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인도인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 인도인 회의(MIC)는 인도계 주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말레이시아의 정당이다. 1946년 인도 국민 회의를 모델로 결성되었으며, 현재는 여당 연합인 국민전선에 소속되어 있다. 역사적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인도 임시 정부의 활동을 기반으로 창당되었으며, 초기에는 북인도계 주민의 영향력이 강했으나 점차 타밀계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에 힘썼다. 2004년 총선에서 9석을 확보했으나, 이후 의석 수가 감소하여 2022년에는 1석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는 말레이시아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주석 채굴을 위한 중국인 정착지에서 시작되어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말레이시아 수도가 되었고, 급속한 도시 발전과 함께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로 자리매김하며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 - 사라왁주
사라왁주는 보르네오섬 북서부에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주로, 다양한 문화와 풍부한 천연 자원을 지니고 있으며 한때 브루나이 제국의 영향 아래 사라왁 술탄국으로 시작해 백인 라자 시대를 거쳐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말레이시아 연방에 가입했다. - 말레이시아의 정당 - 말레이시아 사회당
말레이시아 사회당은 1998년 노동절에 창당된 사회주의 정당으로, 근로자 권리 보장, 신자유주의 정책 폐지 등을 강령으로 풀뿌리 운동을 중시하며, 2008년 총선에서 연방 의회 의석 1석을 얻은 바 있다. - 말레이시아의 정당 - 통일말레이국민조직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정당으로, 말레이인과 무슬림의 권익을 대변하며 말레이시아 독립을 주도하고 국민전선을 결성하여 집권했으나, 독재, 인종차별, 부정선거 등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1946년 설립된 정당 - 남조선로동당
남조선로동당은 1946년 결성된 남한의 좌익 정당으로, 이승만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테러와 게릴라전을 전개하다가 대한민국에서 소멸했다. - 1946년 설립된 정당 - 천도교청우당
천도교청우당은 1919년 김기전에 의해 창당되어 해방 후 소련군정의 인가를 받아 재조직되었으나, 한국 전쟁 이후 조선로동당의 지배 아래 놓여 현재는 위성정당으로서 대남 선전 및 최고인민회의 대표 파견 역할을 수행하며 당원들은 국가 안전 기관의 감시 대상이 된다.
말레이시아인도인회의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말레이시아 인도인 의회 |
로마자 표기 | Malaysia Indian Congress |
약칭 | MIC |
창립일 | 1946년 8월 |
설립자 | 존 틸레이 |
본부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이념 | 인도인의 권익 옹호 |
정치색 | 우익, 국민보수주의 |
사무총장 | S. 수브라마니암 |
주요 인물 | 탄 스리 S. 수브라마니암 |
조직 | |
연합 | 국민전선 |
의석수 | 1석 (말레이시아 하원) |
관련 정보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말레이시아 인도인 회의(MIC)는 1946년 8월, 마하트마 간디와 자와할랄 네루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존 티비(John Thivy)가 설립했다. 설립 당시에는 말레이아 인도 의회(Malaya Indian Congress)라는 이름이었으며,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 수립 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인도 국민군에 참여했던 존 티비는 1947년까지 초대 당 대표를 역임했다.[5]
1947년 인도가 독립하자 MIC는 말레이시아 독립을 위해 싸우는 것으로 방향을 전환했다.[6] 같은 해 바바 부드 싱 지(Baba Budh Singh Ji)가 MIC 의장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말레이 연합(Malayan Union)을 수립했지만, MIC는 이에 반대했다.[7] 말레이인들의 항의로 말레이 연합은 1948년 해체되고 말레이 연방(Federation of Malaya)으로 대체되었다.[8] 이후 MIC는 전말레이 공동행동위원회(All-Malaya Council of Joint Action)에 참여해 말레이 연방 협정에 반대했다.
