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누스 4세 (스웨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누스 4세는 1319년 스웨덴 왕으로 즉위하고 같은 해 노르웨이 왕으로 추대된 인물이다. 그는 쇠데르만란드의 에리크 망누손 공작과 노르웨이 국왕 호콘 5세의 딸 잉에보르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의 섭정을 받았다. 망누스는 1331년 친정을 시작하여 덴마크 영토를 매입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으나, 노르웨이 귀족들의 반발로 노르웨이 왕위에서 퇴위당하고 스웨덴에서도 귀족 반란으로 왕위를 잃었다. 그는 스웨덴에서 노예 제도를 폐지하고 종교 정책을 펼쳤으나, 무능한 왕으로 평가받으며, 1374년 난파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엘보가 - 에리크 12세
에리크 12세는 마그누스 에릭손 국왕의 장남으로, 아버지에 대한 반란을 일으켜 스웨덴 국왕을 자칭하며 공동 통치하다 갑작스럽게 사망하여 스웨덴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킨 스웨덴 왕족이다. - 비엘보가 - 올라프 2세 (덴마크)
올라프 2세는 14세기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두 나라를 동군연합으로 통치했으나 요절하여 뱔보 가문의 남성 혈통이 단절되었고, 그의 어머니 마르그레테 1세는 칼마르 동맹을 통해 스칸디나비아 3국 통합에 기여했다. - 1316년 출생 - 진우량
진우량은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난에 가담하여 서수휘를 살해하고 스스로 황제가 되어 대한을 건국했으나 주원장과의 파양호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한 인물이다. - 1316년 출생 - 최영
최영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는 등 국방을 굳건히 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공민왕을 보필했으나, 우왕의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가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에 의해 처형당한 후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은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무신이다. - 1374년 사망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 1374년 사망 - 예찬
원말명초의 은둔 화가이자 시인인 예찬은 부유한 지주 출신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혼란기에 유랑 생활을 하며 결벽증과 기행으로 유명하며, 독자적인 평원 산수 화풍인 "소산체"를 확립했다.
망누스 4세 (스웨덴)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망누스 7세 / 망누스 4세 |
별칭 | 망누스 더 카레서 (Magnus the Caresser) |
출생일 | 1316년 4월 또는 5월 |
출생지 | 노르웨이 |
사망일 | 1374년 12월 1일 (58세) |
사망 장소 | 뫼믈라피오르덴, 노르웨이 (난파 사고) |
왕조 | 뱌르보 |
아버지 | 쇠데르만란드 공작 에리크 |
어머니 | 노르웨이의 잉에보르그 |
통치 | |
스웨덴 국왕 | 1319년 7월 8일 – 1364년 2월 15일 |
대관식 | 1336년 7월 21일 |
이전 통치자 | 비르예르 |
다음 통치자 | 알베르트 메클렌부르크 |
노르웨이 국왕 | 1319년 8월 – 1355년 |
이전 통치자 | 호콘 5세 |
다음 통치자 | 호콘 6세 |
배우자 | |
배우자 | 블랑카 아브 남뮈르 (1335년 결혼, 1363년 사망) |
자녀 | |
자녀 | 에리크 12세 호콘 6세 |
2. 생애
망누스 4세는 쇠데르만란드의 에리크 망누손 공작과 노르웨이 호콘 5세의 딸 잉에보리(Ingeborgsv, Ingebjørgno) 사이에서 태어났다.
1319년, 망누스는 3세의 어린 나이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왕위에 올랐다. 즉위 당시에는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어머니 잉에보르그가 섭정을 했다. 1331년부터 친정을 시작했고, 1332년에는 덴마크령이었던 스코네와 블레킹에를 스웨덴 왕으로서 구입했다.
1336년 7월 21일 스톡홀름에서 스웨덴, 노르웨이 국왕 대관식을 거행했다. 그러나 스코네 편입 비용 마련을 위한 세금 부과 정책에 불만을 품은 스웨덴 귀족들은 1356년 반란을 일으켰고, 망누스의 아들 에리크 12세를 스웨덴 국왕으로 추대했다. 하지만 에리크 12세는 1359년에 사망했다.
