의 주도인 쿠칭(Kuching)처럼 옛 표기(이와이디 기준 'Kucing')가 간혹 사용된다.

말레이시아의 말레이어 교통 표지판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인도네시아어 도로 표지판


현재 루미(라틴 문자)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의 공식 문자이다. 브루나이에서는 루미와 자위가 공동 공식 문자로 지정되어 있으며, 기관명 등은 두 문자로 병기해야 한다. 특히 브루나이의 이슬람 종교 학교("세콜라 아가마", sekolah agama)에서는 자위가 주로 사용된다.

자위는 꾸란 등 이슬람 관련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며, 태국 남부(파타니, 나라티왓)나 말레이시아 북동부(클란탄, 트렝가누) 등 일부 지역과 술탄제를 시행하는 주에서도 여전히 사용된다. 1967년 말레이시아 공용어법은 루미를 공식 문자로 지정했지만, 자위 사용을 금지한 것은 아니다.[48] 다만 현대에는 루미 사용이 더 일반적이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자위 문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교육 현장에서 자위 문자 학습이 계속되고 있고 시험 등에서 자위 문자로 답안을 작성하는 것이 허용되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는 모두 라틴 문자를 사용하지만, 알파벳 문자를 부르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말레이시아어는 영어의 영향을 받아 '에이, 비, 씨' 방식으로 발음하는 반면, 인도네시아어는 네덜란드어의 영향을 받아 '아, 베, 체' 방식으로 발음한다. 예를 들어 'WC'는 말레이시아에서는 '더블유 씨'로, 인도네시아에서는 '웨 체'로 읽는다. 다만 'LPG'와 같은 약자는 양국 모두 '엘피지'로 읽는 경우가 많다.

문자인도네시아어 명칭말레이어 명칭
Aaae
Bbbebi
Cccesi
Dddedi
Eeei
Ffefef
Gggeji
Hhhahec
Iiiai
Jjjeje
Kkkake
Llelel
Mmemem
Nnenen
Oooo
Pppepi
Qqkikiu
Rrerar
Sseses
Ttteti
Uuuyu
Vvvevi
Wwwedabel yu
Xxekseks
Yyyewai
Zzzetzed


6. 문법

말레이어는 교착어이며, 단어의 곡용이 거의 없어 고정된 어순으로 단어의 통사적 기능을 나타낸다.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SVO)이다. 수식어는 일반적으로 피수식어 뒤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닭고기 카레'는 ''kari ayam'' (카레 + 닭고기) 순서이다. 다만 ''semua''(모두) 같은 일부 형용사는 피수식어 앞에 오기도 한다. (예: ''semua orang'' - 모든 사람). Orang utan은 '숲의 사람'이라는 뜻이다.


  • ''Saya makan kari ayam.'' (나는 치킨 카레를 먹었다.)
  • ''saya''(나)가 주어(S), ''makan''(먹다)가 동사(V), ''kari ayam''(치킨 카레)가 목적어(O)이다.


새로운 단어는 주로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형성된다.

1. 어근에 접사(접두사, 접미사, 둘레접사)를 붙여 파생시키는 방법

2. 합성어를 만드는 방법

3. 단어나 단어의 일부를 반복하는 재귀적 복합어 방법

명사와 동사는 기본 어근일 수도 있지만, 접사를 통해 다른 단어에서 파생된 경우가 많다.

말레이어에는 문법적 성 구분이 없으며, '그/그녀'는 모두 ''dia'', '그의/그녀의'는 ''dia punya''로 표현한다. 문법적인 복수 형태도 없어서, ''orang''은 문맥에 따라 '사람' 또는 '사람들'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단어를 반복하여 복수를 나타내기도 한다.

  • ''buku-buku'': (여러 권의) 책


동사는 인칭이나 수에 따라 굴절하지 않으며, 시제 역시 동사 자체에 표시되지 않는다. 시제는 '어제'(''kemarin'')와 같은 시간 부사나 ''sudah''('이미'), ''belum''('아직 아니다') 같은 시제 보조어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대신, 동사 접사 체계가 발달하여 의미의 미묘한 차이, 태, 의도적이거나 우발적인 법 등을 나타낸다.

영어의 문법적 주어와 같은 개념은 말레이어에 명확히 존재하지 않는다. 자동사 문장에서는 명사가 동사 앞에 온다. 행위자와 대상이 모두 있는 타동사 문장에서는 동사가 이 둘을 구분하며, 어순은 행위자-동사-대상(AVO) 또는 대상-동사-행위자(OVA)가 될 수 있다. 이 차이는 동사의 태에 따라 결정되며, 흔히 "수동태"로 불리는 OVA 어순이 더 기본적이고 일반적이다.

