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와덴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와덴키는 1969년 토사 사카이치가 설립한 일본의 전자 회사로, 1993년 사카이치의 아들들이 물려받아 예술인 집단으로 전환되었다. 컴퓨터 자동 연주를 활용한 "테크노 형제"로 알려졌으며,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을 통해 굿 디자인상 수상,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우수상 등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오타마톤과 어기 시리즈가 있으며, 독특한 활동 스타일과 'ABCDEFG 계획'을 통해 아방가르드 예술을 대중에게 알리고 있다. 다양한 전시 및 공연, 프로듀스 활동을 펼치며, 아녜스 b. 등 여러 인물 및 조직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메이와덴키는 1969년 토사 사카이치가 효고현 아코시에서 설립한 전자 회사였다.[27] 1993년 그의 두 아들이 회사를 이어받아 예술 집단으로 변모시켰으며, 소니 뮤직 주최 아트·아티스트·오디션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28] 2001년에는 마사미치가 은퇴하고 노부미치가 사장직을 맡게 되었다.
메이와덴키는 여러 구성원들이 함께 활동하는 예술 유닛이다. 주요 구성원과 그 외 협력자들로 나눌 수 있다.
2. 역사
형제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밴드 활동을 함께 했으며, 당시 혁신적이었던 컴퓨터의 자동 연주를 활용하여 중국신문에 "테크노 형제"로 소개되기도 했다.[3] 이는 메이와덴키의 시초가 되었다.[3]
소속사는 소니뮤직엔터테인먼트(1993년~1998년), 요시모토흥업(1998년~2016년)을 거쳐 현재는 주식회사 메이와덴키이다. 2019년 3월부터는 "예술에서 대량생산으로"라는 주제로 도쿄 아키하바라에 공식 매장을 열었다.
2. 1. 회사 설립과 예술 집단으로의 전환
3. 구성원
'''주요 구성원'''
'''그 외 협력자'''3. 1. 현 구성원
3. 2. 전 구성원
4. 활동 스타일
메이와덴키는 상품 개발을 통해 아방가르드적인 예술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고 있다.
메이와덴키의 저서에는 ‘목격(モクギョ)’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그것은 인과응보를 나타내는 데 ‘물고기’라는 모티브를 사용하여 소리로 사람들을 모으고, 다소 어려운 설법을 쉽게 형태로 설명하는 내용이다. 이는 메이와덴키의 활동 자체와 매우 흡사하다. 재미있는 퍼포먼스로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모인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게 메이와덴키가 만들어내는 불가사의한 예술 세계에 푹 빠져드는 것이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형제가 함께 밴드 활동을 했으며,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던 컴퓨터의 자동 연주를 활용하여 중국신문에 “테크노 형제”라는 기사로 소개되기도 했다.[3] 이는 메이와덴키의 원점이다.[3]
소니뮤직엔터테인먼트(1993년 - 1998년), 요시모토흥업(1998년 - 2016년)을 거쳐, 현재는 주식회사 메이와덴키가 소속 기획사이다.
2019년 3월부터 “예술에서 대량생산으로”라는 테마 아래, 도쿄 아키하바라에 공식 숍을 오픈했다. 작품명 뒤에 이어지는 알파벳은 작가가 부여한 "제품 형식"이며 작품명의 일부이다. 작품은 공업 제품의 형태를 취하며, ABS 수지, 알루미늄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4. 1. 컨셉
메이와덴키는 중소기업 스타일로, 파란색 작업복을 입고 사장, 부사장, 경리, 공원(어시스턴트에 해당)이 서로를 부르며 일한다. 작품은 "제품", 라이브는 "제품 데모", 제작은 "제품 개발", 전람회는 "신제품 발표 전시회"라고 부른다. 작품 대부분은 일점물이지만, "제품" 중 일부는 실제로 주문 생산 또는 공업 생산에 맞게 개량되어 대량 생산, 판매되었다."'''해낸 것이 최고다, 얻은 것이 최고다'''"라는 사훈 아래 활동하며, 활동 방침으로 "'''야리니게(やりにげ)'''"를 내걸고 있다.
2004년부터 매년 1회 개최되는 '사업 보고 쇼'는 기업의 사업 보고회 스타일을 본뜬 것으로, 컴퓨터와 파워포인트를 사용한 프레젠테이션 등 곳곳에 메이와덴키식 "야리니게" 정신이 담겨 있다.
