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의 국가는 1957년 말라야 연방의 독립과 함께 제정되었다. 국가 제정 과정에서 공모전과 국제적인 작곡가들의 의뢰가 있었으나, 페락 주의 국가 멜로디를 채택하여 현재의 국가가 되었다. 이 멜로디는 원래 프랑스 샹송 "La Rosalie"에서 유래되었으며, "Terang Boelan"이라는 이름으로 동남아시아에서 인기를 얻었다. 말레이시아 국가는 1992년과 2003년에 편곡되었으나, 대중의 반발로 인해 원곡에 가까운 형태로 유지되었다. 국가는 말레이어 가사를 사용하며, 조국에 대한 사랑, 국민의 단결, 신의 축복, 국왕의 안녕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가법에 따라 국가에 대한 불경죄는 처벌받을 수 있으며, "Mamula Moon", "I Shall Return", "Malayan Moon"과 같은 유사한 멜로디의 노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상징 - 말레이시아의 국기
말레이시아 국기는 "영광의 줄무늬"라는 뜻의 ''Jalur Gemilang''이라는 공식 명칭을 가지며, 말레이아 연방 수립 후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탄생했고, 말레이시아 건국 이후 새로운 연방 국가들을 반영하여 디자인이 수정되었으며, 색상과 문양은 각각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말레이시아의 상징 - 초승달과 별
초승달과 별은 이슬람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는 상징으로, 여러 이슬람 국가의 국기, 국장, 문장과 과거 오스만 제국을 비롯한 역사적 국가 및 지역의 깃발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내림가장조 작품 - 가나의 국가
가나의 국가는 가나를 상징하는 노래로, 필립 그베호의 작곡과 에마뉘엘 파포-톰슨의 가사로 1957년 독립 이후 사용되었으나, 콰메 은크루마 대통령 재임 기간 가사 수정 후 1970년대 마이클 콰메 그보드조에가 작사한 현재 가사가 영어, 트위, 에위,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국가 서약과 함께 사용된다. - 내림가장조 작품 - 튀니지의 국가
튀니지의 국가 '조국의 수호자'는 이집트 시인의 시에서 유래된 가사와 다양한 설이 있는 곡조로 구성되어, 왕정 폐지 후 임시 국가로 사용되다가 1987년부터 다시 국가로 채택되었으며, 짧게 불러야 할 경우에는 후렴구와 3절로 구성된 짧은 버전이 사용된다.
말레이시아의 국가 | |
---|---|
기본 정보 | |
국명 | Negaraku (네가라쿠, 나의 조국) |
원어 표기 | (자가트 네게리쿠) |
영어 제목 | My Country (마이 컨트리) |
IPA (말레이어) | nəgaraku (느가라쿠) |
상징 | |
음악 정보 | |
국가 | 말레이시아 |
작사 | 집단 (원작자: Ahmad Mulkliff Mohd Nor (아흐마드 물클리프 모드 노르)) |
작사일 | 1954년 |
채택일 | 1957년 8월 |
2. 역사
말레이시아 국가는 원래 프랑스의 샹송 "La Rosalie"에서 유래되었으며, 19세기 후반 동남아시아에 전해졌다. 1920~1930년대에는 "Terang Boelan(트랑 부란, 달빛)"이라는 이름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일본군 병사들 사이에서도 불렸다.
"트랑 부란"은 일본에서도 와타나베 하마코, 유키무라 이즈미, 나카소네 미키 등이 불렀으며,[14] 1954년 영화 『트랑 부란 달빛』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1957년 "Negaraku"가 말레이시아 국가로 지정된 후, "Terang Boelan" 가사는 말레이시아에서 금지되었다. 1959년 일본에서도 일본 민간 방송 연맹의 요주의 가요로 지정되었고,[14] 도쿄 소년 합창단 등의 버전도 1988년까지 방송 금지되었다.[15][16]
1992년 더 빠른 행진곡풍으로 편곡되었으나 조롱의 대상이 되었고, 2003년 다시 원래 박자로 돌아갔다.
2. 1. 국가 제정 과정 (1957년)
말라야 연방은 독립 당시 11개 주가 각자의 지역가를 가지고 있었지만, 연방 전체를 위한 국가는 없었다. 이에 툰쿠 압둘 라만 당시 수석 장관 겸 내무부 장관은 국가 선정을 위한 위원회를 조직하고 주재하였다. 그의 제안으로 전 세계적인 공모전이 열렸고, 514개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나 적합한 것은 없었다.위원회는 다음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가진 작곡가들에게 작곡을 의뢰하기로 했다. 벤자민 브리튼,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 행진곡을 작곡한 윌리엄 월턴 경, 미국의 오페라 작곡가 잔 카를로 메노티, 싱가포르 국가인 전진 싱가포라를 작곡한 주비르 사이드가 선정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작품 역시 채택되지 않았다.