조동사는 기본적으로 동사 바로 앞에 온다.

  • ''Saya '''nak''' makan kari ayam.'' (나는 치킨 카레를 먹고 싶다.)


영어의 'be' 동사에 해당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없지만, 설명문에서는 ''ialah''를 사용하기도 한다.

  • ''Saya orang Jepun.'' (나는 일본 사람이다.)
  • ''Jepun '''ialah''' negara Asia.'' (일본은 아시아 국가이다.)


부정어는 ''bukan'' 또는 ''tidak''을 사용한다. 명사구를 부정할 때는 ''bukan''을, 동사구나 형용사구를 부정할 때는 ''tidak''을 쓴다.

  • ''Saya '''bukan''' orang Malaysia.'' (나는 말레이시아 사람이 아니다.)
  • ''Saya '''tidak''' tulis surat ini.'' (나는 이 편지를 쓰지 않았다.)


주요 접사와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접사의미예시
meN-능동태 동사 (~하다)membaca (읽다) ← baca (읽기)
ber-자동사, 상태 동사 (~이다, ~를 가지다)berjalan (걷다) ← jalan (길)
ter-우발, 가능, 완료 (~해 버리다, ~되다)tertidur (잠들어 버리다) ← tidur (자다)
peN-행위자, 도구 (~하는 사람/것)pembaca (독자) ← baca (읽기)
ke-추상 명사, 서수사 (~성, ~됨, 제~)kebaikan (선함) ← baik (좋은)
di-수동태 (~되다)dibaca (읽히다) ← baca (읽기)
-kan사동, 타동사화 (~시키다, ~해주다)membacakan (읽어주다) ← baca (읽기)
-an명사화 (~것, ~의 결과)bacaan (읽을거리) ← baca (읽기)
-kah, -ke(구어)의문 표시 (~입니까?)Apakah ini? (이것은 무엇입니까?)



1인칭과 2인칭 대명사가 행위자인 수동 표현에서는 수동 접미사 ''di-'' 대신 '인칭 대명사 + 동사 어간' 형태를 사용한다.


  • ''Surat ini '''saya tulis'''.'' (이 편지는 내가 썼다.)
  • ''Ibu saya menghantar surat yang '''saya tulis''' itu.'' (어머니께서 내가 쓴 편지를 보내셨다.)


단어를 반복하는 중복 표현도 자주 사용된다. 복수 외에, 같은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종류를 나타낼 때도 쓰이며, 이때 두 번째 단어의 자음이 변하는 경우도 있다.

  • ''kuih-muih'': (다양한 종류의) 과자
  • ''sayur-mayur'': (다양한 종류의) 채소


일상생활에서는 문법적으로 완전하지 않은 변칙적인 형태(broken language)의 말레이어가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디 가니?"라고 물을 때 공식적인 표현은 ''Di manakah (yang) engkau pergi?''이지만, 보통 ''Kau pergi mana?''라고 말한다. 또한 ''yg''(''yang''), ''utk''(''untuk''), ''m'cri''(''mencari'') 같은 축약형도 널리 쓰이며, 이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조금씩 다르다. 특히 인도네시아에서는 공식 석상에서도 ''ini'' 대신 ''ni'', ''itu'' 대신 ''tu''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러한 변칙 말레이어 사용을 지양하도록 권고하지만, 일상생활은 물론 광고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실질적으로 배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46][47]

7. 음운

말레이어는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성조 언어가 아니다. 발음은 일본어와 비슷하게 자음모음이 풍부하며 자음 연쇄는 적은 편이다.

7. 1. 홀소리 (모음)

말레이어의 알파벳 발음 규칙에서 'e'는 단어에 따라 슈와 발음인 /ə/와 /e/의 두 가지로 발음되는 유일한 모음 예외이다.[49] 나머지 기본 모음은 a, i, o, u 네 가지이므로, 표준 말레이어의 기본 모음은 총 6개(/a, e, ə, i, o, u/)이다. 겹홀소리(이중모음)는 'ai', 'au', 'oi'로 3개가 있다. 겹홀소리는 표기된 대로 읽는 것이 원칙이지만, 때때로 'ai'와 'au'를 /ɛi/(한글 '애이'와 유사)와 /ɔ/(단순한 /o/보다 입을 더 벌려서 내는 소리)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어, 방언에 따라 모음 음의 수는 6개에서 8개로 보기도 한다.[50] 말레이어는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성조 언어가 아니다.

원래 말레이어는 네 개의 모음(/a, i, u/ 및 슈와)을 가졌으나, 표준 말레이어를 포함한 많은 방언에서는 /i/가 /i, e/로, /u/가 /u, o/로 분리되면서 여섯 개의 모음을 가지게 되었다.[28] 많은 단어들이 [i, u] 또는 [e, o]로 다양하게 발음되며, 중간 모음 [e, o]를 필요로 하는 단어는 비교적 적다.

