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나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나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죽음을 의인화한 신이다. 밤의 여신 닉스와 어둠의 신 에레보스의 아들이자 잠의 신 히프노스의 쌍둥이 형제이며, 파멸의 신 모로스, 죽음의 여신 케레스 등과 남매 관계이다. 타나토스는 종종 날개 달린 젊은이로 묘사되며, 횃불이나 칼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프로이트는 타나토스의 개념을 차용하여 인간의 자기 파괴적인 충동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 속 의인 - 아이세포스
아이세포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오케아노스와 테튀스의 아들이자 아이세포스 강의 강의 신이며,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가 에우리알로스에게 살해당했다. - 그리스 신화 속 의인 - 이리스
이리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무지개의 여신으로 헤라의 전령사이자 제우스의 심부름꾼이며, 날개 달린 모습으로 묘사되어 소통과 새로운 시작을 상징한다. - 그리스 지하신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그리스 지하신 - 가이아
가이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땅 그 자체를 의인화한 대지의 여신으로, 혼돈에서 태어난 태초의 신이자 우라노스와 결합하여 여러 신과 괴물의 어머니로서 만물의 근원으로 숭배받으며 신화와 전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신성한 쌍둥이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신성한 쌍둥이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타나토스 | |
---|---|
기본 정보 | |
![]() | |
신화 | 죽음의 의인화 |
상징 | 테타, 양귀비, 나비, 칼, 거꾸로 된 횃불 |
거주지 | 지하세계 |
로마Equivalent | 모르스 |
가족 관계 | |
부모 | 뉘크스 |
형제자매 | 모로스 케르 히프노스 오네이로스 모모스 오이쥐스 헤스페리데스 모이라이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 네메시스 아파테 필로테스 게라스 에리스 |
2. 그리스 신화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타나토스는 "밤" 닉스와 "흑암" 에레보스의 아들이며 히프노스("잠")와는 쌍둥이 형제이다.[34] 모로스("운명")과 케레스와도 남매지간인데, 이들 세 명은 각각 죽음의 다른 양상을 의미한다. 타나토스는 또한 닉스가 낳은 아파테(''사기''), 모모스(''비난''), 모이라이(''운명의 여신들''), 오이쥐스(''불행, 고초''), 오네이로이(''꿈''), 필로테스(우정), 에리스(''불화 不和'') 등과도 남매지간이다.
호메로스에서도 휘프노스와 타나토스는 형제지간으로 나오는데, 사르페돈이 죽었을 때 제우스가 아폴론에게 이들 형제들을 시켜서 사르페돈을 뤼키아로 데려가게 하는 대목이 나온다.[35] 여기서 타나토스는 매우 ‘빠른 호송자’로 지칭된다.
신통기에서는 철의 심장과 청동의 마음을 가진 비정한 신으로, 히프노스와 함께 대지의 아득히 하부의 타르타로스 영역에 관을 짓고 있다고 한다. 헤시오도스와 호메로스는 히프노스와 타나토스가 등에 날개가 난 모습으로 묘사했다.[36]
타나토스의 형제들 중에는 게라스 (노년), 오이쥐스 (고통), 모로스 (파멸), 아파테 (기만), 모모스 (비난), 에리스 (분쟁), 네메시스 (보복)과 같은 부정적인 의인화들이 있었다. 타나토스는 세 명의 모이라 (헤시오도스에게는 밤의 딸이기도 함), 특히 그 자체로 죽음의 여신이었던 아트로포스와 느슨하게 연관되었다. 그는 때때로 평화로운 죽음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명시되는 반면, 피에 굶주린 케레스는 폭력적인 죽음을 구현했다. 그의 저승 인도자로서의 의무는 때때로 헤르메스 프쉬코폼포스에 의해 대체되었다.
2. 1. 시시포스 신화
코린트의 왕 시시포스가 죽을 때가 되자 제우스는 타나토스에게 시시포스를 타르타로스에 묶어두라고 명령했다. 시시포스는 타나토스를 속여 족쇄에 가두었고, 타나토스가 족쇄에 묶여 있는 동안 어떤 필멸자도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막았다.[34][6]결국 전쟁의 신 아레스는 전투에서 어느 쪽도 사상자를 낼 수 없어 타나토스를 풀어주고 시시포스를 넘겨주었다.[6] 이후 시시포스는 페르세포네를 설득하여 아내에게 돌아갔는데, 제대로 장례를 치러주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시시포스는 헤르메스에 의해 저승으로 강제로 끌려갔고, 타르타로스에서 언덕 위로 바위를 굴리는 형벌을 받았다.[8][9][10]
기원전 6세기의 그리스 서정 시인 알카이오스는 이 에피소드를 언급했다.