결국 망누스는 1363년 스웨덴 귀족들의 반란으로 1364년 왕위에서 쫓겨나 노르웨이로 망명하였다. 한편, 노르웨이 왕위는 1343년 아들 호콘 6세에게 이미 물려준 상태였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쇠데르만란드 공작 에리크 망누손과 노르웨이의 호콘 5세의 딸인 잉에보리(Ingeborgsv, Ingebjørgno) 사이에서 태어났다.1319년 7월 8일, 모라 팅에서 스웨덴 국왕으로 선출되었고,[7] 같은 해 8월 퇴네스베르그의 호우가팅에서 노르웨이의 세습 왕으로 인정받았다.[8] 3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했기 때문에 어머니 잉에보르그가 섭정을 맡았다.[22] 1322-1323년에 잉에보르그가 섭정에서 물러난 후, 망누스가 성년이 될 때까지 각국은 지방 유력자들에 의해 통치되었다.[8]
1331년부터 친정을 시작했다. 1331년에 15세로 성년이 된 것으로 선언되었으나, 1302년 노르웨이 법령에 따라 국왕의 성년은 20세로 규정되어 있었기에 노르웨이에서 반발이 일어났고, 에를링 비드쿤손을 비롯한 노르웨이 귀족들의 봉기가 일어났다. 1333년, 반란군은 망누스 국왕에게 복종했다.
2. 2. 친정과 스코네 편입
1331년부터 친정을 시작했고, 1332년에는 덴마크령이었던 스코네와 블레킹에를 스웨덴 왕으로서 구입했다.[25] [8]2. 3. 귀족 반란과 왕위 상실
1336년 7월 21일, 스톡홀름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 국왕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그러나 망누스 국왕에 대한 반감을 갖고 있던 노르웨이 귀족들은 1343년 8월 15일 망누스 국왕을 노르웨이 왕위에서 퇴위시켰고, 망누스의 아들인 호콘 6세를 노르웨이 국왕으로 추대했다.[8]1356년, 스코네 편입 비용을 마련하기 위한 세금 부과 정책에 불만을 품은 스웨덴 귀족들이 교회의 지원을 받으면서 반란을 일으켰다. 스웨덴 귀족들은 망누스의 아들인 에리크 12세를 스웨덴 국왕으로 추대했지만, 에리크 12세는 1359년에 사망하고 만다.[9]
1363년, 스웨덴 귀족들은 망누스 국왕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1364년 2월 18일, 스웨덴 귀족들은 메클렌부르크의 알브레히트를 스웨덴 국왕으로 추대하면서 망누스는 왕위에서 퇴위했고 노르웨이로 망명했다.[28][29]
2. 4. 노르웨이 왕위 양위와 망명
1336년 7월 21일 스톡홀름에서 스웨덴, 노르웨이 국왕 대관식을 거행했지만, 망누스 국왕에 대한 반감을 갖고 있던 노르웨이 귀족들은 1343년 8월 15일에 망누스를 노르웨이 왕위에서 퇴위시켰고, 그의 아들인 호콘 6세를 노르웨이 국왕으로 추대했다.[9]1363년 스웨덴 귀족들이 망누스 국왕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28] 1364년 2월 18일 스웨덴 귀족들은 메클렌부르크의 알브레흐트를 스웨덴 국왕으로 추대하면서 망누스는 왕위에서 퇴위했고 노르웨이로 망명했다.[29]
3. 외교 정책
망누스 4세는 노브고로드와의 관계에서 노테보리 조약을 통해 평화를 추구했지만, 종교적 갈등과 십자군 원정으로 인해 관계가 악화되는 등 평화와 갈등을 반복했다.