'''표준 말레이어 모음'''

표준 말레이어 모음 음소표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u/
중모음/e//ə//o/
저모음/a/



'''인도네시아어 모음'''

인도네시아어는 표준 말레이어의 6개 모음에 더해 /ɛ/와 /ɔ/를 구분하여 총 8개의 모음을 가진다.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 (/i/)u (/u/)
중고모음é (/e/)ê (/ə/)ó (/o/)
중저모음è (/ɛ/)ò (/ɔ/)
저모음a (/a/)



세 개의 겹홀소리 /ai̯, au̯, oi̯/가 있다. (인도네시아어에서는 oi가 /ʊi̯/로 발음되기도 한다.)

'''철자법상 주의사항''': /e/와 /ə/는 모두 'e'로 표기된다. 철자법상 /e, o/는 비교적 드물기 때문에, 문자 'e'는 보통 /ə/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perang''은 /pəraŋ/ "전쟁"과 /peraŋ ~ piraŋ/ "금발의" 모두를 의미하는 동형이의어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금발의"를 ''perang'' 또는 ''pirang''으로 쓸 수 있다.) 또한, 표기상 어말의 'a'는 일부 방언(예: 조호르-리아우)에서 [ə]로 발음된다(예: ''saya'' [sajə]). 최종 폐음절 또는 자음 연쇄 바로 앞의 'i', 'u'는 일부 방언에서 [e], [o]로 발음되기도 한다(예: ''putih'' [puteh], ''duduk'' [dudoʔ]).

일부 분석에서는 /ai, au, oi/를 이중모음으로 간주한다.[32][33] 그러나 [ai]와 [au]는 ''cukai''("세금")와 ''pulau''("섬")과 같이 열린 음절에서만 나타날 수 있다. ''baik''("좋은")과 ''laut''("바다")와 같이 폐쇄된 음절에서 음운론적 이중모음을 가진 단어는 실제로는 두 음절이다. 따라서 대안적인 분석은 음운론적 이중모음 [ai], [au], [oi]를 단모음과 반모음의 순서로 처리하여 각각 /aj/, /aw/, /oj/로 본다.[34]

모음 조화 규칙이 있다. 이중모음 단어에서 열린 모음이 아닌 /i, e, u, o/는 높이가 일치해야 하므로, ''hidung''("코")는 허용되지만 *''hedung''은 허용되지 않는다.[35]

말레이어의 여러 표준 발음 비교[36]
발음 특징조호르-리아우 발음북부 발음바쿠 및 인도네시아어 발음
최종 열린 음절의 ⟨a⟩/ə//a//a/
최종 ⟨n⟩과 ⟨ng⟩을 가진 최종 폐쇄 음절의 ⟨i⟩/e//i//i/
다른 최종 자음을 가진 최종 폐쇄 음절의 ⟨i⟩/e//e//i/
최종 ⟨n⟩과 ⟨ng⟩을 가진 최종 폐쇄 음절의 ⟨u⟩/o//u//u/
다른 최종 자음을 가진 최종 폐쇄 음절의 ⟨u⟩/o//o//u/
최종 ⟨r⟩무음/r//r/



2003년 우리 타드모르(Uri Tadmor)의 연구는 최종 열린 음절에서 ⟨a⟩의 발음 변이가 지역적 특징임을 보여준다. 특히 서부 오스트로네시아어의 지역적 특징으로,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37]

말레이-인도네시아 방언 및 인근 오스트로네시아어의 최종 /a/ 변이
유형음소"말레이어" 기원원주민 언어 지역
[a] (원형)[a]케다, 브루나이아레칸(예: 텐게르), 사라왁, 사바, 칼리만탄(폰티아낙 제외), 동인도네시아
상승[ə], [ɨ]조호르, 폰티아낙, 타나 아방(자카르타)발리
원순[o], [ɔ]파타니, 팔렘방미낭카바우어, 마타라만(예: 족자카르타)
전설화[ɛ], [e]페락, 자카르타, 삼바스


7. 2. 닿소리 (자음)

기본 자음 음소는 총 23개이며, 이 중 말레이어 고유의 음은 19개이다. 기본 자음 'p', 't', 'k'는 무기음으로, 한글의 'ㅃ', 'ㄸ', 'ㄲ'에 가깝게 발음된다.[51] 자음 중 'f', 'q', 'x', 'v', 'z' 다섯 글자는 주로 아랍어, 네덜란드어, 영어 등에서 온 외래어에 사용된다. 특히 'q'와 'z'는 아랍어 차용어에, 'v'는 네덜란드어 차용어에 주로 쓰인다.