또한 시시포스가 제우스의 분노를 사자, 타나토스를 덫에 걸어 붙잡았다. 그 때문에 지상의 인간이 죽지 않게 되자, 아레스는 타나토스를 구출하여 명계로 데려갔다.[33]
2. 2. 알케스티스 신화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타나토스는 "밤" 닉스와 "흑암" 에레보스의 아들이며 히프노스("잠")와는 쌍둥이 형제이다.[34] 호메로스에서도 휘프노스와 타나토스는 형제지간으로 나오는데, 사르페돈이 죽었을 때 제우스가 아폴론에게 이들 형제들을 시켜서 사르페돈을 데려가게 하는 대목이 나온다.[35] 여기서 타나토스는 매우 ‘빠른 호송자’로 지칭된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알케스티스』에서 페라이 왕 아드메토스의 아내 알케스티스는 남편을 대신해 죽게 되었는데, 약속한 날에 정확히 집에 온 타나토스는 운명의 여신 모이라들을 속여 인간의 수명을 바꾸게 한 아폴론을 비난한다. 타나토스는 "알케스티스의 영혼은 빼앗길 것이다"라고 아폴론에게 예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듣지 않고 영혼을 데려가려고 하지만, 아드메토스의 친구 헤라클레스가 집을 방문하여 사정을 알게 되자 알케스티스의 영혼을 힘으로 되찾았다.
타나토스는 알케스티스의 영혼을 데려가기 위해 왔는데, 그녀는 남편인 페라이의 왕 아드메토스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자신의 생명을 바쳤다. 헤라클레스는 그 당시 아드메토스의 집에 명예로운 손님이었고 알케스티스의 생명을 위해 죽음과 직접 대결하여 왕의 환대를 갚을 것을 제안했다. 타나토스가 하데스에서 알케스티스를 데려가기 위해 올라오자 헤라클레스는 그 신에게 달려들어 그를 제압하여 알케스티스를 남겨둘 권리를 얻었고, 타나토스는 그의 사냥감을 속여 달아났다.[12]
에우리피데스의 ''알케스티스''에서 언급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 3. 그 외의 신화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타나토스는 "밤" 닉스와 "흑암" 에레보스의 아들이며 히프노스("잠")와는 쌍둥이 형제이다.[34] 모로스("운명")과 케레스와도 남매지간인데, 이들 세 명은 각각 죽음의 다른 양상을 의미한다. 타나토스는 닉스가 낳은 아파테(''사기''), 모모스(''비난''), 모이라이(''운명의 여신들''), 오이쥐스(''불행, 고초''), 오네이로이(''꿈''), 필로테스(우정), 에리스(''불화 不和'') 등과도 남매지간이다.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제우스는 아폴론에게 사르페돈이 죽었을 때, 이들 형제(휘프노스와 타나토스)를 시켜서 사르페돈을 데려가게 한다.[35] 여기서 타나토스는 매우 ‘빠른 호송자’로 지칭된다.
시지프스를 데리러 가던 중, 시지프스에게 족쇄에 묶여 세상에서 죽은 생명들이 단 하나도 없었다. 신통기에서는 철의 심장과 청동의 마음을 가진 비정의 신으로, 휴프노스와 함께 대지의 아득히 하부의 타르타로스의 영역에 관을 짓고 있다고 한다. 휴프노스와 함께 등에 날개가 난 모습으로 그려진다.[36]
타나토스의 형제들 중에는 게라스 (노년), 오이쥐스 (고통), 모로스 (파멸), 아파테 (기만), 모모스 (비난), 에리스 (분쟁), 네메시스 (보복)과 같은 부정적인 의인화들이 있었다. 타나토스는 세 명의 모이라 (헤시오도스에게는 밤의 딸이기도 함), 특히 그 자체로 죽음의 여신이었던 아트로포스와 느슨하게 연관되었다. 그는 때때로 평화로운 죽음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명시되는 반면, 피에 굶주린 케레스는 폭력적인 죽음을 구현했다. 그의 저승 인도자로서의 의무는 때때로 헤르메스 프쉬코폼포스에 의해 대체되었다.