또한 2010년경부터 개최되는 많은 제품 데모와 이벤트에서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허용하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동영상 공유 사이트 및 SNS 등)에 업로드 및 공유를 권장한다. 이는 매스 프로모션을 겸하며, "제품을 만드는 것"과 "보여주는 것"을 중요시하는 메이와덴키의 철학을 반영한다.
4. 2. ABCDEFG 계획
메이와덴키는 '네 가지 제품군'을 다양한 대량생산 제품(マスプロダクト)에 적용하고 있다. 그 다각적인 상품 개발을 머리글자를 따서 '''ABCDEFG 계획'''이라고 부른다.항목 | 내용 |
---|---|
A | Art (예술) |
B | Book (서적) |
C | CD (CD) |
D | DVD, VIDEO (DVD, 비디오) |
E | E Business (이비즈니스)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EXPO 및 event로 되어 있지만, 최신 카탈로그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의 이비즈니스로 되어 있음. 2015년 현재) |
F | Fashion (패션) |
G | Goods (상품) |
5. 주요 작품
메이와덴키는 어기(魚器) 시리즈, 츠쿠바(ツクバ) 시리즈, 보이스 메카닉스(Voice Mechanics) 시리즈, 에델바이스(EDELWEISS) 시리즈 등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 어기(魚器) 시리즈: 물고기 모양의 악기 및 기계장치이다.[31]
- 츠쿠바(ツクバ) 시리즈: 아날로그적인 동작이 특징인 악기 시리즈이다.
- 보이스 메카닉스(Voice Mechanics) 시리즈: 소리의 기능성과 주술성을 모티브로 한 넌센스 머신이다.[29] 대표작으로 오타마톤이 있다.
- 에델바이스(EDELWEISS) 시리즈: "여성이란 무엇이며, 생물학적인 암컷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다.[3]
각 시리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메이와덴키는 다음과 같은 상을 받았다.
- 1993년 소니뮤직엔터테인먼트 제2회 아트 아티스트 오디션 대상
- 1996년 어골형 전원용 연장 코드 "피쉬 코드" 모노매거진 슈퍼 굿즈 오브 더 이어 편집부 특별상
- 2000년 제3회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디지털 아트 인터랙티브 부문 우수상
- 2003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인터랙티브 아트 부문 준그랑프리
- 2006년 eAT KANAZAWA'06 명인상
- 2010년 전자악기 "오타마톤" 일본 장난감 대상 2010 "하이 타겟 토이 부문 대상"
- 2010년 전자악기 "오타마톤" 라이선싱 오브 더 이어 2010 "프로덕트 라이선시 상"
- 2015년 "omosiroi award World OMOSIROI Award 1st."
5. 1. 어기(魚器) 시리즈 (NAKI Series)
메이와덴키의 어기(魚器) 시리즈는 물고기 모양을 모티브로 한 악기 및 기계장치이다.[31] 인간을 물고기에 비유하여 단순화하고, 어골(魚骨)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되었다. 1993년 메이와덴키 데뷔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어기(魚器) 도감 발표와 함께 완결된 메이와덴키의 대표작이다.메이와덴키는 "생명=자신이란 무엇인가"라는 고민을 하던 노부미치가 나라, 교토를 여행하고 1000마리의 물고기를 그린 후, 자신을 "물고기"로 바꾸면 된다는 생각에서 어기(魚器) 시리즈를 시작했다. 이는 단순한 표현을 넘어, 자신 속의 "물고기"라는 앙금을 연출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이었다.
어기(魚器) 시리즈 중 "궁어(弓魚)", "어타봉(魚打棒)", "폐어(肺魚)"는 "삼종의 어기(魚器)"로 불리며, 그 집대성은 SME 오디션 대상 수상작인 "우케-테루(ウケ-テル)"이다.
어기(魚器) 시리즈 전부를 미니어처화하여 A부터 Z까지 원형으로 배치한 모형은 마르셀 뒤샹의 「상자 속의 상자」에 대한 오마주이다.