두 글자로 표기되는 자음으로는 'kh'(/x/), 'ng'(/ŋ/), 'ny'(/ɲ/), 'sy'(/ʃ/) 네 가지가 있다. 'ng'은 영어와 달리 독립적인 자음으로 취급되며 음절 처음에도 올 수 있다(예: Nga(/ŋa/) - Ngga(/ŋga/)). 'sy'는 주로 아랍어 차용어에서 사용된다.

일부 자음은 단어 내 위치에 따라 소리값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외래어의 어말에 오는 'b'는 /p/처럼 발음된다.[52] 또한 'k'는 'bapak'(아버지)처럼 음절 끝에 올 때 성문 파열음(ʔ)으로 소리 나기도 한다.[53] /b/, /tʃ/(c), /d/, /ɡ/(g), /ʃ/(sy), /ɲ/(ny)는 음절 처음에만 나타날 수 있다.[54]

마찰 순치음 /f/는 주로 외래어에서 쓰이지만,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종종 이 발음을 어려워하여 /p/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표기상 'f'를 'p'로 쓰는 경우도 있다.[55]

아래는 말레이시아[28][29][30]와 인도네시아[31]에서 사용되는 자음 음소 표이다. 괄호 안의 자음은 주로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비원어 자음이다.



: /f, v, z, ʃ[57], θ, ð, x[58], ɣ[59]/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철자법상 주석:

음소는 위 표의 기호로 표기되지만, 실제 철자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 /ɲ/는 'ny'로 표기된다. ('c'와 'j' 앞의 'n'도 /ɲ/ 소리가 난다.)
  • /ŋ/는 'ng'로 표기된다.
  • /ʔ/(성문 파열음)는 어말의 'k' 또는 아포스트로피 '로 표기된다. (예: ''rakyat'')
  • /tʃ/는 'c'로 표기된다.
  • /dʒ/는 'j'로 표기된다.
  • /ʃ/는 'sy'로 표기된다.
  • /x/는 'kh'로 표기된다.
  • /j/는 'y'로 표기된다.
  • 아랍어 차용어의 /θ/는 's'로 표기되며 /s/와 구별되지 않는다. 이전(1972년 이전) 표준 말레이어에서는 'th'로 표기되었다.
  • 아랍어 차용어의 /ð/는 'z'로 표기되며 /z/와 구별되지 않는다.
  • 아랍어 차용어의 /q/는 'k'로 표기된다.

아랍어 차용어 발음:

아랍어에서 온 자음들은 아랍어를 아는 화자들은 구별하여 발음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말레이어의 다른 자음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차용된 아랍어 자음의 발음 변화 예시
원음(아랍어)대체 발음예시 (철자, 의미)
/x//k/, /h/khabar 또는 kabar ("뉴스")
/ð//d/, /l/redha 또는 rela ("선의")
/zˤ//l/, /z/lohor 또는 zuhur ("정오(기도)")
/ɣ//ɡ/, /r/ghaib 또는 raib ("숨겨진")
/ʕ//ʔ/saat 또는 'saat'' ("초(시간)")
/θ//s/Selasa ("화요일")
/q//k/makam ("무덤")



철자상 어말 또는 자음 앞에 오는 'r'은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예: ''tidur'' [tido]). 또한 어말의 't', 'p', 'k', 'd'와 같은 폐쇄음은 파열 없이 발음(내파음)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selamat''의 마지막 't'는 파열되지 않아 한국어 화자에게는 "슬라맛"처럼 들릴 수 있다.

8. 사용 국가

말레이어와 관련 말레이 제도 언어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지위로 사용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말레이인의 이동과 교류, 그리고 서구 열강의 식민 지배를 거치면서 현재의 사용 분포가 형성되었다.