아이올로스의 아들(그리고 티탄 프로메테우스의 후손)인 시시포스는 필멸의 존재 이상이었다. 보통의 인간에게 타나토스는 가차 없는 존재로 여겨졌다. 그가 필멸자의 생명을 빼앗는 것을 성공적으로 막은 유일한 때는 영웅 헤라클레스가 제우스의 아들로 개입했을 때였다. 타나토스는 알케스티스의 영혼을 데려가기 위해 왔는데, 그녀는 남편인 페라이의 왕 아드메토스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자신의 생명을 바쳤다. 헤라클레스는 그 당시 아드메토스의 집에 명예로운 손님이었고 알케스티스의 생명을 위해 죽음과 직접 대결하여 왕의 환대를 갚을 것을 제안했다. 타나토스가 하데스에서 알케스티스를 데려가기 위해 올라오자 헤라클레스는 그 신에게 달려들어 그를 제압하여 알케스티스를 남겨둘 권리를 얻었고, 타나토스는 그의 사냥감을 속여 달아났다.[12]
- -|]]|thumb|250px|프레데릭 레이턴 『알케스티스를 구하기 위해 죽음과 싸우는 헤라클레스』 (1869년)]]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알케스티스』에서는, 페라이 왕 아드메토스의 아내 알케스티스가 남편을 대신해 죽게 되었지만, 약속한 날에 정확히 시간에 집에 온 타나토스는 운명의 여신 모이라들을 속여 인간의 수명을 바꾸게 한 아폴론을 비난한다. 타나토스는 "알케스티스의 영혼은 빼앗길 것이다"라고 아폴론에게 예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듣지 않고 영혼을 데려가려고 하지만, 아드메토스의 친구 헤라클레스가 집을 방문하여 사정을 알게 되자 알케스티스의 영혼을 힘으로 되찾았다.
시시포스가 제우스의 분노를 사서 연행하려던 타나토스를 덫에 걸어 붙잡았다. 그 때문에 지상의 인간이 죽지 않게 되자, 이를 눈치챈 군신 아레스는 타나토스를 구출하여 명계로 데려갔다.[33]
- -|]]|thumb|200px|야체크 마르체프스키 『Thanatos I』 (1892)]]
아일리안의 『그리스 기담집』 제2권 35화 "죽음과 잠은 형제라는 것, 고르기아스의 죽음"에서, 레온티노이의 고르기아스의 말년에 몸이 쇠약해져 어느새 멍하니 잠이 드는 상태로 병상에 있었을 때 "잠의 신은 나를 형제신에게 넘겨주기 시작했다"라고 친한 친구에게 말했다.
일설에는 레테와 형제라고도 한다. 휩노스와 타나토스의 형제는 후에 독일에서 자트만과 그의 동생인 죽음의 신의 모델이 되었다.
3. 심리학 및 기타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인간에게 삶의 본능인 에로스와 함께 죽음 충동이 있다고 보았으며, 이 죽음 충동을 "타나토스"라고 불렀다. 죽음 충동은 인간이 자기 파괴적이거나 위험한 행동을 하도록 이끈다고 여겨진다. 스릴 추구 행동이나 공격성은 타나토스 본능에서 비롯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 파괴적 충동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가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프로이트가 언급한 행동들이 지각 편향(미래의 위험보다 즉각적인 쾌락을 선호하는 경향)이나 위험 계산(사회적 지위나 번식 성공 가능성이 위험보다 더 크다고 판단하는 경우) 등 더 단순한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본다.
사망 공포증은 죽음이나 죽음을 연상시키는 것(시체, 묘지 등)에 대한 공포를 의미한다. 이는 시체 공포증과 관련되지만, 시체 공포증은 일반적인 죽음에 대한 공포보다는 죽은 시체에 대한 특정한 공포를 가리킨다.
타나토포성 이형성증은 출생 시 치명적인 골격 이형성증으로, '타나토포로스'는 그리스어로 "죽음을 낳는 자"라는 뜻이다.
3. 1. 사망학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인간 본성에 내재된 자기 파괴적이고 무생물로 회귀하려는 죽음충동을 '''타나토스'''라고 정의했다. 이 개념은 죽음에 대한 학문적 연구인 '''사망학(Thanatology)'''의 어원이 되었다.[18]사망학은 인간의 죽음을 과학적, 학문적으로 탐구하는 분야이다. 죽음을 둘러싼 여러 상황, 유족들이 겪는 슬픔, 장례 의식 및 기념 등 죽음에 대한 사회적 태도 전반을 다룬다. 간호학, 심리학, 사회학, 정신의학, 사회복지학, 수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간학문적 연구로 진행되며, 죽음과 사후에 따르는 신체적 변화도 연구 대상이다.
