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몬테네그로 정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1993년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에 의해 설립된 종교 단체이다. 몬테네그로 왕국 교회의 계승을 주장하며, 1999년 몬테네그로 정부에 의해 종교 단체로 승인되었다. 2023년에는 보리스 보요비치가 새로운 대주교로 선출되었으나, 전 대주교 데데치와의 갈등이 발생했다.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세르비아 정교회와의 관계에서 교회 재산 분쟁, 충돌 등의 갈등을 겪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일부 정교회로부터 지지를 받지만,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으로부터는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 정교회 - 교회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는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구교회 슬라브어를 바탕으로 성경과 전례서를 번역하면서 시작되어 동슬라브 지역으로 전파, 다양한 판본으로 발전하여 정교회 지역의 예배 및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현대 슬라브어 등으로 대체되고 일부 지역에서만 예배 언어로 사용되며 현대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동방 정교회 - 수도복
    수도복은 수도자나 성직자들이 입는 특별한 의복으로, 불교의 가사, 기독교의 수도복 등 종교 및 종파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다양하며 각 종교의 전통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몬테네그로 정교회
기본 정보
몬테네그로 정교회 문장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문장
공식 명칭몬테네그로 정교회
유형동방 기독교
주요 분류독립 동방 정교회
성경칠십인역, 신약성경
신학동방 정교회 신학
정치 체제주교제
운영몬테네그로 정교회 신성 시노드
지도자 직함대수도권
지도자보리스
약칭 (영어)MOC
약칭 (몬테네그로어)ЦПЦ/CPC
본부체티네
관할 지역몬테네그로
설립자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
언어교회 슬라브어, 몬테네그로어
독립1993년
분리 대상세르비아 정교회 (1993년)
분리 교회몬테네그로 정교회 (2018년)
웹사이트몬테네그로 정교회 웹사이트
통계
신자 수몬테네그로 정교회 신자의 10% (2021년)
기타 정보
독립 교회 승인 여부전 세계 교회법상 합법적인 정교회로부터 독립 교회로 승인받지 못함
이전 수석 주교미라시 데데이크

2. 역사

1993년 세르비아 정교회의 주교였던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가 몬테네그로 대주교를 역임하면서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설립했다.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세르비아 왕국몬테네그로 왕국이 합병되기 전까지 운영했던 몬테네그로 교회의 계승권을 주장했는데, 몬테네그로 왕국은 1918년 세르비아 왕국에 합병되었다. 1999년부터 몬테네그로 정부에 의해 종교 단체로 승인되었으며, 구 몬테네그로 대교구의 사목 관할권을 담당하고 있다. 2009년 CEDEM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몬테네그로 정교회 신도는 29.36%이고, 70.64%는 세르비아 정교회 소속이다.

몬테네그로 정교회 창설 아이디어는 몬테네그로 외부에서 시작되었다. 몬테네그로인 파시스트와 세쿨라 드르예비치가 이끄는 협력자들은 크로아티아 독립국우스타샤 정권의 후원을 받았다. 1943년과 1944년 동안, 드르예비치는 우스타샤 운동의 성직-파시스트 이념의 영향을 받아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세르비아 정교회와는 물론, 일반적인 정교회와도 다르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crnogorоslavlje''라는 개념을 만들어 svetosavlje|세르비아 국민주의sr에 반대했다. 크로아티아 정교회의 우스타샤 계획을 참고하여 "몬테네그로 교회는 수세기 동안 어떤 정교회에도 의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1993년 10월 31일 체티네에서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설립되었고,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가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 처음에는 친 몬테네그로 독립 정치 단체인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LSCG)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몬테네그로는 1992년 국민투표 이후 1년 전에 형성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와의 연방 국가)의 일부였다. LSCG는 몬테네그로 주권을 위한 노력에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도구로 사용했다고 주장된다. 당시 집권당인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DPS)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초기 활동은 매우 산발적이었다.

안토니예 대주교가 사망한 후, 데데치 대주교로 교체되었다. 대부분의 자유주의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동의하지 않았고, 그들의 교회 지원은 곧 시들해지기 시작했다. 1997년까지,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몬테네그로의 DPS 행정부는 밀로셰비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 모두의 지원을 받은 교회를 지원하고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이러한 지원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2001년 1월 17일,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몬테네그로 내무부의 지역 부서에 비정부 기구로 공식 등록되었다. 이는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의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던 1977년의 ''종교 단체의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했다.

2007년,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몬테네그로 국경을 넘어 세르비아로 활동을 확대하려 시도했다. 세르비아는 원래 등록을 거부했는데, 모든 정통 동방 정교회도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항소심에서 세르비아 대법원은 이 입장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여 거부를 뒤집고 등록을 허가했다.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국적" 열에 "정통 세르비아인" 대신 "정통 몬테네그로인"으로 변경된 세례 증명서를 발급하겠다고 제안했다. 2021년에는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이 몬테네그로 내의 세르비아 정교회 지도권을 놓고 충돌했다.