1950년 K. 라마나탄(K. Ramanathan)이 의장이 되면서 MIC는 말레이시아 인도인들을 대표하는 주요 정당으로 자리매김했다.[9] 그는 인도인들의 시민권 취득을 촉구하며, 시민권 요건 중 언어 능력 시험 완화를 주장했다.[10]
1951년부터 1955년까지 K. L. Devaser가 MIC 4대 의장을 역임했다. 그는 말레이시아 독립 투쟁에 집중했다.[11] 1952년 쿠알라룸푸르 시 선거에서 Dato' Onn bin Jaafar와 연합했지만, 연합당에 패배했다. 이 패배로 MIC는 1954년 연합당에 참여, 말레이시아 통일 말레이 국민기구 및 말레이 중국인 협회와 함께 인도인 자리를 확보했다.[10]
툰 V. T. 삼반탄은 1955년 5월 MIC 5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농장 노동자들 사이에서 당원 모집 운동을 펼치며 타밀족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 삼반탄은 직접 농장을 방문해 타밀족에게 MIC 가입을 장려했다.[10] 그의 노력으로 MIC는 사실상 타밀족 정당이 되었다. 1957년 말레이시아 독립 당시 삼반탄은 (Reid Commission)와 협상, 새 헌법 작성에 기여했다.
1963년 싱가포르, 사바, 사라왁이 말레이 연방에 합병되어 말레이시아 연방이 형성되자, MIC는 현재 명칭인 말레이시아 인도인 의회(Malaysian Indian Congress)로 변경되었다.
1973년, V. Manickavasagam 등 5명 지도자들의 반란으로 Samy Vellu 지지를 받은 삼반탄은 은퇴했다. 이후 MIC는 여당 연합인 국민전선(BN)에 가입해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2004년 총선에서 MIC는 하원 9석(득표율 3.2%)을 얻었지만, 소선거구제 특성상 UMNO 협력 없이는 의석 확보가 어려웠다. 2008년 총선에서는 여당 비판 여론 속에 3석으로 크게 후퇴, 사미 벨루 당시 당수도 낙선했다.
2. 1. 창당 배경과 초기 활동 (1946년 ~ 1957년)
말레이시아 인도인 회의(MIC)는 마하트마 간디와 자와할랄 네루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존 티비(John Thivy)가 1946년 8월에 설립한 정당이다. 창립 당시에는 말레이아 인도 의회(Malaya Indian Congress)라는 이름으로 창당되었으며,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이 수립된 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초대 당 대표인 존 티비는 1947년까지 당을 이끌었다.[5] 당명에 포함된 '의회(Congress)'는 마하트마 간디가 이끌었던 인도 국민회의(Indian National Congress)를 본뜬 것이다. MIC는 인도계 주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유일한 정당이다.[22]
MIC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바스 찬드라 보스가 이끈 자유 인도 임시 정부의 활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초대 당수인 존 티비는 인도 국민군에 참여했다가 전후 영국 당국에 투옥되기도 했다. MIC는 현재도 당 행사에서 보스를 기리고 있다.
결성 초기에는 도시 지역의 북인도계 주민들의 영향력이 강했지만, 점차 농장(에스테이트)에서 일하는 남인도·타밀계 노동자들의 노동·복지 문제를 대변하는 정당으로 변화했다.
2. 2. 연합당 참여와 타밀족 정당으로의 변화 (1954년 ~ 1973년)
1947년 인도가 독립한 후, MIC는 초점을 바꾸어 말레이시아의 독립을 위해 싸우기 시작했다.[6] 같은 해 바바 부드 싱 지(Baba Budh Singh Ji)가 MIC 의장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영국은 행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말레이 반도를 단일 정부 아래 통합하는 말레이 연합(Malayan Union)을 수립했다. 인도계 주민 대다수가 말레이 연합을 지지했지만, MIC는 그렇지 않았다.[7] 말레이인들의 광범위한 항의 끝에 말레이 연합은 1948년 해체되었고 말레이 연방(Federation of Malaya)으로 대체되었다.[8] 이후 MIC는 말레이 연방 협정에 반대하여 툰(Tun) 탄 청 록(Tan Cheng Lock) 하의 전말레이 공동행동위원회(All-Malaya Council of Joint Action)에 참여했다.1950년 K. 라마나탄(K. Ramanathan)이 의장이 되었다. 이 무렵 MIC는 말레이시아에서 인도인들을 대표하는 주요 정당이 되었다.[9] 라마나탄은 인도인들의 시민권 요건으로서 언어 능력 시험 완화를 주장했고, 인도인들에게 연방 시민권을 취득할 것을 촉구했다.[10]
MIC 당원은 인도계 주민(印僑)으로 제한되며,[22] 그들의 이익을 전문적으로 대변하는 유일한 의회 정당이다. 독립 후에는 마레이계의 UMNO 및 MCA와 연합하여 일관되게 연립여당의 지위를 유지해 왔으며, 현재도 여당 연합인 국민전선(BN)에 가맹하고 있다.