청년 선서는 1928년 10월 바타비아에서 열린 제2차 청년 의회의 결과였다. 마지막 선서에는 제도 전역에서 통일 언어로 인도네시아어를 확인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브리티시 실론(현재의 스리랑카)의 알라마트 랑카푸리. 1869년에서 1870년 사이에 처음 출판되었으며 자위 문자로 쓰여진 이 신문은 최초의 말레이어 신문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독자는 실론의 말레이 디아스포라와 말레이 제도에 거주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말레이어 사용 국가 및 지역
국가/지역지위비고
말레이시아국어, 공용어헌법 제152조에 따라 국어로 지정. 1968년(서말레이시아), 1974년(동말레이시아)부터 유일 공용어. 말레이시아어(Bahasa Malaysiams)라고도 불림. 영어도 전문 분야 등에서 사용됨.
싱가포르국어 (공용어 중 하나)역사적으로 교통어 역할. 국가는 말레이어로 되어 있음 (마줄라 싱가푸라). 군대 등 일부 영역에서 사용. 현재는 영어가 주된 교통어.
브루나이국어, 공용어말레이시아와 유사한 상황. 일부에서는 브루나이어(Bahasa Bruneims)라고 부름.
인도네시아국어, 공용어 (인도네시아어)1928년 청년의 맹세를 통해 통일 언어의 중요성 강조.[43] 1945년 독립 후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id)를 제정.[43] 다양한 민족 집단 간의 교통어 역할.
동티모르업무어테툼어포르투갈어가 공용어. 인도네시아 지배(1976-1999)의 영향으로 인도네시아어가 널리 사용되며 헌법업무어로 인정됨.
태국 (남부)지역 언어 (비공식)남부 5개 주(과거 파타니 왕국 지역)에서 야위어(말레이어 방언) 사용. 공식 지위 없음.
필리핀일부 단어 차용역사적 교류로 인해 dalam hati(동정심), luwalhati(영광) 등 말레이어 단어가 타갈로그어 등에 통합됨.
미국, 캐나다이주민 사용말레이계, 인도네시아계 이주민 공동체에서 일부 사용.



말레이시아 말레이어 사용자


인도네시아어 사용자


말레이시아에서는 헌법 제152조에 따라 말레이어가 국어로 지정되었으며, 점진적으로 유일한 공용어가 되었다. 하지만 영어는 여전히 전문 및 상업 분야, 상급 법원에서 널리 사용된다. 싱가포르에서는 말레이어가 역사적으로 주요 교통어였으나 현재는 영어가 그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어는 국어의 지위를 유지하며, 국가인 마줄라 싱가푸라는 전적으로 말레이어로 되어 있다. 군대, 경찰 등의 지휘 구호도 말레이어로 이루어진다. 브루나이의 상황은 말레이시아와 유사하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한 인도네시아어가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28년 청년의 맹세에서 통일 언어로서 말레이어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43] 이는 독립 후 인도네시아어 제정의 바탕이 되었다.[43] 인도네시아어는 다양한 섬과 민족 집단 사이의 교통어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식민지 언어였던 네덜란드어를 대체했다.

동티모르는 과거 인도네시아의 일부였던 영향으로 인도네시아어가 널리 사용되며, 헌법에 따라 '업무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태국 남부 지역에서는 야위어라고 불리는 말레이어 방언이 사용되지만 공식적인 지위는 없다. 필리핀에서는 역사적 교류의 결과로 일부 말레이어 단어가 현지 언어에 흡수되었다. 그 외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도 말레이계 및 인도네시아계 이주민들이 말레이어를 사용한다.

국가별로 언어를 부르는 명칭에도 차이가 있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에서는 '말레이어'(Bahasa Melayums)라고 부르는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id)라고 부른다. 말레이시아 내에서는 '말레이시아어'(Bahasa Malaysiams)라는 명칭도 사용되나, 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일부 브루나이인들은 자국어를 '브루나이어'(Bahasa Bruneims)라고 칭하기도 한다.

9. 어휘

말레이어의 어휘 목록에는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영어, 중국어 등으로부터 받아들인 외래어가 매우 많다. 주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의 교류를 통해 자와어, 순다어, 미낭카바우어, 마두라어 등에서도 어휘를 받아들였다. 현대 말레이어에는 대략 산스크리트어에서 750개, 아랍어에서 1000개,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 이탈리아어)에서 125개의 외래어가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인도네시아어에서는 네덜란드어에서 약 10,000개의 외래어가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60] 외래어는 기본적인 생활 어휘에도 깊숙이 들어와 있는데,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어에서 일요일을 뜻하는 'hari Mingguid'는 포르투갈어 'domingo|도밍구pt'에서, 을 뜻하는 'bukuid'는 네덜란드어 'boek|북nl'에서 온 것이다.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가 각각 영국네덜란드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외래어 어휘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을 주지는 않는다.

말레이어는 어근접두사접미사를 붙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거나 품사를 바꾸는 조어력이 뛰어나, 고차원적이거나 추상적인 개념도 고유어로 표현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다. 그럼에도 추상적인 개념이나 종교 용어는 외래어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슬람교 전래 이전에 인도 문화를 통해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외래어가 이미 많이 들어와 있었기 때문에 아랍어나 페르시아어 어휘 대신 산스크리트어 계열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동남아시아에서는 인도 아대륙과 같은 인도 문화와 이슬람 문화의 충돌이 적었기 때문으로, 우르두어처럼 산스크리트어 유래 외래어가 아랍어로 대체되는 현상은 말레이어에서 드물었다. 페르시아어 유래 외래어는 일부 문화 어휘에 한정된다. 서양 언어에서 온 차용어는 영어 유래가 많으며, 광둥어중국어 방언이나 타밀어 등 인도계 언어에서 온 외래어도 있다.