2023년 9월 3일, 몬테네그로 정교회 창립 30주년을 맞아 보리스 보요비치 주교가 새 대주교로 선포되면서 교회에 대규모 분열이 일어났다. 이 결정은 체티네에서 열린 몬테네그로 정교회 총회에서 이루어졌으며, 보요비치에게 충성하는 젊은 사제들과 총회에 모인 수백 명의 시민들의 지지를 받았다. 총회는 또한 데데치 전 대주교의 공식 은퇴를 선언하고, 설립자이자 전 대주교인 아브라모비치를 교회의 성인으로 선포했다. 데데치는 총회의 선언을 "실패한 정치 집회"라고 비난하며 "거리 집회는 살아있고 건강한 지도자 옆에서 대주교를 바꾸고 새로운 대주교를 선출할 수 없다"고 말했다. 2023년 10월, 보요비치의 종교 활동 금지 제안은 체티네의 기본 법원에 의해 기각되었다.

2024년 6월 24일, 몬테네그로 최고 행정 법원은 법무부에 보리스 대주교를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수장으로 인정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 결정은 보리스 대주교를 교회의 새 지도자로 등록하는 것을 거부한 부처의 행정적 위기를 종식시켰다. 법원은 부처의 요청 거부가 정당하지 않다고 판단했는데, 이는 교회의 종교적 자율성과 공식적으로 공포되지 않은 내부 규약의 무효성을 고려한 것이다. 새 지도자는 2023년 9월 3일 몬테네그로 국민 대총회에서 전통에 따라 선출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93년 몬테네그로 대주교를 역임한 세르비아 정교회의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 주교에 의해 설립되었다. 세르비아 왕국몬테네그로 왕국이 합병되기 전까지 운영했던 몬테네그로 교회의 계승권을 주장했다. 몬테네그로 왕국은 1918년 세르비아 왕국에 합병됐다. 1999년부터 몬테네그로 정부에 의해 종교 단체로 승인되었으며 구 몬테네그로 대교구의 사목 관할권을 담당하고 있다. 2009년 CEDEM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몬테네그로의 정교회 신도 29.36%가 몬테네그로 정교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70.64%는 세르비아 정교회에 소속되어 있다.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특별 교회를 창설하려는 최초의 아이디어는 몬테네그로 외부에서 생겨났으며, 당시 몬테네그로인 파시스트와 세쿨라 드르예비치가 이끄는 협력자들이 크로아티아 독립국우스타샤 정권의 후원 아래 모였다. 1943년과 1944년 동안, 우스타샤 운동의 성직-파시스트 이념의 영향을 받아 드르예비치는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세르비아 정교회와 관련하여, 심지어 일반적인 정교회와 관련해서도 다양하다는 논문을 만들었다. 그 자리에서 그는 ''crnogorоslavlje''라는 개념을 만들어 svetosavlje|세르비아 국민주의sr에 반대되는 입장에 놓았다. 크로아티아 정교회의 우스타샤 계획을 살펴보면서 드르예비치는 "몬테네그로 교회는 수세기 동안 어떤 정교회에도 의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1993년 10월 31일 체티네에서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 당시 존재했던 친 몬테네그로 독립 정치 단체인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 (LSCG)의 지원을 받아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가 총대주교로 임명되어 이끌었다. 당시 몬테네그로는 1992년 국민투표 이후 1년 전에 형성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라는 세르비아와의 연방 국가의 일부였다. 친 독립 의제를 가진 정당인 LSCG는 몬테네그로 주권을 위한 그들의 노력에 MOC를 도구로 사용했다고 주장된다. 당시 집권당인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 (DPS)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행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MOC의 초기 활동은 매우 산발적이었다.

안토니예 대주교가 사망한 후, 그는 데데치 대주교로 교체되었다. 대부분의 자유주의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동의하지 않았고, 그들의 교회 지원은 곧 시들해지기 시작했다. 1997년까지,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몬테네그로의 DPS 행정부는 밀로셰비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 모두의 지원을 받은 교회를 지원하고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이러한 지원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2001년 1월 17일, MOC는 몬테네그로 내무부의 지역 부서에 비정부 기구로 공식 등록되었다. 다른 관련 법률이 없는 상황에서, 이 등록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의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던 1977년의 ''종교 단체의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이루어졌다.

2007년, MOC는 몬테네그로 국경을 넘어 활동을 확대하려 시도했다. 세르비아는 원래 MOC가 조직으로 등록되는 것을 거부했는데, 모든 정통 동방 정교회도 MOC를 인정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항소심에서 세르비아 대법원은 이 입장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여 거부를 뒤집고 등록을 허가할 길을 열었다.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국적" 열에 "정통 세르비아인" 대신 "정통 몬테네그로인"으로 변경된 세례 증명서를 발급하겠다고 제안했다. 계속되는 민족적 긴장에 따라, 2021년에는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이 몬테네그로 내의 세르비아 정교회 지도권을 놓고 충돌했다.

