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천 장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천 장씨는 고려 시대에 공을 세운 장빈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장씨는 고려 태조 왕건이 목천 지역 백제 유민에게 장(獐) 축성을 하사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당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온 장백익을 시조로 하고 목천군 장빈을 1세조로 한다는 설이 존재한다. 목천은 현재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일대로,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 장윤문, 임진왜란 때 활약한 장윤, 제17대 국회의원 장경수 등이 있다. 목천 장씨는 전라남도 화순군과 순천시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2015년에는 15,746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천 장씨 - 장경수 (1959년)
장경수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건설교통위원회 위원과 열린우리당 지방행정체제개편 추진정책기획단 위원으로 활동했고, 시민사회 활동에도 참여했다.
목천 장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씨 | 목천 장씨 木川張氏 |
나라 | 한국 |
관향 |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
시조 | 장빈(張彬) |
중시조 | 장지(張池) |
집성촌 | 전라남도 화순군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
년도 | 2015 |
인구 | 15,746명 |
인물 | 장윤문 장윤 장경수 장진영 |
2. 기원
조선 성종 때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고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할 때 목천 지방의 백제 유민들이 따르지 않고 백제 부활을 꾀했다는 이유로 왕건이 이들에게 우(牛), 상(象), 돈(豚), 장(獐) 등의 짐승 성씨를 내렸는데, 이후 후손들이 우(于), 상(尙), 돈(頓), 장(張) 등으로 성씨를 회복했다고 한다.
《목천장씨족보》에는 당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온 장백익(張伯翼)을 시조로, 목천군 장빈을 1세조로 기록하고 있으나, 《임술보》와 《경자보》 등에는 “목천군 장빈이 있어 목천장씨가 생겼다.”라고만 기록되어 있다.
2. 1. 고려 태조 설
조선 성종 때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고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던 당시, 목천 지방의 백제 유민들이 순응하지 않고 백제 부활을 꾀하였다는 이유로 왕건이 이 지방민에게 우(牛; 소), 상(象; 코끼리), 돈(豚; 돼지), 장(獐; 노루) 등의 성(姓)을 주었는데, 후손들이 뒷날 우(于), 상(尙), 돈(頓), 장(張) 등으로 성씨를 회복하였다고 한다.2. 2. 시조 장빈 설
고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던 당시, 목천 지방의 백제 유민들이 순응하지 않고 백제 부활을 꾀했다는 이유로 왕건이 이 지방민에게 우(牛; 소), 상(象; 코끼리), 돈(豚; 돼지), 장(獐; 노루) 등의 축성을 주었는데, 후손들이 뒷날 우(于), 상(尙), 돈(頓), 장(張) 등으로 성씨를 회복하였다고 조선 성종 때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1]《목천장씨족보(木川張氏族譜)》의 상세계 분파도에는 당나라에서 신라에 건너온 장백익(張伯翼)을 시조로 하고 목천군 장빈을 1세조로 밝혀 놓았으나, 《임술보(壬戌譜)》와 《경자보(庚子譜)》 등에는 “목천군 장빈이 있어 목천장씨가 생겼다.”라고 되어 있다.[1]
3. 역사
목천 장씨(木川 張氏)의 시조 장빈(張彬)은 고려 시대에 공을 세워 목천군(木川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시조 장빈 이후 3대 혹은 4대의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후손들은 조선 시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남평현감(南平縣監)을 거쳐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이른 장지(張池)를 1세조(一世祖)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3. 1. 고려 시대
시조 '''장빈'''(張彬)은 고려 시대에 공을 세워 목천군(木川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시조 장빈 이후 3대 혹은 4대의 세계가 실전되어, 후손들은 조선 시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남평현감(南平縣監)을 거쳐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이른 '''장지'''(張池)를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3. 2. 조선 시대
시조 '''장빈'''(張彬)은 고려 시대에 공을 세워 목천군(木川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시조 장빈 이후 3대 혹은 4대의 세계가 실전되어, 후손들은 조선 시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남평현감(南平縣監)을 거쳐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이른 '''장지'''(張池)를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4. 본관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대목악군(大木岳郡)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대록군(大麓郡)으로 고쳤고,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목주(木州)로 개칭했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에 목천현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충청도 목천현의 토성(土姓)으로 우(于)·마(馬)·상(尙)·돈(頓)·장(張)·신(申) 6성이 기록되어 있다.[1] 1895년(고종 32년) 목천군으로 개편되었으나 1914년 목천면으로 축소되어 천안군에 편입되었고, 1942년 목천군의 일부였던 갈전면이 병천면으로 개칭되었다. 2002년 목천면이 목천읍으로 승격했다.