인도네시아어는 말레이어와 많은 어휘를 공유하지만, 아랍어에서 유래한 외래어가 말레이시아 표준 말레이어보다 더 많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영어 유래 외래어는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네덜란드어포르투갈어 유래 외래어, 그리고 자와어 등 인도네시아 내 다른 언어에서 들어온 차용어가 많다는 점도 인도네시아어의 특징이다.

아래 표는 세계인권선언 제1조를 통해 인도네시아어와 표준 말레이어의 어휘 차이를 보여준다. '조항'을 뜻하는 ''pasal''과 ''perkara'', '선언'을 뜻하는 ''pernyataan''과 ''perisytiharan''은 각각 인도네시아어와 말레이시아 표준에 따른 것이지만, 다른 단어들은 두 언어 모두에서 사용된다.

세계인권선언 제1조
영어 원문말레이어 번역
인도네시아어[40]표준 말레이어[41]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Pernyataan Umum tentang Hak Asasi Manusia
(인권에 관한 일반 선언)
Perisytiharan Hak Asasi Manusia Sejagat
(세계인권선언)
Article 1Pasal 1Perkara 1
All human beings are born free and equal in dignity and rights. They are endowed with reason and conscience and should act towards one another in a spirit of brotherhood.Semua orang dilahirkan merdeka dan mempunyai martabat dan hak-hak yang sama. Mereka dikaruniai akal dan hati nurani dan hendaknya bergaul satu sama lain dalam semangat persaudaraan.Semua manusia dilahirkan bebas dan sama rata dari segi maruah dan hak-hak. Mereka mempunyai pemikiran dan perasaan hati dan hendaklah bertindak di antara satu sama lain dengan semangat persaudaraan.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동등한 존엄과 권리를 가진다. 그들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잘 지내야 한다.)(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다. 그들은 생각과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잘 지내야 한다.)


9. 1. 요일

아래는 말레이어의 요일 목록이며, 괄호 안은 인도네시아어 표기이다.

요일말레이시아 표준인도네시아 표준
일요일AhadMinggu
월요일IsninSenin
화요일SelasaSelasa
수요일RabuRabu
목요일KhamisKamis
금요일JumaatJumat
토요일SabtuSabtu


9. 2. 달

wikitext

말레이시아 표준 말레이어인도네시아 표준 말레이어
1월JanuariJanuari
2월FebruariFebruari
3월MacMaret
4월AprilApril
5월MeiMei
6월JunJuni
7월JulaiJuli
8월OgosAgustus
9월SeptemberSeptember
10월OktoberOktober
11월NovemberNovember
12월DisemberDesember


9. 3. 간단한 예문


  • Selamat pagi|슬라맛 파기msa -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 Selamat tengah hari|슬라맛 뜨응아흐 하리msa - 안녕하세요 (정오 인사). Selamat siangmsa도 사용됨.
  • Selamat petang|슬라맛 쁘탕msa - 안녕하세요 (오후~저녁 인사)
  • Selamat malam|슬라맛 말람msa - 안녕히 주무세요 (밤 인사)
  • Selamat jalan|슬라맛 잘란msa - 안녕히 가세요 (떠나는 사람에게 하는 인사)
  • Selamat tinggal|슬라맛 띵갈msa - 안녕히 계세요 (남는 사람에게 하는 인사)
  • Apa khabar?|아빠 카바르?msa - 어떻게 지내세요? / 안녕하세요? (시간에 관계없이 사용). Apa kabar?msa도 사용됨.
  • Khabar baik.|카바르 바익.msa - 잘 지내요. (Apa khabar?msa에 대한 대답)
  • Dan?|단?msa - 당신은요? (앞선 대답에 덧붙여 상대방의 안부를 물을 때)
  • Terima kasih|뜨리마 까시msa - 감사합니다.
  • Sama-sama|사마사마msa - 천만에요.
  • Maaf|마아프msa - 죄송합니다 / 실례합니다 / 미안합니다.
  • Assalamualaikum|아살람무알라이쿰msa - 안녕하세요 (이슬람교도의 인사말.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시간에 관계없이 사용함. 일상 대화에서는 가볍게 양해를 구하거나 주의를 환기할 때 "실례합니다"와 비슷한 의미로도 사용됨).
  • Waalaikumusalam|와알라이쿰살람msa - 안녕하세요 (Assalamualaikummsa 인사에 대한 답례). Mualaikumusalam|무알라이쿰살람msa도 사용됨.