어기(魚器) 시리즈에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
작품명 | 설명 | 제작년도 |
---|---|---|
해머헤드(NAKI-AX) | 포르말린에 절인 잉어를 펀치 카드에 따라 전기 제어하여 관리 사회를 상징. | 1997년 |
하리센본부(NAKI-BX) | 카운터가 달린 수납식 하리센으로 폭력과 웃음에 의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함. | 1994년 |
코이비트(NAKI-CX) | 잉어에 비유하여 나란히 배치된 전기 스위치의 온·오프 조합을 스캔하여, 츠쿠바 시리즈의 악기를 제어하는 수동식 리듬 머신. | 1993년 |
칻코이비트(NAKI-C1) | 코이비트의 축소판. | 1993년 |
어코드(NAKI-DX) | 어골(魚骨)형 전기 코드. 의장 등록 인가. 소재를 변경하여 시판됨. | 1994년 |
우오노메(NAKI-EX) | 물고기의 시야를 시뮬레이트하는 기구. 의장 등록 인가. | 1994년 |
그라피쉬(NAKI-FX) | 물고기가 죽을 때까지를 기록한, 시간축을 가진 어탁. | 1994년 |
금붕어의 똥(NAKI-GX) | 금가루를 표현자가 삼키고, 배설하고 회수함으로써 정신적으로는 가치가 있지만 육체적으로는 가치가 없는 금이라는 물질을 재인식. | 1992년 |
폐어(NAKI-HX) | 물고기의 부레가 담긴 병의 기압을 실린더로 변화시켜, 조종되는 생명을 상징. | 1992년 |
이쿠라호우(NAKI-IX) | 슈퍼볼을 연속 40발 발사하는 장치. | 1995년 |
도스코이(NAKI-JX) | 작은 칼(도스)이 상하로 움직이며 종이를 잘라내는 장치. | 1996년 |
글라스카프(NAKI-KX) | 유리 면을 회전시키는 글라스 하프. 의장 등록 인가. | 1994년 |
방전어(NAKI-LX) | 전류가 흘러 라이트가 빛나는 철금. 감전되기 쉬워 위험한 제품 중 하나. | 1995년 |
링링(NAKI-MX) | 팔에 비늘 모양의 "야키"(멍)를 만듦. | 1997년 |
어타봉(NAKI-NX) | 물고기를 잡고, 또 본체에 그 물고기를 담을 수 있음. | 1992년 |
오타쿠굔타쿠(NAKI-OX) | 1000마리의 가상의 물고기를 그린 것. | 1992년 |
파치모쿠(NAKI-PX) | 손가락 튕김(탄지라고도 설명됨)으로 작동하는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움직임의 끝에 달린 목어를 울리는 악기. 대표작 중 하나. | 1993년 |
파치모쿠 콤팩트 | 파치모쿠의 개량형 | 2024년 |
뢰래검(NAKI-QX) | 번개가 떨어지면 상공의 번개를 향해 칼이 날아가는 피뢰침. | 1997년 |
타코니와(NAKI-RX) | 수조 안의 물고기의 헤엄에 연동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 1995년 |
사바오(NAKI-SO) | 인간과 어류의 중간 얼굴을 한 13주차 태아를 본떠 만든 권총형 복화술 인형. 1995년 7월, 전람회 내에서 40체가 제작되어 "양부모에게 보내졌다"(한정 판매). | 1995년 |
어립금(NAKI-TX) | 물고기 모양의 전동 거문고. 명칭은 나타드코코가 유래. | 1994년 |
우케-테루(NAKI-U1) | 수화기를 들어 시보를 들으면 물고기가 있는 수조에 바늘이 떨어져, 우연을 매개로 물고기의 목숨에 간접적으로 관람자가 관여. | 1993년 |
어형 버튼(NAKI-VX) | LED가 빛나는 옷의 단추. 명칭은 나카타 단추가 유래. | 1997년 |
코이부미(NAKI-WX) | 타코니와와 조합하여 무의미한 문장을 치는 자동 타자기. | 1996년 |
성어(NAKI-XX) | 물고기가 나아간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동 주행형 수조. | 1994년 |
궁어(NAKI-YX) 1호 | 척추가 화살이 된, 어골(魚骨)형 활. | 1992년 |
궁어(NAKI-YX) 2호 | 척추가 화살이 된, 어골(魚骨)형 활. | 1993년 |
궁어(NAKI-Y3) 카부라야 | 척추가 화살이 된, 어골(魚骨)형 활. | 1994년 |
궁어(NAKI-Y4) 이토츠기 | 척추가 화살이 된, 어골(魚骨)형 활. | 2020년 |
명와전기 어기(魚器) 도감(NAKI-ZX) | 작품 해설이 담긴 책. (서지 정보는 주요 저서에 표시) | 1997년 |
5. 2. 츠쿠바(ツクバ) 시리즈 (Tsukuba Series)
츠쿠바 시리즈는 아날로그적인 동작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시리즈이다. 실제로는 100V를 스위칭하여 솔레노이드를 ON/OFF로 작동시키는 디지털적인 동작이지만, 아날로그적인 동작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악기 개발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반드시 충족하도록 노력했다고 한다.[3]- 소리 발생원으로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 전자석 등 유도 부하에 의한 역학적인 발음 방법, 즉 아쿠스틱으로 한다.
