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트 (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트는 우가리트 신화에서 죽음을 의인화한 존재이다. 바알의 형제이자 적대자로, 계절의 변화와 죽음, 가뭄, 화재를 상징한다. 모트는 지하 세계를 다스리며 바알과 대립하는데, 아나트에 의해 살해당했다가 부활하여 다시 바알과 싸우는 과정을 반복한다. 페니키아 신화에서는 엘의 아들이자 죽음의 신으로 묘사되며, 유대교 유월절 전통과의 관련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히브리 성경에서는 죽음이 의인화되어 나타나기도 하며, 모트에 대한 숭배나 제의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우가리트 신화에서 모트(mt)는 죽음의 의인화이다. 이 단어는 셈어족[4] 및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죽음'을 의미하는 여러 동족어에 속한다.
모트는 비와 폭풍의 신 바알의 형제이자 적대자이다. 그와 바알의 싸움은 우기와 건기의 교체를 의미하며 계절의 변화를 설명한다. 그의 육체는 초목을 시들게 하는 명계 그 자체이고, 그의 입은 하늘부터 땅까지를 덮는 저승의 문이며, 모든 생물은 그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건기에는 바알조차 쉽게 힘을 쓰지 못하고 참고 기다릴 수 밖에 없다고 한다. 그의 존재는 인간이 갖는 두려움 중에 죽음, 가뭄, 화재를 상징한다.
모트에 대한 숭배나 제의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16]
모트는 비와 폭풍의 신 바알의 형제이자 적대자이다. 그와 바알의 싸움은 우기와 건기가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계절의 변화를 설명한다. 초목을 시들게 하는 그의 육체는 명계 그 자체이고, 그의 입은 하늘부터 땅까지 덮는 저승의 문이며, 모든 생물은 그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건기에는 바알조차 쉽게 힘을 쓰지 못하고 참고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의 존재는 인간이 갖는 두려움 중에 죽음, 가뭄, 화재를 상징한다.
[1]
웹사이트
The Gods and Goddesses of Canaan {{!}} Essay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https://www.metmuseu[...]
2023-02-26
2. 명칭
موت|mawtar
מות|mot 또는 mavethe
mewt몰타어
mautāsyc
motgez
mwtegy
mwtber
mwtarc
mwt’ar
mutaman
mūtuakk
mutuwahau
mutang[5]
3. 신화
3. 1. 우가리트 신화
모트는 비와 폭풍의 신 바알의 형제이자 적대자이다. 그와 바알의 싸움은 우기와 건기의 교체를 의미하며 계절의 변화를 설명한다.[15] 그의 육체는 초목을 시들게 하는 명계 그 자체이고, 그의 입은 하늘부터 땅까지를 덮는 저승의 문이며, 모든 생물은 그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19] 건기에는 바알조차 쉽게 힘을 쓰지 못하고 참고 기다릴 수 밖에 없다고 한다. 그의 존재는 인간이 갖는 두려움 중에 죽음, 가뭄, 화재를 상징한다.
모트("죽음") 이야기의 주요 출처는 우가리트어이다.[6][7] 그는 엘의 아들이며,[1] 신 하닷(바알)이 그의 사자들에게 내린 지침에 따르면, 'hmry'('미레이')라는 도시에 살며, 구덩이가 그의 왕좌이고, 오물이 그의 유산이다. 그러나 바알은 그들에게 "신성한 죽음에 가까이 가지 말라. 그가 너를 입 안의 어린 양처럼 만들지 않도록, (그리고) 너희 둘 다 그의 기관지의 틈새로 어린 염소처럼 휩쓸려 가지 않도록."라고 경고한다.
하닷은 모트에게 자신의 잔치에 와서 그에게 복종하도록 권유하는 듯하다. 죽음은 자신의 식욕이 광야의 사자와 같고, 바다의 돌고래의 갈망과 같다는 메시지를 다시 보내며, 바알 자신을 잡아먹겠다고 위협한다. 이후의 구절에서 죽음은 그의 위협을 실행하거나, 적어도 바알을 죽였다고 믿도록 속는 듯하다. 여신 샤파쉬가 바알의 누이 아낫과 함께 그를 매장하면서 태양은 빛을 멈춘다. 아낫은 모트에게 다가가 그를 붙잡아 칼로 쪼개고, 체로 키질하고, 불에 태우고, 맷돌 아래에서 갈고, 마지막으로 남은 것을 새들이 먹도록 들판에 던진다.