2023년 9월 3일, 몬테네그로 정교회 창립 30주년을 맞아 보리스 보요비치 주교가 교회의 새로운 대주교로 선포되면서 교회에 대규모 분열이 일어났다. 이 결정은 체티네에서 열린 MOC 총회에서 이루어졌으며, 보요비치에게 충성하는 젊은 사제들과 총회에 모인 수백 명의 시민들의 지지를 받았다. 총회는 또한 데데치 전 대주교의 공식 은퇴를 선언하고, MOC 설립자이자 전 대주교인 아브라모비치를 교회의 성인으로 선포했다. 데데치는 총회의 선언을 "실패한 정치 집회"라고 비난하며 "거리 집회는 살아있고 건강한 지도자 옆에서 대주교를 바꾸고 새로운 대주교를 선출할 수 없다"고 말했다. 2023년 10월, 보요비치가 MOC 교회에서 종교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라는 데데치의 제안은 체티네의 기본 법원에 의해 기각되었다.

2024년 6월 24일, 몬테네그로 최고 행정 법원은 법무부에 보리스 대주교를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수장으로 인정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 결정은 보리스 대주교를 교회의 새로운 지도자로 등록하는 것을 거부한 부처의 행정적 위기를 종식시켰다. 법원은 부처의 요청 거부가 정당하지 않다고 판단했는데, 이는 교회의 종교적 자율성과 공식적으로 공포되지 않은 내부 규약의 무효성을 고려한 것이다. 새로운 지도자는 2023년 9월 3일 몬테네그로 국민 대총회에서 전통에 따라 선출되었다.

2. 2. 1993년 설립과 초기 활동

1993년 10월 31일 체티네에서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 (LSCG)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가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 당시 몬테네그로는 1992년 국민투표 이후 1년 전에 형성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라는 세르비아와의 연방 국가의 일부였다.[1] 친독립 성향의 정당인 LSCG는 몬테네그로 주권을 위한 노력에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이용했다는 주장이 있다.[1] 당시 집권당인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 (DPS)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행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초기 활동은 매우 산발적이었다.[1]

안토니예 대주교가 사망한 후, 데데치 대주교로 교체되었다.[1] 대부분의 자유주의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동의하지 않았고, 그들의 교회 지원은 곧 시들해지기 시작했다.[1] 1997년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몬테네그로의 DPS 행정부는 밀로셰비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 모두의 지원을 받은 교회를 지원하고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1] 그러나 2001년 이후 이러한 지원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1]

2. 3. 미하일로 대주교 시대와 정치적 변화

1993년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가 몬테네그로 대주교로 임명되면서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몬테네그로 독립을 지지하는 정치 단체인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LSCG)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와의 연방 국가인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으며, LSCG는 몬테네그로 주권을 위한 노력에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활용하려 했다.

당시 집권당인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DPS)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초기 활동은 제한적이었다. 안토니예 대주교 사후, 데데치 대주교로 교체되었으나, 자유주의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동의하지 않았고, 교회에 대한 지원은 곧 약화되기 시작했다.

1997년,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몬테네그로의 DPS 행정부는 밀로셰비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의 지원을 받으며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이러한 지원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2. 4. 종교 단체 등록과 세르비아와의 갈등

1993년 세르비아 정교회의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 주교가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설립했으며, 1918년 세르비아 왕국에 합병되기 전까지 운영했던 몬테네그로 교회의 계승권을 주장했다. 1999년 몬테네그로 정부에 의해 종교 단체로 승인되었다.[1]

몬테네그로 정교회 창설 아이디어는 몬테네그로 외부에서 시작되었으며, 2차 세계대전 당시 몬테네그로인 파시스트와 협력자들이 크로아티아 독립국우스타샤 정권 후원 아래 있었다. 이들은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세르비아 정교회와 다르다는 주장을 펼쳤다.[2]

1993년 10월 31일 체티네에서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설립되었고, 초기에는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 (LSCG)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으며, LSCG는 몬테네그로 주권을 위한 노력에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활용하려 했다.[3]

안토니예 대주교 사후 데데치 대주교로 교체되었으나, 자유주의자들의 지지는 약화되었다. 1997년 밀로 주카노비치 정부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지원했으나 2001년 이후 지원이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4]

2001년 1월 17일,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몬테네그로 내무부에 비정부 기구로 공식 등록되었다. 이는 1977년 ''종교 단체의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것이었다.[5]

2007년,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세르비아로 활동을 확대하려 했으나, 세르비아는 초기 등록을 거부했다. 그러나 세르비아 대법원은 이 결정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여 등록을 허가했다.[6]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세례 증명서에 "정통 세르비아인" 대신 "정통 몬테네그로인"으로 변경하여 발급하겠다고 제안했다. 2021년에는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가 몬테네그로 내 세르비아 정교회 지도권을 놓고 충돌했다.[7]

2023년 9월 3일, 보리스 보요비치 주교가 새 대주교로 선포되면서 교회에 분열이 일어났다. 데데치 전 대주교는 이 결정을 비난했으며, 2023년 10월 법원은 보요비치의 종교 활동 금지 제안을 기각했다.[8]

2024년 6월 24일, 몬테네그로 최고 행정 법원은 법무부에 보리스 대주교를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수장으로 인정하라는 판결을 내렸다.[9]