결성 초기에는 인도계 중에서도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던 북인도계 주민의 영향력이 강했지만, 점차 에스테이트(농장)에서 일하는 농장 노동자로서 지방에 흩어져 있는 남인도·타밀계 주민의 노동·복지 문제를 중심으로 대변하게 되었다.
2. 3. 국민전선 참여와 경제 개발 노력 (1973년 ~ 2008년)
말레이시아 인도인 의회(MIC)는 1954년 연합당에 가입하여 말레이시아 통일 말레이 국민기구, 말레이 중국인 협회와 함께 행정부 내에서 인도인을 위한 자리를 확보했다.[10] 이후 MIC는 현재까지 여당 연합인 국민전선(BN)에 가맹하고 있다.2004년 총선거에서 MIC는 하원 9석(득표율 3.2%)을 획득했다. 그러나 소선거구제 특성상, BN 내 다른 정당, 특히 UMNO의 협력 없이는 의석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2008년 총선거에서는 여당에 대한 비판 여론 속에 3석으로 크게 후퇴했고, 당시 당수였던 사미 벨루 공공사업장관도 낙선했다.
2. 4. 2008년 총선 이후의 변화와 현재 (2008년 ~ 현재)
2008년 총선거에서 여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면서 말레이시아 인도인 회의(MIC)는 크게 후퇴하여 3석에 그쳤고, 당 대표였던 사미 벨루 공공사업장관도 낙선하였다.[22]3. 역대 당 대표
말레이시아 인도인회의(MIC)의 역대 당 대표는 다음과 같다.
초대 당 대표는 존 티비(John Thivy)로, 1946년 창립부터 1947년까지 재임했다. 그는 런던에서 법학을 공부하던 중 마하트마 간디를 만나 그의 사상과 자와할랄 네루의 비전에 영감을 받아 인도 독립 운동에 참여했고, 이후 MIC를 창립했다.[5]
1947년 바바 부드 싱 지(Baba Budh Singh Ji)가 2대 의장이 되었다. 이 시기 MIC는 말레이 연합(Malayan Union)에 반대하며 전말레이 공동행동위원회(All-Malaya Council of Joint Action)에 참여했다.
1950년에는 K. 라마나탄(K. Ramanathan)이 3대 의장이 되었다. 그는 인도인들의 시민권 취득을 위한 언어 능력 시험 완화를 주장했다.[10]
K. L. Devaser는 1951년부터 1955년까지 4대 의장을 역임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MIC는 1952년 쿠알라룸푸르 시 선거에 참여했으나 연합당에 패배했다. 이후 MIC는 연합당에 참여하여 말레이시아 통일 말레이 국민기구, 말레이 중국인 협회와 함께 행정부 내에서 인도인을 위한 자리를 확보했다.[10] 그러나 데바세르는 타밀족의 지지를 얻지 못해 당내 비판을 받았고, 결국 1955년 사임했다.[13]
V. T. 삼반탄은 1955년부터 1973년까지 당을 이끌었다. 그는 V. Manickavasagam을 포함한 5명의 MIC 지도자들의 반란과 Samy Vellu의 지지로 은퇴했다.
V. 마니카바사감은 1973년부터 사미 벨루(Samy Vellu)가 부의장으로 선출되기 전까지 당을 이끌었다.
이후 현재 당 대표는 비그네스와란 사나시(Vigneswaran Sanasee)이다.