3. 1. 노브고로드와의 관계
1323년 8월 12일, 망누스는 노브고로드 (모스크바 대공 유리가 대표)와 스웨덴 사이의 최초의 조약을 라도가호가 네바강으로 흘러드는 곳인 노테보리(오레호프)에서 체결했다.[10] 이 조약은 핀족과 카렐리아인들 사이의 세력권을 정했으며 "영원한 평화"를 약속했지만, 망누스와 러시아 국가 간의 관계는 그다지 평화롭지 않았다. 1337년, 정교회 카렐리아인과 스웨덴인 간의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스웨덴이 코렐라 (케크홀름, 프리오제르스크)와 비보르크 (핀란드어: Viipuri, 러시아어: Vyborg)를 공격하여 노브고로드와 라도가 상인들이 학살되었다. 스테인이라는 스웨덴 사령관은 오레호프의 요새도 점령했다. 노브고로드 시장 (''포사드니크'') 표도르와의 협상은 결론을 내지 못했고, 스웨덴군은 1339년에 1323년 조약의 이전 조건에 따라 평화가 체결되기 전에 라도가 호와 오네가호 주변의 카렐리아인을 공격했다. 이 조약에서 스웨덴은 스테인과 다른 사람들이 국왕의 동의 없이 독자적으로 행동했다고 주장했다.[11]스웨덴과 노브고로드 사이의 관계는 1348년까지 평온했으나, 망누스가 노브고로드에 대한 십자군을 이끌고 네바 강을 따라 진격하여 그 강을 따라 사는 부족들을 강제로 개종시키고, 오레호프 요새를 8월에 잠시 점령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13] 프스코프시는 이 상황을 이용하여 노브고로드에 압력을 가해 공식적인 독립을 얻게 했다.[14] 노브고로드인들은 6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1349년 2월에 프스코프의 도움 없이, 그리고 모스크바의 최소한의 지원만으로 요새를 되찾았다.[14] 망누스는 서쪽 지역의 흑사병으로 인해 후퇴했다. 그는 1351년 대부분의 시간을 발트해 연안의 독일 도시들로부터 추가적인 십자군 활동에 대한 지원을 얻으려 노력했지만, 노브고로드를 다시 공격하지는 않았다.[15]
4. 국내 정책
1335년, 망누스는 베스테르예틀란드와 베렌드에서 "기독교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노예에 대한 노예 제도를 금지했다.[12] 이는 스웨덴에서 노예 제도가 마지막으로 합법적으로 남아 있던 지역이었다. 이로써 중세 스웨덴 노예 제도는 종식되었지만, 이는 스웨덴 국경 내에서만 적용되었고, 17세기와 18세기 스웨덴 노예 무역은 계속되었다.
4. 1. 노예 제도 폐지
1335년, 망누스는 베스테르예틀란드와 베렌드에서 "기독교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노예에 대한 노예 제도를 금지했다.[12] 이는 스웨덴에서 노예 제도가 마지막으로 합법적으로 남아 있던 지역이었다. 이로써 중세 스웨덴 노예 제도는 종식되었지만, 이는 스웨덴 국경 내에서만 적용되었고, 17세기와 18세기 스웨덴 노예 무역은 계속되었다.5. 종교 정책
1346년에 망누스와 왕비는 성 비르기타에게 바드스테나 수도원을 하사했다.[30] 비르기타는 그곳을 본거지로 하여 비르기타회를 설립했고, 수도원은 왕실의 보호를 받으며 발전했다. 그러나 이후 성 비르기타는 망누스의 중앙 집권 정책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하게 된다.[31]
6. 평가
그의 많은 공식적인 영토 확장에도 불구하고, 망누스 4세의 통치는 스웨덴 왕실 권력과 스웨덴 전체에 쇠퇴기였다고 여겨진다. 덴마크(1340년에 부활한 후)와 메클렌부르크와 같은 외국 국가들이 개입했고, 망누스는 발생한 내부 반대에 대처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무능한 왕으로 여겨졌고, 측근에게 너무 많은 권력을 부여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망누스의 어린 총애를 받는 측근은 벵트 알고트손이었는데, 망누스는 알고트손을 핀란드 공작과 할란드 공작, 그리고 스코네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당시 동성애는 치명적인 죄였고 격렬하게 비난받았기 때문에, 왕의 알고트손과의 사랑 관계, 그리고 다른 에로틱한 일탈에 대한 소문은 그의 적들, 특히 성 브리짓의 신비로운 환상을 언급한 일부 귀족들에 의해 퍼졌다. 브리짓과 이러한 혐의는 망누스에게 후대에 ''망누스 스메크(애무하는 망누스)''라는 별명을 붙였고 그에게 많은 해를 입혔지만, 역사적 자료에는 사실적 근거가 없다.[18][19] 또 다른 관점은 ''애무''라는 별명이 동성애 혐의와 아무 관련이 없으며, 당시 ''스메크''가 그러한 약점을 암시하는 모욕이었기 때문에 그의 어리석음과 순진함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는 것이다.[20]