2. 5. 보리스 대주교 시대와 교회의 분열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창설은 몬테네그로 외부에서 시작되었다. 몬테네그로인 파시스트와 세쿨라 드르예비치가 이끄는 협력자들은 크로아티아 독립국우스타샤 정권의 후원을 받았다. 드르예비치는 1943년과 1944년 동안 우스타샤 운동의 성직-파시스트 이념의 영향을 받아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세르비아 정교회, 더 나아가 일반적인 정교회와도 다르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crnogorоslavlje''라는 개념을 만들어 Svetosavski nacionalizam|세르비아의 성 사바주의sr에 반대했다. 그는 크로아티아 정교회의 우스타샤 계획을 참고하여 "몬테네그로 교회는 수세기 동안 어떤 정교회에도 의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1993년 10월 31일 체티네에서 설립되었으며,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가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 초기에는 몬테네그로 독립을 지지하는 정치 단체인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LSCG)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으며, LSCG는 몬테네그로 주권을 위한 노력에 MOC를 이용하려 했다는 주장이 있다. 당시 집권당인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DPS)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MOC의 초기 활동은 제한적이었다.[1]

안토니예 대주교 사후, 데데치 대주교가 그 자리를 계승했다. 그러나 자유주의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동의하지 않았고, 교회의 지원은 약화되기 시작했다. 1997년,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DPS 정부는 밀로셰비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의 지원을 받는 교회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이러한 지원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1]

2001년 1월 17일, MOC는 몬테네그로 내무부의 지역 부서에 비정부 기구로 공식 등록되었다. 이는 1977년의 ''종교 단체의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것이었다.[1]

2007년, MOC는 세르비아로 활동을 확대하려 했으나, 세르비아는 MOC의 등록을 거부했다. 그러나 세르비아 대법원은 이 입장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여 등록을 허가했다.[1]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정통 세르비아인" 대신 "정통 몬테네그로인"으로 변경된 세례 증명서를 발급하겠다고 제안했다. 2021년에는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이 몬테네그로 내의 세르비아 정교회 지도권을 놓고 충돌하기도 했다.[1]

2023년 9월 3일, 몬테네그로 정교회 창립 30주년을 맞아 보리스 보요비치 주교가 교회의 새로운 대주교로 선포되면서 교회에 큰 분열이 일어났다. 이 결정은 체티네에서 열린 MOC 총회에서 이루어졌으며, 보요비치에게 충성하는 젊은 사제들과 총회에 모인 수백 명의 시민들의 지지를 받았다. 총회는 또한 데데치 전 대주교의 공식 은퇴를 선언하고, MOC 설립자이자 전 대주교인 아브라모비치를 교회의 성인으로 선포했다. 데데치는 총회의 선언을 "실패한 정치 집회"라고 비난하며 "거리 집회는 살아있고 건강한 지도자 옆에서 대주교를 바꾸고 새로운 대주교를 선출할 수 없다"고 말했다.[2] 2023년 10월, 보요비치가 MOC 교회에서 종교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라는 데데치의 제안은 체티네의 기본 법원에 의해 기각되었다.[3]

2024년 6월 24일, 몬테네그로 최고 행정 법원은 법무부에 보리스 대주교를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수장으로 인정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 결정은 보리스 대주교를 교회의 새로운 지도자로 등록하는 것을 거부한 부처의 행정적 위기를 종식시켰다. 법원은 부처의 요청 거부가 정당하지 않다고 판단했는데, 이는 교회의 종교적 자율성과 공식적으로 공포되지 않은 내부 규약의 무효성을 고려한 것이다. 새로운 지도자는 2023년 9월 3일 몬테네그로 국민 대총회에서 전통에 따라 선출되었다.[4]

3. 조직 및 지도 체계

2007년 1월 11일,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자체 성 시노드를 구성하고 첫 번째 법령을 선포했다. 성 시노드는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교구 대주교가 이끄는 수석 사제로 구성되며, 몬테네그로를 체틴스카, 두클얀스카, 프리모르스카, 오스트로스카, 베란스카의 5개 교구로 나누었다.

3. 1. 현재 지도부

2024년 현재,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체티네 대주교이자 몬테네그로 교구장인 보리스가 이끌고 있다.[1]

3. 2. 미하일로 전 대주교

미트로폴리탄 미하일로는 세르비아 정교회에서 교수로 활동하다가 이후 이탈리아그리스 정교회에서 사제로 활동했다. 그곳에서 그리스 교회 내 세르비아 정교회 자치구를 만들었으나, 간통과 횡령 혐의 등 여러 스캔들로 인해 1995년 교회에서 영구 제명되었다.[10][11] 1997년 몬테네그로 정교회(MOC)의 미트로폴리탄이 된 후,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의 성 시노드로부터 동방 정교회에서 완전히 파문당했다.

1997년 1월 6일 체티네에서 열린 MOC 주최 몬테네그로 국민 총회에서 미트로폴리탄 미하일로는 대중의 환호 속에 몬테네그로 정교회 수장으로 선출되었다. 1998년 3월 15일 소피아의 성 파라스케바 교회에서 불가리아 대안 시노드의 수장인 파트리아르크 피멘과 그의 시노드 소속 7명의 대주교 및 주교들에 의해 주교로 서임되었다. 1998년 10월 31일 체티네에서 수백 명의 신자와 몬테네그로 정교회 지지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미트로폴리탄으로 즉위했다.