3. 1. 말레이 인도 의회 의장 (1946–1963)
말레이시아 인도인 회의(MIC)의 역대 의장은 다음과 같다.- 존 티비(John Thivy): 1946년 창립부터 1947년까지 초대 의장을 역임했다. 런던에서 법학을 공부하던 중 마하트마 간디를 만나 그의 사상과 자와할랄 네루의 비전에 영감을 받아 인도 독립 운동에 참여했다.[5]
- 마니카바사감: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의장을 역임했다. 이 시기에 MIC는 국민전선에 참여했으며, 인도인들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노력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5]
- 사미 벨루(Samy Vellu): 1979년부터 2010년까지 의장직을 수행했다. 인도 학생들의 교육 지원을 위해 마주 교육 개발 연구소(MIED)를 설립하고,[16] AIMST 대학교 설립을 주도했다.[18]
- G. 팔라니벨(G. Palanivel):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의장을 역임했다.
- 수브라마니암 사타시밤(Subramaniam Sathasivam):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의장 대행을 역임했다.
3. 2. 말레이시아 인도 의회 의장 (1963–현재)
말레이시아 인도 의회(MIC)는 1963년 싱가포르, 사바, 사라왁이 말레이 연방에 합병되어 말레이시아 연방이 형성되면서 변경된 이름이다.1957년 말레이시아가 독립을 쟁취하고, 새로운 말레이시아 헌법을 작성하기 위해 영국 정부의 (Reid Commission)와 협상에 참여했던 V. T. 삼반탄의 뒤를 이은 역대 의장들은 다음과 같다.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포함한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다.[20]
직책 | 이름 |
---|---|
위원장 | 비그네스와란 사나세 (S. Vigneswaran M. Sanasee) |
부위원장 | 사라바난 무루간 (Saravanan Murugan) |
1대 부위원장 | T. 모한 (T. Mohan) |
2대 부위원장 | T. 무루기아 (T. Murugiah) |
3대 부위원장 | M. 아소잔 (M. Asojan) |
4대 부위원장 | 벨 파리 (Vell Paari) |
5대 부위원장 | 코힐란 필레이 아푸 (Kohilan Pillay Appu) |
사무총장 | R. T. 라자세카란 (R. T. Rajasekaran) |
재무총장 | 탄 스리 라마사미 (Tan Sri Ramasamy) |
정보국장 | R. 티날란 (R.Thinalan) |
4. 조직 구조
말레이시아인도인회의(MIC)는 역대 총재를 중심으로 조직 구조를 갖추고 있다. 다음은 MIC의 역대 총재와 재임 기간을 정리한 표이다.[21]
순서 | 이름 | 재임 시작 | 재임 종료 | 비고 |
---|---|---|---|---|
1 | 존 티비(John Thivy) | 1946년 8월 4일 | 1947년 | |
2 | 바바 부드 싱 지(Baba Budh Singh Ji) | 1947년 | 1950년 | |
3 | K. 라마나탄 체티아르(K. Ramanathan Chettiar) | 1950년 | 1952년 | |
4 | 쿤단 라알 데바세르(Kundan Lal Devaser) | 1952년 | 1955년 5월 | |
5 | V. T. 삼반탄(V. T. Sambanthan) | 1955년 5월 | 1973년 6월 30일 | |
6 | V. 마니카바사감 | 1973년 6월 30일 | 1978년 10월 12일 | |
7 | 사미 벨루 | 1979년 10월 12일 | 2010년 12월 6일 | |
8 | 팔라니벨 고빈다사미 | 2010년 12월 6일 | 2013년 6월 23일 | |
– | 수브라마니암 사타시밤 | 2013년 6월 23일 | 2015년 6월 25일 | 권한대행 |
9 | 수브라마니암 사타시밤 | 2015년 6월 25일 | 2018년 7월 15일 | |
10 | 비그네스와란 사나시 | 2018년 7월 15일 | 현직 |
4. 1. 중앙위원회 (2018년 ~ 현재)
4. 2. 중앙위원회 위원 (44명)
5. 국회 및 주의회 의원 현황
말레이시아 인도인 회의(MIC)는 현재 말레이시아 의회에 상원 의원 3명과 하원 의원 1명을 두고 있다.