10.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차이점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각각 `영국`과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문화적 이유로 인해 사용하는 말레이어에 일부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가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을 줄 정도는 아니다.

일상적인 단어나 표현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외래어 어휘에서 상당한 차이가 나타난다. 말레이시아어는 `아랍어`와 `영어`로부터 더 많은 단어를 차용한 반면, 인도네시아어는 `네덜란드어`와 `라틴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더 많다.

단어의 의미가 다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comel|초멜ms`이라는 단어는 말레이시아어에서는 '예쁘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지만, 인도네시아어에서는 '투덜거린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또한 '텔레비전'을 지칭하는 단어도 다른데, 말레이시아어는 영어 'television'에서 온 `televisyen|텔레비셴ms`을 사용하는 반면, 인도네시아어는 네덜란드어 'televisie'에서 온 `televisi|텔레비시id`를 사용한다.

파생어(imbuhan) 사용 방식에서도 차이가 발견된다. 특정 개념을 표현할 때, 말레이시아어에서는 기존 단어에 파생어를 붙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경우가 있지만, 인도네시아어에서는 해당 개념을 나타내는 별도의 독립적인 단어가 존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영어의 'parliamentary'(의회의)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말레이시아어는 'parlimen'(의회)에 파생 접사 'ber-'를 결합하여 `berparlimen|버르파를리멘ms`이라고 표현하지만, 인도네시아어에는 `parlementer|파를레멘테르id`라는 독자적인 단어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 외에도, 일부 인도네시아어 단어가 말레이시아에서는 여성의 성기를 가리키거나 심한 욕설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므로, 두 언어 사용 지역 간 교류 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11. 방언

자카르타의 크리올어 말레이어(베타위어)


말레이인과 관련 민족은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남부, 동티모르의 캄풍 알로르, 그리고 필리핀 남부 지역에서 밀접하게 관련된 다양한 언어들을 사용한다. 이 언어들은 전통적으로 말레이어, 준말레이어, 원주민 말레이어로 분류되어 왔으나, 이는 언어학적 분류라기보다는 지리적, 민족적 구분에 가깝다. 이들 말레이어군 언어들은 서로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많은 경우 언어와 방언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준말레이어'''는 주로 수마트라 섬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군 언어들을 포함한다.

언어주요 사용 지역/민족
미낭카바우어미낭카바우족
중앙 말레이어벵쿨루
페칼어
탈랑 마막어
무시어팔렘방
네게리 셈빌란 말레이어말레이시아 네게리 셈빌란
두아노어

[38]

'''원주민 말레이어'''는 말레이반도의 원주민인 오랑 아슬리(원말레이인)가 사용하는 말레이어군 언어들이다.

언어
자쿤어
오랑 카낙어
오랑 셀라타르어
템운어



위 분류에 속하지 않는 다른 말레이어군 언어들은 말레이인이 군도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형성되었다.

언어주요 사용 지역/형태
리아우-조호르 말레이어말레이시아어, 인도네시아어의 기반
케다 말레이어케다
브루나이 말레이어/케다얀 말레이어브루나이
베라우 말레이어
방카 말레이어방카 섬
잠비 말레이어잠비
쿠타이 말레이어쿠타이
나투나 말레이어나투나 제도
리아우 말레이어리아우
오랑 라우트어/론콩어
파타니 말레이어파타니 지역 (태국 남부)
반자르어반자르마신



멘테랍어 역시 이 그룹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말레이어에 기반한 여러 크리올어가 존재하며, 이들은 표준 말레이어(믈라카 방언 기반)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크리올어주요 사용 지역
베타위어자카르타
코코스 말레이어코코스 제도
마카사르 말레이어마카사르
암보네스 말레이어암본
딜리 말레이어딜리
쿠팡 말레이어쿠팡
마나도 말레이어마나도
파푸아 말레이어서뉴기니
파타니 말레이어파타니 지역 (태국 남부)
사툰 말레이어사툰 (태국 남부)
송클라 말레이어송클라 (태국 남부)
방콕 말레이어방콕
사바 말레이어사바