4. 활동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현재 몬테네그로의 옛 수도인 체티네 지역의 여러 예배당과 코토르의 한 교회에서 정기적으로 예배를 드리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부활절에는 몬테네그로 전역에서 야외 예배가 열린다.[32] 2006년 독립 국민 투표 이후 코토르 구 시가지에 새로운 성전을 공식적으로 열었다.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로브체나츠에는 정의로운 이반 체르노예비치 성당과 같은 국외 첫 몬테네그로 정교회 교회의 건설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린 민족 협회 크르스타시의 도움으로 계획되었다.[33] 2005년 8월 5일, 새로운 MOC 신사가 건설될 토지에 대한 계약이 체결되었다.[34]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국외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호주, 서유럽에 여러 개의 교회와 선교 단체를 건설해 왔다. 이들 지역은 중요한 몬테네그로 이민 공동체의 고향이며, 이들 중 대부분은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지지한다.[35] 예배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뿐만 아니라 아르헨티나 차코 주에서도 열리며, 이곳은 아르키만드리테 고라즈드 글로마지치와 마차게이 식민지의 성 니콜라 몬테네그로 교회의 근거지이다.[36]

4. 1. 몬테네그로 내 활동

코토르에 있는 몬테네그로 정교회 소속 체티네의 성 베드로 교회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현재 몬테네그로의 옛 수도인 체티네 지역의 여러 예배당과 코토르의 한 교회에서 정기적으로 예배를 드리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부활절에는 몬테네그로 전역에서 야외 예배가 열린다.[32]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독립 국민 투표 이후 2006년 코토르 구 시가지에 새로운 성전을 공식적으로 열었다.

4. 2. 몬테네그로 외 활동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로브체나츠에 정의로운 이반 체르노예비치 성당과 같은 국외 첫 몬테네그로 정교회 교회의 건설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린 민족 협회 크르스타시의 도움으로 계획되었다.[33] 2005년 8월 5일, 새로운 MOC 신사가 건설될 토지에 대한 계약이 체결되었다.[34]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국외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호주, 서유럽에 여러 개의 교회와 선교 단체를 건설해 왔다. 이들 지역은 중요한 몬테네그로 이민 공동체의 고향이며, 이들 중 대부분은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지지한다.[35] 예배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뿐만 아니라 아르헨티나 차코 주에서도 열리며, 이곳은 아르키만드리테 고라즈드 글로마지치와 마차게이 식민지의 성 니콜라 몬테네그로 교회의 근거지이다.[36]

5. 세르비아 정교회와의 관계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1993년 세르비아 정교회의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 주교에 의해 설립되었다.[37] 이 교회는 1918년 세르비아 왕국몬테네그로 왕국이 합병되기 전까지 운영했던 몬테네그로 교회의 계승권을 주장한다. 몬테네그로 왕국은 1918년 세르비아 왕국에 합병되었다. 1999년부터 몬테네그로 정부에 의해 종교 단체로 승인되었으며 구 몬테네그로 대교구의 사목 관할권을 담당하고 있다. 2009년 CEDEM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몬테네그로의 정교회 신도 29.36%가 몬테네그로 정교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70.64%는 세르비아 정교회에 소속되어 있다.[37]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특별 교회를 창설하려는 최초의 아이디어는 몬테네그로 외부에서 생겨났으며, 당시 몬테네그로인 파시스트와 세쿨라 드르예비치가 이끄는 협력자들이 크로아티아 독립국우스타샤 정권의 후원 아래 모였다. 1943년과 1944년 동안, 우스타샤 운동의 성직-파시스트 이념의 영향을 받아 드르예비치는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세르비아 정교회와 관련하여, 심지어 일반적인 정교회와 관련해서도 다양하다는 주장을 펼쳤다.[37]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1993년 10월 31일 체티네에서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 당시 존재했던 친 몬테네그로 독립 정치 단체인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 (LSCG)의 지원을 받아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가 총대주교로 임명되어 이끌었다. 당시 몬테네그로는 1992년 국민투표 이후 1년 전에 형성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라는 세르비아와의 연방 국가의 일부였다. 친 독립 의제를 가진 정당인 LSCG는 몬테네그로 주권을 위한 그들의 노력에 MOC를 도구로 사용했다고 주장된다. 당시 집권당인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 (DPS)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행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MOC의 초기 활동은 매우 산발적이었다.[37]

안토니예 대주교가 사망한 후, 그는 데데치 대주교로 교체되었다. 대부분의 자유주의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동의하지 않았고, 그들의 교회 지원은 곧 시들해지기 시작했다. 1997년까지,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몬테네그로의 DPS 행정부는 밀로셰비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 모두의 지원을 받은 교회를 지원하고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이러한 지원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37]

2001년 1월 17일, MOC는 몬테네그로 내무부의 지역 부서에 비정부 기구로 공식 등록되었다. 다른 관련 법률이 없는 상황에서, 이 등록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의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던 1977년의 ''종교 단체의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이루어졌다.[37]