- 가정용 전원(100V)을 스위칭하기만 하는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함수 회로는 가능한 한 피한다.
- 연주 방법이 종래의 악기 운지 방법에 없는, 우스꽝스러운 것이어야 한다.
파치목, 코이비트, 마린카 등과 조합하여 무대 퍼포먼스나 음악 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이 악기들을 사용하여 제작된 음악 장르는 '''츠쿠바 뮤직'''이라고 자칭하며, CD도 발매되었다.[3]
미술관 등에서 츠쿠바 시리즈를 전시할 때, 현재 진행형 기기가 화이트 큐브에서의 매직(전시실의 흰 공간에 휑하니 놓으면 어떤 것이든 미술품처럼 보이는 현상)에 의해 죽는 것을 피하기 위해 라이브 스테이지와 같은 코스프레를 시키는 것도 특징이다.
이러한 타악기와 컴퓨터 음악을 결합한 재미를 어린이들에게도 체험하게 해주고자 '''knock! (노크!) 시리즈'''를 전개했으며, 색상은 오렌지색으로 통일되어 있다.
츠쿠바 시리즈의 악기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설명 | 제작년도 |
---|---|---|
노커(MI-X1) | 전동 말렛 | 1994년 |
톤톤군(제품 형식 없음) | 노커를 원격 조작하는 스위치 패드. 츠쿠바 시리즈의 원점. | 제작자의 학생 시절 |
톤톤군 | 두드리는 것을 목적으로 타악기 연주자를 위해 개발된 대형 100V 스위치. | 2005년 |
음원(MI-X2 Pre) | 제작 제1호 음원. 뚜껑을 닫으면 컴팩트하게 휴대 가능. | 1993년 |
음원(MI-X2) | 전동 드럼 머신. 「노커」를 이용하여 스티로폼이나 캔 등의 물건을 두드려 리듬을 연주. | 1995년 |
음원II(MI-X2) | 전동 드럼 머신. 음원의 제2탄. | 1999년 |
음원III(MI-X2) | 유럽 공연용으로 제작된 컴팩트한 여행 가방형 음원. 닫힌 상태에서도 연주 가능. | 2001년 |
여행 가방 음원(MI-X2) | 여행 가방 그 자체를 발음체로 한 음원. | 2012년 |
UME 음원(MI-X2) | 신형 매실 코스용 음원. 수납 케이스가 그대로 발음체가 됨. | 2024년 |
옥토베이스(MI-00) | 베이스 음원. 일렉베이스용 현에 양면 테이프를 대고, 그것을 전자석으로 떼어내어 저음을 냄. | 1996년 |
기타라(가칭)(MI-01) | 6개의 기타를 발판식 오르간으로 원격 조작하는 전동 기타. | 1994년 |
고무 베이스(MI-02) | 고무 밴드를 현으로 사용한 컴팩트 프렛리스 베이스. 실용신안 등록. | 1995년 |
고무 베이스II(MI-02 II) | 외관을 중시하여 일렉베이스로 개조한 99년형 고무 베이스. | 1999년 |
고무 베이스 DX | 신형 매실 코스용 고무 베이스. | 2024년 |
타라터(MI-03) | 누구든지 간단하게 탭을 밟을 수 있는 리모컨식 탭 슈즈. 발가락의 노커를 손가락 끝으로 조작. | 1993년 |
보이스 비브라토(MI-04) | 강력 모터의 진동으로 소리에 비브라토를 거는 장치. | 1994년 |
울트라 포크(MI-05) | 기타형 전원 스위치. 100V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피크로 스프링 현을 튕기면 통전. | 1996년 |
울트라 포크II(MI-05 II) | 아르페지오, 스트로크 등의 포크 기타의 기본 조작을 일부러 원격 조작하는 기계. | 1999년 |
기타라 슬림(야용)(MI-06) | 기타라(가칭)를 컴팩트하게 한 전동 기타. | 1998년 |