2004년 총선거에서 MIC는 하원에서 3.2%의 득표율로 9석을 획득했으나,[22] 소선거구제 특성상 UMNO 등 국민전선(BN) 내 다른 정당의 협력 없이는 의석 확보가 어려웠다. 2008년 총선에서는 여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면서 3석으로 크게 줄었고, 당시 당수였던 사미 벨루 공공사업장관도 낙선했다.
5. 1. 상원 (Dewan Negara)
다음은 말레이시아 상원(Dewan Negara)의 의원 목록이다.- 벨 파리 사미 벨루(Vell Paari Samy Vellu) – 양 디-페르투안 아궁 임명
- 모하메드 하니파 압둘라(Tan Sri Mohamed Haniffa Abdullah) – 양 디-페르투안 아궁 임명
- 시바라지 찬드란(Sivarraajh Chandran) – 양 디-페르투안 아궁 임명
5. 2. 하원 (Dewan Rakyat)
2004년 총선거에서 말레이시아인도인회의는 하원에서 3.2%의 득표율로 9석을 획득했다.[22] 그러나 소선거구제이기 때문에 국민전선(BN)을 구성하는 다른 정당, 특히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의 협력 없이는 의석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2008년 총선거에서는 여당 비판 속에 크게 후퇴하여 3석에 그쳤고, 당수인 사미 벨루 공공사업장관도 낙선했다.5. 3. 주 의회 (Dewan Undangan Negeri)
MIC는 하원에 의원 1명을 보유하고 있다.
6. 선거 결과
말레이시아 인도인회의(MIC)는 1955년부터 말레이시아 총선 및 주 의회 선거에 참여해 왔다.
2008년 총선 이전까지 MIC는 국민전선 연합의 일원으로서 안정적인 의석을 확보했다. 그러나 2008년 총선에서는 여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면서 3석으로 의석이 크게 줄었고, 당수인 사미 벨루도 낙선했다.[22] 이는 소선거구제하에서 MIC가 UMNO 등 국민전선을 구성하는 다른 정당의 협력 없이는 의석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22]
2022년 총선에서는 10개 의석에 출마하여 1석을 획득하였으며, 국민전선 소속으로 여당 연합에 참여하고 있다.
6. 1. 총선 결과
선거 | 획득 의석 수 | 출마 의석 수 | 총 득표수 | 득표율 | 선거 결과 | 선거 지도자 |
---|---|---|---|---|---|---|
1955년 | 2 | 2 | 26,868 | 2.68% | 2석; 연합당 여당 | V. T. 삼반탄 |
1959년 | 3 | 3 | 15,711 | 1.02% | 1석; 연합당 여당 | V. T. 삼반탄 |
1964년 | 3 | 3 | 19,269 | 1.60% | ; 연합당 여당 | V. T. 삼반탄 |
1969년 | 2 | 3 | 1석; 연합당 여당 | V. T. 삼반탄 | ||
1974년 | 4 | 5 | 2석; 국민전선 여당 | V. 마니카바사감 | ||
1978년 | 3 | 5 | 1석; 국민전선 여당 | V. 마니카바사감 | ||
1982년 | 4 | 5 | 1석; 국민전선 여당 | 사미 벨루 | ||
1986년 | 6 | 7 | 104,701 | 2.21% | 2석; 국민전선 여당 | 사미 벨루 |
1990년 | 6 | 7 | ; 국민전선 여당 | 사미 벨루 | ||
1995년 | 7 | 1석; 국민전선 여당 | 사미 벨루 | |||
1999년 | 7 | ; 국민전선 여당 | 사미 벨루 | |||
2004년 | 9 | 221,546 | 3.2% | 2석; 국민전선 여당 | 사미 벨루 | |
2008년 | 3 | 9 | 179,422 | 2.21% | 6석; 국민전선 여당 | 사미 벨루 |
2013년 | 4 | 9 | 286,629 | 2.59% | 1석; 국민전선 여당 | 팔라니벨 고빈다사미 |
2018년 | 2 | 9 | 167,061 | 1.39% | 2석; 국민전선 야당, 이후 여당 | S. 수브라마니암 |
2022년 | 1 | 10 | 172,176 | 1.11% | 1석; 국민전선 여당 | 비그네스와란 사나시 |
2004년 총선거에서는 하원에서 3.2%의 득표율로 9석을 획득했다.[22] 그러나 소선거구제이기 때문에 선거에서 국민전선(BN)을 구성하는 다른 정당, 특히 UMNO의 협력 없이는 의석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22] 2008년 총선거에서는 여당 비판 속에 크게 후퇴하여 3석에 그쳤고, 당수인 사미 벨루 공공사업장관도 낙선했다.[22]
6. 2. 주 의회 선거 결과
말레이시아 인도인회의(MIC)의 주 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주 | 연방 선거구 | 주 선거구 | 의원 | 정당 |
---|---|---|---|---|
파항 | 벤통 | 사바이 | V 아루무감 | MIC |
말라카 | 알로르 가자 | 가덱 | 샤누가맘 프티차이 | MIC |
조호르 | 세키장 | 케멜라 | 사라스와티 날라탄비 | MIC |