2007년, MOC는 몬테네그로 국경을 넘어 활동을 확대하려 시도했다. 세르비아는 원래 MOC가 조직으로 등록되는 것을 거부했는데, 모든 정통 동방 정교회도 MOC를 인정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항소심에서 세르비아 대법원은 이 입장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여 거부를 뒤집고 등록을 허가할 길을 열었다.[37]

2023년 9월 3일, 몬테네그로 정교회 창립 30주년을 맞아 보리스 보요비치 주교가 교회의 새로운 대주교로 선포되면서 교회에 대규모 분열이 일어났다. 이 결정은 체티네에서 열린 MOC 총회에서 이루어졌으며, 보요비치에게 충성하는 젊은 사제들과 총회에 모인 수백 명의 시민들의 지지를 받았다. 총회는 또한 데데치 전 대주교의 공식 은퇴를 선언하고, MOC 설립자이자 전 대주교인 아브라모비치를 교회의 성인으로 선포했다. 데데치는 총회의 선언을 "실패한 정치 집회"라고 비난하며 "거리 집회는 살아있고 건강한 지도자 옆에서 대주교를 바꾸고 새로운 대주교를 선출할 수 없다"고 말했다. 2023년 10월, 보요비치가 MOC 교회에서 종교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라는 데데치의 제안은 체티네의 기본 법원에 의해 기각되었다.[37]

2024년 6월 24일, 몬테네그로 최고 행정 법원은 법무부에 보리스 대주교를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수장으로 인정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 결정은 보리스 대주교를 교회의 새로운 지도자로 등록하는 것을 거부한 부처의 행정적 위기를 종식시켰다. 법원은 부처의 요청 거부가 정당하지 않다고 판단했는데, 이는 교회의 종교적 자율성과 공식적으로 공포되지 않은 내부 규약의 무효성을 고려한 것이다. 새로운 지도자는 2023년 9월 3일 몬테네그로 국민 대총회에서 전통에 따라 선출되었다.[37]

5. 1. 교회 재산 분쟁

2007년 4월, 몬테네그로 정교회(MOC) "진흥 위원회 회장" 스테보 부치니치는 "우리[MOC]는 마을의 모든 교회와 예배당, 물론 시골 교회와 수도원을 되찾을 것이며, 저항을 예상하지만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37]

2007년 4월 18일 수요일, 몬테네그로 정교회 대표들은 "과도한 상황"을 일으키고 싶지 않다고 발표했지만, 세르비아 정교회의 주장과 요구에 관계없이 세르비아 정교회 체티네 수도원에 들어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수 경찰 부대가 그들과 수백 명의 MOC 지지자들의 강제 진입을 막았다. 경찰과 수도원에 억지로 들어가려던 군중 사이에 약간의 밀고 당기는 소동이 있었다. 이어서 군중들은 "여기는 세르비아가 아니다", "너희는 누구의 경찰이냐?", "리스토, 사탄"(세르비아 정교회(SOC)의 암필로히예 대주교를 지칭)과 같은 구호를 외쳤다.[38]

2008년 9월, 세르비아 정교회 현지인들은 MOC가 그곳에 교회를 짓는 것을 막기 위해 니크시치 지역에서 봉쇄를 시도했다.[39] 이 과정에서 65명이 공공질서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다.[39]

5. 2. 충돌 사례

1993년 몬테네그로 대주교를 역임한 세르비아 정교회의 안토니예 아브라모비치 주교에 의해 설립된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1918년 세르비아 왕국몬테네그로 왕국이 합병되기 전까지 운영했던 몬테네그로 교회의 계승권을 주장했다.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국적" 열에 "정통 세르비아인" 대신 "정통 몬테네그로인"으로 변경된 세례 증명서를 발급하겠다고 제안했다. 계속되는 민족적 긴장에 따라, 2021년에는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이 몬테네그로 내의 세르비아 정교회 지도권을 놓고 충돌했다.

2007년 4월, 몬테네그로 정교회(MOC) "진흥 위원회 회장"인 스테보 부치니치는 "우리[MOC]는 마을의 모든 교회와 예배당, 물론 시골 교회와 수도원을 되찾을 것이며, 저항을 예상하지만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37]

2007년 4월 18일 수요일, 몬테네그로 정교회 대표들은 "과도한 상황"을 일으키고 싶지 않다고 발표했지만, 세르비아 정교회의 주장과 요구에 대한 반응에 관계없이 세르비아 정교회 체티네 수도원에 들어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수 경찰 부대가 그들과 수백 명의 MOC 지지자들의 강제 진입을 막았다. 경찰과 수도원에 억지로 들어가려던 군중 사이에 약간의 밀치고 당기는 소동이 있었다. 이어서, 군중들은 "여기는 세르비아가 아니다", "너희는 누구의 경찰이냐?"와 "리스토, 사탄"(세르비아 정교회(SOC)의 암필로히예 대주교를 지칭)과 같은 구호를 외쳤다.[38]

2008년 9월, 세르비아 정교회 현지인들은 MOC가 그곳에 교회를 짓는 것을 막기 위해 니크시치 지역에서 봉쇄를 시도했다.[39] 이 과정에서 65명이 공공질서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다.[39]