3. 2. 안락사
안락사는 그리스어로 "좋은 죽음"을 뜻하며, 심각하고 치료 불가능한 고통이나 장애를 겪는 사람의 생명을 끝내는 행위 또는 관행이다.[18] 이는 일반적으로 치사 주사 또는 특수한 의료 치료 중단을 포함한다. 의사 잭 케보키언은 자신의 안락사 장치를 타나트론이라고 명명했다.[18]4. 예술에서의 묘사
타나토스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닉스(밤)의 아들이자 힙노스(수면)의 형제로 묘사되었다.[6]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스''에서는 힙노스와 타나토스가 쌍둥이 형제로, 제우스의 명으로 살해된 영웅 사르페돈을 그의 고향 리키아로 인도하는 역할로 나타난다.[7]
후대에 엘리시움에서 삶에서 죽음으로의 전환이 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면서, 타나토스는 아름다운 에페보스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는 비참한 죽음보다는 부드러운 죽음과 더 많이 연관되었다. 많은 로마 사르코파거스는 그를 큐피드와 매우 유사한 날개 달린 소년으로 묘사한다. 아서 버나드 쿡은 "다리를 꼬고 거꾸로 된 횃불을 든 에로스는 죽음을 나타내는 가장 흔한 상징이 되었다"라고 언급했다.[15]
타나토스는 어머니 닉스의 품에 안긴 잠자는 아기, 또는 나비 (고대 그리스어 "ψυχή"는 영혼이나 나비 또는 생명을 의미)나 양귀비 화환을 들고 있는 청년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양귀비는 최면 유도 특성과 과도하게 노출되면 죽음에 이르게 하는 특성 때문에 힙노스와 타나토스와 연관되어 있다.
그는 종종 꺼진 생명을 나타내는 거꾸로 된 횃불을 들고 있거나, 날개가 달린 모습이며 허리에는 칼집에 넣어둔 칼을 차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에우리피데스의 ''알케스티스''(기원전 438년)에서는 검은 옷을 입고 검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타나토스는 그의 쌍둥이 형제 힙노스 없이 예술 작품에 묘사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타나토스는 유프로니오스 크레이터에 묘사된 것으로 유명한데, 여기에서 그와 그의 형제 힙노스는 사르페돈의 시신을 장례를 위해 그의 집으로 옮기는 모습이 묘사된다.[16][17]
참조
[1]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
웹사이트
Thanatos, n.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1-18
[3]
LSJ
qa/natos
[4]
LSJ
qnh/{{!}}skw
[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6]
서적
Theogony
[7]
서적
Iliad
[8]
웹사이트
Bibliotheca
https://www.perseus.[...]
[9]
웹사이트
Homeros, Odyssey, 11.13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14-10-09
[10]
서적
Odyssey
[11]
기타
Fragment 38a
[12]
웹사이트
Heracles
http://www.timelessm[...]
2015-12-11
[13]
서적
Alcestis
[14]
서적
The Hymns of Orpheus: Tr. from the Original Greek: with a Preliminary Dissertation on the Life and Theology of Orpheus
https://books.google[...]
B. White and Sons
[15]
서적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1940
[16]
웹사이트
Euphronios Krater: The Continuing Saga (ca. 515 BC) – Ancient History Blog
http://ancientstanda[...]
2017-09-28
[17]
간행물
Euphronios and Memnon? Observations on a Red-figures fragment
https://www.metmuseu[...]
1987
[18]
웹사이트
PBS.org
https://www.pbs.org/[...]
2017-09-15
[19]
서적
神統記
[20]
서적
神話集
[21]
서적
神々の本性について
[22]
서적
イリアス
[23]
서적
神統記
[24]
서적
アルケースティス
[25]
서적
アルケースティス
[26]
서적
アルケースティス
[27]
서적
アルケースティス
[28]
서적
ギリシア神話
[29]
기타
ニオベー
[30]
서적
神統記
[31]
서적
アエネーイス
[32]
기타
ピロクテーテース
[33]
서적
ギリシア神話
[34]
서적
신통기
[35]
서적
일리아스
[36]
서적
그리스・로마 신화 사전
다이슈칸 서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소크라테스는 말했다…“철학은 죽음을 연습하는 것” [.t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