기타라 컴팩트(G3)(MI-06 II) | 휴대성을 중시한 99년형 기타라. | 1999년 |
록토베이스(MI-07) | 옥토베이스를 컴팩트하게 한 전동 베이스. | 1998년 |
아르페지에이터(MI-08) | 전동 토이 피아노. | 1998년 |
타케다마루(MI-09) | 양키 호른(미군 방출품의 호른)이 유래. 폭주족도 자주 사용하는 클락션을 이용한 색소폰형 양키 호른. 미국인이라는 의미의 양키와 불량이라는 의미의 양키의 말장난. 참고로, 타케다마루를 거꾸로 읽으면 「마루다 타케(건담)」가 된다. | 1998년 |
소우츠보(MI-10) | 전동 뮤직 쏘. 2장의 톱을 두드려 소리를 낸다. | 1998년 |
넨넨 콜로리(MI-11) | 아기를 달래는 「가라가라」를 전동으로 움직이는 장치. | 1998년 |
쁘띠쁘띠 펀치(MI-12) | 에어캡(쁘띠쁘띠)를 연속적으로 부수는 장치. | 1998년 |
코토타마(MI-13) | 버저에서 뻗어 나온 호스를 입에 물고, 입 안에서 버저의 소리를 울려 로봇처럼 말할 수 있는 장치. | 1998년 |
펀치군 렌다짱(MR-01) | 댄스 로봇. 복싱 글러브를 낀 양팔이 스위칭에 의해 신축. 메이와덴키의 라이브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 | 1994년 |
펀치군 컴팩트 | 신형 매실 코스용 펀치군&렌다짱. 목은 관객이 가져갈 수 있다. | 2024년 |
메이와군(MR-02) | 사장(현 회장)·부사장(현 사장)형 전동 마펫. | 1995년 |
플레이메이드(MR-03) | 자동 연주 로봇. α형·β형·γ형의 3체가 있으며, α형은 건반 하모니카를, β형·γ형은 북을 자동 연주. | 1999년 |
로보브라질(MR-04) | 삼바풍의 리듬을 연주하는 퍼커션 로봇. | |
ELT(MV-01) | 8×8=64개의 전구를 컨트롤하여 패턴을 그리는 전광판. | 1997년 |
ELT 컨트롤러(MV-02) | 흑백으로 그려진 패턴을 읽어들여 ELT에 표시하는 아날로그 영상 컨트롤러. 레코드식과 핸디 스캐너식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읽어들일 수 있다. | 1997년 |
마그네베이스(MI-14) | 자동 베이스. 자석에 붙어 있는 금속판을 전자석으로 떼어내어 소리를 낸다. | 2012년 |
후지베이스(MI-15) | 후지산 모양의 자동 베이스 기타. MIDI-AC 컨버터를 내장. | 2013년 |
메카기타 | 신형 매실 코스용 자동 기타. | 2024년 |
5. 3. 보이스 메카닉스 시리즈 (Voice Mechanics Series)

소리가 지닌 “기능성”과 “주술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티브로 개발된 넌센스 머신이다. 소리의 메커니즘이 지닌 재미와 감정과 밀접하게 연결된 소리라는 점에 매료되어 전개된 시리즈이다.[29] 그 이미지의 원점이 되는 1992년에 그려진 「물고기에게 목구멍을 빼앗긴 어부」의 스케치는 「어떤 어부의 목구멍에 물고기가 꼭 맞게 박혀 있다. 그 물고기가 뽑히고 어부는 목소리를 잃는다」는 내용의 악몽에서 그려진 것으로, 그 물고기 모양의 목구멍은 결과적으로 오타마톤으로 변모하게 된다.
보이스 메카닉스 시리즈의 구상 이전에 제작된 작품으로 「기ョ・루이 16세」가 있다. 이것은 토사 신도가 대학 4학년 때 수업 과제로 제작한 장난감이다. 조종하는 사람의 목에 부착된 「스위치」와 「마이크」가 기ョ・루이 16세에 연결되어 있어, 조종하는 사람이 말하면 같은 타이밍으로 말하는 것이다. 이름의 유래는 프랑스 왕조 스타일의 옷을 입고 있기 때문이다.