툰쿠 압둘 라만은 페락 주의 국가를 새 국가의 멜로디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고, 위원회는 이에 동의했다. 1957년 8월 5일, 위원회는 "전통적인 풍미"를 이유로 페락 주 국가를 선택했다.[3][4] 새로운 가사는 툰쿠 압둘 라만이 이끄는 심사위원단이 공동으로 작성했다. 당시 이 멜로디는 페락 주의 국가인 알라 란주트칸 우시아 술탄과 테랑 불란이라는 인기곡의 멜로디와 같았다. 이 노래는 페락 술탄이 한때 망명 생활을 했던 세이셸의 마헤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 1887년부터 1916년까지 페락을 통치한 술탄 이드리스 무르시둘 아잠 샤가 1901년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참석했을 때, 의전 담당관에게 자신의 주 국가가 무엇인지 질문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주에 국가가 없다는 것을 알고, 주최자 앞에서 뒤떨어져 보이지 않기 위해 앞서 언급한 곡조를 흥얼거렸다.
2. 2. 멜로디의 기원과 논란
현재 국가의 멜로디는 페락주의 국가인 "알라 란주트칸 우시아 술탄"에서 유래되었다. 이 곡은 19세기 말 페락 술탄이 망명 생활을 했던 세이셸에서 유행하던 프랑스 샹송 "La Rosalie"에 기반을 두고 있다.[3][4] 1901년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말레이 연방 주 통치자들을 대표하여 참석한 술탄 이드리스 무르시둘 아잠 샤는 자신의 주 국가가 무엇인지 질문을 받자, 주 국가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주최자 앞에서 뒤떨어져 보이지 않기 위해 "La Rosalie"의 곡조를 흥얼거렸다."La Rosalie"는 동남아시아로 전해져 "Terang Boelan(트랑 부란, 달빛)"이라는 제목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1937년에는 인도네시아에서 같은 이름의 영화 주제가로 사용되기도 했다. 일본군 병사들 사이에서도 자주 불렸다고 한다.
"트랑 부란"은 일본에서 와타나베 하마코가 불러 알려지게 되었고, 유키무라 이즈미, 나카소네 미키도 불렀다.[14] 1954년에는 마쓰바야시 무네치카 감독의 영화 『트랑 부란 달빛』의 주제가로 유키무라 이즈미가 부른 것이 사용되었다.
1957년 "Negaraku"가 말레이시아의 국가로 지정된 이후, "Terang Boelan" 가사는 말레이시아에서 금지되었다. 일본에서도 "트랑 부란"은 1959년 일본 민간 방송 연맹의 요주의 가요 지정을 받았으며,[14] 도쿄 소년 합창단 등의 버전도 제도가 실효되는 1988년까지 방송 금지되는 A 랭크 지정을 계속 받았다.[15][16]
2. 3. 두 차례의 편곡 (1992년, 2003년)
1992년에는 국가에 새로운, 더 빠른 행진곡 리듬이 추가되었으나, 이는 인기를 얻지 못했고 많은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일부 말레이시아인들은 변경된 템포가 서커스 음악과 비슷하다고 언급했다.[5]2003년 7월, 말레이시아 언론은 국가가 두 번째로 편곡되고 제목과 인칭이 "Negaraku"에서 "Malaysiaku"("나의 말레이시아"라는 의미)로 변경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대중들은 실망감을 표출하며 반발했고, 이 움직임은 취소되었지만, 작곡가 와흐 이드리스(Wah Idris)에 의해 국가가 재편곡되어 1992년 이전의 박자표로 돌아갔다.[6][7]
3. 가사
3. 1. 말레이어 가사 및 해석
Tanah tumpahnya darahkums
Rakyat hidupms
Bersatu dan majums
𝄆 Rahmat bahagiams
Tuhan kurniakanms
Raja kitams
Selamat bertakhtams 𝄇[20][21]
로마자 | 자위 문자 | 한글 가사 | IPA 표기 |
---|---|---|---|
Negarakums | (자위 문자 가사 없음) | 나의 조국, | (IPA 표기 없음) |
- 말레이시아의 국가는 로마자와 자위 문자로 표기된 가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 가사는 조국에 대한 사랑, 국민의 단결과 발전, 신의 축복, 국왕의 안녕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4. 국가 사용 지침
(원문 소스에 해당 내용 없음)
4. 1. 개인의 행동 규범
1968년에 제정된 국가법 제8조 (1)항에 따르면, 정당한 사유 없이 국가를 준수하지 않거나 국가의 위상을 대중의 시선에서 훼손하는 행위 또는 불이행은 법적으로 불경죄로 간주된다.[10] 공공장소에서 국가에 대한 불경죄를 범한 자는 100MYR 이하의 벌금 또는 1개월 이하의 징역에 처해진다.5. 유사한 멜로디를 가진 노래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말레이시아 국가와 유사한 멜로디를 가진 여러 노래들이 발표되었다.