바알의 아버지인 엘은 바알이 살아 있다는 꿈을 꾸고, 샤파쉬를 보내 그를 다시 살려내도록 한다. 왜냐하면 땅이 건조해졌기 때문이다.
7년 후, 죽음은 복수를 위해 돌아와 바알의 형제 중 하나를 먹어 치우라고 요구한다. 모트는 바알이 자신의 형제들을 먹게 하고, 그의 어머니의 아들들을 소비하게 했다고 불평한다. 두 사람 사이의 단독 전투가 벌어지다가 태양 여신 샤파쉬가 모트를 꾸짖으며, 그의 아버지 엘이 그에게 등을 돌리고 그의 왕좌를 뒤엎을 것이라고 알린다. 모트는 항복하고, 갈등은 끝난다.
지하 세계를 다스리는 모트와의 대결을 결심한 바알은, 자신이 신들의 왕이 된 축연에 초대할 사자를 모트에게 보냈다. 하지만, 바알의 궁전에서 열린 축연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인간의 고기가 아닌 요리와 포도주가 제공되는 것을 알게 된 그는 분노하며, 바알 자신이 찾아올 것을 요구했다. 바알은 모트에게 따르겠다는 뜻을 전하고, 모트의 곁으로 내려간다. 그 전에 바알은, 태양신 샤프슈의 조언을 받아 몰래 암소와의 사이에 아들을 두었다. 모트는 명계에 온 바알을, 대리자인 줄 모르고 삼켜 살해한다.[17][18]
바알을 찾아 헤매던 아나트는 모트에게 바알을 돌려달라고 요구했지만, 모트는 바알을 삼켰다고 말했다. 분노한 아나트는 모트를 살해하고, 그 시체를 토막내고, 짓찧고, 태우고, 체로 쳐서 땅에 뿌렸다.[22][23] 이 아나트의 행위는 농사일의 습관을 반영한 것이거나 파괴를 의도한 마술적인 행위라고 생각된다.[16]
그 후 바알이 부활했지만, 7년 후에는 모트도 부활한다. 부활한 모트는 다시 바알과 싸웠다.[24][25] 이 싸움은 우기와 건기의 교체, 자연계와 농업의 주기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5] 또한, 모트의 부활이 7년째로 여겨지는 것은 밭을 7년마다 휴경시켜 다음 해의 풍작을 기대했던 의식의 반영이라고도 생각된다.[26]
싸움 도중, 모트는 바알에게, 그 형제를 한 명 보내지 않으면 인류를 다 먹어치우겠다고 위협했다.[27] 바알은 "모트의 아이들"을 보냈고, 모트는 다시 바알에게 도전했다.[16] 두 사람이 싸우는 곳에 태양신 샤프슈가 나타나, 모트에게 싸움을 멈추라고 호소했다. 모트는 이 중재를 받아들여, 바알이 신들의 왕임을 인정했다.[28][29]
3. 2. 페니키아 신화
모트는 비와 폭풍의 신 바알의 형제이자 적대자이다. 그와 바알의 싸움은 우기와 건기의 교체를 의미하며 계절의 변화를 설명한다. 초목을 시들게 하는 그의 육체는 명계 그 자체이고, 그의 입은 하늘부터 땅까지를 덮는 저승의 문이며, 모든 생물은 그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건기에는 바알조차 쉽게 힘을 쓰지 못하고 참고 기다릴 수 밖에 없다고 한다. 그의 존재는 인간이 갖는 두려움 중에 죽음, 가뭄 그리고 화재를 상징한다.[12]
유세비우스가 쓴 기록에 따르면, 필로 데 비블로스(Philo of Byblos)의 그리스어 의역본에는 산추니야톤이라는 페니키아 역사가가 등장한다. 이 기록에서 죽음은 '엘의 아들이며 신으로 여겨지는데, 텍스트는 '엘/크로노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레아와의 또 다른 아들 무트가 죽자 그는 그를 신격화했고, 페니키아인들은 그를 타나토스(['죽음'])와 플루토라고 불렀다.