- 세이몬즈(VM-01): 고무로 만든 인공 성대에 풀무로 공기를 보내, 장력을 컴퓨터 제어함으로써 노래를 부르는 장치. 세 개가 있으며, 각각의 이름은 「앤(Anne), 베티(Betty), 클라라(Clara)」이다. (2004년)
- 딩고(VM-02): 인공 성대의 소리를 입에 해당하는 파이프의 개폐에 따라 변화시켜 「개」처럼 짖는 기계이다. (2004년)
- 와하 고고(VM-03): 사람처럼 웃는 로봇. 플라이휠의 회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풀무를 움직이고, 그 풍력으로 「인공 성대」를 울리면서 「음정」「포르만트」「공기의 흐름량」을 제어함으로써 사람처럼 웃는 기계이다. (2009년)
- 오타마톤 점보(VM-04): 라이브 스테이지용으로 개발된 대형 오타마톤. 입을 벌리기 위해 전용 펜치를 사용한다. 「고음 중음 저음」의 음정 전환 가능. 라인 아웃 기능이 있다. (2010년)
- 바우간(VM-05): 개처럼 짖는 라이플. (2011년)
- 피아메카(VM-06): 자동 건반 하모니카. 풍선에서 건반 하모니카로 보내진 공기를 컴퓨터 제어함으로써 소리를 낸다. (2011년)
- 실린더 리코더(VM-07): 자동 팬플루트. 풍선에서 시험관으로 보내진 공기를 컴퓨터 제어함으로써 소리를 낸다. (2011년)
- 오타마톤: 8분음표 모양의 악기이다.[29] 음표의 기둥 부분을 적절히 눌러 음높이를 조절하며, 머리의 입 부분을 여는 정도에 따라 음질, 소리의 크기가 변한다.[30]
5. 4. 에델바이스(EDELWEISS) 시리즈 (Edelweiss Series)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EDELWEISS 시리즈는 도사 노부미치(土佐信道) 자신이 "여성이란 무엇이며, 생물학적인 암컷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주제로 한다.[3] 여성이 지닌 "자궁, 유전자, 외형, 패션, 에로스, 모성" 등의 특징을 허구의 수정 꽃인 "EDELWEISS(에델바이스)"에 상징시켜, 그 꽃을 찾기 위한 아이템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이른바 "신데렐라(=꽃)를 찾기 위해 유리구두를 스스로 만드는" 역전된 창조적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있다.[3] 명화전기(明和電機)에서 분리되어 도사 노부미치의 개인 활동으로 전개되고 있다.2004년에 EDELWEISS 시리즈의 핵심이 되는 "EDELWEISS PROGRAM(에델바이스 프로그램)"이라는 제목의 이야기를 발행했다. 수컷은 그 노예가 되고, 완전히 암컷 사회인 "말쿄(末京)"를 무대로, "애플 엔진(アップル・エンジン)", "푸들들의 반란(プードルズの反乱)", "노래하는 빗(歌う櫛)" 세 가지의 동화로 구성되어 있다. "푸들들의 이야기(プードルズの物語)"와 최종장인 "노래하는 빗의 이야기(歌う櫛の物語)" 사이에 삽입되는 네 번째 동화인 "우는 양의 이야기(泣く羊のものがたり)"는 현재 집필 중이라고 한다.
"에델바이스(エーデルワイス)" 시리즈는, 비유하자면 "겐지 이야기(源氏物語)"가 있고, 거기에서 "조개 맞추기(貝あわせ)"나 "벼루 상자(硯箱)"와 같은 공예품이 탄생하는 것과 비슷하다. (2004년 11월 넌센스=머신즈 전(ナンセンス=マシーンズ展) 개최 당시 인터뷰에서 인용)
각 제품 번호는 이야기 속 해당하는 소절을 나타낸다.