6. 국제적 인정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국제적으로 정식 교회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교회 - 키예프 총대주교청[40], 불가리아 대안 정교회와 그 이탈리아 지부인 이탈리아 정교회 등, 정식 교회로 인정받지 못하는 여러 동방 정교회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41]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지지를 받은 적도 있으나,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교류 회복을 위한 협상에 들어가면서 이 지지는 철회되었다.[42]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는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자치권을 부여한 후, 몬테네그로 정교회도 조만간 비슷한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소문에 대해 "우리는 소위 '몬테네그로 정교회'에 자치권을 부여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이를 부인했고,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지도자 데데이치가 간통과 횡령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의해 직무가 정지되었다고 밝혔다.[9][10][11][12]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1993년 10월 31일 체티네에서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 친 몬테네그로 독립 정치 단체인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LSCG)의 지원을 받았다.[44] 1997년,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DPS) 행정부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의 지원을 받으며 교회를 지원하고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이러한 지원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 소수 민족 크로아티아 시민 이니셔티브 등은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공식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44] 2008년 세르비아 선거 당시, 보이보디나 헝가리 연합은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몬테네그로에서 공인된 종교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45]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은 제9차 총회 이후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몬테네그로의 정당한 교회로 지지했다.[46]

6. 1. 다른 정교회의 지지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우크라이나 정교회 - 키예프 총대주교청[40], 불가리아 대안 정교회와 그 이탈리아 지부인 이탈리아 정교회 등, 정식 교회로 인정받지 못하는 여러 동방 정교회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41]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지지를 받은 적도 있으나,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교류 회복을 위한 협상에 들어가면서 이 지지는 철회되었다.[42]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가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자치권을 부여한 후, 몬테네그로 정교회도 조만간 비슷한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그러나 바르톨로메오스 총대주교는 "우리는 소위 '몬테네그로 정교회'에 자치권을 부여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이를 부인했고,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지도자 데데이치가 간통과 횡령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의해 직무가 정지되었다고 밝혔다.[9][10][11][12]

6. 2.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의 입장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는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자치권을 부여한 후, 몬테네그로 정교회도 조만간 비슷한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이 퍼진 것에 대해 "우리는 소위 '몬테네그로 정교회'에 자치권을 부여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이를 부인했고, 지도자 데데이치가 간통과 횡령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의해 직무가 정지되었다고 밝혔다.[9][10][11][12]

6. 3. 정치권의 지지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1993년 10월 31일 체티네에서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 친 몬테네그로 독립 정치 단체인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LSCG)의 지원을 받았다.[44] 당시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내에서 세르비아와 연방 국가를 이루고 있었고, LSCG는 몬테네그로 주권을 위한 노력에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활용하려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1997년, 밀로 주카노비치가 이끄는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DPS) 행정부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민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의 지원을 받으며 교회를 지원하고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이러한 지원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공식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힌 정당으로는 몬테네그로 자유 연합, 소수 민족 크로아티아 시민 이니셔티브 등이 있다. 이들은 몬테네그로 새 헌법에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명시할 것을 제안했지만, 2007년 말 헌법 채택 당시에는 언급되지 않았다.[44]

2008년 세르비아 선거 당시, 보이보디나 헝가리 연합은 몬테네그로 정교회가 몬테네그로에서 공인된 종교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45]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은 제9차 총회 이후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몬테네그로의 정당한 교회로 지지했다.[46]

7. 여론

몬테네그로 민주주의 센터가 2007년 2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몬테네그로에서 세르비아 정교회가 여론의 신뢰도가 가장 높은 기관이었으며(계수 3.29),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6위(계수 2.35)를 기록했다.[47] 2020년에 CEDEM이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는 몬테네그로의 동방 정교회 신자 중 약 10%가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선택했고, 약 90%는 기존의 정통 세르비아 정교회를 선택하거나 유지했다.[8]