그러나 산추니야톤은 더 이전의 철학적 창조 신화에서 자신의 부모와 결합한 거대한 바람에 대해 언급하며, 그 연결을 '갈망'(πόθος)이라고 불렀다.
> 그 연결로부터 모트가 생겨났는데, 어떤 이들은 그것을 진흙이라고 하고, 어떤 이들은 물의 부패라고 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모든 창조의 씨앗과 우주의 발생이 시작되었다. 그래서 감각이 없는 특정한 동물들이 있었고, 그들로부터 지능적인 동물들이 자라났는데, 이들은 "조파세민"이라고 불렸는데, 즉 "하늘을 관찰하는 자들"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그들은 달걀의 모양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모트는 빛, 태양, 달, 별, 그리고 거대한 별자리로 터져 나왔다.
여기서의 형태 ''모트''(Μώτ)는 나중에 등장하는 ''무트''(Μοὺθ)와 동일하지 않다.
3. 3. 유대교의 유월절 전통과의 관계 (논쟁)
일부 학자들은 유대교의 유월절 전통이 가나안을 비롯한 일부 셈족 국가에서 비의 신이었던 바알을 모트가 죽이는 신화와 관련된 의례로 시작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8][9] 현대 학자들은 그러한 견해가 원래의 서사 및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못했다며 반박하며, 오히려 히브리 성서 저자들이 주변 국가들의 종교적 세계관에 익숙한 청중을 대상으로 바알/모트 신화를 의도적으로 전복한 것이라고 지적한다.[10][11]
3. 4. 히브리 성경
모트는 비와 폭풍의 신 바알의 형제이자 적대자이다. 그와 바알의 싸움은 우기와 건기의 교체를 의미하며 계절의 변화를 설명한다. 초목을 시들게 하는 그의 육체는 명계 그 자체이고, 그의 입은 하늘부터 땅까지를 덮는 저승의 문이며, 모든 생물은 그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건기에는 바알조차 쉽게 힘을 쓰지 못하고 참고 기다릴 수 밖에 없다고 한다. 그의 존재는 인간이 갖는 두려움 중에 죽음, 가뭄, 화재를 상징한다.
히브리 성경에서 죽음("''Maweth''/''Mavet(h)''")은 때때로 언어적으로 의인화되는데, מָוֶת|마베트he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13]
4. 숭배
비블로스의 필론이 1세기에 남긴 기록에 따르면, 페니키아에서 숭배되던 신 '''무트'''는 로마 신화의 명계의 신 플루토와 동일시되었다고 한다.[16]
5. 현대적 해석
참조
[2]
서적
Canaanite Myths and Legends
https://books.google[...]
A&C Black
1978-04-01
[3]
논문
Baal and Mot in the Ugaritic Texts
https://www.jstor.or[...]
1962
[4]
웹사이트
Appendix II - Semitic Roots
https://ahdictionary[...]
[5]
서적
Hamito-Semitic Etymological Dictionary
Brill
2015
[6]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76
[7]
논문
Baal and Mot in the Ugaritic Texts
1962
[8]
서적
The Development and Symbolism of Passover
https://books.google[...]
2004-01
[9]
뉴스
Was Passover Originally an Ancient Canaanite Ritual to Stop the Rains?
https://www.haaretz.[...]
2015-04-02
[10]
뉴스
Are Yahweh and El Distinct Deities in Deut. 32:8-9 and Psalm 82?
https://digitalcommo[...]
[11]
간행물
The Song of the Sea and the Subversion of Canaanite Myth: A Missional Reading
https://place.asbury[...]
[12]
간행물
Praeparatio Evangelica
http://www.tertullia[...]
[13]
논문
Baal and Mot in the Ugaritic Texts
1962
[14]
문서
谷川訳 1998
[15]
문서
高井 2013
[16]
문서
図説古代オリエント事典 大英博物館版
[17]
문서
柴山訳 1978
[18]
문서
谷川訳 1998
[19]
문서
高井 2013
[20]
문서
谷川訳 1998
[21]
문서
柴山訳 1978
[22]
문서
柴山訳 1978
[23]
문서
谷川訳 1998
[24]
문서
柴山訳 1978
[25]
문서
谷川訳 1998
[26]
문서
グレイ, 森訳 1993
[27]
문서
谷川訳 1998
[28]
문서
柴山訳 1978
[29]
문서
谷川訳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