5. 분파
목천 장씨는 목원군파(木原君派), 주부공파(主簿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곽산공파(郭山公派), 첨추공파(僉樞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 죽산공파(竹山公派), 진주공파(晉州公派),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 선전공파(宣傳公派)로 분파되었다.
6. 주요 인물
- 장윤(張潤, 1552년 ~ 1593년) : 조선의 무신.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활약하다 전사하였다.
- 장경수(張炅秀, 1959년 ~ ) : 제17대 국회의원
- 장영술(張永述, 1960년 ~ ) : 현대제철 양궁감독
- 장진영(張眞榮, 1971년 ~ ) : 변호사
- 장영근 (張玲根, 1976년 ~ ) : 전라남도 중앙협력본부장
- 장재균(張在均, 2000년 ~ ) : 로안대부중개 팀장
6. 1. 고려
장윤문(張允文, 1138년 ~ 1211년)은 고려의 문신이다. 아버지는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장린(張麟)이고, 어머니는 상서우복야를 역임한 목천 우씨(木川于氏) 우방재(于邦宰)의 딸이다. 1186년(명종 16) 탐라가 반란을 일으켰다는 보고에 의하여 식목녹사(式目錄事)로서 대부주부 행탐라현령(大府注簿行耽羅縣令)으로 부임하였다. 1198년(신종 1) 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 있으면서 문하성의 녹사가 숙직 낭관·승선 등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폐단을 없애자고 건의하였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1202년 탐라가 실제로 반란을 일으키자 소부소감(小府少監)으로서 중낭장(中郎將) 이당적(李唐績)과 함께 탐라안무사(耽羅按撫使)가 되어 반란의 주모자인 번석(煩石)·번수(煩守) 등을 모두 처형하고 난을 진압하였다. 1203년 시대부경 우간의대부 지제고(試大府卿右諫議大夫知制誥)에 임명되었다. 1207년(희종 3) 대사성으로서 국자감시(國子監試)의 시관이 되어 90여 명을 선발하였다.6. 2. 조선
- 장윤문(1138년 ~ 1211년) : 고려 시대의 인물로 1202년 탐라안무사가 되어 반란을 진압하였고, 1207년에는 국자감시의 시관을 맡았다.
- 장윤(1552년 ~ 1593년) : 자는 명보(明甫). 1582년(선조 15) 무과에 급제. 임진왜란 당시 전라좌의병부장(全羅左義兵副將)이 되어 활약. 진주성 전투에서 황진이 전사한 뒤 뒤를 이어 대장이 되어 싸우다 전사. 병조참판에 추증되었고, 순천의 정충사(旌忠祠), 진주의 창렬사(彰烈祠)에 제향. 시호는 충의(忠毅).[2]
- 장경수(1959년 ~ ) : 제17대 국회의원
- 장영술(1960년 ~ ) : 현대제철 양궁감독
- 장진영(1971년 ~ ) : 변호사
- 장영근 (1976년 ~ ) : 전라남도 중앙협력본부장
- 장재균(2000년 ~ ) : 로안대부중개 팀장
목천 장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명, 무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2]
이름 | 생년 | 분야 | 급제년도 | 비고 |
---|---|---|---|---|
장세량 | 1683년 | 문과 | 1710년 | |
장수명 | 1611년 | 무과 | 1633년 | |
장명한 | 1635년 | 무과 | 1673년 | |
장추한 | 1656년 | 무과 | 1681년 | |
장세화 | 1676년 | 무과 | 1712년 |
7. 집성촌
8. 인구
연도 | 가구 | 인구 |
---|---|---|
1985년 | 2,409가구 | 10,822명 |
2000년 | 3,456가구 | 11,160명 |
2015년 | 15,746명 |
9. 항렬자
10세 | 11세 | 12세 | 13세 | 14세 | 15세 |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
응(應) | 렬(洌) 위(渭) 윤(潤) | 홍(弘) | 구(九) 명(命) | 한(漢) | 이(以) 세(世) | 의(毅) 운(雲) 처(處) | 조(祖) 지(志) | (水변) | 권(權) | 열(烈) | 기(基) 규(圭) | 호(鎬) 종(鍾) 현(鉉) | 영(永) 영(泳) 원(洹) | 주(柱) 식(植) 모(模) 근(根) 동(棟) | 병(炳) 형(炯) 훈(熏) |
참조
[1]
문서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청주목 목천현
http://sillok.histor[...]
[2]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LST_186_187_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