연도 | 노래 제목 | 발매 레코드사 | 연주자 | 보컬 |
---|---|---|---|---|
1930년대 | "Mamula Moon" | Parlophone Records | 제랄도와 그의 오케스트라 | 대니 본 |
1940년대 | "I Shall Return" | Pickwick Music Ltd (Decca) | 앤 쉘튼 | 앤 쉘튼 |
1950년대 | "Malayan Moon" | 콜롬비아 레코드 | 폴 롬바르드 | 조안 윌튼(영어), 제프 브루크(말레이어) |
이 곡은 원래 프랑스의 샹송 "La Rosalie"로, 19세기 후반쯤 동남아시아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20년부터 1930년경에는 "Terang Boelan(트랑 부란, 달빛)"이라는 이름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1937년 인도네시아에서 같은 이름의 영화가 공개되어 주제가로 불렸다. 또한, 전시 중에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 종군한 일본군 병사들 사이에서도 자주 불렸다고 한다.
"트랑 부란"은 일본에서는 종전 후 와타나베 하마코가 불러 알려지게 되었고, 유키무라 이즈미, 나카소네 미키도 불렀다.[14] 1954년에는 마쓰바야시 무네치카 감독의 영화 『트랑 부란 달빛』의 주제가로 유키무라 이즈미가 부른 것이 사용되었다.
1957년 "Negaraku"가 말레이시아의 국가로 지정된 이후, "Terang Boelan"의 가사는 말레이시아에서 금지되었다. 1959년 일본에서도 "트랑 부란"은 "이 곡을 공공연하게 부르는 것이 말라야에서 금지된 사실을 고려하여" 일본 민간 방송 연맹의 요주의 가요 지정을 받았다.[14]
참조
[1]
웹사이트
Unity and progress are anthem themes
http://eresources.nl[...]
1957-08-25
[2]
웹사이트
Benjamin Britten's 'lost' Malaysian anthem
https://www.bbc.com/[...]
BBC
2015-10-02
[3]
간행물
The National Anthem Of Malaysia – Negaraku
http://www.malaysian[...]
[4]
뉴스
The Innocent Sultan of Perak in the Seychelles
http://www.seychelle[...]
2010-07-11
[5]
웹사이트
Will 'Negaraku' be stripped of all remaining dignity?
https://www.malaysia[...]
2003-08-01
[6]
뉴스
More people are against changing Negaraku to Malaysiaku
http://www.highbeam.[...]
2003-08-17
[7]
뉴스
New anthem marks Malaysia's Independence Day
http://news.bbc.co.u[...]
2003-08-31
[8]
웹사이트
Negaraku
http://www.doa.gov.m[...]
[9]
웹사이트
Lirik Lagu Negaraku
http://www.mbpj.gov.[...]
[10]
문서
s 3 National Anthem Act 1968
http://www.agc.gov.m[...]
[11]
Youtube
Mamula Moon – Geraldo & His Orchestra 78 rpm LP
https://www.youtube.[...]
[12]
Youtube
I Shall Return
https://www.youtube.[...]
[13]
Youtube
"Malayan Moon" (1951) – Paul Lombard & His Orchestra
https://www.youtube.[...]
[14]
서적
歌謡曲 流行らせのメカニズム
晩聲社
1978
[15]
서적
歌謡曲 流行らせのメカニズム
[16]
서적
放送禁止歌
光文社
2003
[17]
뉴스
Negaraku tune adopted from 'La Rosalie'
https://www.thesunda[...]
The Sun
2016-06-07
[18]
뉴스
Unity and progress are anthem themes
https://eresources.n[...]
The Sunday Times
[19]
웹사이트
Malaysia
http://www.nationala[...]
Nationalanthems.me
[20]
웹사이트
NEGARAKU
http://www.doa.gov.m[...]
[21]
웹사이트
Malaysia National Anthem
http://asean.dla.go.[...]
ASEAN Learning Cen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