참조

[1] 웹사이트 PRESUDA: Upravni sud poništio akt kojim je Abazovićeva vlada htjela da uništi Crnogorsku pravoslavnu crkvu http://www.antenam.n[...] 2024-07-02
[2] 서적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Volume 1 https://books.google[...] U.S. State Department 2007
[3] 서적 Spaces and Borders: Current Research on Religion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Walter de Gruyter 2011
[4] 서적 For God and Country: Essays on Religion and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MDPI 2021
[5] 서적 Nations in Transit 2004: Democratization in East Central Europe and Euras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4
[6] 웹사이트 Raskol u Crnogorskoj pravoslavnoj crkvi, izabran novi mitropolit https://n1info.rs/re[...] 2023-10-31
[7] 서적 For God and Country: Essays on Religion and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MDPI 2021
[8]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https://www.state.go[...] 2021-07-25
[9] 간행물 Montenegro's Corrupt Party of Socialists Is Killing the Country https://nationalinte[...] 2020-01-28
[10] 뉴스 Patriarch Bartholomew: We will never give autocephaly to the 'Montenegrin church' https://orthochristi[...] 2019-12-31
[11] 뉴스 Ecumenical Patriarch Bartholomew: The Phanar will never recognize an autocephalous Church in Montenegro https://orthodoxtime[...] 2019-12-30
[12] 뉴스 Pope Francis Comes Out Against Orthodox Christianity's Balkanization https://www.insideov[...] 2019-12-23
[13] 간행물 Crna Gora
[14] 서적 Balkanski sukobi 1905-1941 https://archive.org/[...] Putovi
[15] 서적 Montenegro: A Modern History I.B.Tauris
[16] 웹사이트 Religious Freedom Comes to Europe's Second-Newest Nation. But Christians Are Concerned. https://www.christia[...] 2021-11-25
[17] 서적 Istorija i geografija: susreti i prožimanja: History and geography: meetings and permeations https://books.google[...] SANU Institute for Slavic Studies 2014
[18] 웹사이트 O registraciji crnogorske pravoslavne crkve http://tmp.cpc.org.m[...] MOC Official Website 2010-07-07
[19] 웹사이트 Montenegro -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7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https://2009-2017.st[...]
[20] 웹사이트 Serbia Lifts Ban on Montenegro Church http://www.balkanins[...] 2010-07-07
[21] 웹사이트 CPC "POKRŠTAVA" GRAĐANE Mitropolit nepriznate crkve hoće da prepravlja krštenice, pozvao na "odbranu od duhovnog okupatora i SPC" https://www.blic.rs/[...] 2021-03-02
[22] 웹사이트 Kršteni u SPC da zatraže krštenicu i CPC http://www.rtcg.me/v[...] 2021-03-03
[23] 웹사이트 Miraš Dedeić pozvao vernike SPC da uzmu krštenicu nekanonske CPC http://www.rts.rs/pa[...] Radio televizija Srbije 2021-03-03
[24] 뉴스 From baptism to politics, Montenegrins fight for identity https://www.csmonito[...] 2021-05-11
[25] 뉴스 Montenegro clashes as Serb Orthodox Church leader installed https://www.bbc.com/[...] 2021-11-25
[26] 웹사이트 Na okupljanju na Cetinju za mitropolita izabran Boris; Mihailo: Politički skup koji nema legitimitet https://www.vijesti.[...] 2023-11-24
[27] 웹사이트 Srpska pravoslavna crkva u Crnoj Gori jača, Crnogorska se dijeli https://www.slobodna[...] 2023-11-24
[28] 웹사이트 Boris Bojović na čelu CPC; Mihailo: Bezuspješni puč na uličnom mitingu https://rtcg.me/vije[...] 2023-11-24
[29] 웹사이트 Episkop Boris proglašen za mitropolita CPC-a, mitropolit Mihailo osporava izbor https://balkans.alja[...] 2023-11-24
[30] 웹사이트 Potvrđeno Rješenje Kojim Je Odbijen Predlog CPC Da Se Zabrani Obavljanje Vjerskih Obreda U Crkvi Ivana Crnojevića U Odnosu Na B.B. https://www.pravosud[...] 2023-11-24
[31] 웹사이트 Vijeće Osnovnog suda potvrdilo rešenje: Borisu Bojoviću nije zabranjeno obavljanje vjerskih obreda u crkvi na Cetinju https://www.cdm.me/h[...] 2023-11-24
[32] 웹사이트 Hramovi u kojima Mitropolit sluzi http://www.moc-cpc.o[...] 2010-07-07
[33] 웹사이트 Krstaš, Association of Montenegrins in Serbia Krstas.rs 2011-09-17
[34] 웹사이트 Montenegro Orthodox Church in Lovćenac http://www.krstas.rs[...]
[35] 웹사이트 News http://www.montenet.[...] Montenet.org 2011-09-17
[36] 웹사이트 Price o crnogorskim iseljenicima u Argentini http://www.montenegr[...] 2005-05-27
[37] 뉴스 unknown title http://www.vijesti.c[...]
[38] 웹사이트 Vesti - Policija zaustavila vernike CPC - Internet, Radio i TV stanica; najnovije vesti iz Srbije http://www.b92.net/i[...] B92 2010-06-08
[39] 웹사이트 Montenegro: Police arrest 65 in church dispute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9-03-29
[40] 웹사이트 PATRIARCH FILARET SUPPORTS UNRECOGNIZED MONTENEGRIN ORTHODOX CHURCH https://risu.org.ua/[...] 2010-10-01
[41] 웹사이트 Chiesa Ortodossa in Italia http://www.chiesaort[...] 2010-07-07
[42] 웹사이트 New request for autocephaly of the Church of North Macedonia from the country's PM https://orthodoxtime[...] 2021-11-25
[43] 웹사이트 Meeting of Mihajlo and Pope Francis https://www.vijesti.[...] 2022-12-03
[44] 웹사이트 Boycott by opposition because of CPC http://www.tivatonli[...] Tivatonline.com 2011-09-17
[45] 웹사이트 Vojvodina's Montenegrins back Hungarian candidate http://www.b92.net/e[...] B92.net 2011-09-17
[46] 웹사이트 Đukanović najavio provjeru vlasništva crkvenih objekata i obnovu CPC! https://mondo.me/inf[...] 2022-05-24
[47] 웹사이트 CEDEM - Političko javno mnjenje Gore Gore - Povjerenje u institucije - Februar 2007 http://www.cedem.me/[...] 2011-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