제품명 | 설명 | 제작년도 | 비고 |
---|---|---|---|
펠티에 플라워(ペルチェフラワー)(Int1*) | 저온에서 끓는 특수한 액체를 펠티에 소자로 가열하여 풍선을 부풀림으로써 피는 꽃. | 2023년 | |
말쿄 총(末京銃)(Mat2*6) | 150종류의 화장품이 들어있는 유리병 총알을 발사하는 기관총. "말쿄 액(末京液)"을 제조. | 2000년 | |
말쿄 액(末京液)(Mat1*5) | "말쿄 총(末京銃)"이 발사한 150종류의 화장품이 섞여 만들어진 궁극의 향수. | 2000년 | |
말쿄 등(末京灯)(Mat2*1) | 연결하면 통전되어 점등하는 꽃 모양의 조명. | 2007년 | |
허니 행거(ハニーハンガー)(Mat1*1) | 옷의 무게로 피스톤이 올라가, 통 안의 꿀이 옷에 스며드는 옷걸이. | 2002년 | |
사바오 마스크(サバオ・マスク)(App6*4) | 손잡이를 돌리면 얼굴이 개폐하는 사바오의 가면. | 2001년 | |
플라워 사바오(フラワーサバオ)(App3*2) | 소녀들이 사용하는 플라스틱 머리핀에 묻힌 사바오. | 2000년 | |
마린카(マリンカ)(App1*3) | 연주하면서 개폐하는 꽃 모양의 목각 악기. | 2001년 | |
메카 포크(メカフォーク)(App6*3) | 자동 포크 기타. "드럼", "베이스", "기타", "만돌린" 네 종류. | 2002년 | |
푸들즈 나이프(プードルズナイフ)(Poo3*4) | 푸들즈 헤드(プードルズヘッド)의 송곳니로 만든 나이프. | 2006년 | |
푸들즈 헤드(プードルズヘッド)(Poo5*3) | 엔진으로 구동되는 나이프가 나란히 있는 턱으로, 암컷을 깨무는 장치. | 2004년 | |
뉴턴 총(ニュートン銃)(App4*3) | 사과 총알을 떨어뜨려 지구의 중심을 정확하게 겨냥하는 라이플. 조준기 형태의 수평계 부착. | 1998년 | |
머스탱(ムスタング)(Poo5*4) | 휘발유를 태워 순수하게 배기가스의 향기를 즐기는 아로마 장치. 용기는 비행기 형태로 변형. | 2000년 | |
로맨스 글래스(ロマンスグラス) | 세상을 로맨스로 잘라내는 반지. | 2006년 | |
블러드 링(ブラッドリング) | 체온으로 색깔이 변하는 반지. | 2007년 | |
박 올골(バク・オルゴール) | 꿈을 먹는 박(獏)의 그림자가 오르골에 맞춰 움직이는 침대 옆 조명. | 2007년 | |
우는 양 시계(泣き羊時計) | 눈물이 떨어짐으로써 시간을 재는 물시계. | 2007년 | |
스퍼마 아머(スペルマ・アーマー)(Cmb2*3) | 갑옷을 입은 정자 모형. 안의 유리관에 정자를 담는다. | 2000년 | |
헤어 미터(ヘアメータ)(Cmb*4) | 연인으로부터 받은 머리카락의 길이 변화로 온도를 측정하는 휴대용 온도계. | 1999년 | |
에델바이스 디지털<이미지 모델>(エーデルワイス・デジタル<イメージモデル>)(Cmb1*4) | "콧노래 부르는 빗(ハミングする櫛)", "피부로 연주하는 피아노 팔찌(皮膚で演奏するピアノのブレスレッド)", "심장 박동의 파도 소리를 듣는 귀걸이(心拍の潮騒を聞くイヤリング)", "목소리 파형을 보는 목걸이(声の波形を見るネックレス)", "체온으로 자라는 눈의 팔찌(体温で成長する雪のブレスレッド)"의 이미지 모델. | 2008년 | |
프레 에델<이미지 모델>(プレエーデル<イメージモデル>)(Cmb1*4) | 심장 박동에 맞춰 빛나는 목걸이. 이미지 모델. | 1999년 | |
우는 양(泣き羊) | 실명한 눈에서는 은색 눈물을 흘리고, 순환하는 양 모양의 가면. | 2014년 | |
오셀로스코프(オセロスコープ) | 2가지 색깔의 면을 회전시켜 색깔을 섞음으로써 피부의 색깔을 측정하는 장치. | ||
호크로스코프(ホクロスコープ) | 배꼽을 중심으로 전신의 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치. 이를 통해 점의 별자리표를 만들 수 있다. | ||
마우츄 라이터(マウチュライター) | 구멍이 뚫린 문자판을 빨아들임으로써 피부에 점 문자의 키스 마크를 만드는 장치. |
6. 음반 목록
메이와덴키는 1996년 1월 '제공 명화전기' 앨범으로 CD 데뷔를 한 후,[21] 정규 음반, 미니 음반, 싱글 등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다.
'''정규 음반'''
메이와덴키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도쿠마 재팬 커뮤니케이션즈, 소니 뮤직 다이렉트를 통해 여러 장의 정규 음반을 발매했다.
'''미니 음반'''
메이와덴키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와 도쿠마 재팬 커뮤니케이션즈를 통해 다수의 미니 앨범을 발매했다.
'''싱글'''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에델바이스'와 MaywaDenki 명의로 발매한 '히게 박사와 장난감 상자', 'SUSHI GO!' 등이 있다.