한편, 케이프타운에 정착했던 초기 케이프 말레이 공동체(현재는 케이프 컬러드로 알려짐)의 영향으로, 많은 고전 말레이어 단어가 아프리칸스어에 유입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 웹사이트 How many people speak Indonesian http://ipll.manoa.ha[...]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12-10-20
[3] 뉴스 Kedah MB defends use of Jawi on signboards https://web.archive.[...] 2008-08-26
[4] 웹사이트 Kitabati, Practical Methods for Learning to Read & Write Pegon https://ia903106.us.[...] Zaini Press 2023-04-19
[5] 논문 Rijal Dakwah: KH. Abdullah Syafi'ie (1910-1985) https://ejournalpego[...] 2021-05-02
[6] 웹사이트 Recognition of Bahasa Indonesia as an official language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UNESCO https://unesdoc.unes[...] 2023-11-20
[7] 웹사이트 East Timor Languages https://web.archive.[...] 2018-07-30
[8] 서적 The Linguistic Student's Handbook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9] 웹사이트 Southeast Asia Digital Library: About Malay http://sea.lib.niu.e[...]
[10] 논문 Indonesian as the Language of ASEAN During the New Life Behavior Change 2021 http://ejournal.kari[...] 2021
[11] 서적 Malay as a pluricentric language Pluricentric Languages: Differing Norms in Different Nations Mouton de Gruyte
[1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3] 서적 The World's Major Languages Routledge
[14] 참고자료
[15] 논문 The Search for the 'Origins' of Melayu http://sabrizain.org[...] 2001
[16] 웹사이트 Languages of Indonesia (Sumatra) http://www.ethnologu[...]
[17] 뉴스 Penggunaan Istilah Bahasa Malaysia Dan Bukan Bahasa Melayu Muktamad, Kata Zainuddin http://www.bernama.c[...] BERNAMA 2007-11-05
[18]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Vol I: Maps. Vol II: Text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 웹사이트 Bahasa Melayu Kuno https://web.archive.[...] Bahasa-malaysia-simple-fun.com 2007-09-15
[20] 웹사이트 Southeast Asia Digital Library: About Malay http://sea.lib.niu.e[...]
[21] 웹사이트 Undang-Undang Tanjung Tanah: Naskah Melayu Tertua di Dunia https://kebudayaan.k[...] 2017-10-23
[22]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https://books.google[...] UNSW Press
[23]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https://books.google[...] UNSW Press
[24] 웹사이트 Ethnologue
[25] 웹사이트 Malay (Bahasa Melayu) http://www.omniglot.[...] 2008-08-30
[26] 웹사이트 Malay Can Be 'Language of ASEAN' http://www.brudirect[...] brudirect.com 2010-10-24
[27]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Malays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Institut Terjemahan Negara Malaysia Berhad
[28] 논문 Standard Malay (Brunei) 2011
[29] 서적 Tatabahasa Dewan https://anyflip.com/[...] Dewan Bahasa dan Pustaka
[30] 서적 The Morphology of Malay University of Edinburgh
[31] 논문 Indonesian
[32] 서적 Susur galur bahasa Melayu Dewan Bahasa dan Pustaka 1985
[33] 서적 Fonologi generatif: teori dan penerapan Dewan Bahasa dan Pustaka 1993
[34] 논문 On the Proto-Austronesian "Diphthongs" 1997
[35] 서적 Proto Malayic: the reconstruction of its phonology and parts of its lexicon and morphology http://sealang.net/a[...] Pacific Linguistics 1992
[36] 논문 Sebutan Johor-Riau dan Sebutan Baku dalam Konteks Identiti Masyarakat Melayu Singapura http://publisher.uni[...] 2019-12-18
[37] 논문 Final /a/ mutation: a borrowed areal feature in Western Austronesia http://sealang.net/a[...] Pacific Linguistic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2-11-05
[38] 서적 Ethnologue 16
[39] 웹사이트 Bahasa Melayu Riau dan Bahasa Nasional http://melayuonline.[...] Melayu Online 2012-03-29
[40]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Bahasa Indonesia (Indonesian) https://www.ohchr.or[...] 2021-03-17
[41]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Bahasa Melayu (Malay)) https://www.ohchr.or[...]
[42] 웹사이트 Mana satu yang tepat, bahasa Melayu atau bahasa Malaysia? https://relevan.com.[...] Relevan 2022-09-20
[43] 웹인용 Perbedaan Bahasa Indonesia dengan Melayu http://dwiishartono.[...] 2014-11-28
[44] 웹사이트
[45] 웹사이트 에스놀로그 인도네시아어 자료 http://www.ethnologu[...]
[46] 웹인용 Language Log: Malaysia cracks down on "salad language" http://itre.cis.upen[...]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0-09-14
[47] 웹인용 Dewan Bahasa champions use of BM in ads http://www.nst.com.m[...] New Straits Times 2013-10-16
[48] 웹인용 National Language Act 1967 http://www.agc.gov.m[...] 2015-10-20
[49] 기타
[50] 서적 입에서 톡 인도네시아어 회화 첫걸음 문예림 2009
[51] 서적
[52] 서적 알기쉬운 말레이어의 세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0
[53] 기타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기타
[58] 기타
[59] 기타
[60]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