Sembrong | 카항 | 비디야난탄 라마나단 | MIC | |
머싱(Mersing) | 텐가로(Tenggaroh) | 레이븐 쿠마르 크리슈나사미(Raven Kumar Krishnasamy) | MIC | |
총계: 파항(1), 말라카(1), 조호르(3) |
주 선거 | 주 의회 | ||||||||||||
---|---|---|---|---|---|---|---|---|---|---|---|---|---|
페를리스 | 케다 | 켈란탄 | 트르응가누 | 페낭 | 페락 | 파항 | 셀랑고르 | 네게리슴빌란 | 말라카 | 조호르 | 사바 | 총 획득 의석 / 총 출마 의석 | |
2013 | 5 / 18 | ||||||||||||
2018 | 3 / 18 | ||||||||||||
2021년 | 1 / 1 | ||||||||||||
2022년 | 3 / 4 | ||||||||||||
2022 | 1 / 4 |
참조
[1]
웹사이트
Arvind wins MIC Youth chief's post uncontested
https://www.freemala[...]
2024-06-09
[2]
웹사이트
Johor MIC leader declares candidacy for Wanita chief's post
https://www.thestar.[...]
[3]
웹사이트
Dr Shatesh wins Putera MIC chief post
https://www.thestar.[...]
[4]
웹사이트
Kemaman by-election : MIC will help campaign for candidate from unity govt coalition
https://www.nst.com.[...]
New Straits Times
2023-10-22
[5]
서적
From People's War to People's Rule: Insurgency, Intervention, and the Lessons of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6]
서적
Cage of Freedom: Tamil Identity and the Ethnic Fetish in Malaysia
https://books.google[...]
NUS Paper
[7]
웹사이트
History – MIC
http://www.mic.org.m[...]
Malaysian Indian Congress
[8]
서적
The Malayan Union controversy 1942–1948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9]
학술지
The Malayan Indian Congress and Early Political Rivalry among Indian Organisations in Malaya, 1946–1950
2018-04-27
[10]
학술지
Political expediencies and th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The quest for indian identity in Malaysia
http://web.usm.my/km[...]
2015-01-01
[11]
웹사이트
MIC – The Hidden History
http://malaysianindi[...]
[12]
서적
The Indian minority and political change in Malaya, 1945–1957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13]
웹사이트
Archives
https://www.thestar.[...]
2007-07-16
[14]
서적
Dismantling Diasporas: Rethinking the Geographies of Diasporic Identity, Connection and Development
Routledge
2016
[15]
학술지
The NEP and Further Marginalization of the Indians
http://web.usm.my/km[...]
2003-01-01
[16]
웹사이트
Corporate Profile – Maju Institute Of Educational Development.
https://mied.com.my/[...]
[17]
웹사이트
Mied
http://www.mied.com.[...]
[18]
웹사이트
Varsity to keep chasing excellence
https://www.thestar.[...]
2018-11-24
[19]
웹사이트
MIC turns 70, but AIMST intake of Indian students 'shocking'
http://www.themalays[...]
2016-08-02
[20]
웹사이트
Central Working Committee
https://www.mic.org.[...]
[21]
웹사이트
Past Presidents of MIC – MIC
http://www.mic.org.m[...]
[22]
웹사이트
「中東・イスラーム諸国の民主化」データベース マレーシア・政党
http://www.l.u-toky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