러시아인들은 노브고로드에서 작성된 러시아의 ''소피아 제1 연대기''에 삽입된, 망누스의 유언(''Rukopisanie Magnusha'')으로 알려진 자전적 기록을 작성했는데, 망누스가 사실 바다에서 익사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정교회로 개종하여 카렐리아의 노브고로드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이 기록은 위경이다.[21]
참조
[1]
서적
Kings and rulers of Sweden : a pocket encyclopedia
http://archive.org/d[...]
Stockholm, Sweden : Vincent Publications
1995
[2]
문서
Lagerqvist, "Kings and Rulers of Sweden", p. 5
[3]
웹사이트
Magnus II Eriksson
https://www.britanni[...]
2024-04-26
[4]
서적
Medeltidens svenska krig
Stockholm
1999
[5]
뉴스
King Carl XVI Gustaf now Sweden's longest-reigning monarch
https://www.thelocal[...]
2018-05-29
[6]
웹사이트
Magnus 7 Eriksson
http://www.snl.no/.n[...]
Norsk biografisk leksikon
[7]
웹사이트
499-500 (Nordisk familjebok / Uggleupplagan. 17. Lux - Mekanik)
https://runeberg.org[...]
1912
[8]
웹사이트
Magnus 7. Eriksson
https://snl.no/Magnu[...]
2024-06-18
[9]
웹사이트
Erik Magnusson
https://sok.riksarki[...]
2024-09-23
[10]
논문
Archbishop Vasilii Kalika, the Fortress of Orekhov, and the Defense of Orthodoxy
Ashgate
2009
[11]
문서
Paul, "Archbishop Vasilii Kalika," 264–5.
[12]
웹사이트
Träldom
https://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 Uggleupplagan
1920
[13]
문서
Paul, "Archbishop Vasilii Kalika", 266–267.
[14]
서적
The Emergence of Moscow, 1304-1359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3-11-15
[15]
문서
Paul, "Archbishop Vasilii Kalika," 268.
[16]
서적
The Vikings
Folio Society
1997
[17]
서적
Medieval spirituality in Scandinavia and Europe: a collection of essays in honour of Tore Nyberg
Odense University Press
2001
[18]
문서
Libellus de Magno Erici Rege
[19]
서적
I kung Magnus tid
[20]
서적
Kung Magnus och hans smädenamn Smek
2009
[21]
간행물
Sofiiskaia Pervaia Letopis'
http://lib.pushkinsk[...]
Eduard Prats
1851
[22]
문서
百瀬 他、p. 64, 98
[23]
문서
百瀬 他、p. 98
[24]
문서
百瀬 他、p. 74
[25]
문서
その両地方はスウェーデン領として現在に至っている。百瀬 他、p. 99
[26]
문서
百瀬 他、p. 100
[27]
문서
武田、p. 21
[28]
문서
武田、p. 22
[29]
문서
百瀬 他、p. 104
[30]
문서
C. Herbermann, St. Bridget of Sweden
[31]
문서
百瀬 他、p. 76
[32]
문서
J. Louda, p. 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