'''콜라보레이션'''
- 1997년 이박사와 '아리란메이덴' 유닛으로 미니 앨범 《오레와 우추노 환타지》를 발매했다.[21]
- 1999년 요시모토 흥업과 협업하여 오타루 요시모토전에서 전시 및 라이브를 진행했다.
- 2011년 요시모토 그라비아 에이전시(YGA) 멤버들과 아이돌 유닛 'NUT'를 프로듀스, 싱글 《오메데톤♡아리가톤》을 발매했다. (테레비 도쿄 피라메키노 엔딩곡)[21]
- 2017년 플라잉 타이거 코펜하겐에서 가짜 피시 코드를 발견, 전량 구매 후 메이와덴키 제품으로 재포장하여 판매했다.[21]
- 2024년 세이덴바 사쿠와 콜라보레이션 곡 '''가르쳐줘! 초극강 전뇌 마작'''을 발표했다.
발매일 | 타이틀 | 규격품번 | 비고 |
---|---|---|---|
1997년 10월 1일 | POISON JUNKIE | KSC2-193 | 1997년 「현대음악(메이와덴키 메들리)」수록 이 박사+시노하라 토모에+메이와덴키와의 유닛 아리란 메이덴 명의 |
6. 1. 정규 음반
발매일 | 타이틀 | 규격품번 | 비고 |
---|---|---|---|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 |||
1996년 1월 21일 | 提供 明和電機 (테이쿄우 메이와덴키) | SRCL-3462 | 미니앨범 |
1996년 8월 21일 | 御中元 明和電機 (오츄우겐 메이와덴키) | SRCL-3629 | 미니앨범 |
1997년 8월 21일 | 魁 明和電機 (사카이키 메이와덴키) | SRCL-3997 | 미니앨범 |
1997년 10월 1일 | 俺は宇宙のファンタジー (오레와 우추노 환타지) | KSC2-193 | 미니앨범. 이 박사와의 유닛 아리란메이덴 명의 |
1998년 5월 21일 | 道 (미치) | SRCL-4226 | 미니앨범 |
도쿠마 재팬 커뮤니케이션즈 | |||
2000년 7월 26일 | SAVAO | TKCA-71974 | 미니앨범 |
2001년 8월 22일 | サバオでサンバ! (사바오데 삼바!) | TKCA-72203 | 미니앨범 |
2002년 6월 26일 | 地球のプレゼント (치큐노 프레젠토) | TKCA-72364 | 미니앨범. 기발매곡을 포크 어레인지한 곡과 신곡을 추가. |
소니 뮤직 다이렉트 | |||
2005년 9월 28일 | GOLDEN☆BEST 明和電機 (골든☆베스트 메이와덴키) | MHCL 627~8 |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소속 시의 음원·미발표 음원을 수록한 소니 시대의 컴플리트 베스트 |
6. 2. 미니 음반
발매일 | 타이틀 | 규격품번 | 비고 |
---|---|---|---|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 |||
1996년 1월 21일 | 提供 明和電機 (테이쿄우 메이와덴키) | SRCL-3462 | 미니앨범 |
1996년 8월 21일 | 御中元 明和電機 (오츄겐 메이와덴키) | SRCL-3629 | 미니앨범 |
1997년 8월 21일 | 魁 明和電機 (사카키 메이와덴키) | SRCL-3997 | 미니앨범 |
1997년 10월 1일 | 俺は宇宙のファンタジー (오레와 우츄노 판타지) | KSC2-193 | 미니앨범. 이 박사와의 유닛 아리란메이덴 명의 |
1998년 5월 21일 | 道 (미치) | SRCL-4226 | 미니앨범 |
도쿠마 재팬 커뮤니케이션즈 | |||
2000년 7월 26일 | SAVAO | TKCA-71974 | 미니앨범 |
2001년 8월 22일 | サバオでサンバ! (사바오데 산바!) | TKCA-72203 | 미니앨범 |
2002년 6월 26일 | 地球のプレゼント (치큐노 프레젠토) | TKCA-72364 | 미니앨범. 기발매곡을 포크 어레인지한 곡과 신곡을 추가. |
6. 3. 싱글
(선행 판매)2020년 7월 2일
(정식 판매)
SUSHI GO!를 SUSHI BEAT (NAMI) 구입자가 직접 연주함으로써 완성되는 것으로 발표.
7월 2일, Youtube 라이브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4tzmCSXdEbc SUSHI BEAT에서 아크릴 케이스 등 관련 상품 발표, MV 공개, 음원 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